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620A -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 Google Patents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620A
KR20130050620A KR1020110115796A KR20110115796A KR20130050620A KR 20130050620 A KR20130050620 A KR 20130050620A KR 1020110115796 A KR1020110115796 A KR 1020110115796A KR 20110115796 A KR20110115796 A KR 20110115796A KR 20130050620 A KR20130050620 A KR 2013005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otion
motion sensor
data
multimedi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620A/ko
Publication of KR2013005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의 UI 조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션인식 기술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모션인식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장치는 외부 개체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모션센서, 상기 모션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제공된 콘텐츠가 재생된 화면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전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멀티미디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멀티미디어를 소비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었다.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구비된 키패드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터치 센서, 촉각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모션 센서가 구비된 멀티미디어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장치에 동작을 가하면, 그 동작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동작 인식에 기반한 인터페이스 기술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지 여부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최대한 증대시키는 방향으로의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션 인식에 기반하여 멀티미디어 장치의 화면 제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할 수 있는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모션인식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장치는 외부 개체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모션센서, 상기 모션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제공된 콘텐츠가 재생된 화면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전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상에서 외부 개체의 상하, 좌우 및 깊이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전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모션인식에 기반한 UI 조작방법은 상기 모션센서가 외부 개체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 상에서 외부 개체의 상하, 좌우 및 깊이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전환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에 기반한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의 시계열적인 구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UI 조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UI 조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UI 조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UI 조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에 기반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에 기반한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의 시계열적인 구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는 모션센서(10), 신호 처리부(20), 제어부(30), 저장부(40),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션센서(1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여, 인식된 결과인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S210).
모션센서(10)는 적외선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은 인체감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발광부와 적외선 수광부가 서로 떨어져 있게 위치하고 있어, 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광이 사람의 손 등과 같은 사물로부터 반사되기까지의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입체감을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적외선 수광부는 적외선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식되는 사물의 깊이를 계산하여 입체감을 판단하게 된다.
모션센서(1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신호 처리부(20)로 전달되고, 해당 감지신호는 인식 가능한 데이터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30)로 전달된다(S220).
일 예로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대한 인식은 표시부(50)에 대한 상하/좌우 방향의 움직임, 깊이 방향의 움직임, 움직임의 속도, 현재 표시부(50) 화면의 상태정보(예를 들어, 메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 등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모션센서(10)는 상술한 요인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약속된 전기적 신호(예를 들어, 전압 또는 전류 값)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신호는 신호 처리부(20)로 전달되고, 신호 처리부(20)는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3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부(20)에서 처리되어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아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표시부(50)의 화면 상태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S230).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표시부(50) 화면 상태 제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를 위한 동작명령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5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40)에는 제어부(30)에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명령 정보가 기 정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30)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으면, 이에 해당하는 동작 명령 신호를 저장부(40)에서 독출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는 음성 출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60)는 제어부(30)에 의해 표시부(50)의 화면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비프음, 또는 전환된 화면의 내용에 대한 음성 안내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30)에서 수행되는 표시부(50) 화면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의 예를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장치의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51)과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메뉴 기능창(5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메뉴 기능창(52)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메뉴 1 내지 메뉴 n으로 구분되며, 메뉴 기능창(52)의 가운데 화면에는 현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메뉴 1)이 표시되고, 메뉴 1의 좌측에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전 메뉴(메뉴 n)가 표시되고, 우측에는 다음 메뉴(메뉴 2)가 표시된다. 메뉴 1의 하부에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위 어플리케이션(메뉴 1의 하위 메뉴 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는 사용자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메뉴 기능창(52)이 온/오프되는 조작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이 펴진 상태에서 표시부(50)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 모션센서(10)는 이를 인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약속된 전기적 신호를 신호 처리부(20)로 전달한다. 신호 처리부(20)는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30)에서 해석되어, 이에 해당하는 동작명령 신호가 저장부(40)에서 독출되어 표시부(50)로 전송된다. 표시부(50)에는 제어부(30)의 동작명령 신호에 따라 화면 상태를 전환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구동부는 메뉴 기능창(52)이 화면(51) 상에 온(On)되도록 구동된다. 여기서, 메뉴 기능창(52)은 화면(51) 상에서 팝업되어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화면(51)의 좌/우 어느 한 면에서 가운데로 슬라이드되어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의 (b)에는 사용자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메뉴 기능창(52)이 오프되는 조작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이 펴진 상태에서 표시부(50) 상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메뉴 기능창(52)은 화면(51) 상에서 비활성화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메뉴 기능창(5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모션센서(10)에서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도 메뉴 기능창(52)은 비활성화된다.
도 5에는 사용자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메뉴 기능창(52)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전환되도록 하는 조작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a)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화면(51) 상에 메뉴 기능창(52)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화면(51) 상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메뉴 기능창(51)에서 현재 상위 메뉴가 다음 항목의 상위 메뉴로 화면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메뉴 기능창의 가운데 화면이 메뉴 1에서 메뉴 2로 변경).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손이 화면(51) 상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기능창(51)에서 상위 메뉴가 이전 항목의 상위 메뉴로 화면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메뉴 기능창의 가운데 화면이 메뉴 1에서 메뉴 n으로 변경).
도 6에는 사용자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메뉴 기능창(52)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전환되도록 하는 또 다른 조작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메뉴 기능창(52)이 화면(51) 상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화면(51)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 현재 선택된 상위 메뉴(메뉴 1)의 하위 메뉴에 대한 화면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하위 메뉴 1에서 하위 메뉴 2로 변경).
도 7에는 사용자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조작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메뉴 기능창(52)이 화면(51) 상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화면(51)에 대하여 깊이 방향으로 1번 이동하면, 현재 메뉴 기능창(52)의 가운데에 위치한 상위 메뉴에 속하는 하위 메뉴가 선택되어 음영이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깊이 방향으로 1번 더 이동하면, 선택된 하위 메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도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외부 개체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모션센서;
    상기 모션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제공된 콘텐츠가 재생된 화면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전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상에서 외부 개체의 상하, 좌우 및 깊이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전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에서 외부 개체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한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센서에서 외부 개체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위에서 아래로 이동한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센서에서 외부 개체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한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배열을 변경하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센서에서 외부 개체가 상기 표시부에 대한 깊이 방향으로 이동한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키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에서 취득된 상기 깊이 방향으로 이동한 데이터가 1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음영을 표시하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가 상기 깊이 방향으로 이동한 데이터를 취득한 후,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또 다른 깊이 방향으로 이동한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9. 모션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UI 조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션센서가 외부 개체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및
    취득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 상에서 외부 개체의 상하, 좌우 및 깊이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달리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 전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
    인 모션 인식 기반의 UI 조작방법.
KR1020110115796A 2011-11-08 2011-11-08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KR20130050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96A KR20130050620A (ko) 2011-11-08 2011-11-08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96A KR20130050620A (ko) 2011-11-08 2011-11-08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620A true KR20130050620A (ko) 2013-05-16

Family

ID=4866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796A KR20130050620A (ko) 2011-11-08 2011-11-08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0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6342A (zh) * 2013-06-17 2013-12-04 上海理工大学 一种语音沟通方法和语音沟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6342A (zh) * 2013-06-17 2013-12-04 上海理工大学 一种语音沟通方法和语音沟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5583B2 (en) Modifying a highlighting function on a display based on content
KR101845185B1 (ko) 성공적 제스처 입력을 시그널링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6351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292907A1 (en) Ges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US9405373B2 (en) Recognition apparatus
US9354780B2 (en) Gesture-based selection and movement of objects
US95820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09986A (ko) 사용자 명령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9798456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88301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2676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tlight effect manipulation
US10474324B2 (en) Uninterruptable overlay on a display
WO20222475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irtual widgets in gesture-controlled device
CN108905198A (zh) 一种虚拟对象跳跃的控制方法和装置
CN101878463B (zh) 提供用户接口的方法
JP5813690B2 (ja) 座標位置検出装置及び表示入力装置
JP2015147259A (ja) ロボットの教示装置
JP6034281B2 (ja) 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050620A (ko) 모션 인식을 이용한 ui 조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CN10387014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603562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16140B2 (en) Touchscreen devices to transmit input selectively
CN111566602A (zh) 具有改进的触摸界面的计算机设备及相应的方法
CN103116449A (zh) 一种提供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CN115914701A (zh) 功能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