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061A -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061A
KR20130050061A KR1020110115198A KR20110115198A KR20130050061A KR 20130050061 A KR20130050061 A KR 20130050061A KR 1020110115198 A KR1020110115198 A KR 1020110115198A KR 20110115198 A KR20110115198 A KR 20110115198A KR 20130050061 A KR20130050061 A KR 2013005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tem
server
inform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기
Original Assignee
홍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기 filed Critical 홍영기
Priority to KR102011011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061A/ko
Publication of KR2013005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6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location of the game device or player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획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1차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의 아이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2차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수신한 물체 이미지와 2차 수신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제공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Game Uniting On-line with Off-line based on Location Based Service}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게임을 오프라인과 결합시켜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팔도록 하는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롤플레잉 게임은 역할을 수행하는 놀이를 통해 개릭터의 성격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형태의 게임이다. 이러한 롤플레잉 게임은 PC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장치로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고 출력장치로 모니터와 오디오를 이용한다. 또한 롤플레잉 게임은 가상세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의 분리가 특징이다.
그런데 롤플레잉 게임은 가상세계 즉 온라인 상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현실과는 거리감이 있고, 이에 따라 롤플레잉 게임상의 캐릭터와 실제 게임 이용자 사이에는 괴리감이 있어서 게임의 흥행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만 이루어지던 게임을 오프라인과 결합시키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오프라인 상에서 아이템을 획득하고 거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시키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획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1차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의 아이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2차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수신한 물체 이미지와 2차 수신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제공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 지역 내에 존재하는 물체들 중 미리 지정된 물체의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거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1차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의 장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판매 또는 구매할 아이템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2차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2차 수신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거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아이템 거래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템 거래 조건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장터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만 이루어지던 게임을 오프라인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아이템을 획득하고 거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상의 아이템을 획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시킨 게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상의 아이템을 거래(판매, 구입)하는 것과 관련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시킨 게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제공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와 서버(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게임을 구동할 수 있는 사양을 갖춘 것으로 정의된다. 휴대 단말기(100)는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내에 있는 모바일 프로세서(Mobile Processor; 120)를 통해 게임을 구동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칩(1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으로 외부의 장치나 시스템과 통신가능하며, 따라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온라인 게임의 구동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아울러, 휴대 단말기(100)는 내부에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110)을 내장하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란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LBS를 이용하여 온라인에 국한되어 있던 게임을 오프라인까지 확장결합하도록 한다. 이외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장치와 키패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후술하는 아이템 이미지 획득을 위해 카메라를 갖추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버(200)와 통신하며 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상의 아이템을 획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시킨 게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의 방법은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게임 내의 환경과 게임 외의 실제 환경이 결합된 게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먼저, 단계(S110)에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가 아이템 획득 정보를 서버에 요청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중의 "아이템 획득"을 선택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가 아이템 획득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 획득 정보"란 게임 상에서 사용하는 무기나 갑옷과 같은 아이템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특정 장소(예, 광화문광장, 남산 등)의 특정 물체(예, 광화문광장의 이순신동상, 남산의 남산타워)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증명되는 경우(예, 이순신동상의 사진 획득, 남산타워의 사진획득) 해당 특정 물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어느 장소의 어떤 물체가 아이템이 있는지 알아야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의 메뉴 상에서 "아이템 획득"을 선택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아이템 획득 정보, 즉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장소와 물체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한다.
서버(200)에서 "아이템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에 응하여 단계(S120)에서 서버(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GPS칩(110)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서버(200)는 이러한 절차들을 거쳐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1차로 수신한다.
서버(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하여 단계(S130)에서 단말기 위치 주변에 위치한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장소와 물체의 정보들, 즉 현재 위치 주변의 아이템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서버(200)는 이때 미리 정해진 반경(예, 500미터, 1킬로미터 등) 내에 존재하는 아이템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서버에서 보내온 아이템 정보를 보고, 현재 위치 주변의 아이템 정보를 파악한 후에, 그 중의 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140)에서 사용자는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 관련 물체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획득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이미지를 서버(200)로 송신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현재 광화문 인근에 있을 수 있고, 이때 아이템 정보로 광화문광장의 이순신동상에 아이템이 걸려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이동하여 이순신동상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획득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휴대 단말기(100)는 획득한 이미지를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란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주변 지역 내에 존재하는 물체들 중 미리 지정된 물체의 이미지인 것을 의미한다.
서버(200)는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를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하여, 단계(S150)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GPS칩(110)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서버(200)는 이러한 절차들을 거쳐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2차로 수신한다.
서버(200)가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2차로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단계(S160)에서 서버(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제공 요건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즉,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를 판독하고, 이 물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가 2차로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이러한 아이템 제공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에 아이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아이템은 각 물체에 대응하는 특수한 것일 수 있으며, 아이템을 제공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상기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상의 아이템을 거래(판매, 구입)하는 것과 관련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시킨 게임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방법은 도 2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게임 내의 환경과 게임 외의 실제 환경이 결합된 게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먼저, 단계(S210)에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가 아이템 거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중의 "아이템 거래"를 선택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가 아이템 거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 거래 정보"란 게임 상에서 사용하는 무기나 갑옷과 같은 아이템을 거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특정 장소(예, 광화문광장, 남산 등)의 특정 물체(예, 광화문광장의 이순신동상, 남산의 남산타워)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증명되는 경우(예, 이순신동상의 사진 획득, 남산타워의 사진획득)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어느 장소의 어떤 물체에 도달해야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지 알아야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의 메뉴 상에서 "아이템 거래"를 선택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아이템 거래 정보, 즉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장소와 물체의 정보를 서버에 요청한다.
서버(200)에서 "아이템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에 응하여 단계(S220)에서 서버(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GPS칩(110)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서버(200)는 이러한 절차들을 거쳐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1차로 수신한다.
서버(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하여 단계(S230)에서 단말기 위치 주변에 위치한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장소의 정보들, 즉 현재 위치 주변의 장터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서버(200)는 이때 미리 정해진 반경(예, 500미터, 1킬로미터 등) 내에 존재하는 장터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서버에서 보내온 장터 정보를 보고, 현재 위치 주변의 장터를 파악한 후에, 그 중의 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240)에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는 거래, 즉 판매 또는 구매할 거래 아이템 정보를 서버에 제공한다.
서버(200)는 거래 아이템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하여, 단계(S250)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GPS칩(110)을 구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서버(200)는 이러한 절차들을 거쳐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2차로 수신한다.
서버(200)가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2차로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단계(S260)에서 서버(2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거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즉 2차로 수신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장터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것인지 판단한다. 만일 아이템 거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서버(200)는 아이템 거래를 승인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데 필수적인 아이템을 얻기 위해서는 직접 특정 장소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더 나아가 폐쇄된 공간에서 게임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한 게임 중독으로부터 벗어나 더욱 건전한 게임 문화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획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1차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의 아이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2차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수신한 물체 이미지와 2차 수신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제공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관련 물체 이미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 지역 내에 존재하는 물체들 중 미리 지정된 물체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3. 휴대 단말기가 아이템 거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1차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의 장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가 판매 또는 구매할 아이템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버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2차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가 2차 수신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 거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아이템 거래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거래 조건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장터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KR1020110115198A 2011-11-07 2011-11-07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KR20130050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98A KR20130050061A (ko) 2011-11-07 2011-11-07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98A KR20130050061A (ko) 2011-11-07 2011-11-07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061A true KR20130050061A (ko) 2013-05-15

Family

ID=4866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198A KR20130050061A (ko) 2011-11-07 2011-11-07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00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63B1 (ko) * 2014-10-21 2015-04-02 정민수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한 게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39648A (ko) * 2013-10-02 2015-04-13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근거리에서의 게임 아이템 교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648A (ko) * 2013-10-02 2015-04-13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근거리에서의 게임 아이템 교환 장치 및 방법
KR101506463B1 (ko) * 2014-10-21 2015-04-02 정민수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한 게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064145A1 (ko) * 2014-10-21 2016-04-28 정민수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한 게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0977B2 (en) Immersive interactive remote participation in live entertainment
KR102212261B1 (ko) 평행 현실 게임 내에서의 활동을 이용한 플레이어의 현실 세계 위치 검증
CN110917614B (zh) 基于区块链系统的云游戏系统及云游戏的控制方法
CN106716306B (zh) 将多个头戴式显示器同步到统一空间并且使统一空间中的对象移动关联
CN102939139B (zh) 共享虚拟空间中便携式设备的校准
CN103597524B (zh) 用于插入和增强当浏览活动场地时显示给用户的消息的系统和方法
US20220382051A1 (en) Virtual reality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2639199A (zh) 经由运动敏感控制器的便携设备交互
US9592446B2 (en) Electronic game provi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lectronic game program
JP2012507091A (ja) インターラクティブなプロキシミティディスプレイのテザー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8126344A (zh) 游戏中位置的共享方法、存储介质
JP7432647B2 (ja) ターゲット画像の検出による拡張現実経験のロック解除
US20210065421A1 (en) Moving image distribution system, moving image distribution method, and moving image distribution program
KR20140108436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형 운동 게임 시스템 및 방법
US117407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50044488A (ko) 비디오 씨쓰루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영상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시스템
JP201305449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3162836A (ja) ゲー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KR20130050061A (ko) 위치기반 서비스에 기초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합 게임 제공 방법
CN108270867A (zh) 游戏中虚拟资源的共享方法、存储介质
US202301624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0751610B2 (en) Video gaming with location features
KR102549072B1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KR101045989B1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편재형 게임 구현 시스템
KR101352090B1 (ko) 게임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