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317A - 생유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생유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317A
KR20130052317A KR1020110117705A KR20110117705A KR20130052317A KR 20130052317 A KR20130052317 A KR 20130052317A KR 1020110117705 A KR1020110117705 A KR 1020110117705A KR 20110117705 A KR20110117705 A KR 20110117705A KR 20130052317 A KR20130052317 A KR 20130052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ipe
filtration
raw milk
filt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522B1 (ko
Inventor
조선화
김준연
장진택
이선인
조선이
김문희
김호현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조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화 filed Critical 조선화
Priority to KR102011011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5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11/00Apparatus for treating milk
    • A01J11/06Strainers or filters for mil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9/00Milk receptacles
    • A01J9/02Milk receptacles with straining or fil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7/00Other dairy technology
    • A23C7/04Removing unwanted substances other than lactose or milk proteins from mil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및 여과챔버 내부에 생유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과챔버 내부에 위치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과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생유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유 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for Raw Milk}
본 발명은 젖소에서 착유(搾乳)된 생유(生乳, raw milk)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생유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젖소에서 착유된 생유가 영양학적으로 우수할 수 있지만 여과되지 않은 생유는 젖소에서 사람으로 질병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어 생유는 여과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생유 여과장치는 착유기를 통해 젖소에서 착유된 생유를 여과부에 공급하고, 여과부에서 여과된 생유는 펌프를 통해 저장공간에 이송되는 방식이었다.
즉 종래 생유 여과장치는 착유기에 연결되는 공급유로와 펌프에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생유가 저장되는 원통형상의 여과챔버, 상기 여과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생유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구조였다.
따라서 착유기를 통해 착유된 생유는 바디의 공급유로를 통해 여과챔버에 공급되고, 여과챔버 내부의 생유는 펌프에 의해 배출유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여과챔버 내부의 필터에 의해 여과되는 방식이었다.
한편 종래 생유 여과장치에 구비된 여과챔버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여과챔버의 개방된 상부면에 위치하였으며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였다.
따라서 여과된 생유가 배출유로를 통해 여과챔버에서 펌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여과챔버에 저장된 생유의 수위가 배출유로가 구비된 높이에 이르러야만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유 여과장치가 동작을 중단할 경우 여과필터 내부에 생유가 잔류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생유 여과장치는 여과필터의 교체가 어려운 단점, 여과필터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배출이 어려워 펌프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챔버 내부에 생유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생유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에 의해 여과된 생유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유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챔버 내부에 위치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과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해 펌프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생유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펌프와, 생유가 저장되는 여과챔버와, 상기 여과챔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여과챔버로 생유가 공급되는 공급유로, 상기 펌프에 연통하는 배출유로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여과챔버 내부에 위치하되 일단은 상기 배출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여과챔버 내부로 유입된 생유를 상기 배출유로로 이동시키는 흡입관과, 상기 여과챔버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는 필터관통홀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생유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흡입관의 타단은 상기 여과챔버의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흡입관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흡입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홀은 상기 여과챔버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상기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는 착유된 생유가 공급되는 착유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공급유로에서 연장되는 공급관과, 상기 펌프에 구비된 펌프유입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서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공급관과 상기 배출관을 상기 착유관과 상기 펌프유입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착유된 생유가 공급되는 착유관과 상기 공급유로를 연결시키는 공급유로 연결부, 상기 펌프에 구비된 펌프유입관과 상기 배출유로를 연결시키는 배출유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로 연결부와 상기 배출유로 연결부에는 상기 바디를 상기 착유관과 상기 챔버유입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는 상기 여과챔버로 공급되는 생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임펠러와, 상기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를 배출시키는 잔유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챔버 내부에 생유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생유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에 의해 여과된 생유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유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챔버 내부에 위치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과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배출이 가능해 펌프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생유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에 구비되는 펌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에 구비되는 여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에 구비되는 여과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에 구비되는 여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에 구비되는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관(P)을 통해 공급되는 생유를 여과하는 여과부(5), 상기 여과부를 통해 여과된 생유를 저장공간(미도시)으로 공급하는 펌프(1)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챔버(131)가 구비된 하우징(13),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15), 상기 챔버(13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11, 도 1참고), 상기 챔버(131)와 상기 여과부(5)를 연결시키는 펌프유입관(17), 상기 챔버(131)로 유입된 생유를 저장공간(미도시)으로 공급하는 유로인 펌프배출관(1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펌프(1)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모터(11)의 회전축(111)은 상기 하우징(13)을 관통하여 임펠러(1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11)이 회전하면 챔버(131) 내부의 임펠러(1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15)의 회전 시 여과부(5) 내부에 저장된 생유는 펌프유입관(17)을 거쳐 챔버(131)로 이동하며 챔버(131)로 유입된 생유는 임펠러(15)의 회전에 의해 펌프배출관(19)을 통해 저장공간(미도시)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5)는 생유가 저장되는 여과챔버(52), 상기 여과챔버(52)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챔버(52)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디(51), 상기 바디(51)와 착유관(P)을 연결하는 공급관(53), 상기 바디(51)와 펌프유입관(17)을 연결하는 배출관(54), 상기 여과챔버(52) 내부에 구비되어 생유를 여과하는 필터(56), 상기 여과챔버(52)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필터(56)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흡입관(55)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챔버(52)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51)의 하부면에 착탈 가능하다.
상기 여과챔버(52)와 바디(51)의 결합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여과챔버(52)의 상단 외주면에 나선홈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51)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나선홈에 삽입되는 나사산 구조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바디(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관(P)과 공급관(53)을 통해 공급되는 생유를 여과챔버(52)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유로(515), 상기 여과챔버(52) 내부의 생유를 펌프유입관(17)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517)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바디(51)에는 상기 공급관(53)이 고정되는 공급유로 연결부(51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급관(53)은 공급유로 연결부(511)를 통해 상기 공급유로(51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디(51)에는 배출관(54)이 고정되는 배출유로 연결부(51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배출관(54)은 상기 배출유로 연결부(513)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517)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관(53)에는 생유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생유의 여과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부(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9)는 여과챔버(52)로 공급되는 생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공급관(53) 내부에 위치하여 공급관(53)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형태의 유량조절부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상기 유량조절부(9)는 도 4와 달리 상기 배출관(54)에만 구비되거나 배출관(54) 및 공급관(53)에 각각 구비되어 생유의 여과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56)는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필터관통홀(561)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관통홀(561)의 외주면에는 메쉬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권선된다.
상기 흡입관(55)은 상기 여과챔버(52) 내부에 저장된 생유 중 여과챔버(52)의 바닥면에 위치한 생유부터 배출유로(517)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관통홀(561)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흡입관(55)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과 도 4는 흡입관(55)이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흡입관(55)이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흡입관의 일단은 상기 배출유로(51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챔버(52)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흡입관(55)의 타단은 상기 여과챔버(52)의 바닥면과 소정높이(h) 이격되어 구비되어야만 여과챔버(52)에 저장된 생유가 흡입관(55)를 통해 배출유로(517)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입홀(553)이 흡입관(55)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흡입관(55)에 구비된다면 흡입관(55)의 타단은 여과챔버(52)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흡입홀(553)은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55)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챔버(52)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흡입관(55)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와 도 5에서 상기 필터(56)는 여과챔버(52)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필터(56)는 상기 여과챔버(52)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착유기(미도시)에서 착유된 생유는 착유관(P), 상기 착유관(P)에 연결된 공급관(53)을 거쳐 바디(51)에 구비된 공급유로(515)로 유입된다.
공급유로(515)로 유입된 생유는 여과챔버(52) 내부에 저장되는데 여과챔버(52)내부에 저장된 생유는 펌프(1)의 작동 시 흡입관(55)을 통해 배출유로(517)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유는 필터(56)를 거치게 되므로 생유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된다.
한편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에 구비된 흡입관(55)은 일단은 배출유로(51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챔버(52)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므로 여과챔버(52)의 바닥면에 위치한 생유부터 펌프(1)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는 여과챔버(52) 내부에 저장된 생유의 수위가 배출유로(517)에 도달하지 않아도 생유를 여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는 흡입관(55)의 타단(생유 유입구)이 여과챔버(52)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어 생유 여과장치(100)의 작동이 중단되더라도 여과챔버(52)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만을 포함하는 생유 여과장치(100)는 여과챔버(52)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경우 펌프(1)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여과챔버(52)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는 이유는 착유관(P)을 통해 여과챔버(52)로 공급되는 생유에 공기가 포함돼 있을 수도 있고, 필터(56)의 교체를 위해 여과챔버(52)를 바디(51)에 착탈시키는 경우 여과챔버(5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는 바디(51)에 구비되어 여과챔버(52)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5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51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51)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유로(515)를 바디(5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홀(5191), 상기 관통홀(5191)의 개폐를 위한 개방밸브(519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는 상기 개방밸브(5193)을 관통홀(5191)에서 인출시킴으로써 여과챔버(52) 내부를 여과챔버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만을 포함하는 생유 여과장치(100)는 생유 여과장치의 작동이 중단될 경우 여과챔버(52)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의 양은 최소화할 수 있지만 펌프(1)의 챔버(131) 내부에 생유가 잔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는 챔버(131)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를 배출시키는 잔유배출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잔유배출부(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31)를 하우징(13)의 외부와연통시키는 파이프(31), 상기 파이프(31)를 개폐시키는 밸브(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31)의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 상기 챔버(131)의 바닥면은 상기 파이프(31)를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챔버(131)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를 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한 상기 파이프(31)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파이프(31)가 챔버(13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잔유배출부(3)가 구비된 생유 여과장치(100)는 사용자가 생유여과가 완료된 뒤 밸브(33)를 개방시켜 챔버(131)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를 챔버(13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챔버(131)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에 의해 여과된 생유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생유의 여과가 완료되면 여과부(5)에 구비된 필터(56)는 교체되어야 하는데 필터(56)의 교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여과챔버(52)를 바디(51)에서 분리하여 여과챔버(52) 내부에 위치한 필터(56)를 새로운 필터(56)로 교체한 뒤 여과챔버(52)를 바디(51)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다만 여과챔버(52)가 바디(51)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생유 여과장치(100)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면 여과챔버(52)를 바디(51)에서 분리하거나 결합하는데 불편할 것이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플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7)는 상기 바디(51)에 고정된 공급관(53)과 배출관(54)이 착유관(P)과 펌프유입관(17)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공급관(53)과 착유관(P)의 연결부위, 상기 배출관(54)과 펌프유입관(17)의 연결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9)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도 4는 커플러(9)가 일단은 착유관(P)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펌프유입관(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생유 여과장치(100)는 필터(56) 교체 시 여과챔버(52)를 바디(51)에서 분리하기 편리한 위치로 바디(51)를 회전시킬 수 있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9)는 도 6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공급관(53)과 배출관(54)이 구비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생유 여과장치(100)의 경우 착유관(P)은 바디(51)에 구비된 공급유로 연결부(511)에 직접 고정되고 펌프유입관(17)은 바디에 구비된 배출유로 연결부(513)에 직접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커플러(7)는 공급유로 연결부(511)와 배출유로 연결부(513)에 각각 구비되되 착유관(P)과 펌프유입관(17)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생유 여과장치 1: 펌프
11: 모터 111: 회전축
13: 하우징 131: 챔버
15: 임펠러 17: 펌프유입관
19: 펌프배출관 3: 잔유배출부
31: 파이프 33: 밸브
5: 여과부 51: 바디
511: 공급유로 연결부 513: 배출유로 연결부
515: 공급유로 517: 배출유로
519: 공기배출부 5191: 관통홀
5193: 개방밸브 53: 공급관
54: 배출관 55: 흡입관
553: 흡입홀 56: 필터
7: 커플러 9: 유량조절부

Claims (8)

  1. 펌프;
    생유가 저장되는 여과챔버;
    상기 여과챔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여과챔버로 생유가 공급되는 공급유로, 상기 펌프에 연통하는 배출유로가 구비된 바디;
    상기 여과챔버 내부에 위치하되 일단은 상기 배출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여과챔버 내부로 유입된 생유를 상기 배출유로로 이동시키는 흡입관;
    상기 여과챔버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는 필터관통홀이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타단은 상기 여과챔버의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흡입관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흡입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은 상기 여과챔버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상기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착유된 생유가 공급되는 착유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공급유로에서 연장되는 공급관;
    상기 펌프에 구비된 펌프유입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서 연장되는 배출관;
    상기 공급관과 상기 배출관을 상기 착유관과 상기 펌프유입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착유된 생유가 공급되는 착유관과 상기 공급유로를 연결시키는 공급유로 연결부, 상기 펌프에 구비된 펌프유입관과 상기 배출유로를 연결시키는 배출유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로 연결부와 상기 배출유로 연결부에는
    상기 바디를 상기 착유관과 상기 챔버유입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챔버로 공급되는 생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임펠러;
    상기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잔류하는 생유를 배출시키는 잔유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 여과장치.
KR1020110117705A 2011-11-11 2011-11-11 생유 여과장치 KR10131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05A KR101316522B1 (ko) 2011-11-11 2011-11-11 생유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05A KR101316522B1 (ko) 2011-11-11 2011-11-11 생유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317A true KR20130052317A (ko) 2013-05-22
KR101316522B1 KR101316522B1 (ko) 2013-10-08

Family

ID=4866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705A KR101316522B1 (ko) 2011-11-11 2011-11-11 생유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0748A1 (de) 2013-05-09 2014-11-13 Hyundai Motor Co. Flammenstrahlzündung-Verbrennungsmotor
KR20220028352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다운 착유기용 우유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4197C1 (ru) * 2017-12-19 2018-12-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ФИТМИЛК"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их смесе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01985A (nl) 1993-11-17 1995-06-16 Texas Industries Inc Melkmachine.
KR200269867Y1 (ko) 2002-01-12 2002-03-23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우유원유용 자연여과기
EP1820393A3 (en) 2006-02-16 2007-11-21 Claudio Chiesa Process for filtering milk and washing machine for filters used in said process
JP4767212B2 (ja) 2007-05-22 2011-09-07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搾乳用圧縮空気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0748A1 (de) 2013-05-09 2014-11-13 Hyundai Motor Co. Flammenstrahlzündung-Verbrennungsmotor
KR20220028352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다운 착유기용 우유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522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5036T3 (es) Lavavajillas.
KR101375717B1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펌프필터
CN107182207B (zh) 多功能水箱
US20140284257A1 (en) Filter apparatus utilizing pressurized reverse cleaning by means of a filter drum
KR101316522B1 (ko) 생유 여과장치
US9717220B2 (en) Aquarium filter with water stream diver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1005456A (ja) フィルタ装置
KR200493479Y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EP3221501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CN105557610A (zh) 一种自动清洗的鱼缸
KR102663648B1 (ko) 식물 재배 장치
CN102578024B (zh) 一种生态鱼缸
US10524456B2 (en)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s and the like
CN209898002U (zh) 自动净化设备及鱼缸
CN210094384U (zh) 鱼缸自动净化设备
GB2464597A (en) Protein skimmer
CN111183948A (zh) 一种微滤机及养殖控制系统
DK2640251T3 (en) FLOOR CLEANING MACHINE
JP2018065539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473429B1 (ko) 선택적 역세정이 가능한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어셈블리
KR101580920B1 (ko) 기화식 냉각 및 가습 장치용 급수 시스템
CN202456113U (zh) 一种生态鱼缸
KR200477025Y1 (ko) 어항
CN210876441U (zh) 一种牙科消毒仓的喷雾结构
CN215480372U (zh) 一种淡水鱼鱼塘污水过滤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