KR20130054898A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898A
KR20130054898A KR1020120033169A KR20120033169A KR20130054898A KR 20130054898 A KR20130054898 A KR 20130054898A KR 1020120033169 A KR1020120033169 A KR 1020120033169A KR 20120033169 A KR20120033169 A KR 20120033169A KR 20130054898 A KR20130054898 A KR 2013005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ortable terminal
user
terminal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543B1 (ko
Inventor
김인영
김진률
남경원
한종희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05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34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electrical steering of transducer arrays, e.g. beam ste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021/02161Number of inputs available containing the signal or the noise to be suppressed
    • G10L2021/02166Microphone arrays;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는,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microphone array) 및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잡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음향이 선택적으로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빔포머(beam-former)를 포함하고,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ound us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청기 및 와우 보조기(cochlea implant)와 같은 음향 수신 장치와 연결된 음향 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된 음향을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해 처리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을 음향 수신 장치에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력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을 위해 활용되는 의료 장비로 보청기와 와우 보조기가 소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난청의 경우에는 보청기를 활용하여 부족한 청력을 보충하고, 보청기로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양측성 전농 또는 고심도 난청인에게는 인공 달팽이관에 해당하는 와우 보조기(cochlea implant)를 활용한다.
보청기는 청력 검사상 난청으로 진단된 환자의 귀에 장착하여 소리를 증폭하여 주는 기구로서, 소리를 받는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내보내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맞추어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보청기의 종류로는, 크기에 따라 몸에 부착하는 포켓형, 귀 뒤로 거는 귀걸이형, 외이도와 이갑개(외이에서 외이도 입구까지의 조개모양의 공간)를 채우는 이갑개형, 외이도 입구를 일부 채우는 외이도형, 외이도 내로 완전히 넣어 타인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고막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방법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으며 최근에는 대부분 디지털 보청기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 외에도 소리의 골전도를 이용한 골도 보청기, 일측 난청이 있는 경우 반대측 귀로 들을 수 있게 해주는 크로스(contralateral routing of signal, CROS)가 있다.
와우 보조기는 청각 신경섬유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듣는 것이 가능하도록 와우각에 삽입되는 장치로서, 융모 세포의 손상으로 인하여 청각을 상실한 사람들의 청각 복원에 사용한다. 이러한 와우 보조기를 시술하는 방법은 외부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하여 청각신경을 자극하는 전극을 달팽이관에 이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와우 보조기를 이식한 사람들은 마이크로폰을 귀에 걸고 안테나는 머리에 붙이며, 어음처리기로 장치를 켜거나 끄면서 조정한다. 내부장치는 영구적으로 바깥쪽 귀 뒤, 유양돌기 안에 저장한다. 전극들은 일반적으로 달팽이관 안에 있는 고실계단에 있다. 전극을 감싸고 있는 재질은 세라믹 또는 티타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인용되는 비특허문헌에는 이러한 디지털 신호 기반의 보청기 개발의 현황과 과제가 다양하게 소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청각 보조 장치들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주위 환경에는 다양한 음원(sound source)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상대방의 음성도 존재할 수 있는 반면, 도로를 지나는 자동차의 경적 소리나 지하철의 규칙적인 잡음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위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음향을 수집하여 일률적으로 증폭하는 것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그리 바람직한 기능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청각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필요하고 유용한 음향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청취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디지털 보청기 개발 현황 및 연구과제, 김동욱, 재활공학정보 8('99.3) pp.52-68, 보건복지부, 199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보청기나 와우 보조기와 같은 음향 수신 장치에서 주위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강화시키는 기능이 없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잡음이 유입되어 증폭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러한 음향 수신 장치의 물리적인 크기가 소형인 관계로 설사 주위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 강화시킨다고 할지라도 그 성능이 저하되어 방향성 잡음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며, 음향 신호의 개선 내지 향상을 위해 사용자가 별도로 고가의 증폭 장치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는,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microphone array); 및 상기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소정 방향의 잡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소정 방향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빔포머(beam-former);를 포함하고,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 수신 장치에서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되고, 단자(terminal)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 수신 장치에서 상기 빔포머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processor)이고,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을 상기 단자를 통해 전달받은 후, 상기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된 음향 수신 장치에서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상기 착탈식 케이스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둘러싸고 상기 착탈식 케이스에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4개 이상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적응적으로 상기 감지 방향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 수신 장치에서 상기 빔포머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이고,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된 음향 수신 장치에서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상기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면에 결합되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일렬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상기 감지 방향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 수신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 간에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 수신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 간에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무선 중계기를 경유하여 통신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단계; 상기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을 이용하여 소정 방향의 잡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소정 방향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송신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 수신 방법에서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된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 수신 방법에서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된 음향 수신 방법에서 상기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단계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복수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상기 감지 방향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상기 기재된 음향 수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수신된 주위 음향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통해 빔포밍을 처리하고, 이를 다시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보청기 또는 와우 보조기의 수신기에 전송함으로써 주위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주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증폭을 위해 별도의 증폭 장치를 휴대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늘상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에 부가되는 간편한 보조 기구를 통해 향상된 품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를 휴대 단말기와 착탈식 케이스를 통해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에서 빔포머를 구현하는 2가지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를 휴대 단말기와 착탈식 모듈(module)을 통해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와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는 수신기가 통신하는 2가지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보청기 또는 와우 보조기의 경우 사용자의 귀에 직접 부착되는 수신기를 통해 단순히 주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여 단순 증폭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수신기를 통해 집음된 음향을 보청기 또는 와우 보조기에 무선 통신을 활용하여 전달하도록 구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상과 같은 불편함을 인지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집음된 음향으로부터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거나, 특정 방향의 중요 음향만을 강조하는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보청기 또는 와우 보조기와 같은 청력 보조 장치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빔포밍 기술은 물리적으로 일정한 수준 이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활용되어야 하므로, 빔포머를 사용자의 귀에 직접 부착되는 수신기가 아닌 별도의 장치(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 내지, 사용자에게 인접해 있는 별도의 음향 수신 장치가 될 수 있다.)를 통해 구현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빔포밍은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의 입력을 통해 구현이 가능하며, 두 마이크로폰 간의 거리가 넓을수록 빔의 제어가 용의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보청기 등에서 빔포밍 기술을 활용하고자 할 때는, 보청기 자체가 갖는 물리적 제약(크기가 작아야하는 보청기의 특징을 의미한다.)으로 인해 마이크로폰의 개수와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빔포머를 보청기와 같은 소형 수신기와 더불어 구현할 경우, 빔포밍의 성능이 저하되어 방향성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즉, 이하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 성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에 설치하여 빔포밍 성능을 개선하였다.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 및 휴대 전화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사운드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사용되는데, 단일 채널의 모노(mono) 사운드가 아닌 2 이상의 채널을 활용하는 스테레오(stereo)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 개의 마이크로폰이 아닌 다수의 마이크로폰들을 사용하게 된다.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디지털 기기를 통해 음원을 녹음하거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환경은 통상적으로 주변 간섭음이 없이 조용한 환경이기보다는 다양한 소음과 주변 간섭음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환경일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이를 위해 혼합 사운드들로부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음원 신호만을 강화하거나, 역으로 불필요한 주변 간섭음을 제거하는 기술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향성이라 함은 마이크로폰, 스피커 등의 음향 기기가 특정한 방향의 음원에 대해 더 좋은 감도를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한다. 지향성은 마이크로폰을 중심으로 방향에 따라 다른 감도를 나타내게 되고, 이러한 지향성 특성이 나타나는 지향성 패턴의 폭을 지향 폭(directivity width)이라고 하며, 이와 반대로 지향성이 억제되어 지향성 패턴 상에서 감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는 부분의 폭을 억제 폭(null width)라고 한다. 지향 폭과 억제 폭은 각각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조절 인자(parameter)들이 있으며 이들 인자들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폰의 목표 음원에 대한 감도인 지향 폭과 억제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억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인자들로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들 간의 간격,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입력된 신호들을 지연시키는 지연항(delay)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조절 인자들을 활용하여 목표 음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배경 잡음과 섞인 목표 신호를 고감도로 수신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적절한 가중치를 주어 진폭을 향상시킴으로써 원하는 목표 신호와 잡음 신호의 방향이 다를 경우의 잡음을 공간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필터 역할을 하며, 이러한 일종의 공간적 필터를 빔포밍이라고 한다. 다른 방향의 잡음으로부터 목표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추출하기 위해서는 어레이 패턴과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신호들 간의 위상 차이를 구하여야 하며, 이러한 신호 정보를 구하기 위해 다수의 알고리즘이 소개되었다. 예를 들어, 딜레이-앤드-서브트랙트(delay-and-subtract) 알고리즘이 그 대표적인 예 중의 하나이다.
한편, 기존의 보청기나 와우 보조기의 경우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설치할 수 없으며, 각 마이크로폰의 간격이 좁게 구성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빔포밍의 성능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방향성 잡음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에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부가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폰에 간격이 넓은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빔포밍한 후 해당 신호를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수단(예를 들어, 블루투스가 될 수 있다.)을 통해 보청기의 수신기에 전송함으로써 향상된 빔포밍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지향성 음향 처리 장치를 별도로 소지하는데 따른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늘상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이러한 지향성 음향 처리를 수행한 후, 처리 결과 생성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달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 불편없이 음성 신호 처리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음향 수신 장치(30) 주변에 다수의 음원(sound source)이 존재하고, 이를 집음하여 신호 처리한 후,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40)로 전달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microphone array)(31)는 주위 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다양한 음향을 집음한다.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들의 배치의 차이로 인해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도착하는 음향은 하나의 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하나의 음향의 경우에도 도착 시점에는 그 위상과 신호의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 어레이(31)는 신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마이크로폰 어레이(31)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되고, 단자(terminal)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 포트(data port) 또는 이어폰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마이크로폰 어레이(31)는 상기된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 없이도 휴대 단말기 그 자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빔포머(33)는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processor)인 것이 바람직하다.
빔포머(beam-former)(33)는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31)를 통해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의 잡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특정 방향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때, 특정 방향이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방향일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방향일 수도 있으며, 음향을 강화하거나 잡음을 제거하고자 하는 방향을 빔포머 스스로가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적응적 빔포밍(adaptive beam-forming) 방법은 음원 방향을 결정한 후, 그 외의 방향으로부터 수집되는 음향은 잡음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으며, 웨이블렛(wavelet) 알고리즘이나 일반 피드백(normal feedback) 회로를 이용하는 방법 등 적응적 빔포밍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채택될 수 있다. 적응적 빔포밍에 관한 구현 방법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칠 우려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무선 송신기(35)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빔포머(33)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40)에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 송신기(35)와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40)는 상호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음향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 때, 이러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WiFi 또는 FM 무선 통신과 같은 다양한 통신 수단이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현대 판매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통상적인 구현 형태를 고려할 때, 블루투스를 선택할 경우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도 휴대 단말기 자체에 구현되어 있는 하드웨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30)를 휴대 단말기(10)와 착탈식 케이스(20)를 통해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빔포밍을 위한 외부 마이크로폰이 달린 스마트폰 케이스 혹은 범퍼를 통해 주위 음향을 집음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의 케이스 혹은 범퍼(20)에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음향 신호에 적응형 빔포밍을 적용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을 제거한 음향 신호를 스마트폰 이어폰 또는 마이크로폰의 입력부(앞서 소개한 단자를 의미한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지향성(빔포밍된) 음향 신호는 스마트폰의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가 활용될 수 있다.)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에 직접 부착된 보청기의 수신기에 전송된다.
종래의 보청기의 경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보청기의 무선 수신기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원을 집음하기 때문에 보청기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음원과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집음되는 음원의 크기가 작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이제 이러한 단점은 도 2를 통해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청기에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보청기 무선 수신기가 아닌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30)에서 집음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보청기의 무선 수신기에 전송함으로써 보청기 사용자와 멀리 이격되어 있는 음원에 대한 거리의 제약을 완화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통해 빔포밍 성능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2에서, 케이스 혹은 범퍼(20)에 부착된 마이크로폰 어레이의 신호를 이용한 적응형 빔포밍은 케이스 혹은 범퍼(20) 내에 직접 구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휴대 단말기(10)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processor)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만약, 강조하여 집음하고자 하는 음원의 방향을 미리 알고 있을 경우, 케이스 혹은 범퍼에 마련된 선택 버튼을 통해 다수의 마이크로폰 중에서 특정 마이크로폰의 음원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약하건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30)는,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microphone array),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의 잡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특정 방향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강화하는 빔포머(beam-former) 및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한다. 이 때, 이러한 음향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는 수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므로 빔포밍에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상에서 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은 블루투스 또는 FM 무선 통신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노트PC와 같은 다양한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외장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착탈식 케이스 또는 모듈에 구비된다.)을 통해 주위 음향을 집음하며, 별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휴대 단말기 내에 내장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빔포밍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응형 빔포밍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상기 착탈식 케이스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를 둘러싸고 상기 착탈식 케이스(20)의 다양한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4개 이상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적응적으로 상기 감지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에서 빔포머를 구현하는 2가지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블록도로서, 각각의 도면은 빔포머가 물리적으로 휴대 단말기 또는 착탈식 케이스/모듈 중 어디에 구현되느냐에 따라 그 구현의 형태가 다소 달라지게 된다.
앞서 간략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되며, 단자를 통해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음향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단자는, 양자를 연결하는 매개가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단자(37)를 경계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장치를 고려하여 각각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음향 수신 장치(30)는 크게 착탈식 케이스/모듈(20)과 휴대 단말기(10)로서 구분되며, 양자를 단자(37)가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도 3의 실시예는 빔포머(33)가 휴대 단말기(10)의 데이터 처리 수단인 프로세서(15)로서 구현된 경우를 제안하고 있다. 즉, 도 3에서 빔포머(33)는, 상기 휴대 단말기(10)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processor)(15)이고, 상기 착탈식 케이스/모듈(20)에 구비된 마이크로폰 어레이가(31) 집음한 주위 음향을 상기 단자(37)를 통해 전달받은 후, 상기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빔포머(33)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으며, 수신된 음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일련의 처리 소프트웨어만이 필요하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가 스마트폰과 같이 설치형 어플리케이션이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의 장치인 경우, 이러한 빔포머(33)는 특정 앱(app) 내지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음향 수신 장치(30) 역시 크게 착탈식 케이스/모듈(20)과 휴대 단말기(10)로서 구분되며, 양자를 단자(37)가 연결한다. 여기서, 도 4의 실시예는 빔포머(33)가 휴대 단말기(10)가 아닌 착탈식 케이스/모듈(20) 내 고유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5)로서 구현된 경우를 제안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빔포머(33)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20)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25)이고,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31)가 집음한 주위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단자(37)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빔포머(33)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하드웨어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수신 장치(30)를 휴대 단말기(10)와 착탈식 모듈(module)(20)을 통해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2과 같은 케이스 내지 범퍼가 아닌 일면 착탈식 빔포머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일면 착탈식 빔포머 역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휴대 단말기(10)의 프로세서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한 후, 지향성 음향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한다.
또한,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상기 착탈식 모듈(20)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상기 착탈식 모듈(10)에 일렬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상기 감지 방향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와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는 수신기가 통신하는 2가지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첫째, 도 6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30)와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는 보청기의 수신기(40)가 직접 통신하는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이러한 통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음향 수신 장치(30)에 구현되는 무선 송신기는, 휴대 단말기(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30)를 의미한다.)와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40) 간에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서 음향 수신 장치(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케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착탈식 케이스 없이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직접 휴대 단말기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도 7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일단, 별도의 수신 기능이 있는 무선 중계기(50)에 빔포밍된 음향 신호를 전달하고, 이렇게 전달된 음향 신호는 다시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는 보청기의 수신기(40)에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음향 수신 장치(30)에 구현되는 무선 송신기는, 휴대 단말기(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30)를 의미한다.)와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40) 간에 블루투스 또는 무선 주파수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무선 중계기(50)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이 때,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 중계기(50)와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40) 간의 통신은 전원 절약에 보다 효과가 좋은 FM 무선 통신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역시 음향 수신 장치(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케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착탈식 케이스 없이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직접 휴대 단말기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음향 수신 장치의 각 구성이 수행하는 과정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시계열적 특성을 중심으로 그 과정을 약술하도록 한다.
810 단계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주위 음향을 집음한다. 또한, 이러한 810 단계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복수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상기 감지 방향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마이크로폰 어레이(31)에 대응한다.
820 단계에서는 810 단계를 통해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의 잡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특정 방향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이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빔포머(33)에 대응한다.
만약 빔포머를 휴대 단말기 내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할 경우, 상기된 음향 수신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된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반면, 만약 빔포머를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할 경우, 상기된 음향 수신 장치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게 된다.
830 단계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송신기를 통해 상기 82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한다. 이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무선 송신기(35)에 대응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수신된 주위 음향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통해 빔포밍을 처리하고, 이를 다시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보청기 또는 와우 보조기의 수신기에 전송함으로써 주위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주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증폭을 위해 별도의 증폭 장치를 휴대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늘상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에 부가되는 간편한 보조 기구를 통해 향상된 품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특정 방향의 잡음을 제거하거나 특정 방향의 음향 신호를 강조하는 빔포밍 방법은 이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외에 일련의 빔포밍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휴대 단말기 20 :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
15 : 프로세서 25 : 마이크로 프로세서
30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31 : 마이크로폰 어레이 33 : 빔포머
35 : 무선 송신기
37 : 단자(terminal)
40 :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는 송신기
50 : 무선 중계기

Claims (14)

  1.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microphone array); 및
    상기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하여 소정 방향의 잡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소정 방향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빔포머(beam-former);를 포함하고,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되고,
    단자(terminal)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머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processor)이고,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을 상기 단자를 통해 전달받은 후, 상기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머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이고,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상기 착탈식 케이스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둘러싸고 상기 착탈식 케이스에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4개 이상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적응적으로 상기 감지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상기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면에 결합되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일렬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상기 감지 방향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 포트(data port) 또는 이어폰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고,
    상기 빔포머는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proces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 간에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 간에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상기 빔포머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무선 중계기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결합되는 착탈식 케이스 또는 착탈식 모듈의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단계;
    상기 집음된 음향 신호로부터 빔포밍을 이용하여 소정 방향의 잡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소정 방향의 음향이 선택적으로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송신기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된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가 집음한 주위 음향의 억제폭 또는 지향폭을 제어함으로써 방향성 잡음이 제거된 음향 신호 또는 음향이 강화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음향을 집음하는 단계는,
    상기 착탈식 케이스 또는 상기 착탈식 모듈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복수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잡음의 제거 또는 음향의 강화를 위해 상기 감지 방향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33169A 2011-11-17 2012-03-30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364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80 2011-11-17
KR20110119980 2011-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898A true KR20130054898A (ko) 2013-05-27
KR101364543B1 KR101364543B1 (ko) 2014-02-19

Family

ID=4866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169A KR101364543B1 (ko) 2011-11-17 2012-03-30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54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86B1 (ko) * 2011-08-10 2014-01-20 고어텍 인크 통신 이어폰의 음성보강 방법, 장치 및 노이즈저감 통신 이어폰
KR101626497B1 (ko) * 2015-01-08 2016-06-01 (주)에어사운드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392381B1 (en) 2015-02-16 2016-07-12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Hearing aid attached to mobile electronic device
WO2017026568A1 (ko) * 2015-08-13 2017-02-16 중소기업은행 음질 개선을 위한 방법 및 헤드셋
KR101709581B1 (ko) * 2015-09-18 2017-02-24 (주)건융아이비씨 청각장애인용 건물 내 방송수신 및 강의 수신 시스템
WO2017158507A1 (en) * 2016-03-16 2017-09-21 Radhear Ltd. Hearing aid
WO2017171137A1 (ko) * 2016-03-28 2017-10-05 삼성전자(주) 보청장치, 휴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47573A1 (ko) * 2017-02-13 2018-08-16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인이어 마이크와 아웃이어 마이크 수음특성을 이용한 소음 제거 이어셋 및 소음 제거 방법
US10567888B2 (en) 2018-02-08 2020-02-18 Nuance Hearing Ltd. Directional hearing aid
US11765522B2 (en) 2019-07-21 2023-09-19 Nuance Hearing Ltd. Speech-tracking listening device
US12028682B2 (en) 2022-08-03 2024-07-02 Sung Jae Cho Mobile hearing aid having foldable earphone and howling prevention circuit
US12081943B2 (en) 2019-10-16 2024-09-03 Nuance Hearing Ltd. Beamforming devices for hearing as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3294B2 (ja) * 1998-07-31 2008-10-08 株式会社東芝 雑音抑圧処理装置および雑音抑圧処理方法
KR100886861B1 (ko) * 2007-02-08 2009-03-04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보청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86B1 (ko) * 2011-08-10 2014-01-20 고어텍 인크 통신 이어폰의 음성보강 방법, 장치 및 노이즈저감 통신 이어폰
US9484042B2 (en) 2011-08-10 2016-11-01 Goertek Inc. Speech enhancing method, device for communication earphone and noise reducing communication earphone
KR101626497B1 (ko) * 2015-01-08 2016-06-01 (주)에어사운드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392381B1 (en) 2015-02-16 2016-07-12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Hearing aid attached to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648840B1 (ko) * 2015-02-16 2016-08-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전자장치에 결합된 보청기
WO2017026568A1 (ko) * 2015-08-13 2017-02-16 중소기업은행 음질 개선을 위한 방법 및 헤드셋
US9818423B2 (en) 2015-08-13 2017-11-14 Orfeo Soundworks Corporation Method of improving sound quality and headset thereof
KR101709581B1 (ko) * 2015-09-18 2017-02-24 (주)건융아이비씨 청각장애인용 건물 내 방송수신 및 강의 수신 시스템
US20170272867A1 (en) * 2016-03-16 2017-09-21 Radhear Ltd. Hearing aid
WO2017158507A1 (en) * 2016-03-16 2017-09-21 Radhear Ltd. Hearing aid
WO2017171137A1 (ko) * 2016-03-28 2017-10-05 삼성전자(주) 보청장치, 휴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47573A1 (ko) * 2017-02-13 2018-08-16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인이어 마이크와 아웃이어 마이크 수음특성을 이용한 소음 제거 이어셋 및 소음 제거 방법
US10567888B2 (en) 2018-02-08 2020-02-18 Nuance Hearing Ltd. Directional hearing aid
US11765522B2 (en) 2019-07-21 2023-09-19 Nuance Hearing Ltd. Speech-tracking listening device
US12081943B2 (en) 2019-10-16 2024-09-03 Nuance Hearing Ltd. Beamforming devices for hearing assistance
US12028682B2 (en) 2022-08-03 2024-07-02 Sung Jae Cho Mobile hearing aid having foldable earphone and howling preven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543B1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543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수신 장치 및 방법
US10431239B2 (en) Hearing system
EP3499915B1 (en) A hearing device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comprising a binaural noise reduction system
US10123134B2 (en)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binaural noise reduction
CN106231520B (zh) 对等联网听力系统
EP2717597B1 (en) Hearing device with brain-wave dependent audio processing
US9986346B2 (en) Binaural hearing system and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beamformer unit
EP3373603B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receiver of sound
US10070231B2 (en) Hearing device with input transducer and wireless receiver
US8285383B2 (en) Directional sound processing in a cochlear implant
EP3229489B1 (en) A hearing aid comprising a 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US10951995B2 (en)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and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US8705781B2 (en) Optimal spatial filtering in the presence of wind in a hearing prosthesis
EP4324392A2 (en) Spectro-temporal modulation detection tes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