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783A -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783A
KR20130053783A KR1020110119422A KR20110119422A KR20130053783A KR 20130053783 A KR20130053783 A KR 20130053783A KR 1020110119422 A KR1020110119422 A KR 1020110119422A KR 20110119422 A KR20110119422 A KR 20110119422A KR 20130053783 A KR20130053783 A KR 20130053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head
camera module
fa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선
조범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783A/ko
Publication of KR2013005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개시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부;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경고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A CAMERA MODULE FOR DETECTING A DRIVER'S STAT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차의 동력 성능에 대한 소비자 만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편의 그리고 안전을 위한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써 주차 보조를 위한 전/후/좌/우측 카메라와 자동차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통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자동차의 안전을 위한 장치로서, 차선 이탈 경보 장치나 앞차와의 간격을 감지하는 장치 등이 서서히 보급되고 있으며, 여기에 더불어 운전자의 졸음 운전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운전자가 정상적인 운전을 하지 못하므로써 발생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운전자 상태 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시말하면, 운전자가 졸고 있거나, 갑작스러운 신체 상태의 변화로 운전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주위의 주행 중인 차량에게 경고하여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 또는 감지하여 이를 경고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부;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경고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의 상태는 정상 상태, 졸음 상태, 또는 이상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눈깜박임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깜박임과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제 1 영역에 속하면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졸음 상태로 인지되고,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제 2 영역에 속하면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인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인지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경고알람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경고알람부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수단을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해당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판단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었는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었으면 녹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잘못되었으면 적색으로 표시하기 위한 LED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부는 적어도 두 개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LED 램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의 좌우 이동을 위한 램프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의 상하 이동을 위한 램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올바른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상태 인식을 위한 카메라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상태 인식을 위한 카메라 모듈(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머리, 특히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도록 설계된다.
카메라 모듈(100)은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10);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일련의 영상처리를 통해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 또는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부(120);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경고알람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차량 내의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을 촬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운전자의 머리 중에서 얼굴을 촬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된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관한 이미지는 프로세서부(120)로 전달되어 후술할 운전자의 상태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일반적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10)는 야간의 촬영을 위해 적외선 LED와 적외선 필터를 구비하여, 야간시에도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카메라부(110)로부터 촬영된 운전자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해 영상처리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로부터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려 한다. 예컨대, 상기 운전자의 상태는 정상 상태, 졸음 상태, 또는 이상 상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정상 상태란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을 하고 있는 일반적인 상태를 의미하고, 졸음 상태란 운전자가 졸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상 상태란 상기 정상 상태와 상기 졸음 상태가 아닌, 비정상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프로세서부(120)는 카메라부(110)로부터의 획득된 이미지를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에서, 프로세서부(120)는 운전자가 눈을 깜박이거나, 머리를 꾸벅이거나 또는 머리를 숙인 채로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이미지에서 운전자의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로부터 운전자의 눈깜박임을 검출할 수 있다. 사람의 특성에 따라 눈깜박이는 빈도나 정도는 변동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운전자가 졸고 있다면, 운전자의 눈깜박임의 빈도와 눈을 감은 상태의 지속 기간이 정상 상태와 달리 빈번하거나 길것이므로, 눈깜박임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이미지에서 운전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운전자가 졸고 있다면, 운전자의 머리가 정상 상태와 달리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것이므로, 머리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영상 처리를 통해 획득한 운전자의 눈깜박임과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한 운전자의 상태 판단은 도 2 내지 3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상기 운전자 또는 상기 운전자의 차량 주변의 다른 운전자에게 위해를 미칠 수 있는 정도라고 판단되면, 예컨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졸음 상태이거나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알람부(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경고알람부(130)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경고알람부(130)를 활성화시켜 청각적 신호, 시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등을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경고알람부(130)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수단을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해당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판단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부(120)에 의해 운전자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알람부(130)가 경고광(light)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고알람부(130)는 조명장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0)에 의해 운전자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알람부(130)는 경고음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고알람부(130)는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0)는 경고알람부(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 모듈 등으로 상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카메라모듈(100)과 외부의 다른 장치, 모듈 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프로세서부(12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된 차량의 다른 장치, 모듈 등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된 차량의 제어부(예컨대, ECU, MCU 등)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제동 장치 또는 전조등 등을 제어하도록 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부(120)에 의해 운전자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부(120)는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된 차량의 제어부로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제동 장치를 동작하여 차량을 감속시키거나, 후방 전조등 또는 비상등을 턴온(turn-on) 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차량의 다른 장치 또는 모듈 등을 제어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00)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거나 표시하기 위한 LED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차량 내부, 예컨대 계기판에 설치될 수 있거나, 별도의 독립적인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차량의 운전석 시트의 세팅 등으로 인해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를 통해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을 제대로 촬영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라도, 카메라모듈의 카메라가 운전자 자신을 제대로 촬영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은 상기 카메라모듈(100)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여부, 다시 말하면 상기 카메라모듈이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 영상을 정상적으로 촬영하고 있는지를 상기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LED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이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 영상을 정상적으로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의 결정은 프로세서부(120)의 영상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 과정에 대한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카메라모듈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LED부(140)는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여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었으면 LED부(140)는 녹색을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잘못되었으면 LED부(140)는 적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LED부(140)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어떻게 재설치되어야 하는지를 알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 또는 촬영 각도를 어떻게 조절해야하는지, 예컨대 간단하게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알릴 수 있다.
따라서, LED부(140)는 적어도 두 개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하나의 LED 램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의 좌우 이동을 알리기 위한 램프로서 이용되고 나머지 하나의 LED 램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의 상하 이동을 알리기 위한 램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카메라부(11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200)로부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이미지(200) 상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영역(A)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200)로부터 검출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상기 영역(A)에 해당하면, 프로세서부(120)는 카메라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도 2의 (a)의 경우). 그러나, 상기 이미지(200)로부터 검출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상기 영역(A)을 벗어나 있으면, 프로세서부(120)는 카메라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었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부(120)는 LED부(140)가 녹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카메라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부(120)는 LED부(140)가 적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LED부(140)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의 재설치 또는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부(120)가 이미지(200) 상에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영역(A)를 기준으로 좌측에 있다고 판단했다면(도 2의 (b)의 경우), 카메라모듈이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해야하므로, 프로세서부(120)는 LED부(140)의 제 1 LED램프가 적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0)가 이미지(200) 상에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영역(A)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있다고 판단했다면(도 2의 (c)의 경우), 카메라모듈이 운전자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해야하므로, 프로세서부(120)는 LED부(140)의 제 2 LED램프가 적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LED부(140)는 카메라모듈의 설치 위치가 올바르게 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도록 하여, 운전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모듈의 위치, 촬영 방향 또는 촬영 각도 등을 조절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프로세서부(120)는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300)로부터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운전자의 눈깜박임과 머리 움직임을 판단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근거를 사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이미지(300)로부터 운전자의 눈깜박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이는 일련의 영상처리 기법을 통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한다. 다만, 단순히 눈깜박임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각 운전자의 특성에 따른 눈깜박임 데이터를 정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운전자마다 눈깜박이는 정도, 빈도 등이 상이할 것이므로, 각 운전자의 눈깜박임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별도의 저장수단(미도시)에 저장해놓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20)는 운전자의 머리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 이미지(300) 상에 복수 개의 영역, 적어도 2개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적어도 2개의 영역(B 및 C)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 1 영역(B)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영역(B)은 카메라모듈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도 2의 영역(A)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300)로부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제 1 영역(B)에 속하면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졸음 상태로 인지되고,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제 2 영역(C)에 속하면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인지될 수 있다.
상기 영역의 개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이 구현되는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 개로 분할된 영역의 상대적인 크기는 각 운전자별로 상이할 수 있고, 이 또한 저장수단(미도시)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운전자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실시예들은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인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수정 등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110: 카메라부 120: 프로세서부
130: 경고알람부 140: LED부
150: 인터페이스부

Claims (10)

  1.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부;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경고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는 정상 상태, 졸음 상태, 또는 이상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눈깜박임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깜박임과 상기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제 1 영역에 속하면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졸음 상태로 인지되고, 상기 촬영된 운전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제 2 영역에 속하면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인지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인지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경고알람부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알람부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수단을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해당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판단의 결과를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얼굴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었는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올바르게 되었으면 녹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잘못되었으면 적색으로 표시하기 위한 LED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ED부는 적어도 두 개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LED 램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의 좌우 이동을 위한 램프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의 상하 이동을 위한 램프인, 카메라 모듈.
KR1020110119422A 2011-11-16 2011-11-16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 KR20130053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22A KR20130053783A (ko) 2011-11-16 2011-11-16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22A KR20130053783A (ko) 2011-11-16 2011-11-16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83A true KR20130053783A (ko) 2013-05-24

Family

ID=4866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422A KR20130053783A (ko) 2011-11-16 2011-11-16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20A1 (ko) *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피엘케이테크놀로지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선 이탈 경보 판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20A1 (ko) *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피엘케이테크놀로지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선 이탈 경보 판단 방법
KR20210004302A (ko) * 2019-07-04 2021-01-13 (주)에이아이매틱스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선 이탈 경보 판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70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JP3390289B2 (ja) 警報装置
CN108859961A (zh) 用于自动驾驶的环绕摄像系统
AU20122180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driver behavior
US20190367038A1 (en) Driver monitoring device
WO2014149657A1 (en) Coordinated vehicle respons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behavior
TWI545041B (zh) 車用監測暨警示系統
CN104972967A (zh) 基于响应时间学习来调整车辆警示
JP2009244959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
JP6790440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5108033A (ja) 運転者状況判定装置および運転者状況判定方法
JP2000351339A (ja) 運転装置の制御装置
JP2000351337A (ja) 移動体制御装置
KR20130053783A (ko) 운전자 상태 인식 카메라 모듈
JP2021060676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KR101708872B1 (ko) 졸음 운전 예방 시스템
JP4935762B2 (ja) 顔画像処理装置
JP6852407B2 (ja) ドライバ状態検出装置
ES2387186T3 (es) Sistema de asistencia contra el sueño
KR20000037604A (ko) 차선 인식을 통한 차량 안전 운행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08024085A (ja) カメラ装置
JP2008033525A (ja) 覚醒度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