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042A -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 Google Patents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042A
KR20130051042A KR1020110116160A KR20110116160A KR20130051042A KR 20130051042 A KR20130051042 A KR 20130051042A KR 1020110116160 A KR1020110116160 A KR 1020110116160A KR 20110116160 A KR20110116160 A KR 20110116160A KR 20130051042 A KR20130051042 A KR 2013005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ank
housing
solid mediu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637B1 (ko
Inventor
김영규
송재환
김민준
임주석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Priority to KR102011011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2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means provid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gas introduction means
    • C12M1/0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gas introduction means with agitator, e.g. impell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containing, or adapted to contain, solid media
    • C12M1/18Multiple fields or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including condition or time responsive control, e.g. automatically controlled fermentors
    • C12M1/38Temperature-respons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효 접촉조와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를 통해 유용미생물을 순차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속발효시켜 보다 안정적인 발효 부산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발효 부산물 제품의 균질화와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1개의 히터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제 1, 2구획판을 통해 상기 발효 접촉조,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1개의 상기 히터만을 사용하여 유용미생물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연속발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CONTINUOUS FERMENTATION DEVICE USEFUL MICROBES}
본 발명은 발효 접촉조와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를 통해 유용미생물을 순차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속발효시켜 보다 안정적인 발효 부산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발효 부산물 제품의 균질화와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1개의 히터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제 1, 2구획판을 통해 상기 발효 접촉조,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1개의 상기 히터만을 사용하여 유용미생물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연속발효시킬 수 있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용미생물(EM)이라 함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수십 종을 조합, 배양한 것이다.
효모균, 유산균 및 광합성세균이 유용미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균종이며, 이들 균들 간의 복잡한 공존공영관계가 만들어내는 발효생성물의 항산화력이 유용미생물의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발효 접촉조와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를 통해 유용미생물을 순차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속발효시켜 보다 안정적인 발효 부산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발효 부산물 제품의 균질화와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1개의 히터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제 1, 2구획판을 통해 상기 발효 접촉조,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1개의 상기 히터만을 사용하여 유용미생물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연속발효시킬 수 있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발효 접촉조와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를 통해 유용미생물을 순차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속발효시켜 보다 안정적인 발효 부산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발효 부산물 제품의 균질화와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1개의 히터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제 1, 2구획판을 통해 상기 발효 접촉조,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1개의 상기 히터만을 사용하여 유용미생물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연속발효시킬 수 있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후측 내주면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수직구비되고 후측 상부에 제 1이동구가 형성되는 제 1구획판과, 상기 제 1구획판 타측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수직구비되고 상부에 제 2이동구가 형성되는 제 2구획판과, 상기 제 1구획판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발효 접촉조와, 상기 제 2구획판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는 발효 배양조와, 상기 제 2구획판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는 발효 숙성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발효 접촉조의 내부로 유용미생물과 물을 각각 유입시키는 유용미생물 유입구 및 물 유입구와 상기 발효 숙성조 내부의 유용미생물과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발효조와; 상기 발효조의 발효 접촉조로 고형배지를 공급하는 고형배지공급부와; 상기 발효조의 발효 접촉조내에 수용된 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발효조의 발효 접촉조내에 구비되어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발효조의 발효 접촉조내에 구비되는 유용미생물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상기 제 1구획판의 제 1이동구, 상기 제 2구획판의 제 2이동구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를 각각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통과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부유물통과방지부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측이 개방된 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부재의 상측은 상기 제 1이동구, 제 2이동구 및 배출구를 가린 상태로 각각 상기 제 1구획판의 후측 상부 일측 외주면과, 상기 제 2구획판의 후면 상측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주면 전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관부재의 상측에 상기 제 1이동구, 제 2이동구 및 배출구를 가리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 1이동구, 제 2이동구 및 배출구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형배지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고형배지가 수용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측구동부재와; 상기 상측구동부재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호퍼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호퍼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효 접촉조내로 고형배지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내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공급관의 타측에 구비되는 하측구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교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발효 접촉조내에 수직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물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주기를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하우징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효 접촉조와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를 통해 유용미생물을 순차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속발효시켜 보다 안정적인 발효 부산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발효 부산물 제품의 균질화와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1개의 히터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제 1, 2구획판을 통해 상기 발효 접촉조, 발효 배양조 및 발효 숙성조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1개의 상기 히터만을 사용하여 유용미생물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연속발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고형배지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유용밍생물 연속발효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발효조(10), 고형배지공급부(20), 교반부(30), 히터(40) 및 유용미생물담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발효조(10)는 하우징(100), 제 1구획판(110), 제 2구획판(120), 발효 접촉조(130), 발효 배양조(140) 및 발효 숙성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는 상기 하우징(1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101)가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획판(1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 내주면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된다.
상기 제 1구획판(110)의 후측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 1이동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2구획판(120)은 상기 제 1구획판(110)의 타측 외주면 중심부와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내주면 중심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된다.
상기 제 2구획판(120)의 상부 중심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 2이동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발효 접촉조(1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구획판(110)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발효 배양조(14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구획판(120)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발효 숙성조(1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구획판(12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유용미생물 유입구(160) 및 물 유입구(170)와 배출구(180)가 형성된다.
상기 유용미생물 유입구(160)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면 일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용미생물 유입구(160)는 전단부가 상기 유용미생물 유입구(160)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되고, 후단부가 유용미생물이 저장된 공지된 미생물 공급부(미도시)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되는 상기 유용미생물공급관(161)을 통해 상기 미생물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공급부(미도시)의 내부에 저장된 유용미생물은 상기 유용미생물공급관(161)과 상기 유용미생물 유입구(160)를 지나 상기 발효 접촉조(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물 유입구(170)는 상기 유용미생물 유입구(16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면 일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유입구(170)는 전단부가 상기 물 유입구(170)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되고, 후단부가 물공급부(미도시)와 기밀하게 연결고정되는 물공급관(171)을 통해 상기 물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미도시)로는 일반 상하수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미도시)가 공급하는 물은 상기 물공급관(171)과 상기 물 유입구(170)를 지나 상기 발효 접촉조(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80)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 상부 전측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80)는 상기 발효 숙성조(150)의 내부의 유용미생물과 물을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구(180)에는 유용미생물과 물을 외부로 안내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81)의 일단부가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판(1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190)은 일측 개폐판(191)과 타측 개폐판(19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개폐판(191)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부면 후측에 전단부가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발효 접촉조(13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타측 개폐판(192)은 제 1타측 개폐판(192a)과 제 2타측 개폐판(19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개폐판(192a)은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상부면 전측에 전단부가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발효 숙성조(15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개폐판(192b)은 상기 제 1타측 개폐판(192a)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상부면 후측에 전단부가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발효 배양조(14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형배지공급부(20)는 상기 일측 개폐판(19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부면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형배지공급부(20)는 유용미생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원인 고형배지를 상기 발효 접촉조(13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부(3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형배지공급부(20)와 상기 일측 개폐판(19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부면 중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30)는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 수용된 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를 교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히터(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전측 내주면에 수평구비되어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히터(40)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 수용된 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가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터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상기 발효 접촉조(130)는 물론 상기 발효 배양조(140)와 상기 발효 숙성조(150)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구획판(110)과 제 2구획판(12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유용미생물담체(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 내주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다공성 성형체인 상기 유용미생물담체(50)는 유용미생물이 부착 및 성장할 수 있도록 제조된 구조물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유물통과방지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유물통과방지부(7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부유하는 고형배지의 일부 찌꺼기 등을 포함한 부유물(60)이 상기 제 1구획판(110)의 제 1이동구(111), 상기 제 2구획판(120)의 제 2이동구(121) 및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80)를 각각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유물통과방지부(70)는 관부재(7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부재(71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고,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710)의 상측이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관부재(710)의 상측은 각각 상기 제 1구획판(110)의 후측 상부 일측 외주면과, 상기 제 2구획판(120)의 후면 상측 및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내주면 전측에 용접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부재(710)의 상측에는 경사판(7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720)의 상단부는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의 상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구획판(110)의 후측 상부 일측 외주면과, 상기 제 2구획판(120)의 후면 상측 및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내주면 전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를 가릴 수 있다.
상기 경사판(720)은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판(720)을 통해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를 보다 용이하게 가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부재(710)의 내부로 유입된 물과 유용미생물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방향으로 이동(도 4, 도 5, 도 6의 실선화살표 참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1의 고형배지공급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형배지공급부(20)가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고형배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형배지공급부(2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호퍼(210), 상측구동부재(220), 회전축(230), 회전날개(240), 공급관(250), 이송스크류(260) 및 하측구동부재(2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호퍼(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방향에 구비될수 있다.
상기 호퍼(211)는 저장탱크(211)와 개폐판(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211)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211)의 내부에는 고형배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212)은 상기 호퍼(211)의 상부에 수평으로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될 수 있다.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상측구동부재(220)는 상기 호퍼(210)의 개폐판(212)의 상부면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0)의 상측이 상기 상측구동부재(22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호퍼(210)의 저장탱크(211)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240)는 상기 회전축230)과 직교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250)은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로 고형배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관(250)은 수평공급관(251)과 수직공급관(2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공급관(251)은 상기 호퍼(210)의 저장탱크(211)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공급관(251)의 타측 상부는 상기 호퍼(210)의 저장탱크(21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공급관(252)이 상기 수평공급관(251)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공급관(252)의 상측은 상기 수평공급관(251)의 일측 하부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공급관(252)의 하측은 상기 발효 접촉조(13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부면 전측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60)는 상기 공급관(250)의 수평공급관(251)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하측구동부재(270)는 상기 이송스크류(260)의 타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공급관(250)의 수평공급관(251)의 타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구동부재(220)에 의해 상기 회전축(230)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회전축(230)을 따라 정역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240)에 의해 상기 호퍼(210)의 저장탱크(211)의 내부에 저장된 고형배지는 교반되면서 상기 공급관(250)의 수평공급관(251)내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측구동부재(270)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26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평공급관(251)내로 배출된 교반된 고형배지는 상기 수직공급관(252)으로 이동하여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 수용된 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교반하기 위해,
상기 교반부(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동부재(310), 회전축(320) 및 회전날개(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3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부면 중간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20)의 상측이 상기 구동부재(31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320)은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330)는 상기 회전축(320)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회전축(320)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10)에 의해 상기 회전축(320)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회전날개(330)는 상기 회전축(320)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 수용된 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를 교반하게 된다.
다음으로, 타이머(80), 온도센서(90) 및 제어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80)는 상기 제어부(20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타이머(8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물 유입구(170)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90)는 상기 발효 접촉조(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전측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일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 유입구(170)와 연결되는 상기 물공급관(171)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물공급관(171)을 개폐하는 전자밸브 등을 포함한 개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80)에 설정될 수 있는 물의 유입주기는 물의 유입시간대 또는 물의 유입시간간격일 수 있다.
상기 타이머(80)에 설정된 물의 유입주기가 물의 유입시간대이고, 물의 유입시간대가 가령 오후 1시, 오후 3시, 오후 4시, 오후 7시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오후 1시, 오후 3시, 오후 4시, 오후 7시마다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물공급관(171)을 개방하여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타이머(80)에 설정된 물의 유입주기가 물의 유입시간간격이고, 물의 유입시간간격이 30분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30분 간격으로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물공급관(171)을 개방하여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서 물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는 최초로 서로 접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히터(40)에 의해 1차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에서 최초로 서로 접하여 상기 히터(40)에 의해 가열된 물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는 점차 상승하여 상기 제 1이동구(111)를 통해 상기 발효 배양조(140)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발효 배양조(140)내로 이동된 물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는 상기 제 1, 2구획판(110, 120)을 통해 상기 히터(40)로부터 고온의 열을 전달받아 2차 가열되어 배양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배양조(140)내에서 배양된 물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는 점차 상승하여 제 2이동구(121)를 통해 상기 발효 숙성조(150)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발효 숙성조(150)내로 이동된 물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는 상기 제 1, 2구획판(110, 120)을 통해 상기 히터(40)로부터 고온의 열을 전달받아 3차 가열되어 숙성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숙성조(150)내에서 숙성된 물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로 이루어진 발효 부산물은 상기 배출구(18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별도의 펌프를 사용할 필요없이 물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를 상기 발효 접촉조(130), 발효 배양조(140) 및 발효 숙성조(150)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센서(90)가 감지한 상기 하우징(100)내의 온도값과 상기 제어부(2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90)가 감지한 상기 하우징(100)내의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2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 미만인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히터(40)는 고온의 열을 발산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90)가 감지한 상기 하우징(100)내의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2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히터(40)는 작동정지되어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접촉조(130)와 발효 배양조 (140)및 발효 숙성조(150)를 통해 유용미생물을 순차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속발효시켜 보다 안정적인 발효 부산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발효 부산물 제품의 균질화와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1개의 상기 히터(40)가 발산하는 고온의 열이 상기 제 1, 2구획판(110, 120)을 통해 상기 발효 접촉조(130), 발효 배양조(140) 및 발효 숙성조(150)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1개의 상기 히터(40)만을 사용하여 유용미생물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연속발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발효조, 20; 고형배지공급부,
30; 교반부, 40; 히터,
50; 유용미생물담체.

Claims (7)

  1.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 내주면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수직구비되고 후측 상부에 제 1이동구(111)가 형성되는 제 1구획판(110)과, 상기 제 1구획판(110) 타측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수직구비되고 상부에 제 2이동구(121)가 형성되는 제 2구획판(120)과, 상기 제 1구획판(110)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발효 접촉조(130)와, 상기 제 2구획판(120)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는 발효 배양조(140)와, 상기 제 2구획판(12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는 발효 숙성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발효 접촉조(130)의 내부로 유용미생물과 물을 각각 유입시키는 유용미생물 유입구(160) 및 물 유입구(170)와 상기 발효 숙성조(150) 내부의 유용미생물과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80)가 형성되는 발효조(10)와;
    상기 발효조(10)의 발효 접촉조(130)로 고형배지를 공급하는 고형배지공급부(20)와;
    상기 발효조(10)의 발효 접촉조(130)내에 수용된 물, 유용미생물 및 고형배지를 교반하는 교반부(30)와;
    상기 발효조(10)의 발효 접촉조(130)내에 구비되어 열을 발산하는 히터(40)와;
    상기 발효조(10)의 발효 접촉조(130)내에 구비되는 유용미생물담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부유하는 부유물(60)이 상기 제 1구획판(110)의 제 1이동구(111), 상기 제 2구획판(120)의 제 2이동구(121) 및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80)를 각각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통과방지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통과방지부(7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하측이 개방된 관부재(7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부재(710)의 상측은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를 가린 상태로 각각 상기 제 1구획판(110)의 후측 상부 일측 외주면과, 상기 제 2구획판(120)의 후면 상측 및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내주면 전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710)의 상측에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를 가리는 경사판(720)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720)은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 1이동구(111), 제 2이동구(121) 및 배출구(180)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배지공급부(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고형배지가 수용되는 호퍼(210)와;
    상기 호퍼(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측구동부재(220)와;
    상기 상측구동부재(22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호퍼(2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회전축(230)과;
    상기 회전축(230)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날개(240)와;
    상기 호퍼(2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호퍼(2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효 접촉조(130)내로 고형배지를 공급하는 공급관(250)과;
    상기 공급관(250)내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260)와;
    상기 이송스크류(26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공급관(250)의 타측에 구비되는 하측구동부재(2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310)와;
    상기 구동부재(31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발효 접촉조(130) 내에 수직구비되는 회전축(320)과;
    상기 회전축(320)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날개(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물 유입구(170)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주기를 설정하는 타이머(80)와;
    상기 하우징(100)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KR1020110116160A 2011-11-09 2011-11-09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KR101309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160A KR101309637B1 (ko) 2011-11-09 2011-11-09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160A KR101309637B1 (ko) 2011-11-09 2011-11-09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042A true KR20130051042A (ko) 2013-05-20
KR101309637B1 KR101309637B1 (ko) 2013-10-14

Family

ID=4866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160A KR101309637B1 (ko) 2011-11-09 2011-11-09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301B1 (ko) * 2017-02-08 2018-08-09 (주)세인바이오 연속식 복합 유용 미생물 배양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566B1 (ko) 2015-01-30 2017-07-26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수처리 유용미생물 증폭장치
KR20190064018A (ko) 2017-11-30 2019-06-10 이기상 바텀애쉬 및 미생물 발효물을 포함하는 경량토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9175D0 (en) 1992-04-28 1992-06-10 Pirtferm Ltd Bioreactor system
JP2004057162A (ja) 2002-07-31 2004-02-26 Noritomi Tekkosho:Kk 有用微生物群培養装置
KR20100091275A (ko) * 2009-02-10 2010-08-19 박세준 프로바이오기능성식품 제조시스템
KR101206743B1 (ko) 2009-06-23 2012-11-30 박선우 다단계 장기체류방식 유기성 폐기물 소멸 자원화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301B1 (ko) * 2017-02-08 2018-08-09 (주)세인바이오 연속식 복합 유용 미생물 배양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637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23189U (zh) 一种固体发酵罐
CN103789205B (zh) 一种太阳能微生物发酵装置
KR101309637B1 (ko)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KR102054380B1 (ko)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30657A (ko) 고효율 배양장치
KR101061424B1 (ko) 미생물 배양장치
KR101247515B1 (ko) 버섯종균 배양장치
KR20080096488A (ko) 미생물 복합 배양장치
KR100890064B1 (ko) 고속 발효장치
CN205223255U (zh) 微生物恒温培养罐
CN110656044A (zh) 新型智能微生物发酵装置
KR20130091535A (ko)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소화 활성 유도용 미생물 배양기
CN206502818U (zh) 一种微生物培养装置
WO2019114275A1 (zh) 一种带有固定机构的酶解装置
CN111100781A (zh) 固体发酵系统
KR20100055169A (ko) 가축사료용 발효장치
CN215250779U (zh) 一种微生物功能性实验用微生物培养装置
CN214612445U (zh) 一种微生物发酵反应釜
CN211771252U (zh) 一种用于微生物检测的培养装置
KR101812515B1 (ko) 미생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KR20110122291A (ko) 고체배양기
KR101535099B1 (ko) 벤츄리가 설치된 미생물 배양기
CN202269366U (zh) 一种卧式酱油种曲培养装置
KR101290246B1 (ko) 다단 자켓이 설치된 미생물 배양기
CN112410199A (zh) 一种高活性益生菌培育用培育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