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156A -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156A
KR20130047156A KR1020110112001A KR20110112001A KR20130047156A KR 20130047156 A KR20130047156 A KR 20130047156A KR 1020110112001 A KR1020110112001 A KR 1020110112001A KR 20110112001 A KR20110112001 A KR 20110112001A KR 20130047156 A KR20130047156 A KR 2013004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fuel
methanol
d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김현진
권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156A/ko
Publication of KR2013004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00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 C10G5/06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by cooling or com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02Liquid carbonaceous fuels essentially based on components consisting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25Natural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액화석유가스(LPG)와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로 떠오르고 있는 디메틸에테르(Dimethyle ethere, DME)를 생산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천연가스에서 3상으로 분리된 콘덴세이트를 안정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산성가스를 제거하고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처리된 가스를 액화하여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처리되지 않은 프로판(C3), 부탄(C4), 펜탄(C5)을 분류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분류된 프로판(C3)과 부탄(C4)으로 디메틸에테르(DME) 및 메탄올(MeOH)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에서 발생되는 CO2를 원료로 친환경 연료인 메탄올 및 디메틸에테르를 생산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Production method for conversion of associated gas in oil fields}
본 발명은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화석유가스(LPG)와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로 떠오르고 있는 디메틸에테르(Dimethyle ethere, DME)를 생산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에서 생산되는 가스에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3개의 탄소 원자(C3)를 구비하는 프로판(propane) 및 4개의 탄소 원자(C4)를 구비한 부탄(butane)을 구비하는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를 원료로 세탄가가 높은 친환경 연료인 DME와 유기합성재료, 용제, 세척제, 연료 등에 사용되는 메탄올(MeOH)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Plant)에서는 천연가스전에서 공급받은 천연가스를 온도 차에 따른 물리적 방법으로 LNG, LPG, 콘덴세이트(Condensate)로 분리하였다. 이 콘덴세이트는 일부 천연가스에 섞여 나오며, 펜탄(C5), 헥산(C6)을 중심으로 그 이상의 탄화수소를 함유한 경질 휘발성 액체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최근 급격한 유가 상승으로 인한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대체 에너지에 관한 관심이 날로 높아가고 있으며, 특히 신 에너지 자원으로서 가스전에 매장된 천연가스를 이용한 합성석유 제조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GTL(Gas To Liquid: 가스액화)이란 천연가스를 화학적으로 가공하여 액체상태의 석유제품을 만들어내는 기술 및 제품을 통칭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LNG, LPG, 콘덴세이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CO2와 같은 부산물을 공정상에서 제거하여 대기로 방출시키거나, 천연가스전으로 다시 보내는 공정이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LNG, LPG, 콘덴세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장치는 도입된 천연가스를 3상으로 분리하는 3상 분리부(1), 3상 분리부(1)에서 분리된 물을 처리하는 수 처리부(2), 분리부(1)에서 분리되어 펜탄(C5) 등을 구비한 콘덴세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3), 3상 분리부(1)에 의해 물과 콘덴세이트가 분리된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산성가스(Acid gas)를 제거하고 탈수(Dehydration)를 실행하는 가스제거 및 탈수부(4)를 구비한다. 또 가스제거 및 탈수부(4)는 안정화부(3)에서 콘덴세이트가 안정화된 후 발생하는 프로판 및 부탄을 공급받고, 탈수된 물을 수 처리부(2)로 공급하며, 이러한 처리에서 발생하는 CO2와 같은 부산물을 배출한다.
가스제거 및 탈수부(4)에서 처리된 천연 가스는 LNG 액화(liquefaction)부(5)에서 증류 처리되어 LNG로 생성되고, 생성된 LNG는 LNG 저장탱크(6)에 저장된다.
한편 LNG 액화부(5)에서 처리되지 않은 프로판(C3), 부탄(C4), 펜탄(C5)은 분류부(7)에서 프로판(C3) 및 부탄(C4)과 펜탄(C5)으로 분리되고, 프로판(C3) 및 부탄(C4)은 LPG로 생성되어 LPG 저장탱크(8)에 저장된다. 또 분류부(7)에서 분리된 펜탄(C5)은 안정화부(3)로 공급되어 콘덴세이트 저장탱크(9)에 저장된다. 또한 분류부(7)에서 분리되지 않은 일부의 액화천연가스는 LNG 액화부(5)로 피드백되어 LNG로 생성된다.
상기 안정화부(3)에서 콘덴세이트 안정화과정에서 생성된 프로판(C3) 및 부탄(C4)은 가스제거 및 탈수부(4)로 재공급된다.
또한 메탄올의 탈수반응에 의한 디메틸에테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탄화 수소류로부터 디메틸에테르를 합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키는 발전소의 플루 가스, 산업 배기 가스 또는 대기 자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의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메탄올 및 디메틸에테르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하기 특허문헌 4에는 디메틸에테르와 액화석유가스(LPG)의 혼합 연료 조성물 및 이의 공급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3512호(2009.10.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45741호(2009.05.0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9688호(2008.01.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9512호(2007.10.09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 시, CO2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추가하여 대기로 방출하거나, 천연가스전으로 다시 보내어 환경 오염을 일으키거나, 액상 연료의 전환 공정의 비용이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술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에서 생산된 LPG 또는 발전소 등의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메탄올 또는 디메틸에테르를 생성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있을 뿐, 가스전에서 처리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DME 제조 원료가스 중 약 6%의 CO2를 공정상에서 사용하여 CO2의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가스전)에서 메탄올 및 디메틸에테르를 생성하여 메탄올 및 디메틸에테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은 (a) 천연가스에서 3상으로 분리된 콘덴세이트를 안정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산성가스를 제거하고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처리된 가스를 액화하여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처리되지 않은 프로판(C3), 부탄(C4), 펜탄(C5)을 분류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분류된 프로판(C3)과 부탄(C4)으로 디메틸에테르(DME) 및 메탄올(MeOH)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발생하는 CO2를 공급받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발생하는 프로판(C3)과 부탄(C4)도 공급받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있어서, (f) 상기 디메틸에테르와 메탄올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디메틸에테르 직접 합성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메탄올을 합성한 후, 다시 메탄올 탈수반응을 통하여 디메틸에테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은 가스전에서 도입된 천연가스를 3상으로 분리된 콘덴세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 상기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산성가스를 제거하고 탈수를 실행하는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 상기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처리된 천연 가스를 액화시키는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부, 상기 LNG 액화부에서 처리되지 않은 프로판(C3), 부탄(C4), 펜탄(C5)을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에서 공급된 프로판(C3) 및 부탄(C4)을 이용하여 디메틸에테르(DME) 및 메탄올(MeOH)을 생산하는 DME 및 메탄올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ME 및 메탄올 생성부는 상기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CO2를 이용하여 DME 및 메탄올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ME 및 메탄올 생성부는 상기 안정화부에서 공급된 프로판(C3) 및 부탄(C4)을 공급받아 DME 및 메탄올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ME 및 메탄올 생성부는 디메틸에테르와 메탄올을 각각 분리하여 DME 저장탱크 및 메탄올 저장탱크(22)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의해 생성된 디메틸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탄올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에서 발생되는 CO2를 원료로 친환경 연료인 메탄올 및 디메틸에테르를 생산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 시, 산성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분리한 CO2를 디메틸에테르 합성공정에 원료가스로 활용하여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천연가스전에서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분리한 CO2를 이용하므로, DME 생산 공정에 필요한 원료의 조성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LNG, LPG, 콘덴세이트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DME를 이용한 연료의 세탄값과 청정성을 비교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의 공정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디메틸에테르(DME)는 액화석유가스(LPG)와 물성이 유사하지만 친환경적이고 값이 싼 게 특징이며, LPG와 섞어 사용할 수 있고 경유를 직접 대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DME는 인체에 무해하고 공기 중에 분사되었을 때 분해되는 성질 때문에 인체에 사용하는 스프레이 분사제로서 활용되고, 또한 농약 중간체, LPG-DME 혼합연료로서 사용되고 있고 향후에는 발전소의 발전원료, 수송용, 가정용, 상업용으로 활용될 것이며 연료전지 또는 디젤 대체연료로 활용될 수 있는 미래 대체에너지이다. 즉, DME는 세탄가가 55~60 수준으로 일반 경유보다도 높아 디젤기관용 청정 연료나, 액화석유가스(LPG)를 대신한 가정용 연료, 발전용 연료로서 환경 오염도 줄이고 고갈되는 석유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로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DME를 이용한 연료의 세탄값과 청정성을 비교한 상태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DME 합성공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합성가스로부터 메탄올을 합성한 후, 다시 메탄올 탈수반응을 통하여 DME를 합성하는 간접법과 천연가스로부터 DME를 직접 합성하는 직접법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에테르(DME) 반응기나 메탄올(MeOH) 반응기를 사용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서는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분리한 CO2를 이용하여 DME 생산 공정에 필요한 원료의 조성비를 조절한다.
이와 함께, DME 생산 공정에서는 원료 가스의 CO2/CH4 비율이 1.06으로 일정량의 CO2가 필요하게 되는데, LNG 생산을 위하여 분리한 CO2를 다시 이용함으로 DME 생산을 위한 공정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3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의 공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은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가스전)에서 생산되는 가스에서 액화천연가스(LNG), DME 및 메탄올(MeOH)을 생산하는 기술로서, 도입된 천연가스를 3상으로 분리하는 3상 분리부(11), 3상 분리부(11)에서 분리된 물을 처리하는 수 처리부(12), 분리부(11)에서 분리되어 펜탄(C5) 등을 구비한 콘덴세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13), 3상 분리부(11)에 의해 물과 콘덴세이트가 분리된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산성가스(Acid gas)를 제거하고 탈수(Dehydration)를 실행하는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14),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14)에서 처리된 천연 가스를 액화시키는 LNG 액화부(15), LNG 액화부(15)에서 생성된 LNG를 저장하는 LNG 저장탱크(16), LNG 액화부(15)에서 처리되지 않은 프로판(C3), 부탄(C4), 펜탄(C5)을 분류하는 분류부(17)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은 상기 분류부(17)에서 공급된 프로판(C3) 및 부탄(C4), 안정화부(13)에서 공급된 프로판(C3) 및 부탄(C4)과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4)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CO2를 이용하여 DME 및 메탄올(MeOH)을 생산하는 DME 및 메탄올 생성부(20)를 구비한다.
DME 및 메탄올 생성부(2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예를 들어 냉각수를 이용한 컬럼에 의해 두 상으로 나누어지고, 컬럼 상부에서 정제된 DME는 DME 저장탱크(21)에 저장되고, 컬럼 하부의 메탄올은 메탄올 저장탱크(22)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제거 및 탈수부(14)는 탈수 처리된 물을 수 처리부(2)로 공급하며, 이러한 처리에서 발생하는 CO2와 같은 부산물은 DME 및 메탄올 생성부(20)로 공급한다.
또 분류부(17)에서 분리된 펜탄(C5)은 안정화부(13)로 공급되어 콘덴세이트 저장탱크(9)에 저장되며, 분류부(7)에서 분리되지 않은 일부의 액화천연가스는 LNG 액화부(15)로 피드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LNG, DME 및 메탄올 생성에 재활용된다.
상기 안정화부(3)에서 콘덴세이트 안정화과정에서 생성된 프로판(C3) 및 부탄(C4)은 DME 및 메탄올 생성부(20)로 재공급된다.
또한 상기 DME 및 메탄올 생성부(20)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정을 실행한다.
(1) Tri-reforming 공정 (천연가스 개질공정)
천연가스와 가스전의 10~25%이내의 CO2로부터 합성가스를 제조한다.
이러한 합성가스는 LNG 액화부(15)에서 처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2) CO2 흡수 및 회수 공정
LNG 액화부(15)에서 처리되고 분류부(17)에서 분류된 합성가스(프로판(C3) 및 부탄(C4)) 및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4)에서 발생하는 CO2를 흡수하여 다시 원료로 활용한다.
(3) DME 직접 합성 공정
상기 합성가스와 CO2로부터 DME를 직접 제조한다.
DME 직접 합성 공정에서는 원료 가스의 CO2/CH4 비율이 1.06으로 일정량의 CO2가 필요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LNG 생산을 위하여 분리한 CO2를 다시 이용함으로 DME 직접 합성 공정을 달성할 수 있다.
(4) 합성가스/CO2/DME/MeOH 분리 공정
DME 합성시 발생하는 미반응 가스(합성가스)와 생성가스(DME, MeOH, CO2)를 분리하여 DME는 DME 저장탱크(21)로 공급하고, 메탄올은 메탄올 저장탱크(22)로 공급하며, 미반응 합성가스와 CO2는 회수하여 재사용한다.
상술한 과정에서 각각의 구성 부분에서 서로의 연결은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관(파이프)에 의해 실행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연가스전에서 생산된 LPG와 천연가스 생산 설비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CO2를 활용하여 DME 및 MeOH을 생산한다. DME는 타 화석 연료에 비해 CO2가 적게 배출되는 친환경적 에너지로서 기후 변화 협약 이행에 유리하고, 황분이 없는 순물질로 황산화물이 발생하지 않음(배출가스 후처리용 촉매 적용 용이)으로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DME 합성시 함께 생산되는 MeOH도 유기합성재료, 용제, 세척제, 연료 등에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에서 발생되는 CO2를 대기로 방출시켰던(혹은 압축하여 다시 천연가스전에 주입) 기존 공정과 달리, DME 및 MeOH 생산 공정에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천연가스 생산 설비에서 발생하는 CO2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DME 및 MeOH 생산 공정에서는 연료가스 중 일정량의 CO2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데, 산성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분리한 CO2를 이용하여 DME 및 MeOH 생산 공정에 필요한 원료의 조성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은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에서 생산된 천연가스에서 메탄올 및 디메틸에테르의 생산에 적용된다.
11 : 3상 분리부
12 : 수 처리부
13 : 안정화부
14 :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
15 : LNG 액화부
17 : 분류부
20 : DME 및 메탄올 생성부

Claims (12)

  1.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으로서,
    (a) 천연가스에서 3상으로 분리된 콘덴세이트를 안정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산성가스를 제거하고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처리된 가스를 액화하여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처리되지 않은 프로판(C3), 부탄(C4), 펜탄(C5)을 분류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분류된 프로판(C3)과 부탄(C4)으로 디메틸에테르(DME) 및 메탄올(MeOH)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발생하는 CO2를 공급받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발생하는 프로판(C3)과 부탄(C4)도 공급받아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디메틸에테르와 메탄올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디메틸에테르 직접 합성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메탄올을 합성한 후, 다시 메탄올 탈수반응을 통하여 디메틸에테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7.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으로서,
    가스전에서 도입된 천연가스를 3상으로 분리된 콘덴세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
    상기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산성가스를 제거하고 탈수를 실행하는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
    상기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처리된 천연 가스를 액화시키는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부,
    상기 LNG 액화부에서 처리되지 않은 프로판(C3), 부탄(C4), 펜탄(C5)을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에서 공급된 프로판(C3) 및 부탄(C4)을 이용하여 디메틸에테르(DME) 및 메탄올(MeOH)을 생산하는 DME 및 메탄올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ME 및 메탄올 생성부는 상기 산성 가스제거 및 탈수부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CO2를 이용하여 DME 및 메탄올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ME 및 메탄올 생성부는 상기 안정화부에서 공급된 프로판(C3) 및 부탄(C4)을 공급받아 DME 및 메탄올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ME 및 메탄올 생성부는 디메틸에테르와 메탄올을 각각 분리하여 DME 저장탱크 및 메탄올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연료 생산 시스템.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의해 생성된 디메틸에테르.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상 연료 생산 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탄올.
KR1020110112001A 2011-10-31 2011-10-31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7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01A KR20130047156A (ko) 2011-10-31 2011-10-31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01A KR20130047156A (ko) 2011-10-31 2011-10-31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156A true KR20130047156A (ko) 2013-05-08

Family

ID=4865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001A KR20130047156A (ko) 2011-10-31 2011-10-31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81A (ko) * 2020-12-03 2022-06-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가스 및 열에너지 회수를 이용한 수소생산 시스템, 이를 이용한 수소생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81A (ko) * 2020-12-03 2022-06-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가스 및 열에너지 회수를 이용한 수소생산 시스템, 이를 이용한 수소생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lena et al. Methanol production and applications: an overview
US7608743B2 (en) Efficient and selective chemical recycling of carbon dioxide to methanol, dimethyl ether and derived products
KR101579051B1 (ko) 메탄 또는 천연 가스의 이중 개질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디메틸 에테르로 전환시키는 방법
KR101495085B1 (ko) 이산화탄소의 메탄올, 디메틸 에테르 및 유도된생성물들로의 효율적인 선택적 변환
RU2010111716A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интетических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соединений
US8461218B2 (en) Rendering petroleum oil as an environmentally carbon dioxide neutral source material for fuels, derived products and as a regenerative carbon source
Machado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hanol production routes: synthesis gas versus CO2 hydrogenation
De Falco et al. Membrane Reactor for one-step DME synthesis process: Industrial plant simulation and optimization
JP2012523422A (ja) 天然ガスを環境的に二酸化炭素ニュートラルな燃料および再生可能炭素源とすること
AU2010234500A1 (en) Rendering coal as an environmentally carbon dioxide neutral fuel and a regenerative carbon source
US11525628B2 (en) Process for producing biomethane from a biogas stream, comprising solidification of the impurities
WO2010119972A1 (ja) Btl製造システム及びbtlの製造方法
Lorenzi et al. Life Cycle Assessment of biogas upgrading routes
CA2731376A1 (en) Enhancement of fischer-tropsch process for hydrocarbon fuel formulation
US10040736B2 (en) Production of higher alcohols with minimum methanol content from the gasific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US20120152120A1 (en) Production of carbon dioxide from synthesis gas
RU2676688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диметилового эфира из синтез-газа
WO2012017893A1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130047156A (ko) 가스전의 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액상 연료 생산 방법 및 시스템
Rezende et al. Technic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ethanol production using a biochemical-thermochemical hybrid route
US20220098504A1 (en) Process for using sequestered carbon dioxide in fuels and chemicals
RU2702540C1 (ru) Газохим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Mel et al. Transformation of Carbon Dioxide into Methanol
Giuliano et al. Modelling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Direct or Indirect Dimethyl Ether Synthesis Using Digestate as Feedstock.
WO2024023018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methyl ether and hydrogen from methane using a solid metal oxide re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