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516A - 병장식 케이스 - Google Patents

병장식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516A
KR20130048516A KR1020110113396A KR20110113396A KR20130048516A KR 20130048516 A KR20130048516 A KR 20130048516A KR 1020110113396 A KR1020110113396 A KR 1020110113396A KR 20110113396 A KR20110113396 A KR 20110113396A KR 20130048516 A KR20130048516 A KR 2013004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se
stopper
bottle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중
경노훈
Original Assignee
김홍중
경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중, 경노훈 filed Critical 김홍중
Priority to KR102011011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516A/ko
Publication of KR2013004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8Threaded or like closure members secured by rotation; Bus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장식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병이 케이스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지고, 상기 병이 삽입된 케이스의 하부에 마개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병장식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병목감쌈부와, 병몸체감쌈부 및 병몸체삽입부가 메쉬부재를 감아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병목감쌈부는 병몸체삼쌈부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연결부분에 만곡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병목감쌈부의 상부가 보강링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끼움홈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병몸체삽입부는 개방된 입구측이 보강테두리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끼움홈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장식 케이스{BOTTLE DECORATION CASE}
본 발명은 병장식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목감쌈부와 병몸체감쌈부 및 병몸체삽입부가 메쉬홀을 갖는 메쉬부재에 의하여 장식되어지고자 하는 병을 감싸게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병몸체삽입부로 마개가 보강테두리에 나사결합되어 병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용기(케이스)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액상 또는 고체의 내용물을 수용할 경우, 밀폐성과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로 유리 용기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유리 용기는 내충격성에 약해서 파손의 우려가 큰 취약점을 갖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명성이라는 기능적 용도 및 성형된 모양의 따라 장식적 효과가 우수하여 고가의 상품을 수용하는데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유리 용기는 격판이 형성된 보호상자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유통되어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되나, 이러한 보호 상자를 이용하더라도 운반시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유리 용기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였고, 또 진열장 등에 유리 용기만을 진열하는 경우, 유리 용기를 보호하기 어려웠으며, 작은 충격이나 추락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리 용기를 감싸는 별도의 완충 보호구가 일부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2장의 비닐지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완충을 도모하거나, 발포성 합성수지를 일정한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제조과정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용신안공보 1611(1992.3.6)호의 병보호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병보호구는 상협하광의 지그재그형으로 접어 보호구에 완충돌부와 완충요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각각의 면에 다수개의 엠보싱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제조공정수를 줄이는 가운데 완충능력이 기존의 것보다 탁월하도록 하였으나, 보호구가 병에 감싸여진 상태에서 진열장에 진열이 불가능하며, 진열을 할 경우 주변 미관을 저해하여 전시효과가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병의 내부에 들어 있는 음융물을 음융한 후 병과 보호구가 분리수거되어 같이 폐기되어짐에 따라 보호구를 재활용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들어 있는 병의 보관 및 운반과정에서 병에 씌워진 케이스에 의하여 이웃하는 다른 병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병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케이스가 씌워진 병을 진열대에 같이 진열하는 과정에서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고, 내용물을 음융한 후 폐기처분 되어지는 과정에서 케이스만을 병과 간단하게 분리하여 실내 인테리어용품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B)이 케이스(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지고, 상기 병(B)이 삽입된 케이스(10)의 하부에 마개(2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병장식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병목감쌈부(11)와, 병몸체감쌈부(12) 및 병몸체삽입부(13)가 메쉬부재(14)를 감아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병목감쌈부(11)는 병몸체삼쌈부(12)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연결부분에 만곡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병목감쌈부(11)의 상부가 보강링(16)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끼움홈(16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병몸체삽입부(13)는 개방된 입구측이 보강테두리(17)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끼움홈(17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부재(14)를 감아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0)는 시작단과 끝단이 맞대어지게 겹쳐지되, 상기 겹쳐진 부분이 리벳(18)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부재(14)는 마름모형태의 메쉬홀(141)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마개부재(21)의 가장자리에 숫나사부(221)가 형성된 단턱(2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턱(22)의 숫나사부(22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172)가 상기 병몸체삽입부(13)의 보강테두리(17) 내측에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개(20)는 상부 중앙에 안착홈(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보관된 병(B)을 꺼낸 후 상기 마개(20)의 안착홈(23)에 인테리어양초(40)가 안착되어 촛불이 켜지도록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병목감쌈부와 병몸체감쌈부 및 병몸체삽입부가 메쉬홀을 갖는 메쉬부재에 의하여 장식되어지고자 하는 병을 감싸게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병몸체삽입부로 마개가 보강테두리에 나사결합되어 병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들어있는 제조된 병의 보관 및 운반과정에서 케이스에 의하여 이웃하는 다른 병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충격력을 완화시켜 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병의 파손과 더불어 내용물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가 씌워진 병을 진열대에 같이 진열하는 과정에서 케이스의 두께가 매우 얇고 메쉬부재의 매쉬홀을 통해 병과 내용물이 외부로 비쳐지게 됨에 따라 전시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병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음융한 후 병과 케이스가 폐기처분 되어지는 과정에서 케이스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탁자 위에 놓아 둘 경우, 실내 인테리어용품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마개에 형성된 안착홈에 인테리어용 양초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양초심지에 불을 붙인 후 케이스를 결합시킬 경우, 인테리어 조명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장식 케이스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장식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장식 케이스에서 병을 제거한 후 양초를 마개에 올려 놓은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장식 케이스에서 병을 제거한 후 양초를 올려 놓아진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병장식 케이스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는 내용물이 들어 있는 병(B)이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이웃하는 다른 병(B)과 직접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병(B)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음융 한 후 각각 병(B)과 케이스(10)를 분리하여 폐기처분하는 과정에서 병(B)만 폐기처분되어지도록 하고, 나머지 케이스(10)만 실내 인테리어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다른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B)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병(B)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병(B)이 삽입된 케이스(10)의 하부에 병(B)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마개(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는 병목감쌈부(11)와, 병몸체감쌈부(12) 및 병몸체삽입부(13)가 메쉬부재(14)를 감아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쉬부재(14)는 마름모형태의 메쉬홀(141)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 병(B)에 들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미려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소재를 절약하는 가운데 병(B)의 외부가 이웃하는 다른 병(B)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쉬홀(141)는 병몸체삽입부(13)와 병몸체감쌈부(12)는 넓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병몸체감쌈부(12) 및 병목감쌈부(11)와 연결되는 부분은 점진적으로 상부측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병목감쌈부(11)는 메쉬홀(141)의 내면이 맞대어진 상태 즉, 접촉된 상태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메쉬부재(14)는 병(B)의 표면에 맞대어질 수 있는 형태로 감아 케이스(1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는 시작단과 끝단은 소정 길이 또는 면적을 갖게 서로 맞대어지게 겹쳐지고, 겹쳐진 부분이 리벳(18)으로 결합되어 역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병목감쌈부(11)는 내용물이 들어 있는 병(B)의 목부분의 표면에 맞대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병몸체삼쌈부(12)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연결부분에 만곡부(15)가 형성되어 이질감을 느끼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병목감쌈부(11)는 상부에 보강링(16)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끼움홈(16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병목감쌈부(11)의 상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병목이 끝부분이 특징적으로 보여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병몸체삽입부(13)는 내용물이 들어 있는 병(B)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되어지거나, 케이스(10)의 내부에 들어 있는 병(B)이 외부로 인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된 병(B)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병몸체삽입부(13)는 개방된 입구측에 보강테두리(17)의 상부로 형성된 하부끼움홈(171)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마개부재(21)의 가장자리에 숫나사부(221)가 형성된 단턱(2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턱(22)의 숫나사부(22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172)가 상기 병몸체삽입부(13)의 보강테두리(17) 내측에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짐으로써, 외부로부터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보강테두리(17)로부터 마개(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마개(20)는 상부 중앙에 인테리어양초(4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안착홈(23)에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보관된 병(B)을 꺼낸 후 상기 마개(20)의 안착홈(23)에 인테리어양초(40)가 안착되어 촛불을 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병장식 케이스(10)는 케이스(10)의 보강테두리(17)에 나사결합된 마개(20)를 회전시켜 병몸체삽입부(13)가 개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내용물이 들어 있는 병(B)을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하여 넣는다.
다음, 오픈되었던 마개(20)의 마개부재(21)에 형성된 단턱(22)을 보강테두리(17)의 하부에 일치시킨 후 마개(20)를 회전시켜 마개부재(21)의 단턱(22)에 형성된 숫나사(221)가 보강테두리(17)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172)에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내용물이 보관되어진 병(B)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병(B)의 외부가 메쉬부재(14)로 이루어진 케이스(10)의 내부에 보관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이웃한 다른 병(B)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로 인한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케이스(10)의 내부로 보관중인 병(B)을 꺼내기 위해서는 보강테두리(17)의 하부에 나사결합된 마개(20)를 회전시켜 암나사부(172)에서 숫나사부(221)가 분리되어지도록 하여 마개(20)를 분리시킨 후 병(B)을 꺼내면 된다.
한편, 케이스(10)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오픈된 마개(20)를 다시 결합시켜 탁자 등의 위에 올려 놓음과 동시에 마개(20)의 무게에 의하여 안정되게 놓여지게 됨에 따라 케이스(10)가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인테리어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마개부재(21)에 형성된 안착홈(23)에 인테리어 양초(40)가 안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양초심지에 불을 붙인 후 오픈된 마개(20)를 닫음으로써,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되어지는 과정에서 인테리어양초(40)의 심지가 다 연소되어도 그 하부에 마개(20)가 있음으로써,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케이스 11:병목감쌈부
12:병몸체감쌈부 13:병몸체삽입부
14:메쉬부재 15:만곡부
16:보강링 17:보강테두리
20:마개 161:상부끼움홈
171:하부끼움홈

Claims (5)

  1. 병(B)이 케이스(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지고, 상기 병(B)이 삽입된 케이스(10)의 하부에 마개(2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병장식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병목감쌈부(11)와, 병몸체감쌈부(12) 및 병몸체삽입부(13)가 메쉬부재(14)를 감아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병목감쌈부(11)는 병몸체삼쌈부(12)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연결부분에 만곡부(1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병목감쌈부(11)의 상부가 보강링(16)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끼움홈(16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병몸체삽입부(13)는 개방된 입구측이 보강테두리(17)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끼움홈(17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장식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14)를 감아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0)는 시작단과 끝단이 맞대어지게 겹쳐지되, 상기 겹쳐진 부분이 리벳(18)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장식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14)는 마름모형태의 메쉬홀(141)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장식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마개부재(21)의 가장자리에 숫나사부(221)가 형성된 단턱(2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턱(22)의 숫나사부(22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172)가 상기 병몸체삽입부(13)의 보강테두리(17) 내측에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장식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는 상부 중앙에 안착홈(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보관된 병(B)을 꺼낸 후 상기 마개(20)의 안착홈(23)에 인테리어양초(40)가 안착되어 촛불이 켜지도록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장식 케이스.
KR1020110113396A 2011-11-02 2011-11-02 병장식 케이스 KR20130048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96A KR20130048516A (ko) 2011-11-02 2011-11-02 병장식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96A KR20130048516A (ko) 2011-11-02 2011-11-02 병장식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16A true KR20130048516A (ko) 2013-05-10

Family

ID=4865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96A KR20130048516A (ko) 2011-11-02 2011-11-02 병장식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8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6905A (zh) * 2021-03-05 2021-06-18 汪中民 一种三维头型瓶的制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6905A (zh) * 2021-03-05 2021-06-18 汪中民 一种三维头型瓶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775B2 (en) Product container with locking end cap
US7644823B2 (en) Product container with locking end cap
CN109415141A (zh) 显篡改桥接件
JP6396504B2 (ja) ファセット容器
US8006854B2 (en) Container
US8002129B1 (en) Liquor bottle device
JP2015504825A (ja) 耐荷重及び耐真空容器
US20150353222A1 (en) Faceted container
RU25071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лицовки емкости, в частности бутылки, содержащей напиток,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322750B1 (ko) 위생적인 잠금 스파우트 파우치
US20080302692A1 (en) Article Package Comprising Partially Covering Flange and a Film Wrapping the Entire Package
EP3152118B2 (en) Faceted container
KR20130048516A (ko) 병장식 케이스
WO2016073943A1 (en) Cork and paperboard beverage-packaging container
US20100037559A1 (en) Packaging assembly comprising lightweight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process
CN202609191U (zh) 包装盒组装用片材、包装盒及包装体
JP2008150101A (ja) 二種飲料用容器
WO2013142925A2 (en) Beverage container with a cup
ES2436440T3 (es) Envase de presentación de uñas artificiales
JP2016020216A (ja) ラベル付きガラス容器、及びその梱包品
ES2358247T3 (es) Recipiente múltiple.
KR101383482B1 (ko) 과자류 포장용기
RU100368U1 (ru) Флакон с сувениром
CN203237550U (zh) 包装容器
ITMI20071527A1 (it) Complesso comprendente un bicchiere ed un dispositivo di montaggio per accoppiare il bicchiere al collo di una bottig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