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975A - 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975A
KR20130046975A KR1020110111680A KR20110111680A KR20130046975A KR 20130046975 A KR20130046975 A KR 20130046975A KR 1020110111680 A KR1020110111680 A KR 1020110111680A KR 20110111680 A KR20110111680 A KR 20110111680A KR 20130046975 A KR20130046975 A KR 2013004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nanoparticles
buffer
particles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6262B1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262B1/en
Publication of KR2013004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9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2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0Luminescent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329/20Luminescent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Abstract

PURPOSE: A light emitting composit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light emission efficiency, by transferring excited electrons of buffer particles to a nano particle. CONSTITUTION: An emitter emits electrons. A light emission composite receives electrons from the emitter. The light emitting complex includes a nano particle(310) and buffer particles(320). The nano particle includes a compound semiconductor. The buffer particle is combined with the nano particle. The buffer particle has higher bandgap energy than the nano particle.

Description

발광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발광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light emitting composit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통상적으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는 크게 발광형 표시장치와 수광형 표시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발광형 표시장치로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으며, 수광형 표시장치로는 으로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무게가 가볍고 소비전력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표시장치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장치의 배면에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설치된다.In general, a flat panel display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light receiving display device.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cathode ray tube (CRT),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Ther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liquid crystal display has the advantages of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However, since the LCD itself does not emit light to form an image, and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outsid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ms an image. There is no probl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acklight unit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종래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선광원으로서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와, 점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높고, 광원이 측면에 있어서 광의 반사와 투과에 따른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특히, 액정 표시장치가 대형화 할수록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s a light source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s a point light source have been mainly used as a backlight unit. However, such a backlight unit generall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s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high in manufacturing cost, and the light source has a large power consumption due to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light at the side. In particular, as the liquid crystal display becomes larger, it is difficult to secure uniformity of luminance.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평면발광 구조를 가진 전계방출형(field emission type) 백라이트 유닛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계방출형 백라이트 유닛은 기존의 냉음극 형광램프 등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고, 또한 넓은 범위의 발광 영역에서도 비교적 균일한 휘도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계 방출형 백라이트 유닛은 조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field emission type backlight unit having a planar light emitting structure has been developed. The field emission type backlight unit consumes less power than a conventional backlight unit using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and has a relatively uniform luminance even in a wide range of light emitting regions. On the other hand, the field emission backlight unit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used as illumination.

종래의 전계 방출 장치에서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부기판의 하면에는 애노드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애노드전극의 하면에는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는 캐소드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은 평판 형상일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field emission apparatus,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anode electrod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and a phosphor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The catho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The cathode electrode may have a flat plate shape.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는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층 상에는 게이트 전극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절연층에는 각각 게이트 홀 및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홀로 노출된 캐소드 전극 상에는 전자방출물질, 예컨대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s)로 이루어진 다수의 에미터(emitter)가 마련되어 있다.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cathode electrode, and gate electrodes are form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tripe shape on the insulating layer. A gate hole and a cavity are formed in the gate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layer,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emitters made of electron-emitting materials such as carbon nanotubes (CNT) are provided on the cathode electrode exposed through the gate hole. have.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캐소드전극과 게이트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캐소드전극 상에 마련된 에미터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되고, 이렇게 방출된 전자들은 애노드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가속되어 형광체층을 여기시킴으로서 가시광을 방출시킨다.In the above structure, as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emitter provided o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emitted electrons are accelerated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to excite the phosphor layer. By emitting visible light.

실시예는 향상된 성능 및 내구성을 가지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and durability.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전자를 방출하는 에미터; 및 상기 에미터로부터의 전자를 입사받는 발광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복합체는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및 상기 나노 입자와 결합되고, 상기 나노 입자보다 더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버퍼 입자를 포함한다.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n emitter emitting electrons; And a light emitting composite that receives electrons from the emitter, wherein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includes nanoparticles including a compound semiconductor; And buffer particles coupled to the nanoparticles and having a greater bandgap energy than the nanoparticles.

실시예에 따른 발광 복합체는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및 상기 나노 입자에 연결되고, 상기 나노 입자보다 더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버퍼 입자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 light emitting composite includes nanoparticles including a compound semiconductor; And buffer particles connected to the nanoparticles and having a greater bandgap energy than the nanoparticles.

실시예에 따른 발광 복합체는 상기 나노 입자보다 더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상기 버퍼 입자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버퍼 입자의 전자는 상기 에미터로부터의 전자를 통하여 여기되고, 이와 같이 여기된 전자는 상기 나노 입자에 전달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he buffer particles having a greater bandgap energy than the nanoparticles. Accordingly, the electrons of the buffer particles are excited through the electrons from the emitter, and the electrons thus excited may be transferred to the nanoparticles.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복합체는 향상된 발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n improved light emission efficiency.

또한, 상기 버퍼 입자는 산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나노 입자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출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particles may perform a scattering function. Accordingl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nanoparticles may be emitted uniformly as a whole. Thus,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luminance uniformity.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발광 복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발광 복합체의 컨덕션 밴드 및 밸런스 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광 복합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발광 복합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composit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uction band and a balance band of a light emitting composit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light emitting composite.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light emitting composite.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기판, 프레임, 시트, 층 또는 패턴 등이 각 기판, 프레임, 시트, 층 또는 패턴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described that each substrate, frame, sheet, layer or pattern is formed "on" or "under" each substrate, frame, sheet, In this case, "on" and "under " all include being form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nother element. In addition, the upper or lower reference of each compon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e size actually appli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발광 복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발광 복합체의 컨덕션 밴드 및 밸런스 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광 복합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발광 복합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composit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duction band and a balance band of a light emitting composit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light emitting composite.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light emitting composit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하부 기판(110), 상부 기판(210), 캐소드 전극(120), 절연층(140), 게이트 전극(150), 에미터(130), 스페이서(160), 애노드 전극(220), 블랙매트릭스(230) 및 다수 개의 발광 복합체들(300)을 포함한다.1 to 4,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ower substrate 110, an upper substrate 210, a cathode electrode 120, an insulating layer 140, a gate electrode 150, and an emitter 130. ), A spacer 160, an anode electrode 220, a black matrix 230,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omposites 300.

상기 하부 기판(110)은 상기 캐소드 전극(120), 상기 절연층(140), 상기 게이트 전극(150) 및 상기 에미터(130)를 지지한다. 상기 하부 기판(110)은 상기 상부 기판(210)과 대향한다. 상기 하부 기판(110)은 절연체이다. 상기 하부 기판(110)으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lower substrate 110 supports the cathode electrode 120, the insulating layer 140, the gate electrode 150, and the emitter 130. The lower substrate 110 faces the upper substrate 210. The lower substrate 110 is an insulator. 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may be used as the lower substrate 110.

상기 상부 기판(210)은 상기 하부 기판(1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기판(210)은 상기 하부 기판(110)에 대향한다. 상기 상부 기판(210)은 상기 애노드 전극(220), 상기 블랙매트릭스(230) 및 상기 발광 복합체들(300)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 기판(210)은 투명하다. 상기 상부 기판(210)은 절연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기판(210)으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upper substrate 210 is disposed on the lower substrate 110. The upper substrate 210 faces the lower substrate 110. The upper substrate 210 supports the anode electrode 220, the black matrix 230, and the light emitting composites 300. The upper substrate 210 is transparent. The upper substrate 210 includes an insulator. 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may be used as the upper substrate 210.

상기 캐소드 전극(120)은 상기 하부 기판(1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캐소드 전극(120)은 상기 하부 기판(110)의 상면에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120)으로 투명한 도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캐소드 전극(120)으로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IZ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120)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The cathode electrode 120 is disposed on the lower substrate 110. The cathode electrode 120 may be disposed in a strip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10. A transparent conductor may be used as the cathode electrode 120. In more detail,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may be used as the cathode electrode 120. The cathode electrode 12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00 nm to about 250 nm.

상기 절연층(140)은 상기 캐소드 전극(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140)은 다수 개의 게이트 홀들(141)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14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 옥사이드(silicon oxide)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층(140)의 두께는 수㎛ 내지 수십㎛일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40 is disposed on the cathode electrode 120. The insulating layer 140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holes 141. 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insulating layer 140 may include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or the like. The insulating layer 140 may have a thickness of several μm to several tens of μm.

상기 게이트 전극(150)은 상기 절연층(14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50)은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5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크롬(Cr) 등을 들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50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140. The gate electrode 150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gate electrode 150 include silver (Ag), copper (Cu), aluminum (Al), chromium (Cr), and the like.

상기 게이트 전극(15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150)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150)은 상기 캐소드 전극(1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50)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50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gate electrode 150 may be arranged in a stripe shape. In addition, the gate electrode 150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athode electrode 120. The gate electrode 15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00 nm to about 300 nm.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150)의 일부는 상기 게이트 홀들(141)과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 전극(150)의 일부는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게이트 홀들(141)의 입구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150 may overlap the gate holes 141. That is, a part of the gate electrode 150 may extend laterally to cover a part of inlets of the gate holes 141.

상기 에미터(130)는 상기 캐소드 전극(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에미터(130)는 상기 게이트 홀들(141) 내에 배치된다. 상기 에미터(130)는 상기 애노드 전극(220)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에미터(130)는 상방으로 연장된다.The emitter 130 is disposed on the cathode electrode 120. The emitter 130 is disposed in the gate holes 141. The emitter 130 may have a shape extending toward the anode electrode 220. That is, the emitter 130 extends upward.

상기 에미터(13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CNT)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미터(130)가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에미터(130)는 낮은 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emitter 130 may include carbon nanotubes (CNTs). When the emitter 130 is made of carbon nanotubes, the emitter 130 may be driven at a low voltage.

상기 스페이서(160)는 상기 하부 기판(110) 및 상기 상부 기판(2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160)는 상기 하부 기판(110) 및 상기 상부 기판(2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스페이서(160)는 상기 게이트 전극(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60)로는 경화성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The spacer 16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bstrate 110 and the upper substrate 210. The spacer 160 keeps the gap between the lower substrate 110 and the upper substrate 210 constant. The spac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gate electrode 150. Curable polymer may be used as the spacer 160.

상기 애노드 전극(220)은 상기 상부 기판(21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220)은 상기 상부 기판(210)의 하면에 코팅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220)은 투명하다. 상기 애노드 전극(220)은 상기 상부 기판(210)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22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The anode electrode 220 is disposed below the upper substrate 210. The anode electrode 220 is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210. The anode electrode 220 is transparent. The anode electrode 220 may be entirely co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210. 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anode electrode 220 may include indium tin oxide or indium zinc oxide.

상기 블랙매트릭스(230)는 상기 상부 기판(21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230)는 상기 애노드 전극(22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230)는 광을 차단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230)에 의해서, 상기 상부 기판(210)은 픽셀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The black matrix 230 is disposed below the upper substrate 210. The black matrix 230 may be disposed under the anode electrode 220. The black matrix 230 blocks light. By the black matrix 230, the upper substrate 210 may be divided in pixel units.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상기 애노드 전극(2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상기 애노드 전극(220)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상기 애노드 전극(220)에 접속된다.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상기 에미터(130)로부터의 전자를 입력받아 광을 발생시킨다.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is disposed below the anode electrode 220.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220.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is connected to the anode electrode 220.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receives light from the emitter 130 to generate light.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상기 발광 복합체(300)를 덮는 밀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층은 외부의 습기 및/또는 산소로부터 상기 발광 복합체(300)를 보호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ealing layer covering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The sealing layer protects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from external moisture and / or oxyge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나노 입자(310) 및 버퍼 입자(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includes nanoparticles 310 and buffer particles 320.

상기 나노 입자(310)는 반도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310)는 반도체 화합물의 나노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나노 입자(310)는 입사되는 전자에 의해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310)는 양자점일 수 있다.The nanoparticles 310 may include a semiconductor compound. The nanoparticles 310 may have a nanocrystal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compound. In more detail, the nanoparticles 310 may generate light by incident electrons.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quantum dots.

상기 양자점은 코어 나노 결정 및 상기 코어 나노 결정을 둘러싸는 껍질 나노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quantum dot may include a core nanocrystal and a shell nanocrystal surrounding the core nanocrystal.

상기 껍질 나노 결정은 두 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껍질 나노 결정은 상기 코어 나노 결정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양자점은 상기 코어 나노 결정으로 입광되는 빛의 파장을 껍질층을 형성하는 상기 껍질 나노 결정을 통해서 파장을 길게 변환시키고 빛의 효율을 증가시길 수 있다.The shell nanocrystals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layers. The shell nanocrystal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nanocrystals. The quantum dot can change the wavelength of light that is incident on the core nanocrystals to a longer wavelength through the shell nanocrystals forming the shell layer and increase the light efficiency.

상기 양자점은 Ⅱ족 화합물 반도체, Ⅲ족 화합물 반도체, Ⅴ족 화합물 반도체 그리고 VI족 화합물 반도체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코어 나노 결정은 CdSe, InGaP,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또는 Hg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껍질 나노 결정은 CuZnS,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또는 HgS를 포함할 수 있다.The quantum do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roup II compound semiconductor, a group III compound semiconductor, a group V compound semiconductor, and a group VI compound semiconductor. In more detail, the core nanocrystals may include CdSe, InGaP, CdTe, CdS, ZnSe, ZnTe, ZnS, HgTe or HgS. The shell nanocrystals may include CuZnS, CdSe, CdTe, CdS, ZnSe, ZnTe, ZnS, HgTe or HgS.

상기 양자점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예를 들어, 상기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quantum do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quantum dot, for example.

특히, 상기 양자점은 그 크기가 빛, 전기 등에 의해 여기되는 전자와 정공이 이루는 엑시톤(exciton)의 보어 반경(Bohr raidus)보다 작게 되면 양자구속효과가 발생하여 띄엄띄엄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게 되며 에너지 갭의 크기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전하가 양자점 내에 국한되어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게 된다. Particularly, when the quantum dot has a size smaller than the Bohr radius of an exciton formed by electrons and holes excited by light, electricity or the like, a quantum confinement effect is generated to have a staggering energy level and an energy gap The size of the image is changed. Further, the charge is confined within the quantum dots, so that it has a high luminous efficiency.

이러한 상기 양자점은 일반적 형광 염료와 달리 입자의 크기에 따라 형광파장이 달라진다. 즉,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내며,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의 가시광선영역의 형광을 낼 수 있다. 또한, 일반적 염료에 비해 흡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가 100~1000배 크고 양자효율(quantum yield)도 높으므로 매우 센 형광을 발생한다.Unlike general fluorescent dyes, the quantum dots vary in fluorescence wavelength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That is, as the size of the particle becomes smaller, it emits light having a shorter wavelength, and the particle size can be adjusted to produce fluorescence in a visible light region of a desired wavelength. In addition, since the extinction coefficient is 100 to 1000 times higher than that of a general dye, and the quantum yield is also high, it produces very high fluorescence.

상기 양자점은 화학적 습식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화학적 습식방법은 유기용매에 전구체 물질을 넣어 입자를 성장시키는 방법으로서, 화학적 습식방법에 의해서, 상기 양자점이 합성될 수 있다.The quantum dot can be synthesized by a chemical wet process. Here, the chemical wet method is a method of growing particles by adding a precursor material to an organic solvent, and the quantum dots can be synthesized by a chemical wet method.

또한, 상기 양자점의 주위에 리간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간드는 상기 양자점의 주위를 둘러싼다. 더 자세하게, 상기 리간드의 일 끝단이 상기 양자점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양자점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In addition, a ligand may be bound around the quantum dot. The ligand surrounds the quantum dot. In more detail, one end of the ligand may be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quantum dot, so as to surround the quantum dot.

또한, 상기 리간드는 합성 후 불안정한 양자점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합성 후에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가 외곽에 형성되며, 상기 댕글링 본드 때문에, 상기 양자점이 불안정해 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리간드의 한 쪽 끝은 비결합 상태이고, 상기 비결합된 리간드의 한 쪽 끝이 댕글링 본드와 결합해서, 상기 양자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and serves to stabilize unstable quantum dots after synthesis. After synthesis, a dangling bon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quantum dots may become unstable due to the dangling bonds. However, one end of the ligand is in an unbound state, and one end of the unbound ligand may bind with a dangling bond to stabilize the quantum dot.

상기 리간드는 피리딘(pyridine), 메르캅토 알콜(mercapto alcohol), 티올(thiol), 포스핀(phosphine) 또는 포스핀 산화물(phosphine 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간드는 폴리에틸렌이민, 3-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메르캅토아세틱산, 3-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3-메르캅토프로피오닉산(3-mercaptopropio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리간드로 다양한 친수성 유기 리간드가 사용될 수 있다.The ligand may include pyridine, mercapto alcohol, thiol, phosphine, or phosphine oxide. In addition, the ligand may include polyethyleneimine, 3-amino propyltrimethoxy silane, mercaptoacetic acid, 3-mercaptopropyl trimethoxy silane or 3-mercaptopropionic acid, and the like. have. In addition, various hydrophilic organic ligands may be used as the ligand.

상기 버퍼 입자(320)는 상기 나노 입자(310)에 결합된다. 상기 버퍼 입자(320)는 상기 나노 입자(310)에 결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버퍼 입자(320)는 연결체(330)를 통하여, 상기 나노 입자(3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buffer particle 320 is coupled to the nanoparticle 310. The buffer particle 320 is coupled to the nanoparticle 310. In more detail,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be coupled to the nanoparticles 310 through the connector 330.

상기 연결체(330)는 유기 리간드일 수 있다. 상기 연결체(330)는 아래의 화학식1로 표시될 수 있다.The linker 330 may be an organic ligand. The connector 330 may be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1Formula 1

HS-R-COOHHS-R-COOH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개 내지 30개인 알킬기일 수 있다.Here, R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예를 들어, 상기 연결체(330)로 3-메르캅토프로피오닉산(3-mercaptopropionic acid) 3-메르캅토이소부틸릭산(3-mercaptoisobutyric acid)등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3-mercaptopropionic acid, 3-mercaptoisobutyric acid, and the like may be mentioned as the linker 330.

상기 연결체(330)의 일 끝단은 상기 나노 입자(310)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체(330)의 다른 끝단은 상기 버퍼 입자(320)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connector 330 is coupled to the nanoparticles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330 is connected to the buffer particles 320.

상기 버퍼 입자(320)는 투명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입자(320)로 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버퍼 입자(320)는 티타늄 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입자(320)의 직경은 약 1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버퍼 입자(320)의 밴드갭 에너지는 약 3.0eV 내지 약 3.5eV일 수 있다.The buffer particle 320 may be transparent. Metal oxide may be used as the buffer particle 320. In more detail, the buffer particle 320 may include titanium oxide. The buffer particle 320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10 nm to about 100 nm. The bandgap energy of the buffer particle 320 may be about 3.0 eV to about 3.5 eV.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may be formed by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습식 방법으로 코어 나노 결정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구체 물질들이 용매에서 반응하여, 결정이 성장되고, 상기 코어 나노 결정이 형성될 수 있다.First, core nanocrystals may be formed by a wet method. That is, precursor materials may react in a solvent, so that crystals may grow and the core nanocrystals may be formed.

예를 들어, CdS 코어 나노 결정을 형성하기 위해서, 트라이옥틸포스파인 옥사이드(Tri-n-octylphosphine oxide; TOPO), 트라이부틸포스파인(Tri-butylphosphine; TBP) 및 헥사데실아민(Hexadecylamine; HDA)을 계면활성제와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o form CdS core nanocrystals, tri-n-octylphosphine oxide (TOPO), tri-butylphosphine (TBP) and hexadecylamine (Hexadecylamine; HDA) Surfactants and solvents may be used.

또한, 카드뮴 전구체 물질로는 카드뮴 옥사이드(CdO), 카드뮴 설페이트 또는 카드뮴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황 전구체 물질로는 메르캅토 에탄올 또는 소듐 설파이드(sodium sulfide;Na2S)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cadmium precursor (CdO), cadmium sulfate or cadmium acetate may be used as the cadmium precursor material, and mercapto ethanol or sodium sulfide (Na 2 S) may be used as the sulfur precursor material.

또한, 껍질 나노 결정도 습식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용액에 전구체 물질을 추가하여, 반응시키고, 결정이 성장되어, 상기 껍질 나노 결정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ll nanocrystals may also be formed by a wet method. That is, the precursor material may be added to the solution including the core nanocrystals, reacted, and the crystals are grown to form the shell nanocrystals.

예를 들어, CdS/ZnS 구조의 양자점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CdS 코어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용액에 아연 전구체 물질 및 상기 황 전구체 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아연 전구체 물질 및 상기 황 전구체 물질의 반응에 의해서, 껍질 나노 결정이 형성되고, 상기 CdS/ZnS 구조의 양자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연 전구체 물질의 예로서는 징크 아세테이트(Zn(CH3COO)2) 등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to form a quantum dot having a CdS / ZnS structure, a zinc precursor material and the sulfur precursor material may be injected into a solution containing the CdS core nanocrystals. By reaction of the zinc precursor material and the sulfur precursor material, a shell nanocrystal may be formed, and a quantum dot of the CdS / ZnS structure may be formed. Examples of the zinc precursor material include zinc acetate (Zn (CH 3 COO) 2 ) and the like.

이후, 상기 나노 입자(310)를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버퍼 입자(320)가 첨가될 수 잇다. 상기 버퍼 입자(320)는 졸-겔 합성법, 기상 응축법, 화학 침전법 또는 수열 합성법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be added to the solution including the nanoparticles 310.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be formed by sol-gel synthesis, gas phase condensation, chemical precipitation, or hydrothermal synthesis.

예를 들어, 상기 버퍼 입자(320)를 형성하기 위해서, 금속유기 화합물 또는 금속 염이 가수분해되어, 콜로이드 입자들이 분산된 졸이 형성된다. 이후, 축합 중합을 통하여, 상기 콜로이드 입자들이 3차원적인 그물구조로 결합된 겔이 형성된다. 이후, 건조 및 밀링 공정을 통하여, 상기 버퍼 입자(32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form the buffer particles 320, a metal organic compound or a metal salt is hydrolyzed to form a sol in which colloidal particles are dispersed. Then, through condensation polymerization, a gel in which the colloidal particles are bonded in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is formed. Thereafter,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be formed through a drying and milling process.

이후, 상기 나노 입자(310) 및 상기 버퍼 입자(320)를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연결체(330)가 첨가되고, 상기 나노 입자(310) 및 상기 버퍼 입자(3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양자점 및 티타늄 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에, 3-메르캅토프로피오닉산(3-mercaptopropionic acid) 또는 3-메르캅토이소부틸릭산(3-mercaptoisobutyric acid) 등이 첨가된다. 이후, 약 7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4시간 동안의 반응 공정에 의해서, 상기 연결체(330)를 통하여, 상기 나노 입자(310) 및 상기 버퍼 입자(3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nector 330 may be added to the solution including the nanoparticles 310 and the buffer particles 320, and the nanoparticles 310 and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That is, 3-mercaptopropionic acid or 3-mercaptoisobutyric acid is added to the solution containing the quantum dots and titanium oxide particles. Thereafter, at a temperature of about 70 ° C. to about 100 ° C., by the reaction process for about 1 hour to about 4 hours, the nanoparticles 310 and the buffer particles 320 are formed through the connector 330.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상기 캐소드 전극(120), 상기 게이트 전극(150) 및 상기 애노드 전극(2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400)를 더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driver 400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cathode electrode 120, the gate electrode 150, and the anode electrode 220.

상기 캐소드 전극(120)에는 음전압(-) 인가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150)에는 그라운드 전압 또는 양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애노드 전극(220)에는 매우 높은 양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캐소드 전극(120)에는 약 60㎲의 주기로, 약 -60V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150)에는 그라운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노드 전극(220)에는 +10V 내지 +60V의 양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A negative voltage (−) is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a ground voltage or a positive voltage (+) is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150. In addition, a very high positive voltage (++)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220. For example, a pulse voltage of about −60 V may be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120 at a period of about 60 μs, and a ground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150. In addition, a positive voltage of + 10V to + 60V may b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220.

이에 따라서, 상기 에미터(130)를 통하여, 전자가 방출되고, 상기 방출된 전자는 상기 발광 복합체(300)를 통하여, 상기 애노드 전극(220)에 입사된다.Accordingly, electrons are emitted through the emitter 130, and the emitted electrons are incident on the anode electrode 220 through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퍼 입자(320)는 상기 나노 입자(310)보다 더 큰 에너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 입자(320)의 밴드갭 에너지는 3.0eV 내지 3.5eV일 수 있고, 상기 나노 입자(310)의 밴드갭 에너지는 약 1.3eV 내지 약 2.74eV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uffer particles 320 have a greater energy bandgap energy than the nanoparticles 310. For example, the band gap energy of the buffer particle 320 may be 3.0 eV to 3.5 eV, and the band gap energy of the nanoparticle 310 may be about 1.3 eV to about 2.74 eV.

또한, 상기 버퍼 입자(320)의 컨덕션 밴드(conduction band)는 상기 나노 입자(310)의 컨덕션 밴드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입자(320)의 컨덕션 밴드는 약 7.2eV 내지 약 8eV일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310)의 컨덕션 밴드는 약 6.05eV 내지 약 7.13eV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 입자(320)의 컨덕션 밴드 및 상기 나노 입자(310)의 컨덕션 밴드의 차이는 약 0.07eV 내지 약 1.95eV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on band of the buffer particle 320 may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conduction band of the nanoparticle 310. The conduction band of the buffer particle 320 may be about 7.2 eV to about 8 eV. The conduction band of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about 6.05 eV to about 7.13 eV. 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duction band of the buffer particle 320 and the conduction band of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about 0.07 eV to about 1.95 eV.

특히, 상기 버퍼 입자(320)가 약 10㎚ 내지 약 100㎚의 직경을 가지는 티타늄 옥사이드 입자인 경우, 상기 나노 입자는 약 1㎚ 내지 약 20㎚의 직경을 가지는 카드뮴 텔루라이드(CdTe), 카드뮴 셀레나이드(CdSe), 카드뮴 설파이드(CdS), 인듐 포스파이드(InP), 징크 셀레나이드(ZeSe) 또는 징크 텔루라이드(ZnTe) 입자일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buffer particles 320 are titanium oxide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nm to about 100 nm, the nanoparticles have cadmium telluride (CdTe), cadmium seleide having a diameter of about 1 nm to about 20 nm. Nide (CdSe), cadmium sulfide (CdS), indium phosphide (InP), zinc selenide (ZeSe) or zinc telluride (ZnTe) particles.

이에 따라서, 상기 에미터(13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서, 상기 버퍼 입자(320)가 여기되고, 상기 버퍼 입자(320)의 에너지가 상기 나노 입자(310)에 전달되어, 상기 나노 입자(310)가 발광할 수 있다. 즉, 상기 에미터(130)로부터의 전자에 의한 에너지는 상기 버퍼 입자(320)를 통하여, 상기 나노 입자(310)에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uffer particles 320 are excited by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emitter 130, the energy of the buffer particles 320 is transferred to the nanoparticles 310, and thus, the nanoparticles 310. ) Can emit light. That is, energy due to electrons from the emitter 130 may be transferred to the nanoparticles 310 through the buffer particles 320.

이에 따라서, 상기 버퍼 입자(320)는 상기 나노 입자(310)에 입사되지 않고, 통과하는 전자의 에너지를 상기 나노 입자(310)에 전달하는 에너지 전달 입자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나노 입자(310)가 적게 사용되더라도,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향상된 발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not correspond to the nanoparticles 310, but may correspond to energy transfer particles that transmit energy of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nanoparticles 310. Accordingly, even if the nanoparticles 310 are used less,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light emission efficiency.

또한, 상기 버퍼 입자(320)는 상기 나노 입자(310)로부터의 전자를 전달받아, 여기된 후, 다시 에너지를 나노 입자(31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 입자(320)는 에너지 수용 입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receive electrons from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excited, and then transfer energy to the nanoparticles 310 again. That is,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be energy receiving particles.

결국, 상기 버퍼 입자(320)는 상기 나노 입자(310)의 발광 특성을 보강하는 발광 보조 입자에 해당된다.As a result, the buffer particles 320 correspond to emission auxiliary particles that enhanc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nanoparticles 310.

또한, 상기 나노 입자(310)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상기 버퍼 입자(320)에 의해서 산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 기판(210)을 통하여,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지는 광이 출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 입자(320)는 산란 입자에 해당된다.In addition, light generated from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scattered by the buffer particles 320. Accordingly, light having an improved luminance uniformity may be emitted through the upper substrate 210. That is, the buffer particles 320 correspond to scattering particles.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버퍼 입자(320)에 다수 개의 나노 입자(31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나노 입자(310)에 다수 개의 버퍼 입자(32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입자(320) 및 상기 나노 입자(310)의 농도 조절에 의해서, 상기 버퍼 입자(320) 및 상기 나노 입자(310)의 개수의 비가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nanoparticles 310 may be coupled to one buffer particle 320.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buffer particles 320 may be combined with one nanoparticle 310. By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the buffer particles 320 and the nanoparticles 310,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buffer particles 320 and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controll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나노 입자(310)는 상기 버퍼 입자(3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 입자(320)는 상기 나노 입자(310)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disposed in the buffer particles 320. That is,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surround the nanoparticles 3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상기 나노 입자(310)보다 더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상기 버퍼 입자(3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버퍼 입자(320)의 전자는 상기 에미터(130)로부터의 전자를 통하여 여기되고, 이와 같이 여기된 전자는 상기 나노 입자(310)에 전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includes the buffer particles 320 having a bandgap energy greater than that of the nanoparticles 310. Accordingly, the electrons of the buffer particle 320 may be excited through the electrons from the emitter 130, and the electrons thus excited may be transferred to the nanoparticles 310.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향상된 발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또한, 상기 버퍼 입자(320)는 산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나노 입자(310)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출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향상된 휘도 균일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particles 320 may perform a scattering function. Accordingl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nanoparticles 310 may be emitted uniformly as a whole. Thus,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luminance uniformity.

또한,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전자에 의해서 발광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is described as being used to emit light by electr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상기 발광 복합체(300)는 외부의 에너지, 예를 들어, 짧은 파장대의 광을 입사받아,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composite 300 may generate light by receiving external energy, for example, light having a short wavelength band.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Claims (11)

전자를 방출하는 에미터; 및
상기 에미터로부터의 전자를 입사받는 발광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복합체는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및
상기 나노 입자와 결합되고, 상기 나노 입자보다 더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버퍼 입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Emitters that emit electrons; And
It includes a light emitting composite that receives the electrons from the emitter,
The light emitting complex is
Nanoparticles comprising a compound semiconductor; And
And a buffer particle coupled to the nanoparticle and having a greater bandgap energy than the nanopart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양자점이고,
상기 버퍼 입자는 티타늄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anoparticles are quantum dots,
The buffer particle comprises a titanium ox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의 밴드갭 에너지는 1.3eV 내지 2.74eV이고,
상기 버퍼 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100㎚인 발광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nd gap energy of the nanoparticles is 1.3eV to 2.74eV,
The light emitting device has a diameter of the buffer particles of 10nm to 100n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의 컨덕션 밴드는 6.05eV 내지 7.13eV인 발광장치.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conduction band of the nanoparticles is 6.05 eV to 7.13 eV.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아래의 화학식1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화학식1
HS-R-COOH
여기서, R은 탄소수가 1개 내지 30개인 알킬기이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 material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below.
Formula 1
HS-R-COOH
Here, R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입자는 투명한 발광장치.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uffer particles are transpa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 및 상기 버퍼 입자에 연결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nanoparticles and the buffer particles.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및
상기 나노 입자에 연결되고, 상기 나노 입자보다 더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버퍼 입자를 포함하는 발광 복합체.
Nanoparticles comprising a compound semiconductor; And
And a buffer particle connected to the nanoparticle, the buffer particle having a greater bandgap energy than the nanopartic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의 컨덕션 밴드 및 상기 버퍼 입자의 컨덕션 밴드의 차이는 0.07eV 내지 1.95eV인 발광 복합체.The light emitting composite of claim 8,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conduction band of the nanoparticles and the conduction band of the buffer particles is 0.07 eV to 1.95 eV.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의 밴드갭 에너지는 1.3eV 내지 2.74eV이고,
상기 버퍼 입자의 에너지 밴드갭은 3.0eV 내지 3.5eV인 발광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and gap energy of the nanoparticles is 1.3eV to 2.74eV,
The energy band gap of the buffer particles is 3.0eV to 3.5eV luminescent composi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입자는 티타늄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카드뮴 텔루라이드, 카드뮴 셀레나이드, 카드뮴 설파이드, 인듐 포스파이드, 징크 셀레나이드 또는 징크 텔루라이드를 포함하는 발광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uffer particles comprise titanium oxide,
The nanoparticles include cadmium telluride, cadmium selenide, cadmium sulfide, indium phosphide, zinc selenide or zinc telluride.
KR1020110111680A 2011-10-28 2011-10-28 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86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680A KR101886262B1 (en) 2011-10-28 2011-10-28 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680A KR101886262B1 (en) 2011-10-28 2011-10-28 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975A true KR20130046975A (en) 2013-05-08
KR101886262B1 KR101886262B1 (en) 2018-08-08

Family

ID=4865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680A KR101886262B1 (en) 2011-10-28 2011-10-28 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2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78018A1 (en) * 2020-04-16 2020-12-03 Chinese Research Academy Of Environmental Sciences Carbon dots-based photocatalytic electrode for simultaneous organic matter degradation and heavy metal reduction and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971A (en) * 2000-01-21 2001-08-11 김순택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80043829A (en) * 2005-09-14 2008-05-19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Quantum dot light emitting la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971A (en) * 2000-01-21 2001-08-11 김순택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80043829A (en) * 2005-09-14 2008-05-19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Quantum dot light emitting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78018A1 (en) * 2020-04-16 2020-12-03 Chinese Research Academy Of Environmental Sciences Carbon dots-based photocatalytic electrode for simultaneous organic matter degradation and heavy metal reductio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262B1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Toward full-color electroluminescent quantum dot displays
JP5760082B2 (en) Display device
CN106601886B (en) Nanocrystal, prepar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s with Quantum Well
WO2018120513A1 (en) Quantum dot composit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1916245B1 (en) 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514043B (en) Display device
US11322706B2 (en) Quantum dot film, quantum dot light-emitting assembly and display device
TW201305686A (en) Optical memb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20113943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CN105161585A (en) Fibrous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7299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ght transforming member
JP2007287662A (en)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86262B1 (en) Light emitting complex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56333B1 (en) Quantum rod and Quantum rod display device
CN108269935A (en) A kind of quantum dot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51763B1 (en) Nanoparticle complex, light convers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549357B1 (en) Highly efficient electroluminescent devices utilizing anisotropic metal nanoparticles
KR101843463B1 (en) Display device
KR101210068B1 (en) Optical memb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8269930B (en) Alloy nano material, prepar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CN108269892A (en) Alloy material, prepar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s with Quantum Well
KR102253391B1 (en) Quantum rod compound including electron acceptor and quantum rod 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8120516A1 (en) Nano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1219953B1 (en) Light transforming memb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26905B1 (en) 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