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133A -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7133A KR20130047133A KR1020110111968A KR20110111968A KR20130047133A KR 20130047133 A KR20130047133 A KR 20130047133A KR 1020110111968 A KR1020110111968 A KR 1020110111968A KR 20110111968 A KR20110111968 A KR 20110111968A KR 20130047133 A KR20130047133 A KR 201300471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optical properties
- skin
- oil
- improving op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광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은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의 반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색, 밝기의 시각적 차이는 피부 표면에 입사되는 빛의 투과 및 산란을 통해 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서 결정된다. 특히, 피부의 밝기는 피부의 수분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제형에 사용되는 오일에 따라 피부 표면에서의 반사량이 달라진다.
오일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제품의 사용 직후 시각적 차이(즉, 광학적 미백 효과)가 나므로 오일의 선택이 중요하다.
피부로 입사된 빛은 일차적으로 피부 표면에서 확산이 일어나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 빛은 피부층 안으로 투과될 수 있다.
피부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여러 층으로 구성된다. 피부로 입사된 빛은 피부의 내부에서 층 사이의 굴절률 차로 인하여 층 사이에서 일부가 반사되고 일부만 피부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에 따라 피부 내부로 유입되는 빛의 양도 줄어들게 되고,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도 또한 피부층 사이에 일부가 흡수되어 일부만이 외부로 방출되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되게 된다.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양이 많아질수록 시각적으로 피부가 밝게 보여 피부의 광학적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부의 광학적 미백감은 피부의 반사량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피부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과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양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피부의 광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부 표면에서의 반사량과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유효 인자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후아팽 딩(Huafeng Ding), 준 큐 루(Jun Q Lu), 윌리엄 에이 우든(William A Wooden), 피터 제이 크라겔(Peter J Kragel) 및 진-후아 후(Xin-Hua Hu), "300 내지 1600 nm의 분산된 8개의 파장에서의 인체 피부 조직의 굴절률(Refractive indices of Human skin tissues at eight wavelengths and estimated dispersion relations between 300 and 1600 nm)," 의학과 생물학에서의 물리학(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52, 1479-1489, 20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에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효 인자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의 광학적 특성을 제어하여 가시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피부의 표면과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반사량을 증가시켜 피부의 광특성을 개선함으로써 피부의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유효 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은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오일 또는 상기 실리콘 오일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다이 C12-13 알킬말레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틸(옥소)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옥소)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옥소)실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의 제형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또는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라우, 아이새도우 및 네일 에나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바디로션,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을 사용하고 난 직후 피부의 반사량을 증가시켜 피부의 시각적 차이, 즉 광학적 미백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 성분은 피부 표면과 피부 내부에 영향을 미쳐 피부의 반사량을 증가시켜 피부가 밝게 보이게 할 수 있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에 효과적으로 광학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피부에 대한 흡수율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반사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반사량의 변화를 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반사량의 변화를 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경우 피부의 광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장품을 바르면 피부 수분량, 피부 표면 거칠기, 피부 상태 등의 여러 가지가 달라진다. 각각의 변수들은 피부에 대한 빛의 거동(굴절률, 반사량, 경로차)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피부 표면에 도포되어 얇은 막을 형성해 수분 증발을 차단할 수 있다. 피부 표면에 도포된 제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가 수분과 함께 증발하고 일부는 흡수되고 남은 성분들은 피부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반사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피부 외부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피부 표면에서의 반사량에 영향을 미치고, 피부 내부에 흡수되어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반사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스테르 오일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hexyl palmi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phytosteryl isostearyl dimer dilinoleate), 다이 C12-13 알킬 말레이트(Di C12-13 alkyl malate),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오일로 디메틸(옥소)실란(dimethyl(oxo)silane), 메틸페닐폴리실록산(methylphenylpolysiloxane), 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yclomethicone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서 에스테르 오일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와 같은 오일의 경우 다른 오일을 사용했을 때보다 효능 물질의 피부 투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피부의 광학적 미백감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오일 중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작은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되어 큰 반사량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대한 흡수도가 우수하여 피부에 도포된 경우 빠른 시각적 효과를 유도해 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에서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옥소)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메틸(옥소)실란 또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의 경우 다른 오일에 비하여 제형의 흡수도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반사율 변화도 우수하다. 따라서 효능 물질의 피부 투과량을 증가시키면서 피부 반사량을 증가시키는 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 중 디메틸(옥소)실란의 경우 다른 실리콘 오일들에 비하여 피부에 대한 반사량의 변화가 크고, 흡수도가 우수하다. 따라서, 제형의 유효 성분으로 포함된 경우 효능 물질의 피부 투과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광학적 미백감도 또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의 경우 수분이 증발하여 남은 성분들과 함께 얇은 막을 형성하여 반사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그 최소한의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오일의 함량만 있으면 충분하고 그 함량에 커진다고 하여도 반사량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0.01 중량% 미만인 경우 광특성 변화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오일 자체의 광택도로 인해 자연스러운 이미지 구현에 해가 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오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0.1 내지 5 중량%인 경우 오일의 광택도에 의해 부자연스러운 이미지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최적의 반사량 변화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의 광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피부의 피부의 반사량을 높여 광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바디로션,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 등의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라우, 아이새도우 또는 네일 에나멜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된 경우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소량 포함시킴으로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면서 피부의 광택을 살릴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실험 1: 오일 종류에 따른 피부에 대한 광학적 효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조성물을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제작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 | to 100 |
켈트롤 (keltrol) | 0.1 중량% |
카르보폴 이티디 2020 (Carbopol ETD 2020) | 0.3 중량% |
오일 | 10.0 중량% |
트윈 20 (Tween 20) | 0.5 중량% |
수산화칼륨 | 0.21 중량% |
제형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오일을 사용하여 제형의 굴절률, 피부의 반사 변화량 및 피부에 대한 흡수도(K/S val)를 아래 [표 2]과 같이 비교하여 하여 보았다. 제형의 굴절률은 제형의 투명한 정도의 차이를 수치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피부의 반사 변화량은 제형의 도포하기 전의 굴절률과 반사량을 측정하고, 제형 2㎕/cm2을 피부에 도포하고 20분 후 반사량과 굴절률을 측정하여 비교한 값이다.
피부의 굴절률은 프리즘 커플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반사량 변화 및 흡수도는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400 nm ~ 700 nm 파장으로 측정하였으며, 피부 산소헤모글리빈 흡수로 대표되는 가시파장대인 540 nm 데이터로 분석하였다.
오일 | 오일 굴절률 | 제형 굴절률 | 종류 |
반사량 변화
(%) |
흡수도
(K/S val) |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 1.4434 | 1.3365 | 에스테르 | 4.23 | -0.04328 |
디메틸(옥소)실란 | 1.3860 | 1.3431 | 실리콘 | 3.51 | -0.03482 |
메틸페닐폴리실록산 | 1.4944 | 1.3471 | 실리콘 | 0.63 | -0.00743 |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 1.4346 | 1.3409 | 에스테르 | 0.29 | -0.00312 |
또한, 에스테르 오일에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실리콘 오일에서 디메틸(옥소)실란 및 메틸페닐폴리 실록산은 피부 표면에 대하여 반사량을 증가하여, 피부에 대한 제형의 흡수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에틸헥실 팔미테이트와 디메틸(옥소)실란의 경우 피부 반사량 변화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흡수도도 매우 우수했다. 즉, 피부 표면에 대하여 빠르게 흡수되고 반사된 빛의 양과 내부에서 나온 빛의 총량이 증가시켜 시각적으로 피부를 더 밝게 보이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다이 C12 -13 알킬말레이트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의 시간에 따른 반사량의 변화를 도 1 및 도 2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를 참조하면, 선 Y1은 제형을 도포하기 전의 반사량이고 선 Y2는 다이 C12-13 알킬말레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을 도포한 후의 반사량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선 X1은 제형을 도포하기 전의 반사량이고 선 Y2는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을 도포한 후의 반사량이다.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을 도포한 경우 피부 표면의 반사량이 증가하여 피부가 더 밝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디메틸(옥소)실란의 경우 유효 물질로 조성물에 함유되었을 때에 피부에 대한 반사량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고, 흡수도가 우수하여 다른 오일들을 사용했을 때에 비하여 극적인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었다.
<실험 2: 오일 함량에 따른 피부에 대한 광학적 효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로 위 [표 1]의 구성중 오일의 함량을 2 중량%, 10 중량% 및 50 중량%로 변화시키면서 반사량의 변화와 흡수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그리고 상기 오일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와 메틸페닐폴리 실록산을 사용하였다. 피부의 반사 변화량은 제형의 도포하기 전의 굴절률과 반사량을 측정하고, 제형 2㎕/cm2을 피부에 도포하고 20분 후 반사량과 굴절률을 측정하여 비교한 값이다. 각각 반사 변화량과 흡수도를 비교한 결과를 아래 [표 3]과 같이 비교하여 보았다.
반사량 변화 및 흡수도는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400 nm ~ 700 nm 파장으로 측정하였으며, 피부 산소헤모글리빈 흡수로 대표되는 가시 파장대인 540 nm 데이터로 분석하였다.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
반사량 변화
(%) |
흡수도
(K/S val) |
2 중량% | 5.19 | -0.02917 |
10 중량% | 4.23 | -0.04328 |
50 중량% | 5.34 | -0.03600 |
메틸페닐폴리 실록산 | ||
2 중량% | 1.16 | -0.00740 |
10 중량% | 0.63 | -0.00743 |
50 중량% | 0.98 | -0.00720 |
메틸페닐폴리 실록산과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모두 2 중량 %에서 10 중량% 비하여 반사량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50 중량%에서의 반사량 변화 역시 2 중량%에 비하여 거의 비슷한 값을 갖거나 약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오일은 피부에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함량만으로 반사량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일의 함량이 많아지면 오일 자체의 광택으로 부자연스러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반사량 변화를 구현하는 정도로 전체 총 조성물에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8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 또는 상기 실리콘 오일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다이 C12 -13 알킬말레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틸(옥소)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옥소)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옥소)실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의 제형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또는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라우, 아이새도우 및 네일 에나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바디로션,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1968A KR101908345B1 (ko) | 2011-10-31 | 2011-10-31 |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1968A KR101908345B1 (ko) | 2011-10-31 | 2011-10-31 |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7133A true KR20130047133A (ko) | 2013-05-08 |
KR101908345B1 KR101908345B1 (ko) | 2018-10-17 |
Family
ID=4865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1968A KR101908345B1 (ko) | 2011-10-31 | 2011-10-31 |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834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80264B1 (fr) * | 2004-12-30 | 2007-03-30 | Oreal |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ester d'alcool alcoxyle et une huile ester hydrocarbonee |
KR100715611B1 (ko) | 2005-12-02 | 2007-05-07 | (주)아모레퍼시픽 |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JP5680848B2 (ja) | 2009-12-28 | 2015-03-04 |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 フェニル基含有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れからなる化粧料原料および光沢化粧料 |
-
2011
- 2011-10-31 KR KR1020110111968A patent/KR10190834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8345B1 (ko) | 2018-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2678B1 (ko) |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 |
EP1675656B1 (en) | Cosmetic compositions for imparting skin radiance | |
RU2677664C2 (ru) |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осветления кожи и/или губ | |
US20070020209A1 (en) | Makeup compositions and methods | |
US20110070273A1 (en) | High-Coverage and Natural-Look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 |
JP2007517799A (ja) | 大きなサイズの合成雲母の真珠光沢顔料を含む化粧用組成物 | |
JP2007169294A (ja) | ソフトフォーカス効果を有する着色化粧料組成物 | |
KR102345708B1 (ko) | 실리콘 레진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 |
EP3368161B1 (en) | Cosmetic composition imparting a natural complexion and a healthy-looking appearance effect | |
KR20180036264A (ko) |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CN109328055B (zh) | 口唇化妆品 | |
FR2858214A1 (fr) | Produit cosmetique bicouche, ses utilisations et kit de maquillage contenant ce produit | |
KR20190139520A (ko) |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KR101636386B1 (ko) |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 |
FR3004647A1 (fr) | Composition contenant une emulsion, la phase huileuse comprenant un compose comprenant un elastomere de silicone et tensio-actif, une poudre d'elastomere de silicone et un poly alkyl (meth) acrylate | |
US20220192946A1 (en) | Compositions with increased color shade stability based on pigmentary tio2, organic pigments and metal oxide particles | |
US20220192947A1 (en) | Compositions with increased color shade stability | |
KR101908345B1 (ko) | 광특성 개선용 조성물 | |
Hewitt | Sunscreen formulation: Optimising aesthetic elements for twenty-first-century consumers | |
KR101903221B1 (ko) | 장밋빛 화색의 화장용 조성물 | |
KR101780709B1 (ko) |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102035A (ko) |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00025711A (ko) |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 | |
JP7193937B2 (ja) | 化粧方法 | |
KR20220094532A (ko) |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메이크업 밀착 평가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