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107A - 온라인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107A
KR20130049107A KR1020110114162A KR20110114162A KR20130049107A KR 20130049107 A KR20130049107 A KR 20130049107A KR 1020110114162 A KR1020110114162 A KR 1020110114162A KR 20110114162 A KR20110114162 A KR 20110114162A KR 20130049107 A KR20130049107 A KR 2013004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terminal
learning
instructor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107A/ko
Publication of KR2013004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 제공된 가상공간에서 학습자와 강사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온라인상에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형태로 제공된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의 캐릭터를 각각 제어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 상기 온라인상에 상기 학습자 단말과 동일하게 제공된 가상공간에 구현된 강사의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상기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과 각각 온라인상에 연동하며 상기 각 학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학습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자별 학습 수준을 확인하고 상기 학습수준에 따라 분류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서비스 제공서버; 상기 학습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자 단말, 강사 단말 및 학습서비스 제공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ONL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상에 제공된 가상공간에서 각자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학습자와 강사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외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위해서는 현지에 거주하면서 현지인과의 생활을 통해 언어를 배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어학연수와 같은 프로그램이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외국어 학습의 경우 기존의 읽기, 쓰기, 문법 등과 같은 주입식 학습에서 탈피하여 최근에는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회화 위주의 학습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어 사교육이 널리 성행하고 있지만 경제적 부담이 많아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외국어 학습은 실제 환경에서 많은 대화를 통해 듣기 및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대화의 기회가 많지 않으므로 학습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각 학교 및 학원에 원어민 교사(강사)를 두어 실생활에 적합한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많은 학생들이 학습에 참여하므로 실제 대화의 기회가 적고 학습 능력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외국의 현지 환경을 그대로 재현하여 영어를 체험하면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영어체험마을의 경우 투자비용이 많고 참가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소비되므로 가계의 교육비 지출을 크게 늘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온라인상에 제공된 가상공간에서 학습자와 강사가 게임을 진행하면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외국어 대화를 통해 외국어를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온라인상에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형태로 제공된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의 캐릭터를 각각 제어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 상기 온라인상에 상기 학습자 단말과 동일하게 제공된 가상공간에 구현된 강사의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상기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과 각각 온라인상에 연동하며 상기 각 학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학습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자별 학습 수준을 확인하고 상기 학습수준에 따라 분류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서비스 제공서버; 상기 학습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자 단말, 강사 단말 및 학습서비스 제공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해당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선택하고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선택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가상공간을 선택하고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선택된 가상공간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서 상기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 캐릭터 및 강사 캐릭터를 각각 제어하면서 상호 간에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은 각각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상기 학습자 및 강사 간에 상호 음성 대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은 각각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시 상대방의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은 채팅용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확인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강사 단말에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한 결과를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평가결과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학습자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방법은,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로부터 각각 해당 학습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각 학습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학습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을 강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학습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결정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선택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서 온라인상에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형태로 제공된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의 캐릭터 및 강사의 캐릭터를 각각 제어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학습자의 수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 수준에 따른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해당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 수준에 따른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가상공간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임 및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및 강사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서 채팅용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상의 가상공간에서 학습자와 강사가 게임을 진행하면서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와 강사가 외국어로 직접 대화를 나누면서 가상공간을 체험하므로 외국어 학습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공간에 제공된 실생활 속의 체험현장에 맞는 대화를 나눌 수 있으므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에서 가상공간을 선택하기 위한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공간의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학습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10), 강사 단말(120),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통신망(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학습자 단말(110)은 온라인상에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형태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 각자의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각 학습자 단말(110)은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 접속하여 특정 가상공간을 포함하여 학습에 필요한 각종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구동한다. 학습자 단말(110)은 학습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의 웹서버에 회원가입을 통해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입력하여 로그인한 후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학습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학습을 위한 가상공간에는 학습자의 캐릭터가 제공되며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10)을 통해 자신의 캐릭터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면서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110)에서 해당 학습자의 캐릭터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학습자 단말(110)은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 개인정보단말기(PDA), 이동통신단말, 셀룰러 폰, 학습전용 단말 등 다양한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150)을 통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 접속한다. 학습자 단말(110)은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와 통신하면서 학습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화면은 가상공간, 학습자 캐릭터, 강사 캐릭터, 학습자 및 강사의 화상, 대화창, 음성과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학습자 단말(110)은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강사와의 음성 대화를 수행한다.
강사 단말(120)은 학습자 단말(110)과 온라인 상에서 동기화하여 학습자 단말(110)에 온라인상에 제공된 가상공간과 동일한 가상공간에 자신의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학습자 캐릭터의 게임수행을 보조하면서 학습자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강사 단말(120)은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 접속하고 가상공간을 포함하여 학습진행에 필요한 각종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및 구동한다. 강사 단말(120)도 학습자 단말(11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 개인정보단말기(PDA), 이동통신단말, 셀룰러폰, 학습전용 단말 등을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150)을 통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 접속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강사 단말(120)은 통신망(150)을 통하지 않고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와 직접 연결되어 연동할 수도 있다. 이때, 강사 단말(120)은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와 직접 통신하면서 학습의 진행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는 학습자 단말(110) 및 강사 단말(120)과 각각 온라인 상에서 연동하며 통신하고 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학습 서비스의 종류나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110)에서 학습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RPG(Role Playing Game) 또는 다수의 학습자 및 강사가 학습자 단말(110) 및 강사 단말(120)에서 각자의 캐릭터 역할을 수행하는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형태로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강사와 다수의 학습자가 동시에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므로 MMORPG 형태의 가상공간을 이용한다. 또한, 학습을 위한 가상공간은 다수 개 마련되며 학습자 단말(110)에 의하여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서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맞게 미리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학습 서비스는 학습자 단말(110) 및 강사 단말(120)에서 가상공간에 각각 설정된 학습자 캐릭터 및 강사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상호 간에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학습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데이터베이스(140)에는 학습자 및 강사의 정보, 학습자의 수준, 가상공간 정보, 각 학습자별 진도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는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의 내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지만,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통신망(150)은 학습자 단말(110) 및/또는 강사 단말(120)과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러한 통신망(150)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인터넷망으로 구현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100)에서는 학습자 단말(110))에서 해당 학습자가 자신의 해당 학습 수준을 선택하여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로 전송하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는 그 선택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학습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학습자 단말(110)에서 다수의 가상공간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을 선택하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는 그 선택된 가상공간을 학습자 단말(11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110)은 입력부(111), 마이크(112), 네트워크 카메라(113), 스피커(114), 저장부(115), 프로그램구동부(116), 디스플레이(117), 통신부(118) 및 단말제어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1)는 학습자가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입력부(111)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학습자는 입력부(111)를 통해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 학습자 정보를 입력하고, 나아가 가상공간에서 게임 수행 및 학습자의 캐릭터를 제어한다.
마이크(112)는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자의 음성에 대한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로 전송한다. 학습자는 마이크(112)를 통해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강사와 음성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메라(113)는 학습자와 강사 간의 영상 대화를 위한 것으로 학습자의 모습을 영상으로 획득하여 강사 단말(120)에서의 강사와의 영상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대방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스피커(114)는 학습자 및 강사의 음성을 출력한다. 이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음성 대화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부(115)는 학습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그램구동부(116)는 학습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예컨대,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각종 콘텐츠 및 가상공간에서 다수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게임 및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버츄얼머신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프로그램 CD로부터 설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7)는 학습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17)에는 가상공간, 현재 진행상황, 학습자 및 강사의 캐릭터, 대화창, 음성과 문자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통신부(118)는 통신망(150)을 통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무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9)는 학습자 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제어부(119)는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와 통신하면서 강사 단말(120)과 음성 대화 및 영상 대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온라인상에 제공된 가상공간에서 학습자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게임 및 학습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에서 가상공간을 선택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110)은 다수의 가상공간 메뉴(31)가 디스플레이되며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10)에서 소정의 선택버튼(32)을 클릭하여 자신이 사용할 하나의 가상공간을 선택한다. 이러한 다수의 가상공간은 바람직하게는 학습 수준별로 제공된다. 이들 다수의 가상공간은 각각 서로 다른 환경을 제공한다. 예컨대, 가상공간은 유적지, 놀이공원, 학교, 야구장, 방송국 등 실생활과 관련이 있는 장소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가상공간을 선택한 이후에도 다른 가상공간을 선택하여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서 해당 학습자의 수준 및 학습 진도에 맞게 미리 설정된 가상공간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공간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가상공간(20)은 바람직하게는 학습자 단말(110)과 강사 단말(120)에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가상공간(20)은 온라인상에 제공되며 학습자 캐릭터(21)와 강사 캐릭터(22)가 공존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10)을 통해 학습자 캐릭터(21)를 제어하고 강사는 강사 단말(120)을 통해 강사 캐릭터(22)를 제어한다. 이처럼 각자의 캐릭터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가상공간(20)을 이동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 및 학습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게임은 학습을 위한 미션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4의 일례와 같이 가상공간(20)은 관광지로 제공되고 학습자 캐릭터(21)와 강사 캐릭터(22)가 관광지의 가상공간(20)을 함께 이동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을 진행한다. 이러한 게임 진행 중 강사 캐릭터(22)가 특정 물건을 지칭하면서 "What is this?"라고 질문을 하면 학습자 캐릭터(21)가 "This is a tree"이라고 대답한다. 이러한 질문과 대답은 학습자 단말(110)과 강사 단말(120)에 각각 마련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전달되면서 서로 음성 대화로 진행된다.
이때, 학습자 단말(110)에 가상공간(20)이 디스플레이되는 중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측에 소정의 대화창(23)이 제공된다. 이러한 대화창(23)은 가상공간에서 게임 및 학습을 진행하는 중에 학습자의 영상(24)과 강사의 영상(25)을 각각 상대방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대화창(23)에는 음성 대화와는 별도로 채팅용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26)을 더 제공하여 문자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음성으로써 전달하기 힘든 언어는 문자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학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100)에서는 다수의 학습자 단말(110)로부터 각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 접속한다(S101).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는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학습자 정보를 확인한 후(S103) 학습자 단말(110)의 접속을 승인한다(S105). 또한, 강사 단말(120)에서도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 접속하여(S107) 접속을 위한 승인을 받는다(S109). 이때, 학습자 정보는 사전에 회원가입시 각 학습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해 놓는다.
승인이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110)에서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요청한다(S111).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는 이러한 요청을 강사 단말(120)로 통보한다(S113). 온라인 학습서비스 요청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학습자 단말(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요청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온라인 학습 서비스가 요청되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는 각 학습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별 수준을 확인한다(S115). 여기서, 학습자별 수준은 회원가입시 적절한 레벨 테스트를 통해 미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학습자별 수준을 고려하여 특정 그룹으로 다수의 학습자를 분류하여 강사와 다수의 학습자 간의 일대 다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학습자별 수준을 확인한 후, 같은 그룹으로 분류된 학습자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가상공간을 선택하고(S117), 해당 그룹의 학습자 단말(110)로 상기 선택된 가상공간을 각각 제공한다(S119). 그리고, 강사 단말(120)에게도 동일한 가상공간을 제공한다(S121). 이때, 일 실시 예에서 가상공간 선택은 학습자 단말(110)에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수의 가상공간 메뉴를 학습자 단말(110)로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110)에 디스플레이된 가상공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공간을 선택하여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로 통보하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는 그 선택된 가상공간을 해당 학습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가상공간 선택은 학습자 단말(110)에서 해당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선택하면 학습서비스 제공서버(130)에서 그 선택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선택하여 해당 학습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써, 같은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는 각자의 학습자 단말(110)에 MMORPG 형태로 가상공간이 동일하게 제공되며, 해당 그룹의 학습의 진행을 담당할 강사의 단말(120)에도 역시 MMORPG 형태의 동일한 가상공간이 제공된다. 이때, 학습자 단말(110) 및 강사 단말(120)에 각각 제공된 가상공간에는 각자의 캐릭터가 제공된다(S123,S125).
각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자 단말(110)에 제공된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자신의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마이크(112), 네트워크 카메라(113), 스피커(114) 등을 이용하여 강사와의 음성으로 대화를 통해 온라인 학습을 수행한다(S127).
강사는 자신의 강사 단말(120)을 통해 자신의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S129). 강사 단말(120)은 학습 중이거나 학습이 종료된 후에 각각의 학습자에 대하여 진도, 학습내용, 학습수준 조정 등 각종 학습정보를 업데이트한다(S13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세계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외국어 구사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기존의 문법, 일기, 쓰기 위주의 교육방식에서 최근에는 학교나 학원 등에서도 듣기, 말하기 등 회화 위주의 교육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 제공된 가상공간에서 캐릭터가 실제 환경에서 체험하듯 외국인 강사와 대화하는 형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회화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외국어 학습 등의 교육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0 : 학습자 단말 120 : 강사 단말
130 : 학습서비스 제공서버 140 : 데이터베이스
150 : 통신망

Claims (15)

  1. 온라인상에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형태로 제공된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의 캐릭터를 각각 제어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
    상기 온라인상에 상기 학습자 단말과 동일하게 제공된 가상공간에 구현된 강사의 캐릭터를 제어하면서 상기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과 각각 온라인상에 연동하며 상기 각 학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학습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자별 학습 수준을 확인하고 상기 학습수준에 따라 분류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서비스 제공서버;
    상기 학습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학습자 단말, 강사 단말 및 학습서비스 제공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해당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선택하고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선택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가상공간을 선택하고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선택된 가상공간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서 상기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 캐릭터 및 강사 캐릭터를 각각 제어하면서 상호 간에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은 각각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상기 학습자 및 강사 간에 상호 음성 대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은 각각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시 상대방의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은 채팅용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확인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에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한 결과를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평가결과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학습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10.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로부터 각각 해당 학습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각 학습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학습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을 강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학습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결정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선택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서 온라인상에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형태로 제공된 가상공간에 설정된 학습자의 캐릭터 및 강사의 캐릭터를 각각 제어하면서 미리 설정된 게임 및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학습자의 수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준에 따른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해당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학습 수준에 맞는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준에 따른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가상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가상공간을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및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및 강사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사 단말에서 채팅용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방법.
KR1020110114162A 2011-11-03 2011-11-03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20130049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62A KR20130049107A (ko) 2011-11-03 2011-11-03 온라인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62A KR20130049107A (ko) 2011-11-03 2011-11-03 온라인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107A true KR20130049107A (ko) 2013-05-13

Family

ID=4865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162A KR20130049107A (ko) 2011-11-03 2011-11-03 온라인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1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702A (ko)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인스에듀테인먼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학습 관리 시스템
KR20230157286A (ko) 2022-03-22 2023-11-16 주식회사 대교 가상공간 기반 언어 학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702A (ko)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인스에듀테인먼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학습 관리 시스템
KR20230157286A (ko) 2022-03-22 2023-11-16 주식회사 대교 가상공간 기반 언어 학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Task engagement, learner motivation and avatar identities of struggl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the 3D virtual world
Royle Game-based learning: A different perspective
Pagano Immersive learning: Designing for authentic practice
Grant et al. The integration of an online 3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into formal classroom-based undergraduate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um.
CN101366015A (zh) 指导教学的计算机辅助方法和系统
Nussli et al. The components of effective teacher training in the use of three-dimensional immersive virtual worlds for learning and instruction purposes: A literature review
Stufft et al. Fostering multimodal analyses of video games: Reflective writing in the middle school
Van Rosmalen et al. Games for and by teachers and learners
Barkand et al. GEARS a 3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and virtual social and educational world used in online secondary schools
Chen Restorying a “newbie” teacher’s 3d virtual teaching trajectory, resili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action research: A narrative case study
Dominguez-Noriega et al. Language learning resources and developments in the Second Life metaverse
US20080166692A1 (en) System and method of reinforcing learning
Ahlers et al. Foreign Language Tandem Learning in Social VR: Concep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Game-Based Application Hololingo!
KR101160414B1 (ko)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KR20130049107A (ko) 온라인 학습 시스템
Palomo-Duarte et al. A community-driven mobile system to support foreign language learning
Fauzan Improvisations Technique in the Teaching of Speaking
Ahlers et al. Hololingo!-a game-based social virtual reality application for foreign language tandem learning
KR20100043393A (ko) 가상공간에서의 영어 학습 서비스 시스템
KR101420395B1 (ko) 교체 훈련 방식의 외국어 학습을 위한 게임 방법
Shirmardi et al. Effect of Using a Mobile Game-Based Application on Iranian EFL Learners’ Pronunciation: Exploring their Motivational Perception
KR20100031877A (ko) 통신망을 이용한 영어학습 진행 시스템과 그 방법, 가상 공간에서의 npc 구동 방법
Schaaf et al. Learning with digital games
Valdimarsson English language learning Apps: A review of 11 English language learning apps
Revithiadou et al. Developing CALL for heritage languages: The 7 Keys of the Drag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