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010A - 다기능 조형물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010A
KR20130046010A KR1020110110297A KR20110110297A KR20130046010A KR 20130046010 A KR20130046010 A KR 20130046010A KR 1020110110297 A KR1020110110297 A KR 1020110110297A KR 20110110297 A KR20110110297 A KR 20110110297A KR 20130046010 A KR20130046010 A KR 2013004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unit
camera
person
infrar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균
Original Assignee
홍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균 filed Critical 홍성균
Priority to KR102011011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6010A/ko
Publication of KR2013004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형물에 있어서,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와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어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조형물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형물에 접근하는 사람의 진입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가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LED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 터치 센서를 통해 사람이 조형물의 인근에 진입하거나 또는 그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하게 되면, 그 조형물에 설치된 LED가 발광됨과 동시에 그 조형물과 관련된 음성(예컨대, 조형물이 동물인 경우, 그 동물의 울음소리 및 동물에 대한 설명)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람들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조형물{Sculpture equipped with various features}
본 발명은 다기능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적외선 센서, 터치 센서를 통해 사람이 조형물의 인근에 진입하거나 또는 그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하게 되면, 그 조형물에 설치된 LED가 발광됨과 동시에 그 조형물과 관련된 음성(예컨대, 조형물이 동물인 경우, 그 동물의 울음소리 및 동물에 대한 설명)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람들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다기능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기능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관광지에는 그 관광지를 홍보하여 관객들이 즐길 수 있는 볼거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볼거리 제공 중에는 그 지역에서 유명한 동물 식물을 이용한 테마파크 등이 있다. 이러한 테마 파크에는 식물과 동물을 구비하여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하지만, 관광객들의 흥미를 이끌기 위하여 또는 실물을 보여주기 어려운 희귀동물은 그 형상과 동일한 조형물을 전시하기도 한다.
이렇게 조형물을 전시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그 조형물 그 자체만을 전시하거나 또는 와이어나 모터 등을 이용하여 약간의 움직임을 주고 또한 그 해당 동물에 관한 소리를 틀어주는 것(예컨대, 호랑이라면 호랑이가 울부짓는 소리, 학 등의 조류라면 조류가 내는 소리 등을 녹음하여 반복적으로 재생)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단순히 이러한 조형물에서 해당 동물의 소리만 나는 것은 관광객들의 흥미를 이끌기에는 부족함이 있어 점차로 관객들의 숫자가 줄어들게 되어 결국 사업 채산성이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 터치 센서를 통해 사람이 조형물의 인근에 진입하거나 또는 그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하게 되면, 그 조형물에 설치된 LED가 발광됨과 동시에 그 조형물과 관련된 음성(예컨대, 조형물이 동물인 경우, 그 동물의 울음소리 및 동물에 대한 설명)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람들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조형물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가 그 사람을 촬영한 뒤 그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람들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을 하면, 자동으로 동력장치를 구동시켜 조형물 또는 그 조형물의 어느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처리함으로써 생동감이 느껴지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형물에 아이가 접근함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아이템(예컨대, 조형물 내부에 구비되어 있던 막대 사탕, 인형 등)이 조형물 배출구를 통해 제공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주위가 산만한 아이들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어른과 아이 모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은, 조형물에 있어서,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스피커;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어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조형물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형물에 접근하는 사람의 진입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가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LED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조형물은,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회전식 카메라; 상기 적외선 센서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가 그 조형물에 접근한 사람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기능 조형물은, 모터와 같은 동원력과 축으로 이루어진 동력장치; 상기 동력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조형물 또는 조형물의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적외선 센서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가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동력장치에 구동 온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부가 구동되어 조형물 또는 조형물의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처리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조형물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조형물에 접근하는 사람의 신장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신장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아이로 판단하는 아이 식별부; 조형물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고, 아이템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 및 상기 아이 식별부가 조형물에 아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벨트 컨베이어를 회전시켜 호퍼에 담긴 아이템이 조형물 외부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처리하는 이송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 터치 센서를 통해 사람이 조형물의 인근에 진입하거나 또는 그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하게 되면, 그 조형물에 설치된 LED가 발광됨과 동시에 그 조형물과 관련된 음성(예컨대, 조형물이 동물인 경우, 그 동물의 울음소리 및 동물에 대한 설명)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람들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조형물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가 그 사람을 촬영한 뒤 그 촬영영상을 조형물 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람들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을 하면, 자동으로 동력장치를 구동시켜 조형물 또는 그 조형물의 어느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처리함으로써 생동감이 느껴지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형물에 아이가 접근함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아이템(예컨대, 조형물 내부에 구비되어 있던 막대 사탕, 인형 등)이 조형물 배출구를 통해 제공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주위가 산만한 아이들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어른과 아이 모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기능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이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조형물의 형상이 기린 형상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조형물의 형상이 기린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조형물(100)은 다수의 LED(101), 스피커(102), 터치센서(103), 적외선 센서(104), 저장부(105), 중앙제어부(106), 디스플레이부(107), 회전식 카메라(108), 카메라 제어부(109), 디스플레이 처리부(110), 구동 제어부(111), 아이식별부(112), 이송처리부(113), 호퍼(114), 컨베이어 벨트(115), 배출구(116), 모터 동력장치(117), 구동부(118), 통신부(미도시),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한다.
LED(101)는 조형물(100)의 몸체에 설치되고, 조형물(100)에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발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LED(101)가 발광되면, 사람의 관심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피커(102)는 조형물(100)의 몸체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그 조형물과 관련된 음성(예컨대, 조형물이 동물인 경우, 그 동물의 울음소리 및 동물에 대한 설명)이 출력된다.
터치센서(103)는 조형물(100)의 몸체에 설치되어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104)는 조형물(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형물에 접근하는 사람의 진입을 감지한다. 즉, 적외선 센서(104)는 인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게 되어 사랍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이다.
저장부(105)에는 스피커(102)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파일(예컨대, 조형물이 기린인 경우, 기린의 설명, 기린의 울음소리 음원파일 및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요 음원파일 등)이 저장된다.
중앙제어부(106)는 적외선 센서(104)가 조형물(100)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103)가 사람이 조형물(100)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LED(101)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스피커(102)를 통해 기 설정된 음원파일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중앙제어부(106)는 외부의 제어장치로부터 LED(101)의 색상 출력신호(예컨대, 빨강 →주황→노랑→초록→파랑→보라의 순으로 색상출력)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 뒤, 그 색상 출력신호에 따라 LED가 발광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106)는 아이 식별부(112)가 조형물(100)에 아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스피커(102)를 통해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요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조형물(100)은 외부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그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면 중앙처리부(106)는 그 제어신호에 따라 조형물이 동작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7)는 조형물(100)의 몸체에 설치되고, 회전식 카메라(108)가 촬영한 촬영영상(조형물에 접근하는 사람을 촬영한 영상)이 출력된다.
회전식 카메라(108)는 조형물(100)의 몸체에 설치되고, 조형(100)물에 진입하는 사람의 행동에 따라 방향을 조절하며 그 사람을 촬영한다.
카메라 제어부(109)는 적외선 센서(104)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108)가 그 조형물에 접근한 사람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한다. 즉, 회전식 카메라(108)는 모션 디텍터가 구비된 카메라인 것이다.
디스플레이 처리부(110)는 카메라(108)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3에는 아이가 진입한 경우, 회전식 카메라(108)가 방향을 전환하여 그 아이를 촬영하고 그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7)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신들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7)에 출력되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동 제어부(111)는 적외선 센서(104)가 조형물(100)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103)가 사람이 조형물(100)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동력장치(117)에 구동 온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부(118)가 구동되어 조형물 또는 조형물의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처리한다.
이때, 모터 동력장치(117)는 모터와 같은 동원력과 축으로 이루어지고, 구동부(118)는 동력장치(117)에 의해 구동되어 조형물 또는 조형물의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처리한다.
도 4에는 구동제어부, 모터 동력장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형물 인근에 사람이 진입함을 감지하면, 모터 동력장치가 돌아가고 그에 따라 구동부가 돌아가 조형물의 특정부분이 움직이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람이 기린 조형물에 진입하게 되면, 기린의 꼬리부분이 모터 동력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람들은 그 조형물이 움직이는 것처럼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생동감 있고 보다 사실적인 모습을 볼 수 있어 흥미를 느끼게 된다.
아이 식별부(112)는 카메라(108)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조형물(100)에 접근하는 사람의 신장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신장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예컨대, 1M 이하)인 경우 아이로 판단한다.
이송처리부(113)는 아이 식별부(112)가 조형물(100)에 아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벨트 컨베이어(115)를 회전시켜 호퍼(114)에 담긴 아이템(예컨대, 막대 사탕, 인형 등)이 조형물 외부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116)로 배출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호퍼(114)는 조형물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고, 아이템이 투입되어 저장된다.
도 5에는 아이가 진입하는 경우, 조형물 내부에 구비된 막대 사탕이 배출구를 통해 제공되어 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위가 산만한 아이들이 그 조형물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기능 조형물 101 : LED
102 : 스피커 103 : 터치 센서
104 : 적외선 센서 105 : 저장부
106 : 중앙제어부 107 : 디스플레이부
108 : 회전식 카메라 109 : 카메라 제어부
110 : 디스플레이 처리부 111 : 구동제어부
112 : 아이 식별부 113 : 이송처리부
114 : 호퍼 115 : 컨베이어 벨트
116 : 배출구 117 : 동력장치
118 : 구동부

Claims (4)

  1. 조형물에 있어서,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스피커;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어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조형물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형물에 접근하는 사람의 진입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가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LED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조형물은,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조형물의 몸체에 설치되는 회전식 카메라;
    상기 적외선 센서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가 그 조형물에 접근한 사람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형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조형물은,
    모터와 같은 동원력과 축으로 이루어진 동력장치;
    상기 동력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조형물 또는 조형물의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적외선 센서가 조형물에 사람이 접근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센서가 사람이 조형물을 터치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동력장치에 구동 온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부가 구동되어 조형물 또는 조형물의 특정 부분이 움직이도록 처리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형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조형물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조형물에 접근하는 사람의 신장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신장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아이로 판단하는 아이 식별부;
    조형물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고, 아이템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 및
    상기 아이 식별부가 조형물에 아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벨트 컨베이어를 회전시켜 호퍼에 담긴 아이템이 조형물 외부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처리하는 이송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형물.
KR1020110110297A 2011-10-27 2011-10-27 다기능 조형물 KR20130046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97A KR20130046010A (ko) 2011-10-27 2011-10-27 다기능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97A KR20130046010A (ko) 2011-10-27 2011-10-27 다기능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10A true KR20130046010A (ko) 2013-05-07

Family

ID=4865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297A KR20130046010A (ko) 2011-10-27 2011-10-27 다기능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60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6529A (zh) * 2019-04-17 2019-08-16 孙铭海 一种静物产生装置
KR102321277B1 (ko) * 2021-01-05 2021-11-02 김다연 발광기능을 갖는 날개를 구비한 조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6529A (zh) * 2019-04-17 2019-08-16 孙铭海 一种静物产生装置
KR102321277B1 (ko) * 2021-01-05 2021-11-02 김다연 발광기능을 갖는 날개를 구비한 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9567B2 (en) Robot having a changeable character
US9690373B2 (en) Making physical objects appear to be moving from the physical world into the virtual world
US20050288079A1 (en) Self-propelled cleaner
US9993733B2 (en) Infrared reflective device interactive projection effect system
CN1383115A (zh) 关联于产品的电子展示工具
US20150306496A1 (en) Video teleconference object enable system
US9390643B2 (en) Rotatable animation devices with staggered illumination sources
US10738972B1 (en) Customizable light-up device
KR101685401B1 (ko) 스마트 토이 및 그 서비스 시스템
US11274707B2 (en) Customizable light-up device
AU2015230802B2 (en) Interactive intelligent toy
WO2007049234A2 (en) Jump rope
KR20130046010A (ko) 다기능 조형물
CN111228832B (zh) 玩具控制方法和可编程玩具
JP2013514546A5 (ko)
US8210897B2 (en) Interactive intelligent toy
US6564484B1 (en) Swimming element enjoying system
US89557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mobile gaming
KR102350931B1 (ko) 이동 로봇
KR101844966B1 (ko) 스마트 토이 시스템
WO2015003186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mobile gaming
ES2492165A1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identificación y control de objetos en un espacio delimitado y uso en la creación de videojuegos híbrid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