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687A - 제대혈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제대혈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687A
KR20130051687A KR1020110116983A KR20110116983A KR20130051687A KR 20130051687 A KR20130051687 A KR 20130051687A KR 1020110116983 A KR1020110116983 A KR 1020110116983A KR 20110116983 A KR20110116983 A KR 20110116983A KR 20130051687 A KR20130051687 A KR 2013005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ilical cord
catheter
cord blood
cannula
cathe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063B1 (ko
Inventor
정창진
Original Assignee
(주)메디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엔비즈 filed Critical (주)메디엔비즈
Priority to KR102011011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0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8Source of blood for blood from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66Blood collection bags, e.g. connected to the patient by a catheter comprising means for removing a small sample of collected blood from the ba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33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48Having means for aiding positioning of the piercing device at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clip or clamp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33Uterus
    • A61M2210/1466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40/00Specially adapted for neonat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대혈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대혈을 채취하기 위해 탯줄에 삽입되는 카테터조립체; 및 상기 카테터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탯줄과 상기 탯줄에 삽입된 상기 카테터조립체를 동시에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탯줄에 삽입된 바늘을 고정시켜 제대혈 채취자가 용이하게 제대혈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바늘에 의해 탯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제대혈 채취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대혈 채취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cord blood}
본 발명은 제대혈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대혈을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며,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대혈(cord blood, 臍帶血)이란 분만 시 신생아로부터 분리된 탯줄과 태반에 남아 있는 혈액을 말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태반 및 탯줄과 함께 적출물로 폐기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 이르러 제대혈에는 조혈모세포 및 조혈모세포 전구세포가 풍부하여 그 비율이 성인골수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에서 골수를 대신할 조혈모세포 이식의 공급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제대혈에 조혈모세포 외에 뼈, 연골, 뇌신경 등 다른 조직이나 기관을 형성할 수 있는 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제대혈을 난치성 질환(뇌손상, 척수손상, 당뇨, 간경화, 치매 등)의 세포치료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고, 상용화 단계에 이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진행과 함께 분만 후 제대혈을 채취하여 소정의 검사과정 및 줄기세포의 분리, 가공과정을 거쳐 냉동보관 하였다가 제대혈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공급하는 제대혈은행(cord blood bank)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1992년 뉴욕혈액센터에서 제대혈은행이 최초로 설립된 이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대혈은행이 설립되어 전 세계적으로 120개 이상의 제대혈은행이 운영 중에 있으며, 운영형태에 따라 공여제대혈은행(public cord blood bank)과 상업제대혈은행(commercial cord blood bank, private cord blood bank)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의 제대혈은행은 1997년 이후, 민간기업의 상업제대혈은행이 주도하고 있었으나 2006년 서울특별시가 우리나라 최초의 대규모 지역 기반 공여제대혈은행을 설립하였으며 현재 총 17개의 제대혈은행이 운영 중에 있다.
한편, 제대혈은 탯줄에 혈액 채취용 바늘을 삽입하고 채취자가 탯줄과 바늘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는 탯줄을 짜내는 과정을 반복하여 채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제대혈 채취 방법은 제대혈 채취자가 제대혈 채취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이는 제한된 인력으로 산모 및 신생아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의료행위가 신속하게 수반되어야 하는 산부인과 의료현장의 현실적 여건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제대혈 채취과정에서 바늘을 탯줄에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워 바늘에 의해 탯줄이 천공되거나, 바늘이 삽입된 부위가 손상되어 제대혈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대혈 채취를 위해 탯줄에 삽입된 바늘을 고정시켜 채취자가 용이하게 제대혈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바늘에 의해 탯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제대혈 채취가 가능한 제대혈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대혈을 채취하기 위해 탯줄에 삽입되는 카테터조립체; 및 상기 카테터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탯줄과 상기 탯줄에 삽입된 상기 카테터조립체를 동시에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카테터조립체는 중공구조의 카테터; 및 첨단이 출몰되도록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조립체는 상기 캐뉼라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후단이 삽입되어 상기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캐뉼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는 상기 캐뉼라고정부에 삽입되는 후단 테두리에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캐뉼라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에 접하도록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내측에 탯줄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지지부, 내측에 탯줄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내측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지지부와 체결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용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는 카테터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카테터고정홈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는 외주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대혈 채취 장치는 상기 카테터조립체와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탯줄에 삽입된 바늘을 고정시켜 제대혈 채취자가 용이하게 제대혈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바늘에 의해 탯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제대혈 채취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대혈 채취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캐뉼라의 첨단이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카테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캐뉼라의 첨단이 카테터의 내부에 은폐되어 있는 카테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카테터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체결된 상태의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클램프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대혈 채취 장치를 이용하여 탯줄로부터 제대혈을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대혈 채취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대혈 채취 장치(100)는 카테터조립체(110) 및 클램프(130)을 포함한다.
카테터조립체(110)는 제대혈을 채취하기 위해 선단이 탯줄(C, 도 9 참고)에 삽입되는 것이며, 클램프(130)는 카테터조립체(110)에 연결되고, 탯줄(C)과 탯줄(C)에 삽입된 카테터조립체(110)를 동시에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캐뉼라의 첨단이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카테터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캐뉼라의 첨단이 카테터의 내부에 은폐되어 있는 카테터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카테터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카테터조립체(11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테터조립체(110)는 캐뉼라(112), 캐뉼라고정부(114) 및 카테터(120)를 포함한다.
캐뉼라(112)는 카테터조립체(110)의 선단(도 2에서의 상부측)이 탯줄(C)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 바늘형태로 형성된다.
캐뉼라고정부(114)의 중앙에는 캐뉼라(112)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카테터(120)는 캐뉼라(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구조로 형성되며, 캐뉼라(112)는 카테터(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첨단이 카테터(120)에서 출몰되도록 구비된다.
캐뉼라(112)가 고정된 캐뉼라고정부(114)의 내부에는 카테터(120)의 후단(도 2에서의 하부측)이 삽입되고, 캐뉼라고정부(114)는 캐뉼라(112)와 함께 카테터(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움직인다.
또한, 카테터(120)는 캐뉼라고정부(114)에 삽입되는 후단 테두리에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24)을 구비하고, 캐뉼라고정부(114)는 걸림턱(124)에 접하도록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16)를 구비한다.
이러한 걸림돌기(1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고정부(114)가 후방(도 3에서의 하부측)으로 이동될 때 걸림턱(124)에 접하게 되어 캐뉼라고정부(114)의 이동거리는 제한된다.
따라서, 캐뉼라(112)가 카테터(12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캐뉼라(112)가 카테터(1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대혈 채취 과정에서 제대혈이 카테터조립체(110)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20)는 외주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면(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면(121)은 탯줄(C)에 삽입된 카테터(120)가 탯줄(C)에서 미끄러짐에 의해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체결된 상태의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과 도 8은 클램프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클램프(13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클램프(130)는 제1지지부(132), 제2지지부(134) 및 연결부(138)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132)는 내측에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탯줄고정돌기(136)와 오목하게 형성되는 카테터고정홈(140)을 구비한다.
제2지지부(134) 역시 내측에 상기 탯줄고정돌기(136)와 카테터고정홈(140)을 구비한다.
제1지지부(132)와 제2지지부(134)는 내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특히 각각의 카테터고정홈(14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연결부(138)는 단부가 제1지지부(132)와 제2지지부(134)의 일단에 각각 접하여 제1지지부(132)와 제2지지부(134)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연결부(138)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탯줄(C)과 카테터조립체(110)를 클램핑할 때 원래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탯줄(C)과 카테터조립체(110)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38)에 의해 연결된 제1지지부(132)와 제2지지부(134)는 연결부(138)의 타측(도 5에서의 좌측)이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부(132) 연결부(138)의 타측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체결부(144)를 구비하고, 제2지지부(134)는 연결부(138)의 타측에 배치되어 체결부(144)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용후크(146)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대혈 채취 장치(100)는 카테터조립체(110)와 클램프(130)를 연결하는 연결끈(150)을 구비하여 클램프(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현장에서 클램프(130)와 같은 부속품의 분실은 자칫 의료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요인이 되기 때문에 클램프(130)를 카테터조립체(11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결끈(150)을 카테터조립체(110)와 클램프(130)에 연결하기 위해 카테터조립체(110)와 클램프(130)에 각각 연결끈고리(129,149)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외에 연결끈(150)을 연결시키기 위한 기타의 수단이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대혈 채취 장치를 이용하여 탯줄로부터 제대혈을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대혈 채취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대혈을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112)를 카테터(120)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탯줄(C)에 카테터조립체(110)를 찔러 넣는다.
그리고나서, 도 9의 (B)와 같이 캐뉼라고정부(114)를 후방으로 후진시켜 캐뉼라(112)의 첨단이 카테터(12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대혈 채취과정에서 캐뉼라(112)의 첨단에 의해 탯줄(C)이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천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9의 (C)와 같이 클램프(130)를 이용하여 탯줄(C)과 카테터조립체(110) 동시에 클램핑함으로써 고정시킨다.
이때, 클램프(130)의 카테터고정홈(140)은 카테터(120)와 탯줄(C)을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카테터(120)가 위치한 부분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클램프(130)가 카테터조립체(110)와 탯줄(C)을 동시에 고정시킴으로써 제대혈이 카테터조립체(1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테터조립체(110)가 탯줄(C)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여서 탯줄(C)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 : 탯줄 10 : 튜브
20 : 혈액저장백 100 : 제대혈 채취 장치
110 : 카테터조립체 112 : 캐뉼라
114 : 캐뉼라고정부 116 : 걸림돌기
118 : 튜브삽입홀 120 : 카테터
121 : 요철면 124 : 걸림턱
129, 149 : 연결끈 고리 130 : 클램프
132 : 제1지지부 134 : 제2지지부
136 : 탯줄고정돌기 138 : 연결부
140 : 카테터고정홈 144 : 체결부
146 : 체결용후크 150 : 연결끈

Claims (10)

  1. 제대혈을 채취하기 위해 탯줄에 삽입되는 카테터조립체; 및
    상기 카테터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탯줄과 상기 탯줄에 삽입된 상기 카테터조립체를 동시에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조립체는
    중공구조의 카테터; 및
    첨단이 출몰되도록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조립체는
    상기 캐뉼라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후단이 삽입되어 상기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캐뉼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캐뉼라고정부에 삽입되는 후단 테두리에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캐뉼라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에 접하도록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내측에 탯줄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지지부,
    내측에 탯줄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내측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지지부와 체결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용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는 카테터고정홈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카테터고정홈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외주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조립체와 상기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혈 채취 장치.
KR1020110116983A 2011-11-10 2011-11-10 제대혈 채취 장치 KR10134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83A KR101341063B1 (ko) 2011-11-10 2011-11-10 제대혈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83A KR101341063B1 (ko) 2011-11-10 2011-11-10 제대혈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687A true KR20130051687A (ko) 2013-05-21
KR101341063B1 KR101341063B1 (ko) 2013-12-11

Family

ID=4866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983A KR101341063B1 (ko) 2011-11-10 2011-11-10 제대혈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5163A (ja) * 2015-03-25 2018-06-14 エイデ,テリエ 臍血管にポートを導入及び維持する装置
IT201900006902A1 (it) * 2019-05-16 2020-11-16 Azienda Ospedaliera Univ Senese Aous Catetere venoso ombelicale perfezionato per interventi d’urgenz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618B1 (ko) 2020-05-08 2022-02-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생아 제대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2303A (en) 1978-07-17 1980-07-15 Hollister Incorporated Umbilical cord clamp
US4699616A (en) 1986-06-13 1987-10-13 Hollister Incorporated Catheter retention device and method
US20040199178A1 (en) 2001-10-09 2004-10-07 Small George H. Umbilical cord clamp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815613B2 (en) 2003-02-13 2010-10-19 Medical Components, Inc. Flexible conduit cla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5163A (ja) * 2015-03-25 2018-06-14 エイデ,テリエ 臍血管にポートを導入及び維持する装置
IT201900006902A1 (it) * 2019-05-16 2020-11-16 Azienda Ospedaliera Univ Senese Aous Catetere venoso ombelicale perfezionato per interventi d’urgenz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063B1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6981T3 (es) Sistema cerrado de extracción por vía IV integrado
KR101341063B1 (ko) 제대혈 채취 장치
CN209629838U (zh) 一种便于拿取医疗器械的抢险急救手术包
CN209501751U (zh) 感染科检测样本采集箱
CN107495989B (zh) 多点睾丸穿刺针
CN204931788U (zh) 一种普外科手术用镊子
CN210784260U (zh) 一种内镜介入探头固定器
CN204016304U (zh) 采血管固定护手
CN210618855U (zh) 一种血氨标本用临时冷藏框
CN209464427U (zh) 一种安全型留置针
CN208086353U (zh) 一种接合型试剂盒
CN203914928U (zh) 采血针
CN213489327U (zh) 检验科便携式采血箱
CN201642204U (zh) 医用横头镊子
CN211484683U (zh) 一种止血活检针
CN208426214U (zh) 一种固定及放置手术电刀电凝和吸引管的保护套
CN205568988U (zh) 一种平面式手术拉钩
CN219353925U (zh) 一种多端头易固定采血针
CN210198825U (zh) 一种病理标本取材自由组合式固定板
CN214048991U (zh) 一种组织器官移植辅助工具
CN220632657U (zh) 一种采血装置
CN220833500U (zh) 解剖试验台固定辅助装置
CN209889399U (zh) 一种组合式脐带采集盒体
CN216258749U (zh) 一种可自动组装的内镜下治疗用磁装置
CN220833034U (zh) 便于固定的抽血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