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891A -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891A
KR20130053891A KR1020110119593A KR20110119593A KR20130053891A KR 20130053891 A KR20130053891 A KR 20130053891A KR 1020110119593 A KR1020110119593 A KR 1020110119593A KR 20110119593 A KR20110119593 A KR 20110119593A KR 20130053891 A KR20130053891 A KR 2013005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dividual
user
computing system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소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소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소빈
Priority to KR102011011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891A/ko
Publication of KR2013005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다수의 유저가 사용하도록 하되,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다른 유저의 입력장치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수의 유저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저장장치, 비디오 장치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되는 개인단말로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사용자 관리 모듈에 의해 각각의 개인단말에 본체의 자원을 할당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본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cloud green computing system}
본 발명은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다수의 유저가 사용하도록 하되,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다른 유저의 입력장치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수의 유저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은 CPU,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컴파일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비디오 게임, 비즈니스 프로그램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로 구성된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은 서버와 같은 처리능력이 빠른 대용량의 본체에 다수의 유저가 접속하여 사용하는 시스템과 서버에 비하여 처리능력이 떨어져 하나의 본체를 하나의 유저만 사용하는 개인용 시스템이 있다.
그런데, 요즘에는 개인용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의 성능이 향상되어 개인이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때, 대체로 본체 성능의 20% 정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11-0032907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유저별로 할당된 허브를 통해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된 복수의 유저에게 멀티 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 유저 서비스 장치(200)로서, 유저별로 세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세션 관리부(220) 및 상기 세션이 연결된 유저별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관리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자원 관리부(230)는 상기 허브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별로 자원을 할당하며, 세션이 연결된 유저별로 저장 공간을 할당하는 스토리지 관리부(250)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토리지 관리부(250)는 유저에게 할당된 파티션이나 드라이브, 또는 허브에 삽입된 이동식 저장 장치의 드라이브가 다른 유저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표시 처리부(2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0-2011-0032907호에 기재된 기술은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 본체에 다수의 유저가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낭비되는 시스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하나의 본체에 접속된 다수의 유저 중 하나의 유저가 은행 업무나 온라인 게임과 같은 보안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경우, 은행의 보안 프로그램과 게임사의 보안 프로그램에 의해 다른 유저들의 입력 시스템인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컴퓨터 본체에 사용자 관리 모듈을 형성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한명의 유저가 은행 업무나 온라인 게임과 같은 보안이 요구되는 작업을 할 때, 해당 유저는 별도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rating system)을 구동시켜 보안 프로그램에 의해 다른 유저의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등)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관리 모듈에 의해 하나의 컴퓨터 본체의 자원을 다수의 유저가 사용하도록 하되, 많은 자원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각 사용자가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만 실행시키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저장장치, 비디오 장치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각각의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에 접속하는 다수의 개별 사용자로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사용자 관리 모듈에 의해 각각의 개별 사용자에게 개별영역을 할당하고, 본체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하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부팅하여 다수의 개별 사용자가 각각 개별 영역을 할당 받아 사용하거나, 상기 개별 사용자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상기 개별영역에서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은 사용자가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시키게 되면,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기존에 개별 사용자가 사용하던 자원을 승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개별 사용자가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종료할 경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사용하던 자원을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사용하던 개별 사용자가 승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별 사용자는 입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개인 단말기를 통하여 본체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은 각각의 개인 단말기에 부여된 아이디에 의해 각 자원을 할당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신호 증폭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컴퓨터 본체에 사용자 관리 모듈을 형성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한명의 유저가 은행 업무나 온라인 게임과 같은 보안이 요구되는 작업을 할 때, 해당 유저는 별도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rating system)을 구동시켜 보안 프로그램에 의해 다른 유저의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 등)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 관리 모듈에 의해 하나의 컴퓨터 본체의 자원을 다수의 유저가 사용하도록 하되, 많은 자원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rating system)은 각 사용자가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만 실행시키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컴퓨터 본체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함으로써, 각각 컴퓨터를 본체를 구비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본체의 수를 줄여주게 되어 다수의 본체가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유저 서비스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멀티유저 서비스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시킨 상태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의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시킨 상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본체(300)를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300)와 각각의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300)에 연결되는 다수의 개별 사용자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별 사용자는 후술할 별도의 개인단말(400)에 입출력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본체(300)에 연결할 수도 있고, 각각의 입출력 장치를 상기 본체(300)에 직접 연결하여 다수의 개별 사용자가 본체(300)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0)에는 메인 연산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31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31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거나,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320)와 개인 사용자의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저장장치(340)와 중앙 처리 장치(310)에서 처리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장치(330)와 중앙 처리 장치(310)에서 처리한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장치(3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인단말(400)에는 입출력 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본체(300)의 비디오 장치(3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모니터(410)와 상기 오디오 장치(3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440)와 여러 가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420)와 마우스(4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300)에는 개인단말(400)로 보내는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신호 증폭장치(36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신호 증폭장치(360)는 본체(300)의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개인단말(400)를 보다 먼 곳에 위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개인단말(400)을 본체(300)의 주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본체(3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치들을 원활하게 제어하기 위한 메인 오퍼레이팅 시스템(oprating system, OS, 60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오퍼레이팅 시스템(600)에는 사용자 관리 모듈(500)이 설치되어, 본체(300)에 설치된 각 부품 및 장치를 상기 개인단말(400)을 통하여 개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오퍼레이팅 시스템(600)은 다양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리눅스 시리즈나 윈도우 시리즈 등 개별 사용자에게 특화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500)과 다수의 개인단말(400)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본체(30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다수의 사용자는 본체(300)를 개인 컴퓨터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500)은 각각의 개인단말(400)에 부여된 개별 아이디를 인식하여, 각 개인단말(400)마다 일정의 개별 영역(510)을 할당하고, 본체(300)에 설치된 자원인 저장장치(340), 비디오 장치(330) 및 오디오 장치(350)를 할당하며, 중앙 처리 장치(310)와 메모리(320)는 시분할 방식이나 다른 프로세서 분할 알고리즘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본체(300)를 개인 컴퓨터처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300)의 자원 중에서 비디오 장치(330)와 오디오 장치(350)는 다수가 설치되어 사용자 관리 모듈(500)을 통하여 각 개인 사용자에게 할당되게 된다.
물론, 하나의 비디오 장치(330)와 오디오 장치(350)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같이 사용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그렇게 되면, 하나의 장치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스템의 전체 속도가 저하되게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장치(330)와 오디오 장치(350)는 사용자의 수만큼 설치하여 사용자마다 각각 하나씩 할당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장치(350)는 본체(300)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개인단말(400)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개인단말(400)에 설치하게 되면, 본체(300)의 부하를 줄여주어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하나의 본체(300)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의 자원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줄어든 컴퓨터 시스템의 갯 수만큼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장치(340)는 각각의 사용자별로 일정 공간을 영구적으로 할당하여 다른 사용자가 해당 공간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개인적인 데이터나, 보안을 요하는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300)에 연결할 수 있는 개인단말(400)의 갯 수는 상기 본체(300)를 구성하는 장치들의 성능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장치들의 성능이 떨어지면 2개 3개 정도만 설치할 수 있고, 장치들의 성능이 좋을 경우에는 4개 이상을 설치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개별 사용자는 컴퓨터를 통하여 문서 작업, 프로그래밍 작업, 그래픽 작업 등의 외부 네트워크(인터넷 등)와의 보안도가 낮은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은행 업무나 온라인 게임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인터넷 등)와 직접 연결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이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특별한 보안 프로그램이 작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300)에 설치된 하나의 메인 오퍼레이팅 시스템(600)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되어 사용되게 되므로, 상기 보안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보안을 위하여 보안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한 사용자가 전술한 특수한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시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개별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실행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실행 시키게 되면, 해당 개인단말(400)의 아이디로 할당된 자원을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이 승계하여 완전한 별개의 시스템처럼 작동하게 된다.
즉, 메인 오퍼레이팅 시스템(600)에 설치된 사용자 관리 모듈(500)에 의해 할당된 개별 영역(510)에서,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으로 실행시켜, 메인 오퍼레이팅 시스템(600)과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작동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보안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되면,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과는 완전히 별개의 시스템으로 인식하게 되어, 다른 사용자의 입력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모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개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개별 사용자가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사용하게 되면, 전술한 보안 프로그램의 문제뿐만 아니라, 하나의 본체(300)를 다수의 개별 사용자가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다른 문제들까지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하나의 사용자만이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실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수한 보안 프로그램이 필요한 작업을 종료하게 되면, 상기 보안 프로그램도 종료하게 되므로, 더 이상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이 사용하던 자원을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과 연결되어 사용하던 개인단말(400)이 승계하게 되고,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이 사용하던 본체(300)의 메모리(320)와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에 의해 사용되던 중앙 처리 장치(310)도 환원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300)의 여유 메모리(320)가 늘어나게 되고, 다른 사용자가 중앙 처리 장치(310)를 사용할 수 있는 할당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컴퓨팅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의 자원[중앙 처리 장치(310)의 사용율과 메모리(320)]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지만, 다른 사용자들이 보안 프로그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모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작업을 종료하게 되면, 즉시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610)을 종료하여 시스템의 자원을 환원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다수의 유저가 사용하도록 하되,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다른 유저의 입력장치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수의 유저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00 : 본체 310 : 중앙 처리 장치(CPU)
320 : 메모리 330 : 비디오 장치
340 : 저장장치 350 : 오디오 장치
360 : 신호 증폭 장치 400 : 개인단말
410 : 모니터 420 : 키보드
430 : 마우스 440 : 스피커
500 : 사용자 관리 모듈 510 : 개별 영역
600 : 메인 오퍼레이팅 시스템 610 :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

Claims (7)

  1.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저장장치, 비디오 장치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각각의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에 접속하는 다수의 개별 사용자로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사용자 관리 모듈에 의해 각각의 개별 사용자에게 개별영역을 할당하고, 본체의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하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부팅하여 다수의 개별 사용자가 각각 개별 영역을 할당 받아 사용하거나,
    상기 개별 사용자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상기 개별영역에서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은 사용자가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시키게 되면,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기존에 개별 사용자가 사용하던 자원을 승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개별 사용자가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종료할 경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사용하던 자원을 상기 개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사용하던 개별 사용자가 승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용자는 입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개인 단말기를 통하여 본체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은 각각의 개인 단말기에 부여된 아이디에 의해 각 자원을 할당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신호 증폭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KR1020110119593A 2011-11-16 2011-11-16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KR20130053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593A KR20130053891A (ko) 2011-11-16 2011-11-16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593A KR20130053891A (ko) 2011-11-16 2011-11-16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891A true KR20130053891A (ko) 2013-05-24

Family

ID=4866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593A KR20130053891A (ko) 2011-11-16 2011-11-16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8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388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엠에스피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컴퓨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388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엠에스피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컴퓨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9805C2 (ru) Виртуальная архитектура неоднородной памяти для виртуальных машин
KR101422861B1 (ko) 컴퓨팅 장치 및 컴퓨팅 장치 상에서 가상 머신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8387060B2 (en) Virtual machine resource allocation group policy based on workload profile, application utilization and resource utilization
US201103144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workload distributing and processing across a network of replicated virtual machines
US20140373010A1 (en) Intelligent resource management for virtual machines
JP2013518330A (ja) 非機能要件に基づく仮想マシンの配置の抽象化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80067674A1 (en) Memory management in virtualized computing
KR20070100367A (ko) 하나의 가상 머신에서 다른 가상 머신으로 메모리를동적으로 재할당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003713B (zh) 用于电力管理的逻辑分区的事件驱动的方法和系统
EP2375324A2 (en) Virtualiz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transactional input/output interface
US20130054861A1 (en) Pessimistic interrupt affinity for devices
US20130054860A1 (en) Optimistic interrupt affinity for devices
US2007028891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 managed runtime environment in a sequestered partition
CN103049328A (zh) 计算机系统中内存资源分配方法
Han et al. Energy efficient VM scheduling for big data processing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9471368B2 (en) Sharing resources allocated to an entitled virtual machine
Galante et al. A programming-level approach for elasticizing parallel scientific applications
US20120240111A1 (en)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virtual machine, comput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machine
US8977752B2 (en) Event-based dynamic resource provisioning
US20140237017A1 (en) Extending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to legacy programs
KR101640231B1 (ko) 자동 분산병렬 처리 하둡 시스템의 지원을 위한 클라우드 구동 방법
CN105677481A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Alam et al. An NBDMMM algorithm based framework for allocation of resources in cloud
US8589551B2 (en) Multiprocessor computer and network computing system processing use and provision of hardware resource via a network
KR20130053891A (ko) 클라우드 그린 컴퓨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