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046A -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 Google Patents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046A
KR20130048046A KR1020110112949A KR20110112949A KR20130048046A KR 20130048046 A KR20130048046 A KR 20130048046A KR 1020110112949 A KR1020110112949 A KR 1020110112949A KR 20110112949 A KR20110112949 A KR 20110112949A KR 20130048046 A KR20130048046 A KR 20130048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ttress
elastic support
bed
pocket spring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호
이봉구
Original Assignee
박중호
이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호, 이봉구 filed Critical 박중호
Priority to KR102011011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046A/ko
Publication of KR2013004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47C27/064Pockete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하부시트와 상기 상,하부시트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하부시트에 연결된 섬유사를 포함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매트리스와;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되어 포켓스프링을 수용하는 개구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제공하여, 에어매트리스가 쿠션을 향상시키고 측면에 탄성지지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침대의 가장자리에서도 보다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A bed in use with air mattress}
본 발명은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구를 말한다.
사용자가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쿠션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침대는 매트리스에 사용되는 쿠션으로 스프링을 사용하는 스프링 매트리스를 사용하여 왔다.
스프링은 시간이 지날 수록 탄성력의 변형이 발생할 수가 있고 고정된 탄성계수로 인해 쿠션의 변화를 꾀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프링은 오랜 시간 사용으로 탄성변형시 쿠션이 저하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스프링 매트리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사용하는 매트리스 대신 쿠션으로서 에어를 사용하는 에어매트리스가 등장하였다.
종래의 에어매트리스 침대는 에어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가장자리부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침대의 가장자리에 앉을 때 딱딱한 느낌을 받는 것과 같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자리가 스폰지 등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침대도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침대는 에어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장시간 사용시 침대 가장자리의 쿠션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어매트리스가 올려지는 프레임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가 없어 에어매트리스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의 쿠션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매트리스를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에어매트리스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양질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하부시트와 상기 상,하부시트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하부시트에 연결된 섬유사를 포함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매트리스와;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되어 포켓스프링을 수용하는 개구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홈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개구홈에 상기 포켓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홈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어 연속되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에 복수개의 포켓스프링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홈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외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탄성받침부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받침부는 포켓스프링이 설치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홈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개구홈에 상기 포켓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하부시트와 상기 상,하부시트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하부시트에 연결된 섬유사를 포함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매트리스와;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되어 포켓스프링을 수용하는 타공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홈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개구홈에 상기 포켓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면에 탄성지지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의 측면에서 에어매트리스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에어매트리스의 쿠션을 보다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둘째, 탄성지지부에 포켓스프링이 설치되기 때문에 침대의 가장자리에 쿠션력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개구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켓스프링은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하중을 수직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에어매트리스의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장점이 있다.
넷째, 개구홈이 탄성지지부의 외측에 치우치기 때문에 변형이 쉬운 가장자리부에 보다 견고한 쿠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탄성지지부의 내측은 보다 두텁게 형성됨으로써 에어매트리스의 측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격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포켓스프링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탄성지지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에어매트리스(300)는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부시트(101)와 하부시트(103)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부시트(101)와 하부시트(103)에 연결된 섬유사(100)를 포함한다.
섬유사(100)는 에어매트리스(300)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부시트(101)에 고정되고 타측이 하부시트(103)에 고정되어 상부시트(101)와 하부시트(103)를 일정간격 이상 이격되지 않도록 잡아준다.
에어매트리스(300)가 올려지는 프레임(105,106,107,108,109)은 전방에 머리부(230)를 형성하고 좌우 및 후방에서 에어매트리스(300)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00)를 형성한다.
탄성지지부(200)는 에어매트리스(300)와 접촉하는 내측지지부(220)와 프레임(105,106,107,108,109)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외측지지부(210)로 이루어지고 내측지지부(220)와 외측지지부(210)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된 개구홈(510)이 일렬로 복수개 형성된다.
탄성지지부(200)는 우레탄, 스폰지, 메모리폼, 고무, 라텍스 등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포켓스프링(110)이 탄성지지부(200)에 형성된 개구홈(510)에 삽입되면서 탄성지지부(200)에 쿠션을 보강해준다.
탄성지지부(200)는 에어매트리스(300)가 수평 방향으로 팽창함에 있어서 에어매트리스(300)의 수평 팽창력을 완충지지하며, 탄성지지부(200)의 개구홈(510)에 설치되는 제1포켓스프링(110)은 수직 방향의 하중을 완충하게 된다.
탄성지지부(300)의 상면에는 제1포켓스프링(110)이 탄성지지부(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마감부재(미도시)가 형성되며, 제1포켓스프링(110)의 수직 변형률은 탄성지지부(200)의 수직 변형률 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제1포켓스프링이 탄성지지부(300)의 탄성을 보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탄성지지부(300)의 상면 변형 모양을 따라 제1포켓스프링(110)의 단부도 변형되게 되므로, 제1포켓스프링(110)은 수직 방향의 완충작용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개구홈(510)하부의 폐단면에는 제1포켓스프링(1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개구홈(510)의 단면 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으면서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포켓스프링(110)의 단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탄성지지부(300)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개구홈(510)은 탄성지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어 연속되는 홈으로 형성되고, 연속되는 홈에 복수개의 제1포켓스프링(110)이 삽입설치된다.
개구홈(510)은 탄성지지부(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외측지지부(210)의 제1면(241)과 탄성지지부(200)의 내측에서 에어매트리스(300)와 접촉하는 내측지지부(220)의 제3면(243)이 제2면(242)으로 연결되어, 탄성지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개구홈(51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포켓스프링(110)은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움직이면서 하중을 수직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에어매트리스(300)의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인접하는 제1포켓스프링(110)의 상단부는 하중의 작용 방향으로 수축 변형되게 되어 용량이 작은 포켓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큰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하여 완충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개구홈(510)은 탄성지지부(200)의 외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외측지지부(210)는 내측지지부(220)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면서 내측지지부(220)의 두께를 넓게 할 수 가 있음으로써 에어매트리스(300)의 측면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탄성지지부(200)의 쿠션도 향상시킬 수 가 있게 된다.
탄성지지부(200)의 외측지지부(210)보다 내측지지부(22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탄성지지부(200)의 내측지지부(220)는 에어매트리스(300)의 수평방향 팽창률을 보다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게 되며, 제1포켓스프링(110)이 탄성지지부(200)의 외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므로, 탄성지지부(200)의 모서리 단부에서의 하중 지지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탄성지지부(200)는 개구홈(510)을 이분하는 격벽(600)이 탄성지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격벽(600)으로 이분되는 각각의 공간에 제1포켓스프링(110)이 설치된다.
제1포켓스프링(110)은 외측지지부(210)와 격벽(600)사이 및 내측지지부(220)와 격벽(600)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격벽(600)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격벽(6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1포켓스프링(110)이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분되는 공간마다 별도의 완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격벽(600)이 제1포켓스프링(110)이 수평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지 잡아주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로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탄성받침부(104)는 에어매트리스(300)가 올려지는 바닥에서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된 타공홈(520)을 복수개 형성하고 타공홈(520)에는 제2포켓스프링(120)이 설치된다.
제2포켓스프링(120)은 제1포켓스프링(11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매트리스(300)는 탄성받침부(104)의 타공홈(520)에 삽입되는 제2포켓스프링(120)에 의하여 하부시트(103)가 변형됨에 따라 탄성받침부(104)도 탄력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탄성받침부(104)는 하중의 작용으로 인한 에어매트리스(300)의 변형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고, 탄성받침부(104)의 타공홈(520)에 삽입되는 제2포켓스프링(120)은 하부시트(103)의 변형에 대응되어 하부시트(103)를 수직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300)의 하중분산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에어매트리스(300)에 사용자가 누울 경우, 에어매트리스(300)의 변형 정도를 하부에 설치된 탄성받침부(104)가 탄성 변형하면서 지지하게 되므로 에어매트리스(300)의 변형이 사용자의 인체 형상에 따라 자연스럽에 이루어 지도록 한다.
도1내지 도5의 탄성지지부(200)는 에어매트리스(300)를 좌우측,후방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좌측부와 우측부, 후면부가 각각 별개로 분리될 수도 있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제1포켓스프링(110)의 수직 변형률은 탄성지지부(200)의 수직 변형률 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포켓스프링(110)이 탄성지지부(200)의 수직 완충력을 보강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이다.
에어매트리스(300)는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부시트(101)와 하부시트(103)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부시트(101)와 하부시트(103)에 연결된 섬유사(100)를 포함한다.
섬유사(100)는 에어매트리스(300)의 내부에서 일측이 상부시트(101)에 고정되고 타측이 하부시트(103)에 고정되어 상부시트(101)와 하부시트(103)를 일정간격 이상 이격되지 않도록 잡아준다.
에어매트리스(300)가 올려지는 탄성받침부(104)는 에어매트리스(300)의 하부와 접촉하는 바닥면에서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된 타공홈(520)을 복수개 형성한다.
탄성받침부(104)는 우레탄, 스폰지, 메모리폼, 고무, 라텍스 등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매트리스(300)는 탄성받침부(104)의 타공홈(520)에 삽입되는 제2포켓스프링(120)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에어매트리스(300)의 하중분산효과가 극대화되어 사용자에게 양질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그 목적과 기술적인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 수준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 상업적인 설계변경의 수준, 모양의 변화, 재질의 변화, 부품의 숫자 증감, 색상의 변화 등 본 발명의 기술과 균등범위에 있거나 하위개념에 속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음을 부언한다.
100 : 섬유사 101 : 상부시트
103 : 하부시트 104 : 탄성받침부
105,106,107,108,109 : 프레임 110 : 제1포켓스프링
120 : 제2포켓스프링 200 : 탄성지지부
210 : 외측지지부 220 : 내측지지부
230 : 머리부 241 : 제1면
242 : 제2면 243 : 제3면
244 : 제4면 245 : 제5면
300 : 에어매트리스 510 : 개구홈
520 : 타공홈 600 : 격벽

Claims (8)

  1.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하부시트와 상기 상,하부시트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하부시트에 연결된 섬유사를 포함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매트리스와;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되어 포켓스프링을 수용하는 개구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개구홈에 상기 포켓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어 연속되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에 복수개의 포켓스프링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은 상기 탄성지지부의 외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개구홈을 이분하는 격벽이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으로 이분되는 각각의 공간에 상기 포켓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탄성받침부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받침부는 포켓스프링이 설치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7. 상,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하부시트와 상기 상,하부시트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하부시트에 연결된 섬유사를 포함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매트리스와;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가 폐쇄되어 포켓스프링을 수용하는 타공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매트리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개구홈에 상기 포켓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KR1020110112949A 2011-11-01 2011-11-01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KR20130048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949A KR20130048046A (ko) 2011-11-01 2011-11-01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949A KR20130048046A (ko) 2011-11-01 2011-11-01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046A true KR20130048046A (ko) 2013-05-09

Family

ID=4865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949A KR20130048046A (ko) 2011-11-01 2011-11-01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80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108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비앤엘코퍼레이션 사이드 보강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KR101864797B1 (ko) * 2016-12-29 2018-07-13 주식회사 카본티씨지 Cfrp 교정운동시스템 프레임
KR102494701B1 (ko) * 2022-07-19 2023-01-31 이경화 모서리 안착구조를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108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비앤엘코퍼레이션 사이드 보강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KR101864797B1 (ko) * 2016-12-29 2018-07-13 주식회사 카본티씨지 Cfrp 교정운동시스템 프레임
KR102494701B1 (ko) * 2022-07-19 2023-01-31 이경화 모서리 안착구조를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261Y1 (ko) 매트리스용 마이크로 스프링
US9167924B2 (en) Ergonomical pillow for head rest
US20090193580A1 (en) Bed with rigid platform and fluid suspension
KR20130048046A (ko) 에어매트리스를 이용한 침대
US20140033438A1 (en) Ergonomical pillow for head rest
JP4447264B2 (ja) 座席シート
CN214510360U (zh) 一种椅子
KR101796123B1 (ko)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KR101066984B1 (ko) 스프링 조립형 침대 매트리스
KR101141289B1 (ko) 매트리스용 에지포머를 이용한 비대칭형 매트리스
KR20170139718A (ko) 내구성이 증대된 인체공학적인 침대 매트리스
KR20220010774A (ko)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KR20180050966A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2312498B1 (ko) 체압 분산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KR100837569B1 (ko) 스프링이 구비된 베개
KR102327678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KR101043749B1 (ko) 이동식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소파
CN211021794U (zh) 一种缓冲性能好的床
CN219594172U (zh) 一种具有人体脊柱支撑结构的透气床垫
CN212307305U (zh) 一种高支撑性椅具
CN214548463U (zh) 一种护脊分区床垫结构
KR200284224Y1 (ko) 매트리스
US20230093997A1 (en) Mattress having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1561643B1 (ko) 간편 조립식 침대
KR102221517B1 (ko) 허리보강 구조를 갖는 개선된 침대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