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865A -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865A
KR20130052865A KR1020110118173A KR20110118173A KR20130052865A KR 20130052865 A KR20130052865 A KR 20130052865A KR 1020110118173 A KR1020110118173 A KR 1020110118173A KR 20110118173 A KR20110118173 A KR 20110118173A KR 20130052865 A KR20130052865 A KR 2013005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key
command
vehicle
mobile terminal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865A/ko
Publication of KR2013005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는,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명령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제2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2 USIM이 장착되며,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로부터 상기 제1 암호키를 추출하여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상기 명령어를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네트워크 내 차량 ECU로 송신하는 차량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게이트웨이를 통해 차량 ECU와 통신할 수 있는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이 고급화되면서 차량에 차량용 게이트웨이를 많이 장착하고 있다.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뿐 아니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ECU들과 CAN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차량용 게이트웨이를 거쳐 차량 ECU와 통신함에 따라 차량의 상태, 예컨대, 문잠김 여부, 실내온도, 연료량 및 배터리 잔량 등을 확인하거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차량 제어의 편의성을 제공하기는 하나, 차량 도용의 위험성은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종래의 모바일 단말은 송신명령을 제어 소프트웨어의 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며, 종래의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제어 소프트웨어 암호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당한 사용자를 인증한 다음, 인증된 사용자의 송신명령만을 차량 ECU에 전달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제어 소프트웨어의 암호키를 사용하므로, 제어 소프트웨어 설치 후 차량키 값만 입력하면, 차량 ECU와 통신할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단말 및 차량용 게이트웨이에 각기 장착된 USIM에 저장된 암호키를 이용해 명령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할 수는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는,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명령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제2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2 USIM이 장착되며,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로부터 상기 제1 암호키를 추출하여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상기 명령어를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네트워크 내 차량 ECU로 송신하는 차량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된 이동 단말에 의한 차량 네트워크 통신 방법은, 차량용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2 USIM이 장착된 상기 차량용 게이트웨이가 상기 명령어 내 상기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함을 확인하여 상기 명령어를 차량 네트워크 내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ECU로 송신함에 따라 상기 차량 ECU로부터 송신된 제어결과를 수신 및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제2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2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된 차량용 게이트웨이에 의한 차량 네트워크 통신 방법은,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이 장착된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송신한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상기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 결과 일치하면, 상기 명령어를 차량 네트워크 내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ECU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웨어 장치인 USIM에 저장된 암호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함에 따라 차량용 게이트웨이를 통한 차량 제어 및 차량 네트워크 통신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게이트웨이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10)는 이동 단말(100) 및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00)은 모바일을 포함하는 무선통신가능한 단말로서,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되며,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명령어를 전송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용 게이트웨이(200)에 의해 인식가능한 명령어를 생성하는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하는 기능의 제어를 요청하면, 제어 소프트웨어가 그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생성한 후, USIM으로부터 제1 암호키를 불러와 제1 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송신한다.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명령어를 수신하면, 명령어로부터 제1 암호키를 추출하여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명령어를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ECU로 송신한다.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제1 암호키가 제2 암호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명령어를 차량 ECU로 송신하지 않고, 이동 단말(100)로 에러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과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무선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무선통신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차량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게이트웨이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USIM 인터페이스부(110), 저장부(130), 입력부(150), 제어부(12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한다.
USIM 인터페이스부(110)는 제1 USIM이 장착되는 커넥터이다. 여기서, 제1 USIM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써지지 않는 ROM 영역에 제1 암호키를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차량용 게이트웨이와의 통신 및 차량 ECU에 대한 제어를 가능케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입력부(150)는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 및 제어 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제어부(120)는 제어 프로그램의 구동시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생성하고, USIM으로부터 제1 암호키를 불어와, 명령어를 제1 암호키로 암호화한다.
제어부(120)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ECU로부터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제어결과를 수신 및 확인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명령어를 기설정된 통신방식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통신방식은 무선랜, WiFi,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무선통신부(210), USIM 인터페이스부(230), 제어부(220) 및 차량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210)는 기설정된 통신방식으로 송신된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명령어를 수신하여 제어부(220)에 의해 해석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한다.
USIM 인터페이스부(230)는 제2 USIM이 장착되는 커넥터이다. 여기서, 제2 USIM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써지지 않는 ROM 영역에 제1 암호키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명령어 데이터로부터 제1 암호키를 추출하여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명령어 데이터를 차량 통신부(24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제1 암호키가 제2 암호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명령어 데이터를 차량 통신부(240)로 전달하지 않고, 에러 메시지를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송신한다.
차량 통신부(240)는 명령어 데이터를 차량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송신한다. 이때, 명령어 데이터를 선택 기능에 대응하는 차량 ECU의 주소를 포함하므로, 해당 차량 ECU로 송신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한 선택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생성한다(S410). 이때, 명령어는 선택 기능의 내용 및 선택 기능을 송신할 차량 ECU의 주소 등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100)은 제1 USIM으로부터 제1 암호키를 불러와 명령어를 제1 암호키로 암호화한다(S420).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암호화된 명령어를 수신하면, 명령어로부터 제1 암호키를 추출한다(S430).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제1 암호키가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440).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제1 암호키가 제2 암호키와 일치하면, 명령어를 차량 네트워크로 송신하여 차량 ECU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450).
차량용 게이트웨이(200)는 제1 암호키가 제2 암호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명령어를 차량 네트워크로 송신하지 않고, 에러 메시지를 이동 단말(100)로 송신한다(S460).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명령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제2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2 USIM이 장착되며,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로부터 상기 제1 암호키를 추출하여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면, 상기 명령어를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네트워크 내 차량 ECU로 송신하는 차량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무선 통신하는 것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 게이트웨이에 의해 인식가능한 상기 명령어를 생성하는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것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명령어를 상기 차량 ECU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로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인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4.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된 이동 단말에 의한 차량 네트워크 통신 방법으로서,
    차량용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암호키로 암호화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2 USIM이 장착된 상기 차량용 게이트웨이가 상기 명령어 내 상기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함을 확인하여 상기 명령어를 차량 네트워크 내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ECU로 송신함에 따라 상기 차량 ECU로부터 송신된 제어결과를 수신 및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함에 따라 송신한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방법.
  6. 제2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2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된 차량용 게이트웨이에 의한 차량 네트워크 통신 방법으로서,
    제1 암호키를 포함하는 제1 USIM이 장착된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암호키로 암호화하여 송신한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상기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 결과 일치하면, 상기 명령어를 차량 네트워크 내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차량 ECU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키가 상기 제2 암호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명령어를 상기 차량 ECU로 송신하지 않고, 에러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 방법.
KR1020110118173A 2011-11-14 2011-11-14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52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73A KR20130052865A (ko) 2011-11-14 2011-11-14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73A KR20130052865A (ko) 2011-11-14 2011-11-14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65A true KR20130052865A (ko) 2013-05-23

Family

ID=4866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173A KR20130052865A (ko) 2011-11-14 2011-11-14 차량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28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600A (ko) * 2014-10-08 2016-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avn 시스템의 제어 명령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981199A (zh) * 2016-01-15 2017-07-25 厦门雅迅网络股份有限公司 专用车辆识别方法及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600A (ko) * 2014-10-08 2016-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avn 시스템의 제어 명령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981199A (zh) * 2016-01-15 2017-07-25 厦门雅迅网络股份有限公司 专用车辆识别方法及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2040B (zh) 一种安全认证方法及认证系统
CN109842862B (zh) 在车辆中建立安全短程无线通信连接
US10538220B1 (en) User activated/deactiva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SRWC) auxiliary key fob
Woo et al. A practical wireless attack on the connected car and security protocol for in-vehicle CAN
CN105376293B (zh) 用于启用远程车辆访问的遥控钥匙基站的方法和系统
JP5999108B2 (ja) 車両遠隔操作情報提供装置、車載遠隔操作情報取得装置及びこれらの装置を備えた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CN106851629B (zh) 移动设备与车辆之间的低功耗蓝牙通信的方法
US10377346B2 (en) Anticipatory vehicle state management
CN108122311B (zh) 车辆虚拟钥匙实现方法及系统
US20200079322A1 (en) User activated/deactivated key fob
JP5900007B2 (ja) 車両用データ通信認証システム及び車両用ゲートウェイ装置
CN107483393B (zh) 车联网的通信方法、服务器及通信系统
CN105635147A (zh) 基于车载特种装备系统的数据安全传输方法及系统
CN106464566B (zh) 网络系统、通信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CN104363266A (zh) 远程控制车辆的方法、tsp后台系统以及车载终端
US20120221173A1 (en) Vehicle systems activ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CN104890623A (zh) 车载智能终端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8978109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N109041263B (zh) 一种TBox蓝牙连接方法和装置
CN105187442A (zh) 车辆的授权方法、装置、车载终端、终端和系统
JP2019009688A (ja) 保守システム及び保守方法
KR101334562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52864A1 (zh) 车辆安全通信方法、装置、车辆多媒体系统及车辆
US20190039568A1 (en) Motor Vehicle Entry and/or Starting System
CN111845624B (zh) 一种无钥匙启动车辆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