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986A -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 Google Patents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986A
KR20130046986A KR1020110111707A KR20110111707A KR20130046986A KR 20130046986 A KR20130046986 A KR 20130046986A KR 1020110111707 A KR1020110111707 A KR 1020110111707A KR 20110111707 A KR20110111707 A KR 20110111707A KR 20130046986 A KR20130046986 A KR 20130046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on
unit
separation
press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541B1 (ko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풍양토우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양토우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풍양토우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1011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5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1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 A23N4/18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for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3/00Machines for coring or stoning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feeding device
    • A23N3/04Machines for coring or stoning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feeding device with endless feeder-bel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2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both splitting and ston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24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cut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구조의 압착부와 이송분리부를 상하부에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압착부 및 이송분리부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유자씨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벨트 구조의 이송분리부와 압착부를 형성하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분리부에는 체인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의 상부에 위치한 압착부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가 형성되어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상하 두께에 따라 압착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봉의 사이로 유자씨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추후 공정에서 유자의 가공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Structure of citron seed separator}
본 발명은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구조의 이송분리부와 압착부를 형성하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분리부에는 체인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의 상부에 위치한 압착부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가 형성되어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상하 두께에 따라 압착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봉의 사이로 유자씨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추후 공정에서 유자의 가공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자는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의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차, 다과 등의 식품으로 가공하여 마실 경우 소비자의 신체에 유익함을 제공하므로 현재 유자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자는 내부에 다량의 씨가 있는 열매와 열매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껍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유자를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열매 내부의 씨를 배출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유자의 씨를 배출하기 위해, 유자를 세척한 후 이를 1/2로 절단한 다음 반구형의 열매 외부를 가압하여 씨가 절단면을 통해 유출되도록 한 후 절단면을 통해 유출되는 씨를 나이프 등으로 긁어 이탈시키고 있다.
즉 유자를 절단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적정한 크기의 유자를 선별한 후 이를 수작업으로 1/2로 절단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유자의 절단공정은 다량의 유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많은 인력을 요구하므로 많은 인건비 지출과 함께 식품의 가공공정이 지연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1/2로 절단된 유자의 씨를 작업자가 일일이 도구를 통해 제거하므로 작업이 지연될 뿐더러 수작업에 의해 절단된 유자는 균일한 형태로 절단되지 못하므로 절단공정 후 작업자에 의해 재차 선별공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반으로 절단되어 절단면이 수평하게 이송되는 유자를 이송하는 하부 이송부를 가지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10b);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10b)의 상부로 이격공간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부 이송부(22)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상대적인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20);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부를 구동하는 구동부(30a,30b);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왕복운동을 구동하는 왕복운동 구동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분리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부는 철망으로 이루어진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철망의 눈은 유자씨의 크기와 유사한 눈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철망의 눈은 유자씨의 크기와 유사한 눈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유자씨와 함께 분리되는 과즙의 끈적거림에 의해 상기 철망을 통해 유자씨를 분리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었으며, 설령 상기 하부 및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압착으로 인해 유자씨가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철망을 통해 분리되더라도 상기 상부 철망을 통해 분리된 유자씨는 다시 하부 철망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철망에는 어떠한 압착수단도 형성되어 있지않아 유자씨의 분리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하부 및 상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부는 모두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상하 두께에 따라 그 압착률을 달리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가 적정한계 이상의 압착에 의해 죽이 되어버리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 구조의 이송분리부와 압착부를 형성하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분리부에는 체인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의 상부에 위치한 압착부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가 형성되어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상하 두께에 따라 압착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봉의 사이로 유자씨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추후 공정에서 유자의 가공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는, 벨트 구조의 압착부와 이송분리부를 상하부에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압착부 및 이송분리부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유자씨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를 유자의 진행방향에 따라 예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압착부와 이송분리부의 간격이 배출부를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의 이동속도가 상기 이송분리부의 이동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벨트 구조의 이송분리부와 압착부를 형성하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이송분리부에는 체인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의 상부에 위치한 압착부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가 형성되어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상하 두께에 따라 압착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봉의 사이로 유자씨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착부를 유자의 진행방향에 따라 예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압착부와 이송분리부의 간격이 배출부를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의 이동속도가 상기 이송분리부의 이동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송분리부에 공급되는 유자의 이송과 함께 압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당한 유자씨의 분리효율을 보이므로 추후 공정에서 유자의 가공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유자씨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분리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확대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분리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자씨 분리장치(100)의 구조는, 벨트 구조의 압착부(110)와 이송분리부(120)를 상하부에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압착부(110) 및 이송분리부(120)는 구동부(130,140)에 의해 구동되는 유자씨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10)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111)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120)에는 구동부(140)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121)과 상기 체인(121)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122)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압착부(110)는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절단면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이송분리부(120)에 공급된 유자를 압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압착부(110)에는 유자의 압착과 함께 이송을 위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고무벨트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무벨트로 이루어진 압착부(110)는 유자의 상면에 미끌리지 않고 상기 유자 상면과의 간섭과 마찰에 의해 상기 유자를 진행방향으로 끌고 들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110)는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상하두께에 상관없이 연질 재질에 의한 유연성, 즉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일률적인 압착률을 보이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압착부(110)는 유자의 진행방향(이송방향)에 따라 예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착부(110)와 이송분리부(120)의 간격이 배출부(B)를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부(A)에 위치하는 압착부(110)와 이송분리부(120)의 이격공간은 유자의 상하두께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유자의 이송 및 초기 압착이 이루어지고, 배출부(B)에 위치하는 압착부(110)와 이송분리부(120)의 이격공간은 유자의 상하두께의 1/2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유자의 이송과 함께 점진적으로 압착이 이루어져 유자씨와 함께 과즙이 분리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압착부(110), 즉 하부에 위치한 고무벨트(111)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안내롤러(112)가 일정간격 형성되어 유자의 이송을 돕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송분리부(120)는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의 이송과 함께 유자씨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이송분리부(120)에는 구동부(140)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121)과 상기 체인(121)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122)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22)의 간격은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소정간격 형성되는데, 보통 3~4개의 지지봉(122)에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가 얹어지도록 상기 지지봉(122)의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봉(122)의 간격을 통해 유자씨는 유자 과즙에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으면서 유자 과즙과 함께 유자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나아가 링크를 핀으로 연속하여 연결하고 그 사이에 부시와 롤러를 끼워 이루어지는 체인(121)에 있어, 상기 핀의 대체수단으로 상기 지지봉(122)을 상기 체인(121)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지지봉(1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그 끝단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은 당연하다.
더 나아가 상기 이송분리부(120)의 이동속도는 상기 압착부(110)의 이동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압착부(110)의 빠른 이동속도에 의해 상기 이송분리부(120)로 공급되는 유자를 안으로 끌고 들어가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이송분리부(120)의 이동속도가 상기 압착부(110)의 이동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이송분리부(120)의 빠른 이동속도에 의해 유자의 압착이 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유자가 으스러져 버리는 경향이 있어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유자 절단장치에 의해 절반으로 절단된 유자를 공급받기 위해서, 유입부(A) 측으로 상기 이송분리부(120)가 상기 압착부(110)에 비해 더 연장되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구동부(130,140)는 상기 압착부(130) 및 이송분리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132) 및 종동풀리(1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구동부(140)는 구동모터(141)와 상기 구동모터(14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는 체인(121)의 치합을 위한 체인스프라켓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130,140)는 벨트의 회전을 위한 통상적인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유자씨 분리장치
110: 압착부 111: 고무벨트
112: 안내롤러 120: 이송분리부
121: 체인 122: 지지봉
130,140: 구동부 131,141: 구동모터
132: 구동풀리 133: 종동풀리
142: 구동기어 143: 종동기어
A: 유입부 B: 배출부

Claims (2)

  1. 벨트 구조의 압착부(110)와 이송분리부(120)를 상하부에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압착부(110) 및 이송분리부(120)는 구동부(130,140)에 의해 구동되는 유자씨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10)에는 판 형상의 고무벨트(111)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분리부(120)에는 구동부(140)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121)과 상기 체인(121)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122)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10)를 유자의 진행방향에 따라 예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압착부(110)와 이송분리부(120)의 간격이 배출부(B)를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110)의 이동속도가 상기 이송분리부(120)의 이동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KR1020110111707A 2011-10-31 2011-10-31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KR10139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07A KR101398541B1 (ko) 2011-10-31 2011-10-31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07A KR101398541B1 (ko) 2011-10-31 2011-10-31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986A true KR20130046986A (ko) 2013-05-08
KR101398541B1 KR101398541B1 (ko) 2014-05-28

Family

ID=4865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707A KR101398541B1 (ko) 2011-10-31 2011-10-31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5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626A (ko) * 1991-04-24 1993-05-20 전병윤 이중과실대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40693B1 (ko) * 2007-04-16 2008-06-23 한성푸드영농조합법인 과실가공 시스템
KR20090005654U (ko) * 2007-12-06 2009-06-11 최형만 유자씨 분리기
KR101042735B1 (ko) * 2010-12-22 2011-06-20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541B1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7555B (zh) 剥虾机及虾仁加工系统
US2455675A (en) Machine for handling and preparing oysters
CN106889633B (zh) 一种核果切片加工方法
CN106615017B (zh) 剥虾切割装置及剥虾机
KR100957745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CN206365428U (zh) 剥虾机及虾仁加工系统
KR100840693B1 (ko) 과실가공 시스템
MX2014006067A (es) Dispositivo de corte y separacion de aguacate.
DK1781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chanized peeling of shrimp
US5375509A (en) Dough ball preparation table
US2666398A (en) Automatic machine for forming bagle-dough rings
KR101554330B1 (ko) 건어물 다짐 가공장치
CN206486040U (zh) 水果进料排序装置
CN206390129U (zh) 剥虾切割装置及剥虾机
KR101398541B1 (ko) 유자씨 분리장치의 구조
US5386754A (en) Cube making and peeling machine
CN209788336U (zh) 一种鱼类切片系统
CN107627355B (zh) 食品切割、拉花、穿串一体机
US58737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mponents having different viscosities and/or sizes from a composition
US293205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meat from bone
CN110292182B (zh) 一种智能化柚子果肉无损去籽机及去籽方法
CN212185049U (zh) 一种荔枝去皮去核机
CN206511614U (zh) 一种进料传送带结构
CN207448654U (zh) 一种片糖切块装置
KR20190139789A (ko) 식재료가공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