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792A -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 Google Patents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792A
KR20130046792A KR1020110111375A KR20110111375A KR20130046792A KR 20130046792 A KR20130046792 A KR 20130046792A KR 1020110111375 A KR1020110111375 A KR 1020110111375A KR 20110111375 A KR20110111375 A KR 20110111375A KR 20130046792 A KR20130046792 A KR 20130046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illing
support
rotating body
dril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353B1 (ko
Inventor
김형영
권오현
박관규
박정수
안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3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02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4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 E21B19/143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24Guiding or centralising devices for drilling rod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는, 시추용 파이프를 핸들링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로서, 상기 시추용 파이프 중 상부 시추용 파이프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를 감거나 푸는 권양기; 상기 시추용 파이프 중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와 결합되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지지홀을 구비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PIPE HANDLRING DEVICE AND DRILL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나 드릴쉽(drill ship)과 같은 시추선박은, 해저 유전이나 가스전을 굴착하기 위해 드릴파이프나 시추라이저(drilling riser)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드릴파이프에 결합되는 드릴비트(drill bit) 및 이들을 구동하는 천공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런 시추선박에서 이루어지는 드릴링 작업을 살펴보면, 드릴파이프나 시추라이저 등을 시추선박의 드릴플로어(drill floor)로 옮겨서 조립(make up)한 다음 로터리 테이블(rotary table)을 통해 해저면으로 내리게 되며, 반대로 드릴링이 중단되어 드릴스트링(drill string)을 회수할 때는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드릴파이프나 시추라이저를 분해(break out)하여 시추선박으로 회수하게 된다.
특히, 드릴파이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기 위해 하이드라 통(HYDRA TONG) 또는 토크 마스터(TORQUE MASTER)라는 특수장비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하이드라 통과 같은 특수장비가 고장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드릴링 작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상기 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743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이프를 조립 또는 해체 시 다양한 방향과 각도 및 높이에서 파이프를 지지함으로써 기존의 특수장비를 대체하여 파이프를 핸들링할 수 있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추용 파이프를 핸들링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로서, 상기 시추용 파이프 중 상부 시추용 파이프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를 감거나 푸는 권양기; 상기 시추용 파이프 중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와 결합되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지지홀을 구비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홀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배출방향을 조절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와이어(wire), 체인(chain), 케이블(cable) 및 로프(rop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 및 상기 하부 시추용 파이프 간에 조립 또는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에는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를 잡아주는 제1 고정팔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시추용 파이프에는 상기 하부 시추용 파이프를 잡아주는 제2 고정팔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고정팔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고정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와;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를 포함하는 시추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이프를 조립 또는 해체 시 다양한 방향과 각도 및 높이에서 파이프를 지지함으로써 기존의 특수장비를 대체하여 파이프를 핸들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추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의 회전체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추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박은 선체(1)와 상기 선체(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시추선박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나 부유식 가스저장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or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드릴쉽(drill ship)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추진 가능한 시추선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드라 통과 같은 특수장비가 고장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이러한 장비를 대체하여 다양한 방향과 각도 및 높이에서 시추용 파이프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파이프 핸들링장치(100)가 제시된다.
파이프 핸들링장치(100)는 시추용 파이프(10)를 핸들링하는 장치로서, 권양기(110)와 지지부(120)와 회전체(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권양기(110)을 이용하여 한 쌍의 시추용 파이프(10)를 조립 또는 해체할 경우, 한 쌍의 시추용 파이프(10) 중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에 권양기(110)의 제1 연결부재(112)를 연결하고 한 쌍의 시추용 파이프(10) 중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에 지지부(120)의 제2 연결부재(122)를 연결함으로써, 시추용 파이프(10)를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의 제2 연결부재(122)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권양기(110)의 제1 연결부재(112)는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를 잡아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130)에 제2 연결부재(122)를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방향과 각도 및 높이에서 시추용 파이프(10)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권양기(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에 구비된 장치로서, 한 쌍의 시추용 파이프(10) 중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112)를 감거나 풀어서 시추용 파이프(10)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시추용 파이프(10)의 조립 및 해체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권양기(110)로는 캣헤드머신(cathead machine) 또는 윈치(winch)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캣헤드머신이 도시되어 있다.
캣헤드머신이 권양기(110)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상단부에 구비된 드럼에 권취되는 제1 연결부재(112) 및 상기 드럼을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재(112)를 감거나 푸는 유압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윈치가 권양기(110)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상단부에 구비된 드럼에 권취되는 제1 연결부재(112)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서 제1 연결부재(112)를 감거나 푸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100)는 권양기(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권양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화된 컴퓨터 등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권양기(110)의 구동부에 동작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권양기(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제1 연결부재(112) 및 제2 연결부재(122)는 와이어(wire), 체인(chain), 케이블(cable), 로프(rope)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연결부재(112) 및 제2 연결부재(122)로는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시추용 파이프(10)는 드릴파이프나 시추라이저(drilling riser), 케이싱(casing)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시추용 파이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테이블(rotary table, 3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조립이 완료된 시추용 파이프(10)는 로터리 테이블(30)의 관통홀을 통해 해저면으로 내려지게 된다.
이때 조립 및 해체작업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를 로터리 테이블(30)에 고정되도록 지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122)가 연결되는 제2 지지홀(132)을 구비한 회전체(130)와 이러한 회전체(13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선체(1)의 드릴플로어(drill floor)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는 원통형상의 포스트(post)로서 그 상단부에 형성된 제1 지지홀(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권양기(110)의 드럼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1 연결부재(112)는 한 쌍의 시추용 파이프(10) 중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에 연결되며,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122)는 지지부(120)의 제1 지지홀(124) 또는 제2 지지홀(1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120)에 체결된 제2 연결부재(122)에 의해 로터리 테이블(30)에 고정된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의 상단부에는, 제1 연결부재(112)가 체결된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를 연결하고 권양기(110)를 이용하여 축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시추용 파이프(1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참고로,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 및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 간에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에는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를 잡아주는 제1 고정팔(20a)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에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를 잡아주는 제2 고정팔(20b)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재(112)는 제1 고정팔(20a)에 연결되어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를 축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재(122)는 제2 고정팔(20b)에 연결되어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를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시추용 파이프(10)는 로터리 테이블(30)의 관통홀을 통해 해저면으로 내려지게 된다.
한편, 조립 완료된 시추용 파이프(10)가 해저로 내려진 다음에는, 상기 시추용 파이프(10)의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가 로터리 테이블(30)의 관통홀에 고정되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가 되며, 이러한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에는 새로운 상부 시추용 파이프(10a)가 연결 조립되어 연속적인 파이프 라인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제1 고정팔(20a)과 제2 고정팔(20b)은 기존 시추용 파이프(10)에서 해체되어 새로운 시추용 파이프(10)에 체결되며, 파이프 라인이 완성될 때가지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한편, 해저에 설치된 파이프 라인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시추용 파이프(10)를 해체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조립 과정의 역순으로 해체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시추용 파이프(10)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 시, 권양기(110)와 지지부(120) 및 그 중간에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제1 연결부재(112) 및 제2 연결부재(122) 그리고 제1 고정팔(20a)과 제2 고정팔(20b)를 이용함으로써, 드릴링에 필요한 시추용 파이프(10)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재(122)는 지지부(120)의 제1 지지홀(124) 또는 제2 지지홀(132)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의 상단부에는 제1 지지홀(124)외에도 제3 지지홀(1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3 지지홀(126)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드릴링 작업 중 다양한 와이어나 로프, 케이블 등의 고정이나 지지를 위해 러그(lug)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지지홀(126)은 제2 연결부재(132)와 체결되어 사용중인 제1 지지홀(124)과 별도로 동시에 다른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용 파이프(10)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 시 다양한 방향과 각도 및 높이에서 시추용 파이프(10)를 핸들링할 수 있도록,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회전체(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부재는 튜브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130)가 지지부(120)의 외측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체(130)는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대해 360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회전체(130)의 측부에는 제2 연결부재(122)가 연결되도록 제2 지지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부재(122)를 지지부(120) 상단부에 구비된 제1 지지홀(124) 또는 회전체(130)의 제2 지지홀(132)에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방향과 각도에서 접근하는 제2 연결부재(122)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를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핸들링하며 고정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120)와 회전체(130)에 구비된 제1 지지홀(122)과 제2 지지홀(132)은 시추용 파이프(10)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 외에도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홀(122)과 제2 지지홀(132)에는 어떤 물건을 인양하기 위해 어떤 장비의 연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물건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홀(122)과 제2 지지홀(132) 및 제3 지지홀(126) 각각은 동시에 별개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140)는 지지부(120)에 대해 회전체(13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140)는 관통홀(142)에 삽입되어 회전체(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44)를 관통홀(142)에 삽입함으로써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130)가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12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관통홀(142)에 고정부재(144)를 삽입함으로써 회전체(130)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홀(142)이 일렬 또는 다수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44)로는 핀(pin)이나 볼트(bol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10b)를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핸들링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회전체(130)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122)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높이조절부(14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100)의 회전체(130)의 변형례(10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30)는 제2 지지홀(132)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2 연결부재(122)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롤러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부(134)는 상기 회전체(130)와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상기 롤러부(134)의 외주면을 따라 제 2 연결부재(122)가 배출됨에 따라, 앞서 상술된 실시예(100)에서와 같이 회전체(130)를 상하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제2 연결부재(122)의 배출 높이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체(13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롤러부(134)에 제2 지지홀(132)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122)를 권취함으로써, 제2 연결부재(122)가 감기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연결부재(122)의 배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변형례(101)의 경우에도 높이조절부(140)를 구비하여 회전체(130)의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추용 파이프(10)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 시, 권양기(110)와 지지부(120) 및 그 중간에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제1 연결부재(112) 및 제2 연결부재(122)를 이용함으로써, 드릴링에 필요한 시추용 파이프(10)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130)에 제2 연결부재(122)를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방향과 다양한 각도에서 시추용 파이프(10)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선체 10: 시추용 파이프
10a: 상부 시추용 파이프 10b: 하부 시추용 파이프
20a: 제1 고정팔 20b: 제2 고정팔
30: 로터리 테이블 100: 파이프 핸들링장치
110: 권양기 112: 제1 연결부재
120: 지지부 122: 제2 연결부재
124: 제1 지지홀 126: 제3 지지홀
130: 회전체 132: 제2 지지홀
134: 롤러부
140: 높이조절부 142: 관통홀
144: 고정부재 150: 제어기

Claims (9)

  1. 시추용 파이프를 핸들링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로서,
    상기 시추용 파이프 중 상부 시추용 파이프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를 감거나 푸는 권양기;
    상기 시추용 파이프 중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와 결합되는 하부 시추용 파이프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지지홀을 구비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체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홀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배출방향을 조절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와이어(wire), 체인(chain), 케이블(cable) 및 로프(rop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 및 상기 하부 시추용 파이프 간에 조립 또는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에는 상기 상부 시추용 파이프를 잡아주는 제1 고정팔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시추용 파이프에는 상기 하부 시추용 파이프를 잡아주는 제2 고정팔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고정팔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고정팔에 연결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형 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핸들링장치.
  9. 선체와;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 핸들링장치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KR1020110111375A 2011-10-28 2011-10-28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KR10133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75A KR101334353B1 (ko) 2011-10-28 2011-10-28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75A KR101334353B1 (ko) 2011-10-28 2011-10-28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792A true KR20130046792A (ko) 2013-05-08
KR101334353B1 KR101334353B1 (ko) 2013-11-29

Family

ID=4865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375A KR101334353B1 (ko) 2011-10-28 2011-10-28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908806WA (en) * 2017-03-23 2019-10-30 Ensco Int Inc Vertical lift rotary t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91U (ja) * 1993-07-27 1995-03-03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吊下げ削井機の駆動ロッド取外し装置
US6085851A (en) * 1996-05-03 2000-07-11 Transocean Offshore Inc. Multi-activity offshore exploration and/or development drill method and apparatus
WO2005061841A1 (en) 2003-12-12 2005-07-07 Varco I/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ine standbuilding
US7628212B2 (en) 2006-10-26 2009-12-08 Tt Technologies, Inc. Drill stem connection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353B1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361B2 (en) Wellbore drilling system
US11002085B2 (en) Offshore drilling vessel and method
US6932553B1 (en) Multipurpose unit for drilling and well intervention
US6763898B1 (en) Dual hoist system
US9068398B2 (en) Deepwater completion installation and intervention system
JP5647355B2 (ja) 可撓性ラインを海に敷設する敷設船および方法
US6901998B1 (en) Method for using a multipurpose system
US9010410B2 (en) Top drive systems and methods
US5547314A (en) Offshor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tripping a continuous length of jointed tubular conduit
CN102444386A (zh) 深水下送工具
KR20100004899A (ko) 선박용 접철식 데릭 구조
US20110176874A1 (en) Coiled Tubing Compensation System
KR20100004898A (ko) 선박용 접철식 데릭 구조
US6868902B1 (en) Multipurpose reeled tubing assembly
MXPA05012932A (es) Sistema de obtencion en alta mar con sondeadora de perforacion/reacondicionamiento.
KR101334353B1 (ko) 파이프 핸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박
KR101707496B1 (ko) 보조구조물을 탑재한 시추선
EP3450676B1 (en) Crane, marine vessel or rig, and method
AU20123627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ine intervention in a subsea well from a floating vessel
KR20140021099A (ko) 탑드라이브 시스템의 모터 배치구조
KR101665478B1 (ko) 드릴링 시스템 및 방법
CN116134207A (zh) 海上船和这种海上船的操作方法
DK201470227A1 (en) An offshore drilling ri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GB2549258A (en) Drill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