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648A - 손가락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648A
KR20130051648A KR1020110116910A KR20110116910A KR20130051648A KR 20130051648 A KR20130051648 A KR 20130051648A KR 1020110116910 A KR1020110116910 A KR 1020110116910A KR 20110116910 A KR20110116910 A KR 20110116910A KR 20130051648 A KR20130051648 A KR 2013005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thumb
module
module bodies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964B1 (ko
Inventor
박제열
Original Assignee
박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열 filed Critical 박제열
Priority to KR102011011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9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손가락 통과공(11)이 형성되는 기구 본체(10); 및 상기 기구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 쪽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면서 운동하는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 각각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며, 분해 조립이 가능한 한 쌍의 모듈 몸체(21,22);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입구 영역에 결합되는 부싱(24); 및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서 상기 탄성부재(23)에 접하는 접촉판(25a)과, 일단부는 상기 접촉판(25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싱(24)을 통해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외부로 배치되는 가압로드(25b)와, 상기 가압로드(25b)의 노출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판(25c)을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막대(25)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환자들을 비롯하여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함으로써 손가락 운동으로 인해 건강한 뇌를 유지할 수 있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운동기구{Omitted}
본 발명은, 손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들을 비롯하여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함으로써 손가락 운동으로 인해 건강한 뇌를 유지할 수 있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손가락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중풍환자와 같이 손가락 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 운동선수 또는 진동기구등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자들은 손가락 관절을 굽힘(flexion)동작과 폄(extension)동작을 반복적으로 운동시키는 재활치료가 요구된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29671호에는 상기와 같은 관절운동을 위한 손관절운동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손관절운동 밴드는 손가락 끝에 착용되는 골무와 손바닥에 대응되는 반장갑 사이를 탄성밴드로 연결시킨 구조로서, 착용자가 능동적으로 손가락 관절을 굽힘(flexion)동작과 폄(extension)동작을 반복적으로 운동할때 탄성밴드의 탄성력으로 관절근육을 단련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손관절운동밴드는 착용자가 스스로 손가락관절을 굽힘과 폄동작으로 반복적으로 하는 관절운동을 할 때 특히, 손가락의 굽힘(오무림)동작시 탄성밴드의 탄성저항력을 착용자가 스스로 감당하여야 하므로 능동적인 관절운동이 어려운 중풍환자등에게는 사용이 어렵다.
한편, 본원 출원인은 능동적 손가락 관절운동이 어려운 중풍환자들이 사용가능하도록 한 자동 손가락 운동기(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28509호)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 선출원 기술은 와이어를 모터로 권선시킴으로써 손가락 관절운동이 피동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능동적 관절운동이 어려운 중풍환자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기술은 관절운동중에 와이어의 인장방향과 손가락 관절의 회동방향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하여 오히려 손가락 관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염려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3679호로서 손가락 운동기구를 제안함으로써 환자들을 비롯하여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함으로써 손가락 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건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지난번 출원된 기술의 경우, 작동에 다소 불편한 점이 발견되었으므로 이번에는 이를 보완한 기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참고로, 해부학적으로는 대뇌운동중추에서 손에 해당하는 부위가 무려 30%를 차지하고 있다. 손과 뇌는 깊이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즉 손가락을 의식적으로 움직이면 뇌의 광범위한 영역을 자극하여 뇌가 활성화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항은 EBS 두뇌전쟁의 비밀(손가락 운동본부)의 보도를 통해 공지된 바 있으며, 이를 참조할 때, 본 발명과 같은 손가락 운동기구의 개발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3679호
상기 목적은, 환자들을 비롯하여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함으로써 손가락 운동으로 인해 건강한 뇌를 유지할 수 있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손가락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손가락 통과공(11)이 형성되는 기구 본체(10); 및
상기 기구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 쪽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면서 운동하는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 각각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며, 분해 조립이 가능한 한 쌍의 모듈 몸체(21,22);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입구 영역에 결합되는 부싱(24); 및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서 상기 탄성부재(23)에 접하는 접촉판(25a)과, 일단부는 상기 접촉판(25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싱(24)을 통해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외부로 배치되는 가압로드(25b)와, 상기 가압로드(25b)의 노출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판(25c)을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막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과 상기 손가락 배치판(25c)에는 고무패드가 더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부싱(24)은 청동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은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구 본체(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들을 비롯하여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함으로써 손가락 운동으로 인해 건강한 뇌를 유지할 수 있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 및 도 3은 손가락 운동모듈의 확대도로서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손가락 운동모듈의 확대도로서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손가락 운동기구는,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손가락 통과공(11)이 형성되는 기구 본체(10)와, 상기 기구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 쪽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면서 운동하는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기구 본체(10)는 약간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한 손으로 잡기 편한 모양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상기 기구 본체(10)의 형상은 도시된 것을 벗어나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은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구 본체(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래야만 안적적인 구조로 인해 운동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새끼손가락이 다른 것들에 비해 짧다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 중에서 새끼손가락이 위치되는 것의 길이를 좀 더 짧게 유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 각각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며, 분해 조립이 가능한 한 쌍의 모듈 몸체(21,22)와,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와,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입구 영역에 결합되는 부싱(24)과,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서 상기 탄성부재(23)에 접하는 접촉판(25a)과, 일단부는 상기 접촉판(25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싱(24)을 통해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외부로 배치되는 가압로드(25b)와, 상기 가압로드(25b)의 노출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판(25c)을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막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몸체(21,22)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한 쌍으로 마련됨에 따라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23), 상기 부싱(24), 그리고 상기 손가락 운동막대(25)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 이들을 결합시킨 후에는 한 쌍의 상기 모듈 몸체(21,22)를 조립하면 되는데, 조립의 방식은 볼팅 방식, 후크 방식, 혹은 본딩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이 각각 보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은 상기 기구 본체(10) 내에 은닉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 배치된다.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23)는 도 2에서 도 3처럼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상기 손가락 운동막대(25)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할 때 압축되며, 가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상태인 도 2처럼 팽창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손가락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싱(24)은 상기 손가락 운동막대(25)를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입구 영역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24)은 청동 재질로 제작되나 이 재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 손가락 운동막대(25)는 사용자의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배치되어 도 3처럼 가압되면서 운동을 진행하는 부분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손가락 운동막대(25)는 일단부는 상기 접촉판(25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싱(24)을 통해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외부로 배치되는 가압로드(25b)와, 상기 가압로드(25b)의 노출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판(2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과 상기 손가락 배치판(25c)에는 고무패드가 더 개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손가락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해당 위치에 바르게 배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에 보면 상기 손가락 배치판(25c)에 다수의 돌기(28)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돌기(28)들은 손가락 운동 시 손가락에 대한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엄지손가락을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에 통과시켜 끼운 후, 나머지 4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 운동막대(25)의 상기 손가락 배치판(25c)에 배치시키고, 나머지 4 손가락을 상기 엄지손가락을 향해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23)가 도 2에서 도 3처럼 압축되며, 가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상태인 도 2처럼 팽창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손가락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들을 비롯하여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함으로써 손가락 운동으로 인해 건강한 뇌를 유지할 수 있어 치매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기구 본체
11 : 엄지손가락 통과공
20 : 손가락 운동모듈
21,22 : 모듈 몸체
23 : 탄성부재
24 : 부싱
25a : 접촉판
25b : 가압로드
25c : 손가락 배치판
25 : 손가락 운동막대

Claims (2)

  1.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엄지손가락 통과공(11)이 형성되는 기구 본체(10); 및
    상기 기구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 쪽을 향해 탄성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면서 운동하는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 각각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며, 분해 조립이 가능한 한 쌍의 모듈 몸체(21,22);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입구 영역에 결합되는 부싱(24); 및
    상기 모듈 몸체(21,22) 내의 공간(S)에서 상기 탄성부재(23)에 접하는 접촉판(25a)과, 일단부는 상기 접촉판(25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싱(24)을 통해 상기 모듈 몸체(21,22)의 외부로 배치되는 가압로드(25b)와, 상기 가압로드(25b)의 노출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판(25c)을 포함하는 손가락 운동막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과 상기 손가락 배치판(25c)에는 고무패드가 더 개재되며,
    상기 부싱(24)은 청동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다수의 손가락 운동모듈(20)은 상기 엄지손가락 통과공(1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구 본체(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운동기구.
KR1020110116910A 2011-11-10 2011-11-10 손가락 운동기구 KR10131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10A KR101319964B1 (ko) 2011-11-10 2011-11-10 손가락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10A KR101319964B1 (ko) 2011-11-10 2011-11-10 손가락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648A true KR20130051648A (ko) 2013-05-21
KR101319964B1 KR101319964B1 (ko) 2013-10-18

Family

ID=4866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910A KR101319964B1 (ko) 2011-11-10 2011-11-10 손가락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205A (ko) 2017-03-08 2018-09-19 조순구 손가락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16Y1 (ko) * 2006-02-28 2006-05-22 김근식 자침기
KR200437217Y1 (ko) * 2007-01-10 2007-11-13 천재권 손가락 악력단련기
KR200442161Y1 (ko) * 2007-04-20 2008-10-14 천재권 손가락 악력단련기
KR200453699Y1 (ko) * 2009-03-31 2011-05-19 박제열 손가락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205A (ko) 2017-03-08 2018-09-19 조순구 손가락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964B1 (ko)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778B1 (ko) 상지 재활훈련장치
JP6312908B1 (ja) 手指訓練用器具
KR20100018599A (ko) 관절 보조기용 재활 운동기
US201401282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re effective exercise
KR101319964B1 (ko) 손가락 운동기구
US5662554A (en) Neck exercise device
US201402281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thenar muscles
KR200470707Y1 (ko) 손 운동기구
KR200429888Y1 (ko) 지압겸용 안마기
US20200282260A1 (en) Fitness hand-muscle developer
CN205796406U (zh) 手功能锻炼手套
RU2486886C2 (ru) Тренажер для кистей "аван" 21-20
KR101636694B1 (ko) 손가락 고정부 및 발 고정부를 갖는 운동용 탄력밴드
JP6097982B1 (ja) 手指伸展筋群と手指外転筋群の運動器具
KR101457353B1 (ko) 근력운동기구
JP6884978B2 (ja) 運動器具
KR20140032853A (ko) 스프링을 이용한 휴대용 지압기
TW202008113A (zh) 使用仿生韌帶之觸覺回饋系統
RU206310U1 (ru) Кистевой эспандер
CN220193919U (zh) 一种手握锻炼器械
WO2018169097A1 (ja) 手指のコンディショニング器具
CN206404232U (zh) 一种肢体主动运动康复训练拉力带装置
KR20210129844A (ko) 악력기를 이용한 손가락관절 운동장치
CN200994896Y (zh) 手指康复训练器
CN2785648Y (zh) 手握锻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