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395A - 고효율 조명 - Google Patents

고효율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395A
KR20130054395A KR1020137008089A KR20137008089A KR20130054395A KR 20130054395 A KR20130054395 A KR 20130054395A KR 1020137008089 A KR1020137008089 A KR 1020137008089A KR 20137008089 A KR20137008089 A KR 20137008089A KR 20130054395 A KR20130054395 A KR 2013005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milliseconds
controller
spatial regions
cy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780B1 (ko
Inventor
에릭 씨 한나
존 엘 거스타프슨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5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는 광원, 프로세서, 및 광원에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30밀리초와 100밀리초 사이의 펄스 주기에서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 사이를 순환시키고 하나 이상의 사이클 동안 0과 30밀리초 사이의 쿼시 랜덤 시간에 의해 활성 상태의 타임 온셋을 지터링하는 로직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조명{HIGH EFFICIENCY ILLUMINATION}
본원에서 설명된 청구대상은 일반적으로 조명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고효율적인 조명을 발생시키는 고효율 광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로커 슐처 효과(Broca-Sulzer effect)는, 조명 소스가 최대 강도(full intensity)와 어둠 사이에서 펄싱(pulsed)될 때 객체의 감지된 밝기(perceived luminance)가 증가하는 광학적 및 생리학적 효과이다. 브로커 슐처는 약 50밀리초(milliseconds)의 펄스 주기에서 최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브로커 슐처 효과의 현실적 응용은 인간 생리(human physiology) 및 조명 기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다. 완벽하게 이해되지 않는 이유로, 브로커 슐처 효과는 관찰자에게 물리적 고통(physical pain) 및 방향 감각 상실(disorientation) 및 발작(seizures)도 야기한다. 생리적 한계 이외에, 통상적인 백열광원 또는 형광원은 어느 것도 브로커 슐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주파수에서의 상태 사이에서 용이하게 스위칭할 수 없다. 브로커 슐처 효과를 달성하도록 구성된 특수 조명 어셈블리는 상업적 용례에 대해 엄청나게 비싸다. 따라서, 브로커 슐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유용성을 발견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조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서의 작동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브로커 슐처 효과의 비선형성을 도시하는 그래픽이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브로커 슐처 효과에 적용된 보정 계수를 도시하는 그래픽이다.
도 4 및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고효율 조명을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더 구체적으로, 고효율적인 조명을 생성하기 위해 조명 시스템이 브로커 슐처 효과를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때의 시스템 및 방법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가 제시된다. 하지만, 다양한 실시예가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경우에, 특정 실시예를 불분명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방법, 공정, 컴포넌트, 및 회로는 자세하게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조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광원(a light source)(110) 및 프로젝터(a projector)(120)에 연결된 제어기(115)를 포함한다. 프로젝터(120)는 광원(115)으로부터의 광을 자극 영역(a stimulus region)(125)으로 투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원(110)은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방식으로, 광원(110)은 입력 전류에 응답하여 광 출력을 생성하는 LED의 어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광원(110)은 간섭성 광 출력(a coherent light output), 예를 들어, 레이저 출력, 또는 비간섭성 광 출력(an incoherent optical output)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의 조명을 자극 영역 상으로 지향시키는 하나 이상의 광학 어셈블리, 예를 들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젝터(120)는 감지에 있어서 수동적(passive)이 될 수 있고 광을 자극 영역(125) 상에 포커싱하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지만, 광원(110)으로부터 광 출력을 능동적으로 프로세싱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110)으로부터의 광 출력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작하기 위해 프로젝터(120)는 제어기(115)와 협업할 수 있다.
자극 영역(125)은 광원에 의한 조명에 적합한 스크린 또는 다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방식으로, 시스템(100)은 더 큰 이미지 프레젠테이션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 또는 디지털 프로젝터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자극 영역(125)은 프레젠테이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반드시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디자인되지는 않는 조명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자극 영역(125)은 시스템(100)에 의한 조명을 위한 공간 영역(a spatial region)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방식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비상 조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자극 영역(125)은 시스템(100)에 의해 조명되는 지리적 구역(a geographic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15)는 적합한 전기 및/또는 통신 접속부에 의해 광원(11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15)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제어기(115)는 광원(110)에 대해 두 가지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을 구현하는 지터 모듈(a jitter module)(116)을 포함한다. 제 1 기능은 광원(110)이 광을 방출하는 활성 상태와, 광원(110)이 광을 방출하지 않는 비활성 상태 사이에서 광원(110)을 순환시키는(cycle)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원이 순환되어서 광원(110)에 의해 방출된 광의 펄스는 30밀리초와 100밀리초 사이, 즉, 10Hz와 33.33Hz 사이의 주파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원은 20Hz로 순환되어서 광원(110)에 의해 방출된 광의 펄스는 약 50밀리초일 수 있다.
제 2 기능은 지터, 또는 반랜덤(semi-random) 시간 지연을 광원(110)의 조명 사이클의 온셋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0과 30밀리초 사이의 지터를 광원(110)에 대한 각 활성 상태의 온셋으로 도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터는 0과 19밀리초 사이의 시간이다. 예시의 방식으로, 제어기(115)는 0과 n 사이의 쿼시 랜덤 넘버(a quasi-random number)를 생성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지터 임계값의 상한을 나타낸다. 제어기(115)는 또한 쿼시 랜덤 넘버에 대응하는 시간 기간에 의해 활성 사이클의 온셋을 지연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15)는 또한 프로젝터(120)에 의한 조명 출력을 공간적으로 디더링(ditther)하는 로직을 구현하는 공간적 디더 모듈(a spatial dither module)(118)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간적 디더 모듈(118)은 자극 영역(125)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자극 영역(125)에서 복수의 공간적 영역의 각각을 위한 타임 오프셋을 독립적으로 지터링(jitter)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원(110)은 독립적으로 어드레스가능한 LED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간적 디더 모듈(118)은 복수의 서브어레이로 LED의 어레이를 세분화하기 위해 지터 모듈(116)과 협업하고, 서브어레이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지터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더 모듈(118)은 광원(110)으로부터의 출력을 다수의 블록으로 세분화하기 위해 프로젝터(120)와 협업하고, 블록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지터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터링될 서브어레이 또는 블록은 일정 크기 및 치수의 정의된 영역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어레이 또는 블록은 저돌출성(low-saliency) 특징이 되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 예시의 방식으로 저돌출성 특징은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각각의 원의 반지름 대 반전각(turning angle)을 모듈링하도록 랜덤하게 선택된 푸리에 항(fourier terms)을 갖는 원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a 및 b 항은 범위 {-1.0, +1.0}으로부터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고 n항은 {1 ... 10}으로부터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전체 r(θ) 함수에 대한 조정은 유한 오프셋을 사용하여 모든 r값을 비제로가 되게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반지름 r은 또한 수학식 2를 사용하여, 랜덤 크기 항과 곱해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함수 R(0,Log(50))은 0과 Log(50)의 범위 사이에서 랜덤 실수를 발생시킨다. 더 광범위하게, 함수 R(하한, 상한)는 하한과 상한 사이에서 랜덤 수를 발생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수학식 2의 스케일 함수는 자연 단위의 크기를 갖지 않는 변조된 원의 랜덤하게 스케일링된 버전을 초래한다. 제곱근 함수는 채움 구역(filled area)의 균등 분포(a uniform distribution)를 생성한다. 디더링 프로세서에서, 변조된 원과 같은 저돌출성 특징을 사용하는 것은, 인접 영역 사이의 경계를 사람의 눈에 덜 감지가능하게 끔 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10에서 자극 영역(125)은 적어도 하나의 공간적 영역, 또는 서브블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 210은 공간적 디더 모듈(11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자극 영역(125)이 하나 이상의 공간적 영역, 또는 서브블록으로 분할되었다면, 지터 모듈(116)은 구분 공간적 영역의 각각을 위한 지터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동작 215). 동작 220에서 지터 모듈은 광원(110)을 활성화하고, 동작 225에서 지터 모듈(116)은 광원(110)을 비활성화한다. 또한 제어가 다시 동작 215로 넘어가고 동작 215 내지 225는 전원이 시스템(100)에 공급되는 한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212 내지 225은 광원이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 사이에서 순환되고, 지터가 활성 상태의 타임 온셋으로 도입되는 루프(a loop)를 정의한다.
시스템(100)이 더 큰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으로 통합되는 상황에서, 브로커 슐처 효과가 광 자극의 강도에서 비선형인 사실에 대해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보정 계수(correction factors)를 적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그래픽 또는 비디오 프레임의 어두운 영역은 그래픽 또는 비디오 프레임의 더 밝은 영역보다 브로커 슐처 효과에 의해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을 것이다. 브로커 슐처 효과의 비선형성을 특성화하기(characterize) 위한 하나의 방법은 브로커 슐처 효과가 광의 인가된 럭스와 감지된 럭스 사이의 관련성을 왜곡시키는 감마 결함(a gamma defect)을 도입하는 것이다.
도 3(a)는 브로커 슐처 효과의 비선형성을 도시하는 그래픽이다. 곡선은 입력 럭스의 함수로서 감지된 럭스에 피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련성이 수학식 3에 의해 제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보정 계수는 브로커 슐처 효과의 비선형 양상을 보상하기 외해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의 각 픽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브로커 슐처 효과에 적용된 보정 계수를 도시하는 그래픽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0(완전 흑색)에서 975(순수 백색)까지의 범위로부터 0(완전 흑색)에서 170(순수 백색)까지의 스케일로 픽셀의 강도를 스케일링하도록 보정 계수가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컴퓨팅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400)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400)은 전자 디바이스(408)와, 스크린(404)을 갖는 디스플레이(402), 하나 이상의 스피커(406), 키보드(410), 하나 이상의 다른 I/O 디바이스(412), 및 마우스(41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수반 입력/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I/O 디바이스(412)는 터치 스크린, 음성 구동 입력 디바이스(a voice-activated input device), 트랙볼, 및 시스템(40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408)는 개인용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 이동 전화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408)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로서 구현될 수 있는, 메모리(430) 및 시스템 하드웨어(420)를 포함한다. 파일 저장부(480)는 컴퓨팅 디바이스(408)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파일 저장부(480)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DVD-ROM 드라이브, 또는 다른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408)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파일 저장부(480)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외부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크 부착 저장부(network attached storage), 또는 개별 저장 네트워크(separate storage network)와 같은, 컴퓨터(408)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 하드웨어(4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22), 적어도 두 개의 그래픽 프로세서(42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6), 및 프로젝터 어셈블리(4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22)는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 인텔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한 Intel® Core2 Duo®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마이크로프로세서, RISC(reduced instruction set) 마이크로프로세서,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회로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계산 구성 요소를 의미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래픽 프로세서(424)는 그래픽 및/또는 비디오 동작을 관리하는 부속 프로세서(adjunct process)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424)는 컴퓨팅 시스템(400)의 마더보드 상으로 집적될 수 있거나 마더보드 상에서 확장 슬롯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26)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3-2002 참조)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IEEE 802.11a, b 또는 g 호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LAN/MAN 시스템 사이의 정보 교환 및 IT 통신에 대한 IEEE 표준 파트Ⅱ: 무선 LAN MAC 및 PHY 상세 보정 4: Further Higher Data Rate Extension in the 2.4GHz Band에 관한 802.11G-2003 참조)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시는 GPRS(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2002년 12월, 3.0.1 버전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협회의 GPRS 핸드셋 필요조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참조)가 될 것이다.
메모리(430)는 컴퓨팅 디바이스(408)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운영 시스템(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영 시스템(440)은 인터페이스를 시스템 하드웨어(420)로 제공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모듈(454)을 포함한다. 또한, 운영 시스템(440)은 컴퓨팅 디바이스(408)의 동작에서 사용되는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450) 및 컴퓨팅 디바이스(408)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제어 서브시스템(452)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440)은 원격 소스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및/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송수신하기 위해 시스템 하드웨어(42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또는 관리)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440)은 메모리(430)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과 운영 시스템(44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호출 인터페이스 모듈(4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440)은 UNIX 운영 시스템 또는 이들의 임의의 파생물(예를 들어, 리눅스, 솔라리스 등) 또는 윈도우® 브랜드 운영 시스템, 또는 다른 운영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408)는 도 2 및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젝터 어셈블리(428)와 협업하는 조명 모듈(46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460)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422) 상에서 실행가능한 로직 명령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조명 모듈(460)은 구성가능한 회로, 예를 들어, FPGA(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 인코딩되는 로직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ASIC(a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회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더 큰 집적 회로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500)의 개략도이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컴퓨팅 디바이스(502) 및 전원 어댑터(504)(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502)로 전원을 공급)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502)는 랩탑(또는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 데스크탑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워크스테이션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랙 마운팅된 컴퓨팅 디바이스(a rack-mounted computing device),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컴퓨팅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다음의 소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 전원 공급(506)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502)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파워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 교류(AC) 아웃렛(예를 들어, 변환기 및/또는 전원 어댑터(504)와 같은 어댑터를 통해), 자동차 전원 공급기, 비행기 전원 공급기 및 이와 유사한 것.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 어댑터(504)는 전원 공급 소스 출력(예를 들어, 약 110VAC 내지 240VAC의 AC 아웃렛 전압)을 약 4VDC 내지 12.6VDC 사이의 범위의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어댑터(504)는 AC/DC 어댑터가 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502)는 또한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it)(50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CPU(508)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의 Intel®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Pentium®Ⅱ 패밀리, Pentium®Ⅱ 프로세서, Pentium®Ⅳ, 또는 CORE2 Duo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Pentium® 프로세서 패밀리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CPU는 인텔의 Itanium®, XEON™, 및 Celeron® 프로세서와 같은 다른 CPU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제조사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단일 또는 다중 코어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칩셋(512)은 CPU(508)에 연결, 또는 집적될 수 있다. 칩셋(512)은 메모리 제어 허브(MCH)(514)를 포함할 수 있다. MCH(514)는 메인 시스템 메모리(518)에 연결되는 메모리 제어기(5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 메모리(518)는 CPU(508), 또는 시스템(500)에 포함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의 시퀀스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시스템 메모리(518)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하지만, 메인 시스템 메모리(518)는 동적 RAM(DRAM), 동기식 (Synchronous) DRAM(SDRAM)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메모리 타입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CPU 및/또는 다수의 시스템 메모리와 같은, 추가적인 디바이스는 버스(510)에 연결될 수 있다.
MCH(514)는 그래픽 가속기(522)에 연결된 그래픽 인터페이스(52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래픽 인터페이스(520)는 AGP(an accelerated graphic port)를 통해 그래픽 가속기(522)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540)는, 예를 들어, 비디오 메모리 또는 시스템 메모리와 같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의 디지털 표현을 디스플레이에 의해 해석되고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기를 통과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520)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디스플레이(540) 신호는 해석되고 이어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이전에 다양한 제어 디바이스를 통과할 수 있다.
허브 인터페이스(524)는 MCH(514)를 플랫폼 제어 허브(a platform control hub;PCH)(526)에 연결한다. PCH(526)는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시스템(500)에 연결된 입력/출력(I/O)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PCH(526)는 주변 컴포넌트 상호접속부(a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PCI)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PCH(526)는 PCI 버스(530)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CI 브릿지(528)를 포함한다. PCI 브릿지(528)는 CPU(508)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의 Intel® Corporation을 통해 입수가능한, PCI Express™ 아키텍쳐와 같은 다른 타입의 I/O 상호접속 토폴로지가 활용될 수 있다.
PCI 버스(530)는 오디오 디바이스(532) 및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534)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가 PCI 버스(5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CPU(508) 및 MCH(514)는 단일 칩을 형성하도록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가속기(522)는 다른 실시예에서 MCH(514)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PCH(526)에 연결된 다른 주변부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집적 드라이브 전자장치(integrated drive electronics;IDE) 또는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SCSI) 하드 드라이브(들),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들), 키보드, 마우스, 병렬 포트(들), 직렬 포트(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들), 디지털 출력 지원(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DVI))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502)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지칭되는 "로직 명령"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로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머신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표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로직 명령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객체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컴파일러에 의해 해석가능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머신 판독가능 명령의 예시이고 실시예는 이 관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지칭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머신에 의해 인지가능한 표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광학, 자기 또는 반도체 저장 매체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시이고 실시예는 이 관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지칭되는 "로직"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로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로직은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디지털 입력을 수신하고 디지털 출력을 제공하는 유한 상태 머신(a finite state machine), 또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ASIC(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로직은 머신 판독가능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와 함께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머신 판독가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단지 로직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예시이고 실시예는 이 관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의 일부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로직 명령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때, 로직 명령은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는 특수 용도 머신으로서 프로세서가 프로그램되도록 한다. 프로세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는 로직 명령에 의해 구성될 때,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구성한다. 대안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예를 들어, FPGA, ASIC 및 이와 유사한 것 상의 로직으로 축소될 수 있다.
설명 및 청구항에서, 연결됨 및 접속됨이라는 용어가 이들의 파생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접속됨은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직접적인 물리적 또는 전기적 접촉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연결됨은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직접적인 물리적 전기적 접촉 상태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연결됨은 또한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직접적인 접촉 상태가 아니더라도, 여전히 서로 협업 또는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 또는 "일부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된 특정 피처,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구현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다양한 위치에서 "일 실시예에서"라는 구절의 출현은 모두가 동일 실시예를 지칭할 수도 있고 지칭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는 구조적 피처 및/또는 방법론적인 동작에 대해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청구대상이 설명된 특정 피처 또는 동작에 제한될 수 없음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특정 피처 및 동작은 청구된 청구대상을 구현하는 것의 예시적인 형식으로서 개시된다.

Claims (18)

  1.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원을 30 밀리초(milliseconds)와 100 밀리초 사이의 펄스 주기(a pulse duration)로 활성 상태(an active state)와 비활성 상태(an inactive stae) 사이에서 순환시키고(cycle), 하나 이상의 사이클 동안 0과 30 밀리초 사이의 쿼시 랜덤 시간(a quasi-random time)에 의해 상기 활성 상태의 타임 온셋(a time onset)을 지터링하는(jitter) 로직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스템으로부터의 광을 자극 영역(a stimulus region) 상으로 투사하는 프로젝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공간적 영역으로 자극 영역을 세분화하고(subdivide), 하나 이상의 사이클 동안 0과 30 밀리초 사이의 쿼시 랜덤 시간에 의해 다수의 공간적 영역의 타임 오프셋을 독립적으로 지터링하는 로직을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적 영역은 복수의 오버래핑 형상(overlapping shape)을 정의하는
    조명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자극 영역 상으로의 투사를 위한 동화상(a moving image)을 생성하도록 작동가능한
    조명 시스템.
  7. 프로세서와,
    광원과,
    상기 광원에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광원을 30 밀리초와 100 밀리초 사이의 펄스 주기로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 사이에서 순환시키고, 하나 이상의 사이클 동안 0과 30 밀리초 사이의 쿼시 랜덤 시간에 의해 상기 활성 상태의 타임 온셋을 지터링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자극 영역 상으로 투사하는 프로젝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공간적 영역으로 자극 영역을 세분화하고, 하나 이상의 사이클 동안 0과 30 밀리초 사이의 쿼시 랜덤 시간에 의해 다수의 공간적 영역의 타임 오프셋을 독립적으로 지터링하는 로직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적 영역은 복수의 오버래핑 형상을 정의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자극 영역 상으로의 투사를 위한 동화상을 생성하도록 작동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13. 광원을 30 밀리초와 100 밀리초 사이의 펄스 주기로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사이클 동안 0과 30 밀리초 사이의 쿼시 랜덤 시간에 의해 상기 활성 상태의 타임 온셋을 지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광을 자극 영역 상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적 영역으로 상기 자극 영역을 세분화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사이클 동안 0과 30 밀리초 사이의 쿼시 랜덤 시간에 의해 다수의 공간적 영역의 타임 오프셋을 독립적으로 지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적 영역은 복수의 오버래핑 형상을 정의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자극 영역 상으로의 투사를 위한 동화상을 생성하는
    방법.
KR1020137008089A 2010-09-24 2011-09-24 고효율 조명 KR101608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90,180 US20120075596A1 (en) 2010-09-24 2010-09-24 High efficiency illumination
US12/890,180 2010-09-24
PCT/US2011/053158 WO2012040668A2 (en) 2010-09-24 2011-09-24 High efficiency illu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395A true KR20130054395A (ko) 2013-05-24
KR101608780B1 KR101608780B1 (ko) 2016-04-04

Family

ID=4587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089A KR101608780B1 (ko) 2010-09-24 2011-09-24 고효율 조명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75596A1 (ko)
KR (1) KR101608780B1 (ko)
DE (1) DE112011103214B4 (ko)
TW (1) TWI455649B (ko)
WO (1) WO20120406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8371B (zh) * 2016-06-20 2017-09-15 福州台江区超人电子有限公司 家居免布线的led灯饰控制器
TWI604752B (zh) * 2017-01-04 2017-11-01 茂達電子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裝置以及調光訊號配置方法
EP3593484B1 (en) * 2017-03-08 2022-10-12 Robert Bosch GmbH Methods to mitigate timing based attacks on key agreement schemes over controller area network
CN112672464B (zh) * 2020-12-29 2021-11-09 深圳市爱图仕影像器材有限公司 一种灯具的灯光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12713A (en) * 2003-09-16 2005-04-01 Beyond Innovation Tech Co Ltd PWM illumination control circuit with low visual noise
KR20060065731A (ko) * 2003-09-22 2006-06-14 진 돌고프 전방향 렌티큘라와 배리어-그리드 영상 디스플레이 및 그제조방법
CA2601731C (en) * 2005-04-08 2012-03-27 Wart Hog Ii Holdings B.V.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groups of high-power leds
US7720654B2 (en) * 2005-10-15 2010-05-18 Micron Technology, Inc. Generation and manipulation of realistic signals for circuit and system verification
KR100790698B1 (ko) * 2006-04-19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US7586271B2 (en) * 2006-04-28 2009-09-08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Efficient lighting
US20080315776A1 (en) 2007-06-22 2008-12-25 Renato Martinez Openiano Traffic signal lights showing dynamic patterns, particularly as are interposed on continuous illumination
KR101328960B1 (ko) * 2007-11-05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
DE102008008181A1 (de) 2008-02-08 2009-08-13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EP2276974A4 (en) 2008-04-14 2012-03-28 Catholic Healthcare West METHOD FOR VISUALIZING A SU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3214T5 (de) 2013-07-18
WO2012040668A3 (en) 2012-06-07
DE112011103214B4 (de) 2019-01-31
TW201230872A (en) 2012-07-16
WO2012040668A2 (en) 2012-03-29
TWI455649B (zh) 2014-10-01
KR101608780B1 (ko) 2016-04-04
US20120075596A1 (en)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385B1 (ko) 디스플레이를 위한 백라이트 시스템
US7348957B2 (en) Real-time dynamic design of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power management through brightness control
US1020459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08780B1 (ko) 고효율 조명
EP2658264B1 (en) Projector
US20100091050A1 (en) Hierarchical Multicolor Primaries Temporal Multiplexing System
JP2016517533A (ja) コンテンツ適応lcdバックライト制御
JP2016507998A (ja)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のコンテンツ適応電力管理
CN108766364B (zh) 图像显示处理方法及装置、显示装置及存储介质
JP2016004099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CN113015286A (zh) Pwm调光方法及装置
KR20130128311A (ko) 2 가지 프레시 레이트를 가지는 펄스 폭 변조 회로 및 펄스 폭 변조 신호 생성 방법
US9911386B2 (en) Efficient luminous display
CN103309132B (zh) 全息投影照明系统
JP2018029028A (ja) 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7001994B2 (ja) 制御装置、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0724590B1 (ko) 실시간 엘이디 멀티미디어 장치
KR20200138463A (ko) 상용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이용한 led 조명 제어 장치
US201900806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Uniformity,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heng et al. Temporal vision-guided energy minimization for portable displays
US10825406B2 (en) LCD display backlight control system
CN114582292A (zh) 液晶显示器以及控制液晶面板和背光面板的设备和方法
US20190139499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power control device for backlight source of display device
US9351375B2 (en) Adaptive lighting system with low energy consumption
Sharakshané et al. Actual values of light flicker created by various modern light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