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896A -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데이터를 클리핑하는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데이터를 클리핑하는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896A
KR20130050896A KR1020120125711A KR20120125711A KR20130050896A KR 20130050896 A KR20130050896 A KR 20130050896A KR 1020120125711 A KR1020120125711 A KR 1020120125711A KR 20120125711 A KR20120125711 A KR 20120125711A KR 20130050896 A KR20130050896 A KR 20130050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verse transform
inverse
maximum val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레나 알쉬나
알렉산더 알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5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별로 역양자화 및 역변환시 데이터 클리핑을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현재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고,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고, 클리핑된 변환계수에 대해 제1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생성된 중간데이터를, 현재블록의 크기 및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고,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제2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을 수행하는 역변환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데이터를 클리핑하는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lipping during de-quantization and inverse transformation in video decoding}
본 발명은,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블록별로 역양자화 및 역변환시 데이터 클리핑을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비디오 컨텐트를 재생,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비디오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비디오 코덱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기존의 비디오 코덱에 따르면, 비디오는 소정 크기의 매크로블록에 기반하여 제한된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되고 있다.
주파수 변환을 이용하여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는 주파수 영역의 계수들로 변환된다. 비디오 코덱은, 주파수 변환의 빠른 연산을 위해 영상을 소정 크기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블록마다 DCT 변환을 수행하여, 블록 단위의 주파수 계수들을 부호화한다.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주파수 영역의 계수들이, 압축하기 쉬운 형태를 가진다. 특히 비디오 코덱의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을 통해 공간 영역의 영상 화소값은 예측 오차로 표현되므로, 예측 오차에 대해 주파수 변환이 수행되면 많은 데이터가 0으로 변환될 수 있다. 비디오 코덱은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데이터로 치환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절감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복호화의 역변환에서 오버플로우 방지하기 위해 역양자화 및 역변환시 중간 데이터를 클리핑을 수행하고, 클리핑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클리핑 범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방법은, 현재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단계; 상기 클리핑된 변환계수에 대해 제1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를,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 및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제2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이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간데이터를 클리핑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를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리핑된 중간데이터를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최대값은, 상기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제2 스토리지 최대값, 및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최대값은, 상기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및 상기 내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역변환 방법은, 상기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에 의해 상기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고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인트라 예측부호화 또는 움직임 예측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및 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장치는, 현재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역양자화부; 상기 클리핑된 변환계수에 대해 제1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1 중간데이터를,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 및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1차 역변환부; 및 상기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제2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을 수행하는 2차 역변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역변환 장치는,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1 중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스토리지; 상기 클리핑된 제1 중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스토리지; 및 상기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2 중간데이터를 상기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 스토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상기 역변환 장치에, 상기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를 복원하는 예측복호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고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추출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상기 역변환 장치에, 인트라 예측부호화 또는 움직임 예측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부호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과정을 도시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역변환시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 과정을 도시한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수행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가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 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을 도시한다.
도 1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도 1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18, 19 및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1 은 표 1의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2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디스크의 물리적 구조를 예시한다.
도 23 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판독하기 위한 디스크드라이브를 도시한다.
도 24 은 컨텐트 유통 서비스(content 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트 공급 시스템(content supply system)의 전체적 구조를 도시한다.
도 25 및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폰의 외부구조와 내부구조를 도시한다.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이 적용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장치 및 역변환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방법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비디오 복호화 방법,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와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방법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기법 및 비디오 복호화 기법이 개시된다. 이하, '영상'은 비디오의 정지영상이거나 동영상, 즉 비디오 그 자체를 나타낼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장치 및 역변환 방법이 개시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역양자화부(12), 1차 역변환부(14) 및 2차 역변환부(1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부호화를 위해 블록별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고,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통해 복원된 공간영역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레지듀얼 데이터는 현재영역과 다른영역 간의 픽셀값들의 차분데이터일 수 있다
블록 기반의 비디오 부호화에 따르면, 비디오의 영상시퀀스 중에서 각각의 영상을 블록들로 구획하여 블록별로 부호화된다. 블록의 타입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일 수도 있다.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 단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트리구조에 따른 부호화단위들 중에서는, 최대 부호화 단위,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등일 수 있다. 트리구조에 따른 부호화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부복호화 방식은,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비디오 부호화를 위해, 영상 블록별로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가 수행되어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이 생성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들로부터 변환계수들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역양자화가 필요하고, 복원된 변환계수들로부터 공간 영역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역변환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양자화부(12)는, 수신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역변환부(14)는, 역양자화부(12)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1차 역변환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역변환부(16)는, 1차 역변환부(14)의 출력데이터에 대해 2차 역변환을 수행함으로써 공간 영역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는, 고정 소수점 변환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로부터 공간 영역의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변환이 수행된다. 고정 소수점 변환에 대응하여, 고정 소수점 역변환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데이터는 소정 비트뎁스 이하로 역스케일링(de-scaling)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역변환부(14)는,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역변환된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사이즈의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1차 역변환부(14)는,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한 데이터, 즉 1차 역변환을 통해 역변환된 데이터에 대해 역스케일링을 수행하고, 역스케일링된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사이즈의 제2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2차 역변환부(16)는,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역변환된 데이터를 제1 데이터 사이즈의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2차 역변환부(16)는,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한 데이터, 즉 2차 역변환을 통해 역변환된 데이터에 대해 역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역변환부(16)는, 정확한 예측 부호화를 위해 이용된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을 수행하고, 역스케일링된 데이터를 제2 데이터 사이즈의 제2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각 스토리지의 데이터 사이즈는 소정 비트뎁스의 데이터가 저장될 크기를 나타내며, 해당 스트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최대값일 수 있다. 이하, 데이터의 비트뎁스에 의해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데이터값은 최소/최대값 사이의 값이므로, 비트뎁스에 의해 데이터의 범위(dynamic range)가 결정될 수 있다. 소정 비트뎁스의 데이터의 최소값은 양수인 최대값에 대응하는 음수값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 비트뎁스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스토리지의 데이터 사이즈도, 데이터의 비트뎁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데이터의 비트뎁스, 최대값 및 범위, 스토리지의 데이터 사이즈는 모두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들이다. 따라서 다른 데이터 사이즈의 스토리지들은 각각 다른 비트뎁스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역변환부(14)와 2차 역변환부(16)는, 각각의 역변환을 수행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소정 비트뎁스만큼 우측으로 비트시프트함으로써, 역스케일링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2차 역변환부(16)는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결정된 비트이동량만큼 비트시프트를 수행할 수 있다.
1차 역변환부(14)가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역변환된 데이터를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역변환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또한, 1차 역변환에 의해 역변환된 데이터의 역스케일링된 데이터가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되기 위해서는, 1차 역변환 후 역스케일링된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1차 역변환부(14)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 매트릭스, 제1, 2 스토리지들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및 역스케일링을 위한 비트시프트의 비트수는 고정된 상수이다. 따라서, 1차 역변환에 의해 역변환된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1 스토리지 및 제2 스토리지에 기초하여 조절되기 위해서는, 1차 역변환의 입력인 역양자화부(12)의 출력데이터의 범위가 조절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양자화부(12)는,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소정 범위 이내로 클리핑할 수 있다.
또한, 2차 역변환부(16)가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역변환된 데이터가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되기 위해서는, 역변환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또한, 2차 역변환에 의해 역변환된 데이터의 역스케일링된 데이터가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되기 위해서는, 2차 역변환 후 역스케일링된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2차 역변환부(16)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 매트릭스, 제1, 2 스토리지들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및 역스케일링을 위한 시프트 비트수는 고정된 상수이므로, 2차 역변환에 의해 역변환된 데이터의 최대값이 제1 스토리지 및 제2 스토리지에 기초하여 조절되기 위해서는, 2차 역변환의 입력인 1차 역변환부(14)의 출력데이터의 범위가 조절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역변환부(14)는,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생성된 중간데이터를 소정 범위 이내로 클리핑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역양자화부(12)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수직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할 수 있다. 수직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역양자화부(12)는, 역양자화 이후 변환계수들을,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역변환부(14)는, 역양자화부(12)에 의해 클리핑된 변환계수에 대해 수직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역변환부(14)는,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1 중간데이터를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한 제1 중간데이터를 제1 비트뎁스만큼 역스케일링할 수 있다.
1차 역변환부(14)는, 역스케일링된 제1 중간데이터를, 수평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및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할 수 있다. 수평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도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역변환부(14)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이후 역스케일링된 제1 중간데이터에 대해, 현재블록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할 수 있다. 1차 역변환부(14)는, 클리핑된 제1 중간데이터를 제2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역변환부(16)는, 1차 역변환부(14)에 의해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수평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역변환부(16)는,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2 중간데이터를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한 중간데이터를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결정된 제2 비트뎁스만큼 역스케일링할 수 있다. 2차 역변환부(16)는, 역스케일링된 제2 중간데이터를 제2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2차원 블록에 대한 2차원 변환을 위해, 2차원 블록에 대해 1차원 변환이 2회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2차원 역변환을 위해 1차원 역변환이 2회 연속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역변환부(14)와 2차 역변환부(16)는, 각각 1차원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역변환부(14)의 제1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이고, 2차 역변환부(16)의 제2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역변환부(14)는,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제1 스토리지 최대값),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제2 스토리지 최대값), 및 제1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제1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최소값은 제1 최대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역변환부(16)는,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제2 스토리지 최대값, 제2 역변환 매트릭스 및 내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제2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최소값은 제2 최소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최대값은, i)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i)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최대값은, iii)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v)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L1-norm) 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역양자화된 변환계수의 동적범위(dynamic range)를, 1차 역변환 이후 데이터가 저장될 제1 스토리지 및 제2 스토리지의 데이터 크기, 즉 제1 스토리지 및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역변환 장치(10)는, 1차 역변환된 데이터의 동적범위(dynamic range)를, 2차 역변환 이후 데이터가 저장될 제1 스토리지 및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과 역스케일링을 위한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토리지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리지는 버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1차 역변환 및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되는 중간데이터 및 출력데이터가 레지스터 및 버퍼에 저장될 수 있도록 미리 1차 역변환 및 2차 역변환의 입력데이터가 클리핑되므로, 레지스터들의 오버플로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계별로 클리핑할 필요 없이 역양자화 및 1차 역변환 이후에만 클리핑을 수행함으로써, 최소한의 클리핑으로 1차 역변환 및 2차 역변환의 출력데이터의 오버플로우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과정을 도시한다.
도 1의 역변환 장치(10)와 도 2의 흐름도는 일부 상응할 수 있다. 도 1의 역양자화부(12)는 역양자화부(24) 및 제1 클리핑부(25)를 포함하고, 제1 역변환부(14)는 제1 1D 역변환부(26) 및 제2 클리핑부(27)를 포함하고, 제 2 역변환부(16)는 제2 1D 역변환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파서(parser)(22)는, 비트스트림(21)을 수신하여 파싱하고, 비트스트림(21)으로부터 양자화된 변환계수를 추출할 수 있다. 파서(22)가 추출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은 임시 스토리지인 제1 버퍼(225)에 저장될 수 있다.
역양자화부(24)는, 버퍼(225)에 저장됐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클리핑부(25)는, 역양자화부(24)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클리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최소값은 제1 최대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일 수 있다. 제1 클리핑부(25)가 클리핑한 변환계수들이 제1 버퍼(255)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1D 역변환부(26)는, 제1 버퍼(255)로부터 수신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첫번째 1차원 역변환을 수행하여, 제1 중간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1D 역변환부(26)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클리핑부(27)는, 제1 1D 역변환부(26)에 의해 생성된 제1 중간데이터를,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클리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최소값은 제2 최대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일 수 있다. 제2 클리핑부(27)가 클리핑한 제1 중간데이터가 제2 버퍼(2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1D 역변환부(28)는, 제2 버퍼(275)로부터 수신된 제1 중간데이터에 대해 두번째 1차원 역변환을 수행하여, 제2 중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중간데이터는 두차례의 1차원 역변환을 거쳐 생성된 2차원 역변환된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1D 역변환부(28)에 의해 생성된 2차원 역변환된 데이터가 제3 버퍼(295)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과정에 따르면, 역변환부(24) 이후에 제1 클리핑부(25)가 첫번째 클리핑을 수행하고, 제1 1D 역변환부(26)의 첫번째 1차원 역변환 이후에 제2 클리핑부(27)가 두번째 클리핑을 수행하여, 총 2회의 클리핑이 수행될 수 있다.
역변환 이후에 제1 클리핑부(25)가 첫번째 클리핑의 제1 최대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첫번째 1차원 역변환 이후에 제2 클리핑부(27)가 두번째 클리핑의 제2 최대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3 은 도 2의 역변환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 과정을 도시한다.
클리핑 함수 'Clip3'은, 'OutPutOfDeQuantizer' 중에서, 'Min1'보다 작은 값을 'Min1'로 치환하고, 'Max1'보다 큰 값을 'Max1'을 치환하고, 'Min1' 이상 'Max1' 이하의 값은 그대로 유지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제1 클리핑부(25)는, 역양자화부(24)의 출력데이터(OutPutOfDeQuantizer)인 변환계수들에 대해 제1 최소값(Min1)과 제1 최대값(Max1)을 범위로 클리핑을 수행한다. 제1 클리핑부(25)에 의해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이 제1 버퍼(255)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1D 역변환부(26)는, 제1 버퍼(255)에 저장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65)를 곱하여 제1 중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중간 데이터를 제1 레지스터(30)에 저장할 수 있다.
아래 수식 (i), (ii), (iii)에서, 제1 클리핑부(25)에 의해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이 coeffQ, 제1 1D 역변환부(26)의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65)가 TrMatrix(H), 제1 레지스터(30)에 저장되는 제1 중간데이터는 register1를 나타낸다.
(i) register1 = TrMatrix(H)T×coeffQ
(ii) |coeffQ|≤Max1
(iii) |register1|≤NormL1(H)*Max1
즉, 수식 (i)은 제1 1D 역변환부(26)의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동작을 나타내고, 수식 (ii)는 제1 클리핑부(25)의 클리핑 범위를 나타낸다. 제1 클리핑부(25)에 의해 변환계수들의 범위가 제1 최대값 Max1에서 제1 최소값 Min1로 제한되므로, 수식 (iii)에서 제1 중간데이터 register1의 절대값도 NormL1(H)*Max1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NormL1(H)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65) TrMatrix(H)의 L1-놈(L1-norm) 값이다.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65) TrMatrix(H)의 L1-놈 값은,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65)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매트릭스의 L1-놈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매트릭스의 각 행(row)마다 원소(element)들의 절대합(sum of absolute values)을 결정하고, 행들의 절대합들 중에서 최대값이 매트릭스의 L1-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1D 역변환부(26)가,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65) TrMatrix(H)와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을 coeffQ의 매트릭스 곱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중간데이터 register1의 최대값은,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65)의 L1-놈 값 NormL1(H)과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의 최대값 Max1의 곱 NormL1(H)*Max1 으로 결정될 수 있다(수식 (iii)).
제1 1D 역변환부(26)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1 중간데이터에 대해 역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1D 역변환부(26)는, 제1 1D 역변환부(26)의 첫번째 1차원 DCT 이후에, 제1 중간데이터 register1 에 제1 오프셋 offset1 을 가한 후 우측 비트시프트를 수행하여, 제1 중간데이터를 역스케일링할 수 있다. 아래 수식 (iv)는 제1 1D 역변환부(26)의 역스케일링 동작을 나타낸다.
(iv) (register1+offset1)>>shift1
일 실시예에 따른 첫번째 1차원 역변환 이후의 역스케일링을 위한 제1 비트시프트의 비트수(shift1)는 7이고, 제1 오프셋(offset1)은 1을 제1 비트시프트의 비트수에서 1비트 감소한 비트스만큼 좌측 비트시프트한 결과값(1<<(shift1-1))일 수 있다.
제1 1D 역변환부(26)의 역스케일링 과정 수식 (iv)에 수식 (iii)을 결합하면, 아래 수식 (v)에 따라 역스케일링 제1 중간 데이터 temp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v) |temp|≤(NormL1(H)*Max1+offset1)≫shift1
또한, 제2 클리핑부(27)는, 역스케일링된 제1 중간데이터 temp를, 제2 최소값(Min2)과 제2 최대값(Max2)의 범위로 클리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클리핑부(25)에 의해 클리핑된 제1 중간데이터가 제2 제2 버퍼(275)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클리핑부(27)의 클리핑 동작은, 아래 수식 (vi)로 표현될 수 있다.
(vi) |temp|≤Max2
제2 1D 역변환부(28)는, 제2 버퍼(275)에 저장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85)를 곱하여 제2 중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중간 데이터를 제2 레지스터(32)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1D 역변환부(25) 및 제1 클리핑부(27)에 의해 클리핑된 제1 중간데이터 temp의 최대값 Max2이고, 제2 1D 역변환부(28)의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85)이 TrMatrix(W)이므로, 제2 레지스터(32)에 저장될 제2 중간데이터 register2의 최대값은 수식 (vii)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vii) |register2|≤NormL1(W)*Max2
여기서 NormL1(W)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 매트릭스(285)의 L1-놈 값을 나타낸다.
제2 1D 역변환부(28)도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DCT에 의해 생성된 제2 중간데이터에 대해 역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1D 역변환부(28)는, 제2 중간데이터(register2)에 제2 오프셋(offset2)을 가한 후 우측 비트시프트를 수행함으로써, 제2 중간데이터를 역스케일링할 수 있다. 아래 수식 (viii)는 제2 1D 역변환부(28)의 역스케일링 동작을 나타낸다.
(viii) (register2+offset2)>>shift2
일 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1차원 DCT 이후의 역스케일링을 위한 제2 비트시프트의 비트수(shift2)는 내부 비트뎁스 B를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hift2는 '12-(B-8)'로 결정될 있다. 제2 오프셋(offset2)은 1을 제2 비트시프트의 비트수에서 1비트만큼 감소한 비트스만큼 좌측 비트시프트한 결과값(1<<(shift2-1))일 수 있다.
제2 1D 역변환부(28)는, 수식 (viii)에 따라 역스케일링된 제2 중간데이터를, 제3 버퍼(29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중간데이터는 1차원 역변환이 두차례 수행되어 2차원 역변환된 데이터이므로,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34)일 수 있다. 레지듀얼 데이터는 현재 블록과 다른 블록 간의 픽셀값의 차분 데이터다. 따라서 제3 버퍼(295)에 저장된 역스케일링된 2차원 역변환된 데이터는,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34)일 수 있다.
제2 1D 역변환부(28)의 역스케일링 수식 (viii)에 수식 (vii)을 결합하면, 아래 수식 (ix)에 따라 역스케일링된 2차원 역변환된 데이터, 즉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34) rec_res의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ix) |rec_res|≤(NormL1(W)*Max2+offset2)≫shift2
여기서 제2 레지스터(32)에 저장되는 제2 중간데이터 register 2의 크기는 제2 레지스터(32)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Int에 제한된다. 또한, 제3 버퍼(295)에 저장되는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34) rec_res의 크기도 제3 버퍼(29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Short에 제한된다.
예를 들어, 제2 레지스터(32)가 최대 32비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32비트 레지스터인 경우에 제2 레지스터(32)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Int는 (2^31-1)이다. 제3 버퍼(295)가 최대 16비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16비트 버퍼인 경우에는 제3 버퍼(29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Short는 (2^15-1)이다.
따라서, 제2 레지스터(32)에 저장되는 제2 중간데이터 register2와 제3 버퍼(295)에 저장되는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34) rec_res의 범위가 아래 수식 (x), (xi)로 결정될 수 있다.
(x) |register2|≤2^31-1=MaxInt
(xi) |rec_res|≤2^15-1=MaxShort
따라서, 수식 (vii), (ix)와 수식 (x), (xi)를 결합하면, 제2 최대값 Max2는 아래 수식 (xii)로 결정될 수 있다.
(xii) Max2 = Min{(MaxShort*2^(shift2))/NormL1(W), MaxInt/(NormL1(W))}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최대값 Max2은, 제3 버퍼(29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Short을 shift2만큼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NormL1(W)로 나눈 값(α)과, 제2 레지스터(32)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Int을 수평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NormL1(W)로 나눈 값(β) 중에서, 작은 값(Min(α, β))으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제2 1차원 역변환부(28)에서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된 데이터에 대한 역스케일링을 위한 제2 시프트 비트수(shift2)는 내부 비트뎁스 B를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MaxShort, MaxInt가 모두 고정된 상수이므로, 제2 클리핑부(27)의 제2 최대값 Max2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NormL1(W))와 내부 비트뎁스 B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레지스터(30)에 저장되는 제1 중간데이터 register1의 크기는 제1 레지스터(3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Int에 제한된다. 또한, 제2 버퍼(275)에 저장되는 클리핑된 제1 중간데이터 temp의 크기도 제2 버퍼(27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Short에 제한된다. 제1 레지스터(30)에 저장되는 제1 중간데이터 register1의 크기와 제2 버퍼(275)에 저장되는 클리핑된 제1 중간데이터 temp의 범위가 아래 수식 (xiii), (xiv)로 결정될 수 있다.
(xiii) |register1|≤MaxInt
(xiv) |temp|≤MaxShort
따라서, 수식 (xiii), (xiv)와 수식 (iii), (v)를 결합하면, 제2 최대값 Max2는 아래 수식 (xv)로 결정될 수 있다.
(xv) Max1 = Min{(MaxShort*2^(shift1))/NormL1(H), MaxInt/(NormL1(H))}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최대값은, 제2 버퍼(27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Short을 shift1만큼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NormL1(H)로 나눈 값(γ)과, 제1 레지스터(3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 MaxInt을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NormL1(H)로 나눈 값(δ) 중에서, 작은 값(Min(γ,δ))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MaxShort, shift1, MaxInt가 모두 고정된 상수이므로, 제1 클리핑부(25)의 제1 최대값 Max1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NormL1(H))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32비트 레지스터와 16비트 버퍼를 사용하는 경우에, 제1 클리핑부(25)가 역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식 (xv)에 의해 결정된 제1 최대값 Max1에 따라 클리핑을 수행하고, 제2 클리핑부(27)가 첫번째 1차원 역변환된 데이터에 대해 수식 (xii)에 의해 결정된 제2 최대값 Max2에 따라 클리핑을 수행한다면, 첫번째 1차원 역변환 및 두번째 1차원 역변환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이 32비트 레지스터 및 16비트 버퍼의 데이터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임시 데이터가 발생하는 단계들마다 임시데이터를 클리핑할 필요 없이, 역양자화 및 1차 역변환 이후에만 클리핑을 수행함으로써, 최소한의 클리핑으로, 1차 역변환 및 2차 역변환의 출력데이터가 저장되는 레지스터들의 오버플로우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4x4, 8x8, 16x16, 32x32 등과 같은 크기의 블록의 역변환을 위해, 블록크기에 상응하는 크기 4, 8, 16, 32 등의 역변환 매트릭스를 사용하고, 블록 크기별로 다른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크기의 블록이라면 일정한 역변환 매트릭스가 선택될 수 있다. 제1 클리핑부(25)의 제1 최대값 Max1는 제1 1차원 역변환부(26)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NormL1)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역변환 매트릭스의 대상이 되는 블록 크기에 따라 제1 최대값 Max1이 결정된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클리핑부(27)의 제2 최대값 Max2는 제2 1차원 역변환부(28)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와 내부 비트뎁스 B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역변환 대상이 되는 블록 크기 및 내부 비트뎁스 B에 따라 제2 최대값 Max2이 결정될 수 있다.
역변환 장치(10)가 블록 크기별로 선택하는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NormL1(Size))가 아래 표 11와 같이 달라지는 역변환 매트릭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Transform invDST4 ibnvDCT4 invDCT8 invDCT16 invDCT32
NormL1(Size) 242 247 479 940 1862
invDST4, invDCT4, invDCT8, invDCT16, invDCT32는 각각 4x4 블록을 위한 크기 4의 역DST 매트릭스, 4x4 블록을 위한 크기 4의 역DCT 매트릭스, 8x8 블록을 위한 크기 8의 역DCT 매트릭스, 16x16 블록을 위한 크기 16의 역DCT 매트릭스, 32x32 블록을 위한 크기 32의 역DCT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따라서, 역변환될 블록 크기, 즉 역변환 매트릭스 크기에 따라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NormL1(Size))가 달라진다.
표 11에 따른 역변환 매트릭스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역양자화 이후 클리핑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최대값 Max1를 아래 표 12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Size 4(DST) 4(DCT) 8 16 32
Max1 32767 32767 32767 32767 32767
또한, 표 11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이후 클리핑 범위를 나타내는 제2 최대값 Max2를 아래 표 13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Internal bit-depth B 4(DST) 4(DCT) 8 16 32
14 8665 8490 4378 2230 1126
13 17331 16980 8756 4461 2252
12 32767 32767 17512 8923 4505
11 32767 32767 32767 17847 9010
10 32767 32767 32767 32767 18020
9 32767 32767 32767 32767 32767
8 32767 32767 32767 32767 32767
즉, 표 11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이후 클리핑 범위를 나타내는 제2 최대값 Max2를,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블록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Internal bit-depth) B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역변환 장치(10)가 블록 크기별로 선택하는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NormL1(Size))가 아래 표 14와 같이 달라지는 역변환 매트릭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Transform invDST4 ibnvDCT4 invDCT8 invDCT16 invDCT32
NormL1(Size) 15488 15808 30622 30622 119262
표 14에 따르면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에 따라,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NormL1(Size))가 달라진다.
표 14에 따른 역변환 매트릭스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역양자화 이후 클리핑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최대값 Max1를 아래 표 15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Size 4(DST) 4(DCT) 8 16 32
Max1 32767 32767 32767 32767 18006
즉, 표 14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표 15에 따르면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이후 클리핑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최대값 Max1를,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블록 크기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표 14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이후 클리핑 범위를 나타내는 제2 최대값 Max2를 아래 표 16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Internal bit-depth B 4(DST) 4(DCT) 8 16 32
14 8665 8490 4382 2224 1125
13 17331 16980 8765 4449 2250
12 32767 32767 17531 8899 4501
11 32767 32767 32767 17798 9002
10 32767 32767 32767 32767 18005
9 32767 32767 32767 32767 18006
8 8665 8490 4382 2224 1125
즉, 표 14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는, 표 16에 따르면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이후 클리핑 범위를 나타내는 제2 최대값 Max2를,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블록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Internal bit-depth) B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양자화된 변환계수에 대한 클리핑 범위의 제1 최소값과 제1 최대값 중에서, 제1 최소값은 제1 최대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최대값 및 제2 최대값이 32767이라면, 제1 최소값 및 제2 최소값은 -32768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3의 제1 클리핑부(25) 및 제2 클리핑부(27)에서 클리핑 함수는, 각각 Clip3(OutPutofDeQunatizer, -32768, 32767), Clip3((register1+offset1)>>shift1, -32768, 32767)일 수 있다.
또한, 제1 클리핑부(25)에 내부 비트뎁스 B만큼 데이터 범위가 확대된 변환계수(OutPutofDeQunatizer)가 입력된 경우에는, 제1 클리핑부(25)도 내부 비트뎁스 B를 고려하여 변환계수(OutPutofDeQunatizer)을 역스케일링한 후에, 제1 최소값 및 제2 최소값은 -32768로 클리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링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1차 역변환 이후 역스케일링하기 위한 제1 비트시프트의 비트수 shift1가 7이고 제1 오프셋 offset1이 1<<(shift1-1), 즉 2^6=64인 경우에, 제2 클리핑부(27)의 클리핑 함수는, Clip3((register1+64)>>7, -32768, 32767)일 수 있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41에서, 현재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이 수신된다.
단계 43에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들이 생성되고, 생성된 변환계수들은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된다.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는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 값,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5에서, 단계 43에서 클리핑된 변환계수에 대해 제1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이 수행되고,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는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된다.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는 현재블록의 크기 및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7에서, 단계 45에서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제2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이고, 제2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일 수 있다.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와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5에서,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는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클리핑된 중간데이터는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단계 43의 클리핑 범위의 제1 최대값은,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제1 스토리지 최대값),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제2 스토리지 최대값), 및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이 제1 최대값으로 결정도리 수 있다.
또한 단계 45의 클리핑 범위의 제2 최대값은,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제2 스토리지 최대값,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및 내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이 제2 최대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방법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비디오 복호화 방법, 비디오 부호화 장치와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5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50)가 수행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비디오 복호화 장치(50)는, 수신부(52), 역변환 장치(10), 예측복호화부(54)를 포함한다.
단계 61에서, 수신부(52)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비트스트림을 파싱하고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현재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추출한다.
단계 62에서, 역변환 장치(10)는 수신부(52)에 의해 추출된 현재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하고, 변환계수들을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는 제1 역변환 매트릭스, 즉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는 현재블록의 크기에 상응하므로,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는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3에서, 역변환 장치(10)는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중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계수들에 대한 1차 역변환은,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역변환일 수 있다. 단계 63에서,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는 제2 역변환 매트릭스, 즉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는 현재블록의 크기에 상응하므로,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는 현재블록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4에서, 역변환 장치(10)는 단계 63에서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중간데이터에 대한 2차 역변환은,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역변환일 수 있다.
단계 65에서, 예측 복호화부(54)는 단계 64에서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통해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가 복원될 수 있다.
예측 복호화부(54)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가 확대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의 완료 후에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를 다시 축소함으로써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가 복원될 수 있다.
수신부(52)는 블록마다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추출하고, 역변환장치(10)도 블록마다 2차원 역변환을 수행하여 공간영역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예측복호화부(54)도 블록마다 레지듀얼 데이터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거쳐 블록의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복호화 장치(50)가 블록들을 복호화한 결과, 블록들을 포함하는 영상을 복원하고, 영상들이 복원된 결과 영상시퀀스를 포함하는 비디오를 복원할 수 있다.
도 7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를 포함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7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70)가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70)는, 부호화부(72), 역변환 장치(10), 예측복호화부(7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는, 영상 블록별로 인트라 예측, 인터 예측, 변환, 양자화를 수행하여 샘플들을 생성하고, 샘플들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비트스트림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 81에서, 부호화부(72)는, 인트라 예측부호화 또는 움직임 예측을 통해 현재블록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하고,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다. 부호화부(72)는,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을 수행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변환양자화부(12)는, 변환계수들에 대해 양자화를 수행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 즉 양자화 계수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82에서, 역변환 장치(10)는, 부호화부(72)에 의해 생성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를 수신한다.
단계 83에서, 역변환 장치(10)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역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역변환 장치(10)는,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를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4에서, 역변환 장치(10)는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중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84에서,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역변환 장치(10)는,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블록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5에서, 역변환 장치(10)는 단계 63에서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86에서, 예측 복호화부(74)는 단계 85에서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통해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가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예측 복호화부(74)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가 확대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의 완료 후에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를 다시 축소함으로써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가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단계 81에서 부호화부(72)가 다음 블록의 인트라 예측 또는 움직임 예측을 수행할 때, 단계 86에서 복원된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를 참조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 또는 움직임 예측에서는, 복원된 영상데이터를 내부 비트뎁스만큼 확대한 참조영상이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50)와 비디오 부호화 장치(70)는 각각,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미리 1차 역변환 및 2차 역변환의 입력데이터를 클리핑하므로, 1차 역변환 및 2차 역변환 후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레지스터에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계별로 클리핑할 필요 없이 역양자화 및 1차 역변환 이후에만 클리핑을 수행함으로써, 최소한의 클리핑으로 1차 역변환 및 2차 역변환의 출력데이터의 오버플로우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변환 장치(10)에서, 비디오 데이터가 분할되는 블록들이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고, 부호화 단위에 대한 변환, 역변환을 위한 변환단위들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9 내지 22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로 축약하여 지칭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는 영상의 현재 픽처를 위한 최대 크기의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현재 픽처를 구획할 수 있다. 현재 픽처가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크다면,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64x64, 128x128, 256x256 등의 데이터 단위로, 가로 및 세로 크기가 2의 자승인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는 최대 크기 및 심도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심도란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부호화 단위가 공간적으로 분할한 횟수를 나타내며, 심도가 깊어질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 분할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최상위 심도이며 최소 부호화 단위가 최하위 부호화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감소하므로,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복수 개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며,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는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공간 영역(spatial domain)의 영상 데이터가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계층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총 횟수를 제한하는 최대 심도 및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역이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을 부호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 별로 최종 부호화 결과가 출력될 심도를 결정한다. 즉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픽처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를 선택하여 부호화 심도로 결정한다. 결정된 부호화 심도 및 최대 부호화 단위별 영상 데이터는 출력부(130)로 출력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영상 데이터는 최대 심도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심도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부호화되고,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부호화 결과가 비교된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의 비교 결과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최대화 부호화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계층적으로 분할되어 분할되며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증가한다. 또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오차를 측정하고 하위 심도로의 분할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터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오차가 다르므로 위치에 따라 부호화 심도가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 심도가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으며,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은,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모든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 중, 부호화 심도로 결정된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한다.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 내에서 동일 영역에서는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결정되고, 다른 영역들에 대해서는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영역에 대한 부호화 심도는, 다른 영역에 대한 부호화 심도와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분할 횟수와 관련된 지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심도 레벨의 총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0이라고 할 때, 최대 부호화 단위가 1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1로 설정되고, 2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2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4회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최소 부호화 단위라면, 심도 0, 1, 2, 3 및 4의 심도 레벨이 존재하므로 제 1 최대 심도는 4, 제 2 최대 심도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 및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측 부호화 및 변환도 마찬가지로,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심도 이하의 심도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가 심도별로 분할될 때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생성되는 모든 심도별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 부호화 및 변환을 포함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 중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예측 부호화 및 변환을 설명하겠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데이터 단위의 크기 또는 형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해서는 예측 부호화, 변환, 엔트로피 부호화 등의 단계를 거치는데, 모든 단계에 걸쳐서 동일한 데이터 단위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단계별로 데이터 단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부호화 단위 뿐만 아니라,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의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와 다른 데이터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를 위해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 즉 더 이상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를 기반으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예측 부호화의 기반이 되는 더 이상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라고 지칭한다. 예측 단위가 분할된 파티션은, 예측 단위 및 예측 단위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가 분할된 데이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은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가 분할된 형태의 데이터 단위이고, 예측 단위는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파티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단, N은 양의 정수)의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경우, 크기 2Nx2N의 예측 단위가 되며, 파티션의 크기는 2Nx2N, 2NxN, Nx2N, NxN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타입은 예측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대칭적 파티션들뿐만 아니라, 1:n 또는 n:1과 같이 비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파티션들,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할된 파티션들, 임의적 형태의 파티션들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는, 2Nx2N, 2NxN, Nx2N, NxN 크기의 파티션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는 2Nx2N 크기의 파티션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이내의 하나의 예측 단위마다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한 부호화 단위 뿐만 아니라, 부호화 단위와 다른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변환을 위해서는,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변환 단위를 기반으로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단위는, 인트라 모드를 위한 데이터 단위 및 인터 모드를 위한 변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부호화 단위 내의 변환 단위도 재귀적으로 더 작은 크기의 변환 단위로 분할되면서,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가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에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에 대해서도,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분할하여 변환 단위에 이르기까지의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변환 심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변환 심도 0, 변환 단위의 크기가 NxN이라면 변환 심도 1, 변환 단위의 크기가 N/2xN/2이라면 변환 심도 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변환 단위에 대해서도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심도 뿐만 아니라 예측 관련 정보 및 변환 관련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킨 부호화 심도 뿐만 아니라, 예측 단위를 파티션으로 분할한 파티션 타입, 예측 단위별 예측 모드,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예측단위/파티션, 및 변환 단위의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22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오차를 라그랑지 곱(Lagrangian Multiplier) 기반의 율-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심도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 및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의 레지듀얼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일 수 있다.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부호화 심도 정보,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정보는, 현재 심도로 부호화하지 않고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부호화되므로 현재 심도의 분할 정보는 더 이상 하위 심도로 분할되지 않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가 아니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한 부호화를 시도해보아야 하므로, 현재 심도의 분할 정보는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가 아니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에 대해 부호화가 수행된다.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 내에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하나 이상 존재하므로, 각각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동일한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recursive)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 안에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며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의 데이터는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획되어 위치 별로 부호화 심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해당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하위 부호화 심도인 최소 부호화 단위가 4분할된 크기의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모든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파티션 단위 및 변환 단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정사각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부호화 정보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와 예측 단위별 부호화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정보는, 예측 모드 정보, 파티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별로 전송되는 부호화 정보는 인터 모드의 추정 방향에 관한 정보, 인터 모드의 참조 영상 인덱스에 관한 정보, 움직임 벡터에 관한 정보, 인트라 모드의 크로마 성분에 관한 정보, 인트라 모드의 보간 방식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픽처, 슬라이스 또는 GOP별로 정의되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 및 최대 심도에 관한 정보는 비트스트림의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비디오에 대해 허용되는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최소 크기에 관한 정보도, 비트스트림의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예측과 관련된 참조정보, 예측정보, 단일방향예측 정보, 제4 슬라이스타입을 포함하는 슬라이스 타입 정보 등을 부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가장 간단한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한 계층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를 반분한 크기의 부호화 단위이다. 즉,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NxN 이다. 또한, 2Nx2N 크기의 현재 부호화 단위는 NxN 크기의 하위 심도 부호화 단위를 최대 4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처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기반으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의 형태 및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다양한 예측 모드, 변환 방식 등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상 크기의 부호화 단위의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부호화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해상도가 매우 높거나 데이터량이 매우 큰 영상을 기존 매크로블록 단위로 부호화한다면, 픽처당 매크로블록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진다. 이에 따라, 매크로블록마다 생성되는 압축 정보도 많아지므로 압축 정보의 전송 부담이 커지고 데이터 압축 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영상의 크기를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 단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영상 압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전술한 역변환 장치(10) 및 비디오 부호화 장치(7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별로 예측단위를 결정하고, 예측단위별로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포함하는 예측 부호화를 수행허거나, 인트라 복원 또는 움직임 보상을 포함하는 예측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별로 변환단위를 결정하고 변환단위마다 변환, 역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단위별로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현재예측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단위별로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현재 변환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을 수행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변환계수들에 대해 양자화를 수행하여 양자화된 변환계수, 즉 양자화 계수들을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을 위한 예측부호화를 위한 참조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영상복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변환단위별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역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를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역양자화 후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중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를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최대값은, i) 클리핑된 중간 데이터가 저장될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i)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가 저장될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최대값은, iii)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v)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1차 역변환 후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현재 변환단위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단위들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단위들마다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현재부호화 단위의 영상데이터가 복원될 수 있다.
참조영상 내에서 현재 예측단위가 참조할 예측단위를 결정하고, 참조 예측단위과 현재 예측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합성하여 현재 예측단위가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예측단위별로 인트라 복원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 결과 예측단위별로 복원하고 복원 예측단위들을 포함하는 현재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예측단위 및 영상은 다른 예측단위 및 영상의 참조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가 확대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단위별로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의 완료 후에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를 다시 축소함으로써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영상데이터가 복원될 수 있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수신부(210),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 및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로 축약하여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복호화 동작을 위한 부호화 단위, 심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각종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 등 각종 용어의 정의는, 도 9 및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수신부(210)는 부호화된 비디오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파싱한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따라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현재 픽처에 대한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현재 픽처의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된다. 즉, 비트열의 영상 데이터를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가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심도 정보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해당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심도 정보로서, 심도별 분할 정보가 추출될 수도 있다.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가 추출한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와 같이 부호화단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별 심도별 부호화 단위마다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이다. 따라서,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부호화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는, 해당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소정 데이터 단위에 대해 할당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소정 데이터 단위별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소정 데이터 단위별로, 해당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동일한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소정 데이터 단위들은 동일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터 단위로 유추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부호화 심도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현재 픽처를 복원한다. 즉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가운데 각각의 부호화 단위마다, 판독된 파티션 타입, 예측 모드, 변환 단위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과정은 인트라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포함하는 예측 과정, 및 역변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정보 및 예측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각각의 파티션 및 예측 모드에 따라 인트라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별 역변환을 위해,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 정보를 판독하여, 부호화 단위마다 변환 단위에 기초한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을 통해, 부호화 단위의 공간 영역의 화소값이 복원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분할 정보가 현재 심도에서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면 현재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예측 모드 및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중 소정 데이터 단위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부호화 정보를 관찰하여, 동일한 분할 정보를 포함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단위가 모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에 의해 동일한 부호화 모드로 복호화할 하나의 데이터 단위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결정된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 중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전술한 역변환 장치(10)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별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위한 변환단위들을 결정하고 변환단위마다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호화 단위들별로, 인트라 복원 또는 움직임 보상을 위한 예측단위들을 결정하고 예측단위마다 인트라 복원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수신부(210)에 의해 추출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한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변환단위별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역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를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역양자화 후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중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를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최대값은, i) 클리핑된 중간 데이터가 저장될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i)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가 저장될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최대값은, iii)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v)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1차 역변환 후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현재 변환단위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단위들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참조영상 내에서 현재 예측단위가 참조할 예측단위를 결정하고, 참조 예측단위과 현재 예측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합성하여 현재 예측단위가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예측단위별로 인트라 복원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 결과 예측단위별로 복원하고 복원 예측단위들을 포함하는 현재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영상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가 확대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단위별로 인트라 복원 또는 움직임 보상의 완료 후에는 내부 비트뎁스만큼 데이터 범위를 다시 축소함으로써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영상데이터가 복원될 수 있다.
결국,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과정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킨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픽처에 대한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 부호화 단위로 결정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높은 해상도의 영상 또는 데이터량이 과도하게 많은 영상이라도 부호화단으로부터 전송된 최적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특성에 적응적으로 결정된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부호화 모드에 따라 효율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개념을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의 예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너비x높이로 표현되며, 크기 64x64인 부호화 단위부터, 32x32, 16x16, 8x8를 포함할 수 있다.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64x64, 64x32, 32x64, 32x32의 파티션들로 분할될 수 있고,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32x16, 16x32, 16x16의 파티션들로,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16x16, 16x8, 8x16, 8x8의 파티션들로,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는 크기 8x8, 8x4, 4x8, 4x4의 파티션들로 분할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1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2로 설정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터(32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1920x1080,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 최대 심도가 3로 설정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터(330)에 대해서는, 해상도는 352x288,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는 16, 최대 심도가 1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낸다.
해상도가 높거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부호화 효율의 향상 뿐만 아니라 영상 특성을 정확히 반형하기 위해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330)에 비해, 해상도가 높은 비디오 데이터(310, 320)는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64로 선택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10)의 최대 심도는 2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10)의 부호화 단위(31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2회 분할하며 심도가 두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32, 16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비디오 데이터(330)의 최대 심도는 1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30)의 부호화 단위(335)는 장축 크기가 16인 부호화 단위들로부터, 1회 분할하며 심도가 한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8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320)의 최대 심도는 3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20)의 부호화 단위(32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3회 분할하며 심도가 세 계층 깊어져서 장축 크기가 32, 16, 8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심도가 깊어질수록 세부 정보의 표현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4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40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포함한다. 즉, 인트라 예측부(410)는 현재 프레임(405) 중 인트라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인터 모드의 현재 프레임(405) 및 참조 프레임(495)을 이용하여 인터 추정 및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변환부(430) 및 양자화부(440)를 거쳐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역양자화부(460), 역변환부(470)을 통해 공간 영역의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는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를 거쳐 후처리되어 참조 프레임(495)으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450)를 거쳐 비트스트림(455)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영상 부호화부(400)의 구성 요소들인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움직임 보상부(425), 변환부(430), 양자화부(440), 엔트로피 부호화부(450), 역양자화부(460), 역변환부(470),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심도를 고려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고려하여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변환부(43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중 각각의 부호화 단위 내의 변환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특히, 역양자화부(460)는 변환단위별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역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역변환부(470)는 역양자화 후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중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역변환부(470)는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최대값은, i) 클리핑된 중간 데이터가 저장될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i)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가 저장될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최대값은, iii)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v)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역변환부(470)는, 1차 역변환 후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현재 변환단위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5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비트스트림(505)이 파싱부(510)를 거쳐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에 관한 정보가 파싱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및 역양자화부(530)를 거쳐 역양자화된 데이터로 출력되고, 역변환부(540)를 거쳐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복원된다.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인트라 예측부(550)는 인트라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보상부(560)는 참조 프레임(585)를 함께 이용하여 인터 모드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550) 및 움직임 보상부(560)를 거친 공간 영역의 데이터는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를 거쳐 후처리되어 복원 프레임(595)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를 거쳐 후처리된 데이터는 참조 프레임(585)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에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500)의 파싱부(510) 이후의 단계별 작업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영상 복호화부(500)의 구성 요소들인 파싱부(510),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역양자화부(530), 역변환부(540),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기반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 각각마다 파티션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역변환부(540)는 부호화 단위마다 변환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특히, 역양자화부(530)는 변환단위별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역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의 범위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역변환부(540)는 역양자화 후 클리핑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1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중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역변환부(540)는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로 클리핑할 수 있다. 제2 최대값 및 제2 최소값의 범위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의 크기, 즉 현재 변환단위의 크기와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최대값은, i) 클리핑된 중간 데이터가 저장될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i)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가 저장될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최대값은, iii)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iv)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역변환부(540)는, 1차 역변환 후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한 2차 역변환을 수행하여 현재 변환단위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영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계층적인 부호화 단위를 사용한다.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 최대 심도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는 부호화 단위의 최대 높이 및 너비가 64이며, 최대 심도가 4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의 총 분할 횟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서 심도가 깊어지므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각각 분할한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의 기반이 되는 예측 단위 및 파티션이 도시되어 있다.
즉, 부호화 단위(610)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 중 최대 부호화 단위로서 심도가 0이며, 부호화 단위의 크기, 즉 높이 및 너비가 64x64이다.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깊어지며, 크기 32x32인 심도 1의 부호화 단위(620), 크기 16x16인 심도 2의 부호화 단위(630) 및 크기 8x8인 심도 3의 부호화 단위(640)가 존재한다. 크기 8x8인 심도 3의 부호화 단위(640)는 최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며 최소 부호화 단위이다.
각각의 심도별로 가로축을 따라,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 및 파티션들이 배열된다. 즉, 심도 0의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가 예측 단위라면, 예측 단위는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크기 64x64의 파티션(610), 크기 64x32의 파티션들(612), 크기 32x64의 파티션들(614), 크기 32x32의 파티션들(61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1의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의 예측 단위는,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에 포함되는 크기 32x32의 파티션(620), 크기 32x16의 파티션들(622), 크기 16x32의 파티션들(624), 크기 16x16의 파티션들(62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2의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의 예측 단위는,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에 포함되는 크기 16x16의 파티션(630), 크기 16x8의 파티션들(632), 크기 8x16의 파티션들(634), 크기 8x8의 파티션들(636)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3의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의 예측 단위는,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에 포함되는 크기 8x8의 파티션(640), 크기 8x4의 파티션들(642), 크기 4x8의 파티션들(644), 크기 4x4의 파티션들(646)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기 위해, 최대 부호화 단위(610)에 포함되는 각각의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야 한다.
동일한 범위 및 크기의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는, 심도가 깊어질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개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한 개가 포함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는 네 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를 심도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한 개의 심도 1의 부호화 단위 및 네 개의 심도 2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되어야 한다.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를 위해서는,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해당 심도에서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인 대표 부호화 오차가 선택될 수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깊어지며, 각각의 심도마다 부호화를 수행하여, 심도별 대표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가 검색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610) 중 최소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 및 파티션이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부호화 심도 및 파티션 타입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한다. 부호화 과정 중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크지 않은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서, 현재 부호화 단위(710)가 64x64 크기일 때, 32x32 크기의 변환 단위(720)를 이용하여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64x64 크기의 부호화 단위(710)의 데이터를 64x64 크기 이하의 32x32, 16x16, 8x8, 4x4 크기의 변환 단위들로 각각 변환을 수행하여 부호화한 후, 원본과의 오차가 가장 적은 변환 단위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서, 각각의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부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에 대한 정보(8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데이터 단위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가 분할된 파티션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 CU_0는, 크기 2Nx2N의 파티션(802), 크기 2NxN의 파티션(804), 크기 Nx2N의 파티션(806), 크기 NxN의 파티션(808)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분할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는 크기 2Nx2N의 파티션(802), 크기 2NxN의 파티션(804), 크기 Nx2N의 파티션(806) 및 크기 NxN의 파티션(808) 중 하나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는, 각각의 파티션의 예측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를 통해,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가 가리키는 파티션이 인트라 모드(812), 인터 모드(814) 및 스킵 모드(816) 중 하나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는지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변환 단위 크기에 관한 정보(82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어떠한 변환 단위를 기반으로 변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변환 단위는 제 1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2),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4), 제 1 인터 변환 단위 크기(826), 제 2 인트라 변환 단위 크기(828)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10)는, 각각의 심도별 부호화 단위마다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800),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810), 변환 단위 크기에 대한 정보(820)를 추출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심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분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가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지 여부를 나타낸다.
심도 0 및 2N_0x2N_0 크기의 부호화 단위(90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10)는 2N_0x2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2), 2N_0x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4), N_0x2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6), N_0xN_0 크기의 파티션 타입(91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파티션들(912, 914, 916, 918)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파티션 타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대칭적 파티션, 임의적 형태의 파티션, 기하학적 형태의 파티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마다, 한 개의 2N_0x2N_0 크기의 파티션, 두 개의 2N_0xN_0 크기의 파티션, 두 개의 N_0x2N_0 크기의 파티션, 네 개의 N_0xN_0 크기의 파티션마다 반복적으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크기 2N_0x2N_0, 크기 N_0x2N_0 및 크기 2N_0xN_0 및 크기 N_0xN_0의 파티션에 대해서는,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로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스킵 모드는 크기 2N_0x2N_0의 파티션에 예측 부호화가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크기 2N_0x2N_0, 2N_0xN_0 및 N_0x2N_0의 파티션 타입(912, 914, 916) 중 하나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더 이상 하위 심도로 분할할 필요 없다.
크기 N_0xN_0의 파티션 타입(91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0를 1로 변경하며 분할하고(920), 심도 2 및 크기 N_0xN_0의 파티션 타입의 부호화 단위들(930)에 대해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심도 1 및 크기 2N_1x2N_1 (=N_0xN_0)의 부호화 단위(93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40)는, 크기 2N_1x2N_1의 파티션 타입(942), 크기 2N_1xN_1의 파티션 타입(944), 크기 N_1x2N_1의 파티션 타입(946), 크기 N_1xN_1의 파티션 타입(9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기 N_1xN_1 크기의 파티션 타입(94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다면, 심도 1을 심도 2로 변경하며 분할하고(950), 심도 2 및 크기 N_2xN_2의 부호화 단위들(960)에 대해 반복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검색해 나갈 수 있다.
최대 심도가 d인 경우, 심도별 부호화 단위는 심도 d-1일 때까지 설정되고, 분할 정보는 심도 d-2까지 설정될 수 있다. 즉, 심도 d-2로부터 분할(970)되어 심도 d-1까지 부호화가 수행될 경우, 심도 d-1 및 크기 2N_(d-1)x2N_(d-1)의 부호화 단위(980)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단위(990)는, 크기 2N_(d-1)x2N_(d-1)의 파티션 타입(992), 크기 2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4), 크기 N_(d-1)x2N_(d-1)의 파티션 타입(996),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8)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가운데, 한 개의 크기 2N_(d-1)x2N_(d-1)의 파티션, 두 개의 크기 2N_(d-1)xN_(d-1)의 파티션, 두 개의 크기 N_(d-1)x2N_(d-1)의 파티션, 네 개의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마다 반복적으로 예측 부호화를 통한 부호화가 수행되어, 최소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파티션 타입이 검색될 수 있다.
크기 N_(d-1)xN_(d-1)의 파티션 타입(998)에 의한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더라도, 최대 심도가 d이므로,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 CU_(d-1)는 더 이상 하위 심도로의 분할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900)에 대한 부호화 심도가 심도 d-1로 결정되고, 파티션 타입은 N_(d-1)xN_(d-1)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심도가 d이므로,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952)에 대해 분할 정보는 설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단위(999)은, 현재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최소 단위'라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단위는, 최하위 부호화 심도인 최소 부호화 단위가 4분할된 크기의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 부호화 과정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900)의 심도별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가장 작은 부호화 오차가 발생하는 심도를 선택하여, 부호화 심도를 결정하고, 해당 파티션 타입 및 예측 모드가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심도 0, 1, ..., d-1, d의 모든 심도별 최소 부호화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작은 심도가 선택되어 부호화 심도로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 및 예측 단위의 파티션 타입 및 예측 모드는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로써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심도 0으로부터 부호화 심도에 이르기까지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야 하므로, 부호화 심도의 분할 정보만이 '0'으로 설정되고, 부호화 심도를 제외한 심도별 분할 정보는 '1'로 설정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영상 데이터 및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부호화 단위(900)에 대한 부호화 심도 및 예측 단위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 단위(912)를 복호화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심도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 정보가 '0'인 심도를 부호화 심도로 파악하고, 해당 심도에 대한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8, 19 및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10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가 결정한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이다. 예측 단위(1060)는 부호화 단위(1010) 중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의 파티션들이며, 변환 단위(1070)는 각각의 부호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들이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은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0이라고 하면, 부호화 단위들(1012, 1054)은 심도가 1, 부호화 단위들(1014, 1016, 1018, 1028, 1050, 1052)은 심도가 2, 부호화 단위들(1020, 1022, 1024, 1026, 1030, 1032, 1048)은 심도가 3, 부호화 단위들(1040, 1042, 1044, 1046)은 심도가 4이다.
예측 단위들(1060) 중 일부 파티션(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형태이다. 즉, 파티션(1014, 1022, 1050, 1054)은 2NxN의 파티션 타입이며, 파티션(1016, 1048, 1052)은 Nx2N의 파티션 타입, 파티션(1032)은 NxN의 파티션 타입이다. 심도별 부호화 단위들(1010)의 예측 단위 및 파티션들은 각각의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다.
변환 단위들(1070) 중 일부(1052)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호화 단위에 비해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로 변환 또는 역변환이 수행된다. 또한, 변환 단위(1014, 1016, 1022, 1032, 1048, 1050, 1052, 1054)는 예측 단위들(1060) 중 해당 예측 단위 및 파티션와 비교해보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태의 데이터 단위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다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동일한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움직임 추정/움직임 보상 작업, 및 변환/역변환 작업이라 할지라도, 각각 별개의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영역별로 계층적인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최적 부호화 단위가 결정됨으로써, 재귀적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이 구성될 수 있다.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단위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일례를 나타낸다.
분할 정보 0 (현재 심도 d의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부호화) 분할 정보 1
예측 모드 파티션 타입 변환 단위 크기 하위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반복적 부호화
인트라
인터

스킵 (2Nx2N만)
대칭형 파티션 타입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변환 단위 분할 정보 0 변환 단위
분할 정보 1
2Nx2N
2NxN
Nx2N
NxN
2NxnU
2NxnD
nLx2N
nRx2N
2Nx2N NxN
(대칭형 파티션 타입)

N/2xN/2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출력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의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현재 심도 d의 분할 정보가 0이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하위 부호화 단위로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심도가 부호화 심도이므로, 부호화 심도에 대해서 파티션 타입 정보, 예측 모드, 변환 단위 크기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분할 정보에 따라 한 단계 더 분할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분할된 4개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마다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는 모든 파티션 타입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킵 모드는 파티션 타입 2Nx2N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정보는, 예측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2N, 2NxN, Nx2N 및 NxN 과, 비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nU, 2NxnD, nLx2N, nRx2N를 나타낼 수 있다.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2NxnU 및 2NxnD는 각각 높이가 1:3 및 3:1로 분할된 형태이며, 비대칭적 파티션 타입 nLx2N 및 nRx2N은 각각 너비가 1:3 및 3:1로 분할된 형태를 나타낸다.
변환 단위 크기는 인트라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 인터 모드에서 두 종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 이라면, 변환 단위의 크기가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 2Nx2N로 설정된다.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라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된 크기의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크기 2Nx2N인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파티션 타입이 대칭형 파티션 타입이라면 변환 단위의 크기는 NxN,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이라면 N/2xN/2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 단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동일한 부호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예측 단위 및 최소 단위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데이터 단위들끼리 각각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들을 확인하면, 동일한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단위가 보유하고 있는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면 해당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 내의 부호화 심도들의 분포가 유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주변 데이터 단위를 참조하여 예측하기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인접하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 내의 데이터 단위의 부호화 정보가 직접 참조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현재 부호화 단위가 주변 부호화 단위를 참조하여 예측 부호화가 수행되는 경우, 인접하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심도별 부호화 단위 내에서 현재 부호화 단위에 인접하는 데이터가 검색됨으로써 주변 부호화 단위가 참조될 수도 있다.
도 21 은 표 1의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1300)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1302, 1304, 1306, 1312, 1314, 1316, 1318)을 포함한다. 이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1318)는 부호화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므로 분할 정보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1318)의 파티션 타입 정보는, 파티션 타입 2Nx2N(1322), 2NxN(1324), Nx2N(1326), NxN(1328), 2NxnU(1332), 2NxnD(1334), nLx2N(1336) 및 nRx2N(1338)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는 변환 인덱스의 일종으로서, 변환 인덱스에 대응하는 변환 단위의 크기는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 타입 또는 파티션 타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타입 정보가 대칭형 파티션 타입 2Nx2N(1322), 2NxN(1324), Nx2N(1326) 및 NxN(1328)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이면 크기 2Nx2N의 변환 단위(1342)가 설정되고,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면 크기 NxN의 변환 단위(1344)가 설정될 수 있다.
파티션 타입 정보가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2NxnU(1332), 2NxnD(1334), nLx2N(1336) 및 nRx2N(1338) 중 하나로 설정된 경우,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가 0이면 크기 2Nx2N의 변환 단위(1352)가 설정되고,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면 크기 N/2xN/2의 변환 단위(1354)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변환 단위 분할 정보(TU size flag)는 0 또는 1의 값을 갖는 플래그이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비트의 플래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에 따라 0, 1, 2, 3.. 등으로 증가하며 변환 단위가 계층적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변환 단위 분할 정보는 변환 인덱스의 한 실시예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 변환 단위의 최소 크기와 함께 이용하면, 실제로 이용된 변환 단위의 크기가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정보, 최소 변환 단위 크기 정보 및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최대 변환 단위 크기 정보, 최소 변환 단위 크기 정보 및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는 SPS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정보, 최소 변환 단위 크기 정보 및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복호화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현재 부호화 단위가 크기 64x64이고, 최대 변환 단위 크기는 32x32이라면, (a-1)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32x32, (a-2)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16x16, (a-3)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2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8x8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b) 현재 부호화 단위가 크기 32x32이고, 최소 변환 단위 크기는 32x32이라면, (b-1)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일 때 변환 단위의 크기가 32x32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변환 단위의 크기가 32x32보다 작을 수는 없으므로 더 이상의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설정될 수 없다.
또 다른 예로, (c) 현재 부호화 단위가 크기 64x64이고,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1이라면, 변환 단위 분할 정보는 0 또는 1일 수 있으며, 다른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설정될 수 없다.
따라서,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MaxTransformSizeIndex', 최소 변환 단위 크기를 'MinTransformSize',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를 'RootTuSize'라고 정의할 때,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가능한 최소 변환 단위 크기 'CurrMinTuSize'는 아래 관계식 (1) 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CurrMinTuSize
= max (MinTransformSize, RootTuSize/(2^MaxTransformSizeIndex)) ... (1)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가능한 최소 변환 단위 크기 'CurrMinTuSize'와 비교하여,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는 시스템상 채택 가능한 최대 변환 단위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관계식 (1)에 따르면, 'RootTuSize/(2^MaxTransformSizeIndex)'는,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를 최대 변환 단위 분할 정보에 상응하는 횟수만큼 분할한 변환 단위 크기이며, 'MinTransformSize'는 최소 변환 단위 크기이므로, 이들 중 작은 값이 현재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가능한 최소 변환 단위 크기 'CurrMinTuSiz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변환 단위 크기 RootTuSize는 예측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라면 RootTuSize는 아래 관계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관계식 (2)에서 'MaxTransformSize'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PUSize'는 현재 예측 단위 크기를 나타낸다.
RootTuSize = min(MaxTransformSize, PUSize) ......... (2)
즉 현재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라면,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및 현재 예측 단위 크기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재 파티션 단위의 예측 모드가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라면 모드라면 'RootTuSize'는 아래 관계식 (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PartitionSize'는 현재 파티션 단위의 크기를 나타낸다.
RootTuSize = min(MaxTransformSize, PartitionSize) ...........(3)
즉 현재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라면, 변환 단위 분할 정보가 0인 경우의 변환 단위 크기인 'RootTuSize'는 최대 변환 단위 크기 및 현재 파티션 단위 크기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파티션 단위의 예측 모드에 따라 변동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최대 변환 단위 크기 'RootTuSize'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현재 최대 변환 단위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9 내지 21를 참조하여 전술된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기법에 따라,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공간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부호화되며,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기법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복호화가 수행되면서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복원되어, 픽처 및 픽처 시퀀스인 비디오가 복원될 수 있다. 복원된 비디오는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역변환 방법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은,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으로 통칭한다. 또한, 앞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역변환 방법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은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으로 지칭한다
또한, 앞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역변환 장치(10), 비디오 부호화단(70), 비디오 복호화단(80),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영상 부호화부(400)로 구성된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로 통칭한다. 또한, 앞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역변환 장치(10), 비디오 복호화단(80),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 또는 영상 복호화부(500)로 구성된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로 통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가 디스크(26000)인 실시예를 이하 상술한다.
도 22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저장된 디스크(26000)의 물리적 구조를 예시한다. 저장매체로서 전술된 디스크(26000)는, 하드드라이브, 시디롬(CD-ROM)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DVD 디스크일 수 있다. 디스크(26000)는 다수의 동심원의 트랙(tr)들로 구성되고, 트랙들은 둘레 방향에 따라 소정 개수의 섹터(Se)들로 분할된다. 상기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디스크(26000) 중 특정 영역에, 전술된 역변환 방법,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술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달성된 컴퓨터 시스템이 도 23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23는 디스크(26000)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판독하기 위한 디스크드라이브(26800)를 도시한다. 컴퓨터 시스템(26700)은 디스크드라이브(268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디스크(26000)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크(260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26700)상에서 실행하기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26800)에 의해 디스크(26000)로부터 프로그램이 판독되고,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26700)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2 및 23에서 예시된 디스크(26000) 뿐만 아니라, 메모리 카드, 롬 카세트, SSD(Solid State Drive)에도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이 후술된다.
도 24은 컨텐트 유통 서비스(content 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트 공급 시스템(content supply system)(11000)의 전체적 구조를 도시한다. 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은 소정 크기의 셀들로 분할되고, 각 셀에 베이스 스테이션이 되는 무선 기지국(11700, 11800, 11900, 12000)이 설치된다.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다수의 독립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121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12200), 카메라(12300) 및 휴대폰(12500)과 같은 독립디바이스들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11200), 통신망(11400), 및 무선 기지국(11700, 11800, 11900, 12000)을 거쳐 인터넷(11100)에 연결된다.
그러나,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도 25에 도시된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디바이스들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독립 디바이스들은 무선 기지국(11700, 11800, 11900, 12000)을 거치지 않고 통신망(114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같이 비디오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디바이스이다. 휴대폰(12500)은 PDC(Personal Digital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방식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는 무선기지국(11900) 및 통신망(11400)을 거쳐 스트리밍 서버(113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11300)는 사용자가 비디오 카메라(12300)를 사용하여 전송한 컨텐트를 실시간 방송으로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는 비디오 카메라(12300) 또는 스트리밍 서버(11300)에 의해 부호화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2300)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는 컴퓨터(12100)을 거쳐 스트리밍 서버(11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카메라(12600)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도 컴퓨터(12100)를 거쳐 스트리밍 서버(11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카메라(12600)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정지영상과 비디오 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이다. 카메라(126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는 카메라(12600) 또는 컴퓨터(12100)에 의해 부호화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12100)가 억세스할 수 있는 시디롬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SSD , 메모리 카드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12500)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비디오가 촬영된 경우, 비디오 데이터가 휴대폰(12500)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카메라(12300), 휴대폰(12500) 또는 카메라(12600)에 탑재된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시스템에 의해 부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에서, 예를 들어 콘서트의 현장녹화 컨텐트와 같이, 사용자가 비디오 카메라(12300), 카메라(12600), 휴대폰(12500) 또는 다른 촬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녹화된 컨텐트가 부호화되고, 스트리밍 서버(11300)로 전송된다. 스트리밍 서버(11300)는 컨텐트 데이터를 요청한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 컨텐트 데이터를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들은 부호화된 컨텐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12100), PDA(12200), 비디오 카메라(12300) 또는 휴대폰(12500)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클라이언트들이 부호화된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은, 클라이언트들이 부호화된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복호화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방송(personal broadcasting)이 가능하게 한다.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에 포함된 독립 디바이스들의 부호화 동작 및 복호화 동작에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여 컨텐트 공급 시스템(11000) 중 휴대폰(12500)의 일 실시예가 상세히 후술된다.
도 2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폰(12500)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다. 휴대폰(12500)은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휴대폰(12500)은, 무선기지국(12000)과 RF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내장 안테나(12510)을 포함하고,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또는 안테나(12510)에 의해 수신되어 복호화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화면 같은 디스플레이화면(1252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2510)은 제어버튼,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동작 패널(125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화면(12520)이 터치스크린인 경우, 동작 패널(12540)은 디스플레이화면(12520)의 터치감지패널을 더 포함한다. 스마트폰(12510)은 음성,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580) 또는 다른 형태의 음향출력부와, 음성, 음향이 입력되는 마이크로폰(12550) 또는 다른 형태의 음향입력부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2510)은 비디오 및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125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12510)은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되거나 이메일(E-mail)로 수신되거나 다른 형태로 획득된 비디오나 정지영상들과 같이, 부호화되거나 복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12570); 그리고 저장매체(12570)를 휴대폰(12500)에 장착하기 위한 슬롯(12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매체(12570)는 SD카드 또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내장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와 같은 다른 형태의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도 26은 휴대폰(125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화면(12520) 및 동작 패널(12540)로 구성된 휴대폰(12500)의 각 파트를 조직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력공급회로(12700), 동작입력제어부(12640), 영상부호화부(12720),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LCD제어부(12620), 영상복호화부(12690),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multiplexer/demultiplexer)(12680), 기록/판독부(12670), 변조/복조(modulation/demodulation)부(12660) 및 음향처리부(12650)가, 동기화 버스(12730)를 통해 중앙제어부(12710)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동작하여 '전원꺼짐' 상태에서 '전원켜짐' 상태로 설정하면, 전력공급회로(12700)는 배터리팩으로부터 휴대폰(12500)의 각 파트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휴대폰(12500)가 동작 모드로 셋팅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12710)는 CPU,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휴대폰(12500)이 외부로 통신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는,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휴대폰(12500)에서 디지털 신호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음향처리부(12650)에서는 디지털 음향신호가 생성되고, 영상 부호화부(12720)에서는 디지털 영상신호가 생성되며, 동작 패널(12540) 및 동작 입력제어부(12640)를 통해 메시지의 텍스트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신호가 변조/복조부(12660)에게 전달되면, 변조/복조부(12660)는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변조하고, 통신회로(12610)는 대역변조된 디지털 음향신호에 대해 D/A변환(Digital-Analog conversion) 및 주파수변환(frequency conversion) 처리를 수행한다. 통신회로(12610)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는 안테나(12510)를 통해 음성통신기지국 또는 무선기지국(12000)으로 송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12500)이 통화 모드일 때 마이크로폰(12550)에 의해 획득된 음향신호는,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음향처리부(12650)에서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된다. 생성된 디지털 음향신호는 변조/복조부(12660) 및 통신회로(12610)를 거쳐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안테나(12510)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데이터통신 모드에서 이메일과 같은 텍스트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동작 패널(12540)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되고, 텍스트 데이터가 동작 입력제어부(12640)를 통해 중앙제어부(12610)로 전송된다. 중앙제어부(12610)의 제어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는 변조/복조부(12660) 및 통신회로(12610)를 통해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안테나(12510)를 통해 무선기지국(12000)에게로 송출된다.
데이터통신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를 통해 영상부호화부(12720)로 제공된다. 카메라(125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및 LCD제어부(12620)를 통해 디스플레이화면(12520)에 곧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영상부호화부(12720)의 구조는,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구조와 상응할 수 있다. 영상부호화부(12720)는, 카메라(12530)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전술된 비디오 부호화 장치(100) 또는 영상 부호화부(400)의 비디오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2530)의 녹화 중에 휴대폰(12500)의 마이크로폰(12550)에 의해 획득된 음향신호도 음향처리부(12650)를 거쳐 디지털 음향데이터로 변환되고, 디지털 음향데이터는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는 음향처리부(12650)로부터 제공된 음향데이터와 함께 영상부호화부(12720)로부터 제공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화한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변조/복조부(12660) 및 통신회로(12610)를 통해 송신신호로 변환되고, 안테나(12510)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휴대폰(12500)이 외부로부터 통신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는, 안테나(125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복원(frequency recovery) 및 A/D변환(Analog-Digital conversion) 처리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변환한다. 변조/복조부(12660)는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복조한다. 대역복조된 디지털 신호는 종류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부(12690), 음향처리부(12650) 또는 LCD제어부(12620)로 전달된다.
휴대폰(12500)은 통화 모드일 때, 안테나(125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변환 및 A/D변환(Analog-Digital conversion) 처리를 통해 디지털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된 디지털 음향 신호는, 중앙제어부(12710)의 제어에 따라 변조/복조부(12660) 및 음향처리부(12650)를 거쳐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음향 신호가 스피커(12580)를 통해 출력된다.
데이터통신 모드에서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억세스된 비디오 파일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안테나(12510)를 통해 무선기지국(120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변조/복조부(12660)의 처리결과 다중화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다중화된 데이터는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로 전달된다.
안테나(12510)를 통해 수신한 다중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다중화/역다중화부(12680)는 다중화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스트림을 분리한다. 동기화 버스(12730)에 의해,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스트림은 비디오 복호화부(12690)로 제공되고,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스트림은 음향처리부(12650)로 제공된다.
영상복호화부(12690)의 구조는,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구조와 상응할 수 있다. 영상복호화부(12690)는 전술된 비디오 복호화 장치(200) 또는 영상 복호화부(500)의 비디오 복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를 LCD제어부(12620)를 거쳐 디스플레이화면(12520)에게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억세스된 비디오 파일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화면(1252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음향처리부(12650)도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스피커(1258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억세스된 비디오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도 스피커(12580)에서 재생될 수 있다.
휴대폰(12500) 또는 다른 형태의 통신단말기는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송수신 단말기이거나,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만을 포함하는 송신단말기이거나,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만을 포함하는 수신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도 25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이 적용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7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여, 위성 또는 지상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방송국(12890)은 전파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스트림을 통신위성 또는 방송위성(12900)으로 전송한다. 방송위성(12900)은 방송신호를 전송하고, 방송신호는 가정에 있는 안테나(12860)에 의해 위성방송수신기로 수신된다. 각 가정에서, 부호화된 비디오스트림은 TV수신기(12810), 셋탑박스(set-top box0)(12870)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복호화되어 재생될 수 있다.
재생장치(12830)에서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구현됨으로써, 재생장치(12830)가 디스크 및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12820)에 기록된 부호화된 비디오스트림을 판독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원된 비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모니터(1284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위성/지상파 방송을 위한 안테나(12860) 또는 케이블TV 수신을 위한 케이블 안테나(12850)에 연결된 셋탑박스(12870)에도,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탑재될 수 있다. 셋탑박스(12870)의 출력데이터도 TV모니터(12880)에서 재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셋탑박스(12870) 대신에 TV수신기(12810) 자체에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탑재될 수도 있다.
적절한 안테나(12910)를 구비한 자동차(12920)가 위성(12800) 또는 무선기지국(11700)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자동차(12920)에 탑재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129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호화된 비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는,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에 의해 부호화되어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DVD 레코더에 의해 영상 신호가 DVD디스크(12960)에 저장되거나, 하드디스크 레코더(12950)에 의해 하드디스크에 영상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디오 신호는 SD카드(1297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드디스크 레코더(12950)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면, DVD디스크(12960), SD카드(12970) 또는 다른 형태의 저장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신호가 모니터(1288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12930)은 도 27의 카메라(12530),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및 영상 부호화부(127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12100) 및 TV수신기(12810)도, 도 27의 카메라(12530), 카메라 인터페이스(12630) 및 영상 부호화부(127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 사용자 DB(14100), 컴퓨팅 자원(14200)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과 같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의 컴퓨팅 자원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토리지(Storage), 운영체제(OS), 보안(Security) 등의 컴퓨팅 자원을 각 사용자 소유의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에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기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특히,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데스트탑 PC(14300), 스마트TV(14400), 스마트폰(14500), 노트북(14600),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14700), 태블릿 PC(14800)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클라우드 망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컴퓨팅 자원(14200)을 통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컴퓨팅 자원(14200)은 여러가지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DB(14100)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로그인 정보와, 주소, 이름 등 개인 신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동영상의 인덱스(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재생을 완료한 동영상 목록과, 재생 중인 동영상 목록과, 재생 중인 동영상의 정지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DB(14100)에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노트북(14600)으로부터 재생 요청되어 노트북(14600)에게 소정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사용자 DB(14100)에 소정 동영상 서비스의 재생 히스토리가 저장된다. 스마트폰(14500)으로부터 동일한 동영상 서비스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DB(14100)을 참조하여 소정 동영상 서비스를 찾아서 재생한다. 스마트폰(14500)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비디오를 재생하는 동작은, 앞서 도 27을 참조하여 전술한 휴대폰(12500)의 동작과 유사하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DB(14100)에 저장된 소정 동영상 서비스의 재생 히스토리를 참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DB(14100)에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동영상이 그 전에 재생 중이었던 것이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는 사용자 단말기로의 선택에 따라 처음부터 재생하거나, 이전 정지 시점부터 재생하느냐에 따라 스트리밍 방법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처음부터 재생하도록 요청한 경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가 사용자 단말기에게 해당 동영상을 첫 프레임부터 스트리밍 전송한다. 반면, 단말기가 이전 정지시점부터 이어서 재생하도록 요청한 경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14100)가 사용자 단말기에게 해당 동영상을 정지시점의 프레임부터 스트리밍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는, 도 1 내지 2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기는, 도 1 내지 2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도 1 내지 2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활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 22 내지 도 28에서 전술되었다. 하지만,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본 발명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22 내지 도 28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단계;
    상기 클리핑된 변환계수에 대해 제1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를,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 및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제2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이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데이터를 클리핑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중간데이터를 제1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리핑된 중간데이터를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최대값은, 상기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제2 스토리지 최대값, 및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최대값은, 상기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및 상기 내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최소값은 상기 제1 최대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이고, 상기 제2 최소값은 상기 제2 최소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값은 상기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최대값은 상기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상기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L1-norm) 값이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방법은,
    상기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에 의해 상기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고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인트라 예측부호화 또는 움직임 예측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및 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방법.
  9.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역변환 장치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계수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변환계수들을,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역양자화부;
    상기 클리핑된 변환계수에 대해 제1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1 중간데이터를,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 및 내부 비트뎁스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최대값과 제2 최소값의 범위 이내로 클리핑하는 1차 역변환부; 및
    상기 클리핑된 중간데이터에 대해 제2 역변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차 역변환을 수행하는 2차 역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장치는,
    상기 1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1 중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스토리지;
    상기 클리핑된 제1 중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스토리지; 및
    상기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제2 중간데이터를 상기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직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이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는 수평주파수 방향의 1차원 역변환 매트릭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장치는,
    상기 제1 최대값을, 상기 제1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제2 스토리지 최대값, 및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2 최대값을, 상기 제1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스토리지 최대값,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 및 상기 내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현재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최소값은 상기 제1 최대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이고, 상기 제2 최소값은 상기 제2 최소값에 대응하는 최소음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장치는,
    상기 제1 최대값을 상기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역스케일링 시프트(de-scaling shift)한 값을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최대값을 상기 제2 스토리지 최대값을 상기 내부 비트뎁스를 고려하여 역스케일링 시프트한 값을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최대값을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로 나눈 값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제1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L1-norm) 값이고,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길이는 상기 제2 역변환 매트릭스의 L1-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장치는,
    상기 2차 역변환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복원된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인트라 예측복호화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영상데이터를 복원하는 예측복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장치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고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현재블록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추출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양자화부는 상기 추출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장치는,
    인트라 예측부호화 또는 움직임 예측에 의해 생성된 상기 현재블록의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양자화부는, 상기 부호화부에 의해 생성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변환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역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25711A 2011-11-07 2012-11-07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데이터를 클리핑하는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50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6510P 2011-11-07 2011-11-07
US61/556,510 2011-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896A true KR20130050896A (ko) 2013-05-16

Family

ID=4829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711A KR20130050896A (ko) 2011-11-07 2012-11-07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데이터를 클리핑하는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01450A1 (ko)
EP (1) EP2779646A4 (ko)
KR (1) KR20130050896A (ko)
TW (1) TW201325247A (ko)
WO (1) WO201306995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174A1 (ko) * 2015-09-21 2017-03-30 엘지전자(주) 계수 유도 예측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35655A1 (ko) * 2018-01-08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20032632A1 (ko) * 2018-08-08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111A (en) * 2013-04-08 2014-10-22 Sony Corp Data encoding and decoding
US9762920B2 (en) * 2013-06-07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ange control of intermediate data in resampling process
US20160048697A1 (en) * 2014-08-18 2016-02-18 Spatial Digital Systems, Inc. Enveloping and de-enveloping for Digital Photos via Wavefront Muxing
US20160048371A1 (en) * 2014-08-18 2016-02-18 Spatial Digital Systems, Inc. Enveloping via Digital Audio
TW201611563A (zh) * 2014-08-18 2016-03-16 空間數碼系統公司 有設備獨立性的數碼加封
CN105373736A (zh) * 2014-08-18 2016-03-02 空间数码系统公司 通过数码音频的数码加封
TW201617926A (zh) * 2014-08-18 2016-05-16 空間數碼系統公司 遙控ip相機的數碼加封
TW201608390A (zh) * 2014-08-18 2016-03-01 空間數碼系統公司 數字版權管理和再廣播的數碼加封
US10264052B2 (en) * 2014-08-18 2019-04-16 Spatial Digital Systems, Inc. Enveloping for device independence
CN105376598A (zh) * 2014-08-18 2016-03-02 空间数码系统公司 通过波前覆用在云计算中的数码加封
US20160048701A1 (en) * 2014-08-18 2016-02-18 Spatial Digital Systems, Inc. Enveloping for remote Digital Camera
TW201619864A (zh) * 2014-08-18 2016-06-01 空間數碼系統公司 用於數碼影像的數碼加封
CN105516730B (zh) * 2014-09-24 2018-04-24 晨星半导体股份有限公司 视讯编码装置及视讯解码装置以及其编码与解码方法
CN106716896B (zh) * 2014-10-10 2020-01-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预编码信息的获取装置、方法和系统
US10305717B2 (en) 2016-02-26 2019-05-28 VertoCOMM, Inc. Devices and methods using the hermetic transfor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multi-channel signaling
US11019336B2 (en) * 2017-07-05 2021-05-25 Red.Com, Llc Video image data processing in electronic devices
US10540379B2 (en) * 2017-12-11 2020-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rching base encoded text
KR20230008911A (ko) * 2017-12-15 202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환에 기반한 영상 코딩 방법 및 그 장치
US10904563B2 (en) * 2019-01-02 2021-01-26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zero out transform
US11238167B2 (en) * 2019-06-14 2022-02-01 Sap Se Secure sublinear time differentially private median comput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3529B2 (ja) * 1992-09-28 2005-07-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圧縮・伸長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US6256422B1 (en) * 1998-11-04 2001-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form-domain correction of real-domain errors
US8300698B2 (en) * 2006-10-23 2012-10-3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ling of maximum dynamic range of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JP4254867B2 (ja) * 2007-01-3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0074705A (ja) * 2008-09-22 2010-04-02 Renesas Technology Corp 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装置
US8571099B2 (en) * 2011-06-01 2013-10-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coder with dynamic range compens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174A1 (ko) * 2015-09-21 2017-03-30 엘지전자(주) 계수 유도 예측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35655A1 (ko) * 2018-01-08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20032632A1 (ko) * 2018-08-08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12242B2 (en) 2018-08-08 2022-08-09 Lg Electronics Inc.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11863778B2 (en) 2018-08-08 2024-01-02 Lg Electronics Inc.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5247A (zh) 2013-06-16
EP2779646A1 (en) 2014-09-17
WO2013069958A1 (ko) 2013-05-16
US20140301450A1 (en) 2014-10-09
EP2779646A4 (en)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888B1 (ko) 인터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움직임 보상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1226B1 (ko) 최대 부호화 단위 별로 픽셀 분류에 따른 오프셋 조정을 이용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5295B1 (ko) 비디오 부호화 또는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움직임 벡터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663668B1 (ko) 영상 패딩영역의 비디오 복호화 및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50896A (ko) 비디오 복호화 과정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데이터를 클리핑하는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2254118B1 (ko) 인트라 블록 복사 예측을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9463B1 (ko) 스캔 순서를 고려한 영상의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및 역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50903A (ko) 비디오 부호화 또는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166338B1 (ko) 변환블록 크기에 기초한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07272A (ko) 블록크기에 따라 인터 예측의 참조픽처리스트를 결정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20130018628A (ko) 다시점 비디오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다시점 비디오 예측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51828B1 (ko) 율―왜곡 최적화 기반의 양자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770300B1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8921A (ko) Sao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73131A (ko) 인터 뷰 예측을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