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250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250A
KR20130045250A KR1020127025717A KR20127025717A KR20130045250A KR 20130045250 A KR20130045250 A KR 20130045250A KR 1020127025717 A KR1020127025717 A KR 1020127025717A KR 20127025717 A KR20127025717 A KR 20127025717A KR 20130045250 A KR20130045250 A KR 20130045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width direction
absorbent article
sheet
flap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1963B1 (en
Inventor
마리 야스이
준 쿠도
유지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5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은, 흡수체(30)를 갖는 본체부(2)와, 본체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착용자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는 윙부(43)와, 윙부보다도 후방에서, 본체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랩부(60)를 구비하고, 플랩부는, 폭 방향의 길이가 전후 영역의 폭 방향보다도 짧게 형성된 제1 잘록부(61)와, 제1 잘록부(61)보다도 전측에 위치하여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플랩부(63)와, 제1 잘록부(61)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여, 제1 잘록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플랩부(64)를 구비하고, 플랩부에는, 두께 방향에서 오목해지는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The absorbent article 1 has a main body portion 2 having an absorber 30, a wing portion 43 projecting out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wearer's underwear, and from the rear of the wing portion. And a flap portion 6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in a width direction, wherein the flap portion has a first cut portion 61 and a first cut portion 61 having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region. ) And a second flap portion 63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narrowing part 61 and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narrowing part 61. It is provided with 64, The flap part is formed with the recessed part 70 which become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recessed part extends from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as it goes back.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0001] ABSORBENT ARTICLE [0002]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수성 물품의 후방부에 있어서 흡수체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랩부의 꼬임이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and more particularly, to absorbent articles capable of suppressing twisting and wrinkling of flap portions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absorbent body in the rear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특허 문헌 1에는, 흡수성 물품의 후방부에 있어서 흡수체 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후방부 플랩을 가지고, 이 후방부 플랩에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요철부를 형성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용 냅킨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생리용 냅킨의 후방부 플랩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강성이 높여져 있다. 후방부 플랩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장착시의 후방부 플랩의 꼬임이나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sanitary napkin a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ar flap that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absorber in the rear part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flap by embossing. . The rigidity of the back flap of the sanitary napkin of patent document 1 is improved by embossing.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rear fla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 flap from being twisted or wrinkled.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3-339765호 공보(도 1, 단락 0016 등)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39765 (Fig. 1, paragraph 0016, etc.)

그러나, 전술의 생리용 냅킨은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은, 후방부 플랩의 강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신체의 곡선을 따라서 후방부 플랩이 적절히 배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이 신체에 피트하지 않아, 체액의 누설이 발생하고,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후방부 플랩부가 딱딱하기 때문에, 예컨대, 주름이나 접은 자국이 형성된 경우에 딱딱한 주름이나 접은 자국이 착용자에게 있어서, 장착감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In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rigidity of the rear flap is relatively high, there is a fear that the rear flap is not properly disposed along the curve of the body. Therefore, the sanitary napkin does not fit the body, leakage of body fluid occurs,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feeling of wearing may deteriorate. In addition, since the rear flap portion is hard, for example, when wrinkles or creases are formed, hard wrinkles or creases may worsen the wearing feeling for the wearer.

본 발명은, 전술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시에 있어서의 플랩부의 주름이나 꼬임을 억제하고, 또한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서 배치하여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subject, Comprising: Providing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an suppress the wrinkles and kinks of a flap part at the time of mounting, and can arrange | position along the wearer's body and can suppress deterioration of a feeling of wearing. The purpos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길이 방향 L)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폭 방향 W)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체(흡수체(30))를 갖는 본체부(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착용자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는 윙부(윙부(43))와, 상기 윙부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본체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랩부(플랩부(60))를 구비하고, 상기 플랩부는, 상기 플랩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그 전후 영역의 폭 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된 잘록부(제1 잘록부(61))와, 상기 잘록부보다도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잘록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플랩부(제1 플랩부(63))와, 상기 잘록부보다도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잘록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플랩부(제2 플랩부(6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랩부에는, 상기 플랩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오목해지는 오목부(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ubject,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n absorbent article (absorber 30)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has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idth direction W) orthogonal to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A main body portion (main body portion 2), a wing portion (wing portion 43)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wearer's underwear, and from the rear of the wing portion. And a flap portion (flap portion 60)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in a width direction, wherein the flap portion has a cut portion in which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p portion is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region ( 1st flap part 61), the 1st flap part (1st flap part 63)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said narrow part,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said narrow part, and is behind the said narrow part.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from the cutout portion. Shipment is provided with a 2nd flap part (2nd flap part 64), The said flap part is formed with the recessed part (concave part 70) which become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id flap part, The said recessed part The part is made to extend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from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as it goes back.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A-A'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장착한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B-B'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skin contact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rear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FIG.
It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of the AA 'cross section shown in FIG.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n underwear. FIG.
FIG. 5: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of the BB 'cross section shown in FIG.
FIG. 6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skin contact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FIG. 7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skin contact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제l 실시 형태)(1st Embodiment)

도 1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며, 도 2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생리용 냅킨이다.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3, the absorbent article 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1 is a plan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and FIG. 2 is a rear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The absorbent article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 sanitary napkin, for example.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10)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갖는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설된다. 따라서, 흡수체(30)는 도 1 및 도 2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설된다.The absorbent article 1 has a surface sheet 10 in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a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20 that does not penetrate the liquid, and an absorber 30. The absorb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Thus, the absorber 30 is indicated by broken lines in FIGS. 1 and 2. The absorber 3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1.

흡수성 물품(1)은, 흡수체(30)를 갖는 본체부(2)와, 본체부(2)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윙부(43)와, 윙부(43)의 후방에서 본체부(2)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플랩부(60)를 구비한다. 윙부(43)는, 착용자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bsorbent article 1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 having an absorber 30, a wing portion 43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 and a main body portion 2 behind the wing portion 43. Furthermore, the flap part 60 arrange | positioned rather tha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The wing part 43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a wearer's underwear.

도 1에, 길이 방향에서의 윙부의 영역(RA)과, 길이 방향에서의 플랩부의 영역(RB)을 도시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플랩부는, 본체부(2)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한 영역으로서, 윙부의 후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랩부(60)의 전측 단부가 되는 윙부의 후측 단부는, 윙부(43)와 플랩부(60) 사이에서 가장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플랩부(60)의 후측 단부는, 흡수성 물품의 후측 단부 근방에서 전후의 영역보다도 내측으로 잘록해진 부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플랩부의 후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l 오목부(71)의 후측 단부와 일치한다. 또, 플랩부(60)의 후측 단부는, 흡수성 물품의 후측 단부와 일치하고 있더라도 좋고, 흡수성 물품의 후측 단부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In FIG. 1, the area | region RA of the w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rea | region RB of the flap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shown and shown. The flap part in this embodiment is an area | region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than the main-body part 2, and extends back from the rear end part of a wing part. The rear end part of the wing part used as the front end part of the flap part 60 is a part located most width direction inner side between the wing part 43 and the flap part 60. As shown in FI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lap portion 60 is a portion cut i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regions in the vicinity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rear end part of the flap part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with the rear end part of the 1st recessed part 71 mentioned later.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lap portion 60 may coincide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or may not coincide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에서 흡수체(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시트(41)를 구비한다. 본체부(2)는, 평면에서 보아 흡수체(30)가 배치된 영역이며, 표면 시트(10), 이면 시트(20) 및 흡수체(30)가 적층된 영역이다. Moreover, the absorbent article 1 is provided with the side sheet 41 provided in the outer side of the absorber 30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part 2 is an area | region in which the absorber 30 was arrange | positioned in plan view, and is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surface sheet 10, the back sheet 20, and the absorber 30 were laminated | stacked.

표면 시트(10)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다. 표면 시트(10)는, 적어도 흡수체(30)의 표면을 덮는다. 표면 시트(10)는, 부직포, 직포, 유공 플라스틱 시트, 메시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 재료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The surface sheet 10 is a liquid permeable sheet which permeates liquids, such as a body fluid. The surface sheet 10 covers the surface of the absorber 30 at least. The surface sheet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heet-like material having a structure that transmits a liquid such as a nonwoven fabric, a woven fabric, a porous plastic sheet, and a mesh sheet. As a raw material of a 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any of natural fibers and chemical fibers can be used.

이면 시트(20)는, 표면 시트(1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판 본드, 또는 스판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의 위화감을 생기게 하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20)는, 액체 불투과성 또한 투습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한 것을 연신 처리한 미세 다공성 시트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The back sheet 20 has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front sheet 10. As the back sheet 20, a sheet in which a breathable resin film is bonded to a nonwoven fabric such as a laminate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a polyethylene sheet, polypropylene, or the like, a breathable resin film, a span bond, or a span lace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heet 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degree of flexibility that does not cause discomfort during wea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heet 20 is liquid impermeable and moisture-permeable, for example, it can be comprised by the microporous sheet which carried out the extending | stretching process of melt-kneading an inorganic filler in 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a polypropylene.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펄프를 포함한다. 흡수체(30)는,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 가능한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서 적층하여 형성되더라도 좋고,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서 시트형으로 성형한 에어레이드 시트라도 좋고, 티슈(예컨대, 단위 중량 15 g/㎡)상에 고흡수 폴리머를 혼입한 분쇄 펄프를 배치하고, 티슈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The absorbent body 30 includes hydrophilic fibers and pulp. The absorber 3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bod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The absorber 3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hydrophilic fibers or powder by an airlaid method, or may be an airlaid sheet obtained by molding a hydrophilic fiber or powder into a sheet shape by an airlaid method, or a tissue (for example, a unit weight of 15 g) / Pulverized pulp mixed with a superabsorbent polymer may be disposed on and surrounded by tissue.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체(30)는, 면형 펄프나 합성 펄프 등을 평량 10 O~300 g/㎡ 정도로 적층한 펄프를 보호지(도시하지 않음)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흡수체(30)는, 전체 면 거의 균일한 두께이더라도 좋고, 비균일한 두께이더라도 좋다. 보호지는, 펄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크레이프 페이퍼나 티슈 페이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bsorbent body 3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surrounding the pulp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surface type pulp, synthetic pulp, etc. at about 10-300 g / m <2> of basis weights with the protective paper (not shown). The absorber 30 may be almost uniform in thickness across the entire surface, or may be non-uniform in thickness. The protective paper i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pulp, and for example, crepe paper or tissue paper can be used.

흡수체(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며, 이면 시트(20)보다도 대략한 단계 정도 작다. 흡수체(30)의 폭 방향(W)의 길이는, 성인 여성의 가랑이 간격에 대응하고 있고, 대체로 50~80 ㎜이다. 흡수체(30)는,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이면 시트(20)에 접착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0)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다. The absorber 30 is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about a step smaller than the back sheet 20.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r 30 corresponds to the crotch space of an adult woman, and is 50-80 mm in general. The absorber 30 is adhered to the back sheet 20 by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bsorber 30 and the surface sheet 10 are adhere | attached with the hot melt adhesive agent.

흡수체(30)는, 적어도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은,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심이 된다. 예컨대, 윙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윙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배설구 접촉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또한, 윙부를 갖고 있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폭 방향의 길이 치수가 가장 짧은 위치가, 배설구 접촉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또, 배설구 접촉 영역은, 착용자의 고간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착용자의 양 다리사이의 거리에 위치한다. The absorber 30 is provided so as to include at least the center of the excretory contact area that the wearer's excretory contact contacts. The center of the excretion contact area | region becomes a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area | region which a wearer's excrement contact contacts. For example, in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the wing portio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portion is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cretory contact region. Moreover,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does not have a wing part, the position with the shortest length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an absorber becomes a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xcretory contact area | region. In addition, the excretory contact area is included in an area in contact with the wearer's crotch part and is located at a distance between both legs of the wearer.

사이드 시트(41)는, 표면 시트(10)의 양측에 배설된다. 사이드 시트(41)는, 표면 시트와 마찬가지로, 흡수체(30)보다도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의 표면 시트의 일부를 구성한다. 사이드 시트(41)는, 표면 시트(10)와 같은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단, 사이드 시트(41)를 타고 넘어서 흡수성 물품(1) 외측으로 경혈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1)는, 흡수체(30)의 측 모서리의 일부 및 윙부(43) 및 플랩부(60)를 덮는다. The side sheets 41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sheet 10. Like the surface sheet, the side sheet 41 is arrange | positioned rather than the absorber 30 at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and comprises a part of surface sheet in this invention. The side sheet 41 can be selected from the same material as the surface sheet 10.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acupuncture points from flowing over the side sheet 41 to the out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it is preferable to have hydrophobicity or water repellency. The side sheet 41 covers a part of the side edge of the absorber 30, the wing part 43, and the flap part 60.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사이드 시트(41)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부드럽고 촉감이 좋다. 신체를 따라서 플랩부를 배치했을 때에, 플랩부의 질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ide sheet 4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Air through nonwoven fabric is soft and feels good. When arrange | positioning a flap part along a body, mounting feeling can be improved more by improving the texture of a flap part.

또한, 윙부(43) 및 플랩부(60)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41)와 이면 시트(20) 사이에는, 중간 시트(35)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중간 시트(35)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부직포에 열풍을 내뿜고, 내뿜은 열풍이 관통함으로써 부피가 회복되기 때문에, 부드럽고 촉감이 좋다. 신체를 따라서 플랩부를 배치했을 때에, 장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ing part 43 and the flap part 60,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sheet 41 and the back sheet 20 (refer FIG. 3).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made of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emits hot air to the nonwoven fabric and recovers its volume by penetrating the blown hot air, thereby providing a soft and soft touch. When arrange | positioning a flap part along a body, a mounting feeling can be improved more.

중간 시트(3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중간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간 시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의 경계에서 두께 차나 강성차가 형성된다. 예컨대, 플랩부(60)가 중간 시트의 단부를 기점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By providing the intermediate sheet 35, a thickness difference and a rigidity difference ar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sheet is disposed and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sheet is not disposed. For example, the flap portion 60 is easily deformed from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heet.

중간 시트(35)는 적어도 사이드 시트(41)와 접착제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중간 시트는, 스파이럴형으로 배치된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에 접착되어 있다. 중간 시트(35)와 표면 시트(10) 등을 간헐적으로 접합함으로써, 표면 시트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중간 시트(35)를 상대 이동할 수 있어,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intermittently joined at least with the side sheet 41 and the adhesive agent. The intermedia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dhered to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through a hot melt adhesive disposed in a spiral shape. By intermittently joining the intermediate sheet 35 and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like, the intermediate sheet 35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surface sheet, thereby maintaining a smooth texture.

흡수성 물품(1)에서는, 표면 시트(10), 사이드 시트(41) 및 이면 시트(20)의 주연부가 접합되어, 흡수체(30)가 내부 밀봉된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또는 핫멜트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sorbent article 1, peripheral portions of the front sheet 10, the side sheet 41, and the back sheet 20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absorber 30 is sealed inside. As a joining method of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it is possible to combine any one or multiple of heat embossing, an ultrasonic wave, or a hot melt adhesive agent.

이면 시트(20)에 있어서, 속옷과 접촉하는 표면에는, 복수개 영역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접착부는, 본체부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속옷의 가랑이부에 흡수성 물품(1)을 고정하기 위한 중앙 접착부(51)와, 윙부(43)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가랑이부를 말려들게 하여 윙부(43)를 고정하기 위한 윙 접착부(52)와, 플랩부(60)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속옷의 뒷길에 대하여 플랩부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플랩 접착부(53)를 갖는다. In the back sheet 20, an adhesive part coated with an adhesive in a plurality of areas is provid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nderwear (see Fig. 2). An adhesive part is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side of a main body part, it is provided in the center adhesive part 51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 to the crotch part of underwear, and it is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wing part 43, and the crotch part is rolled up and a wing part ( It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flap part 60, and the flap adhesion part 53 for fixing in the state which opened the flap part with respect to the back length of underwear.

사용전의 상태에서는, 접착제는 도시하지 않는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다. 박리 시트는, 사용전에 접착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 착용자에 의해서 박리 시트가 박리된다. In the state before use, the adhesive contact | connects the peeling shee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release sheet prevents the adhesive from deteriorating before use. And a peeling sheet peels by a wearer at the time of use.

또, 박리 시트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에 의해서 사용전에 접착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접착제와 포장 시트가 접하는 경우에는, 포장 시트의 표면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접착제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does not have a peeling sheet,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an adhesive may deteriorate before use by the packaging sheet which packages an absorbent article individually. When an adhesive agent and a packaging sheet contac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process which enables peeling of an adhesive agent on the surface of a packaging sheet, without reducing the adhesive force of an adhesive agent.

흡수성 물품(1)에는,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압착부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스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은 격자망이나 벌집 형상이더라도 좋다. In the absorbent article 1, the crimping part 80 which compressed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Moreover, the crimping | compression-bonding part should just be formed by crimping | bonding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t least, and various structures can be employ | adopted. For example, it can be formed by press working or embossing, and the shape may be a lattice network or a honeycomb shape.

플랩부(60)는 폭 방향의 길이가, 그 전후 영역의 폭 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된 복수의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잘록부는, 전측에 위치하는 제1 잘록부(61)와,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잘록부(62)를 갖는다. The flap part 60 is provided with the some narrow part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length was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ront-back area | region. The cutoff portion has a first cutout portion 61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and a second cutout portion 62 positioned at the rear side.

플랩부(60)는, 제1 잘록부(61)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랩부(63)와, 제1 잘록부(61)보다도 후방으로서, 제2 잘록부(62)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플랩부(64)와, 제2 잘록부(6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제3 플랩부(65)를 갖는다. The flap portion 60 is located behind the first flap portion 63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first cut portion 61 and behind the first cut portion 61,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cut portion 62. The 2nd flap part 64 and the 3rd flap part 65 located behind the 2nd narrow part 62 are shown.

제1 플랩부(63)는, 윙부(43)의 폭 방향에서의 내측 단부 중,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내측 단부(43RI)에서 제1 잘록부(61)까지의 영역이며, 후방 내측 단부(43R1)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l 플랩부(63)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3WM)는, 제1 잘록부(61)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1 최대 폭 위치(63WM)는, 제1 플랩부(63)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The 1st flap part 63 is an area | region from the rear inner side edge part 43RI located behind to the 1st narrowing part 61 among the inner edge part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ng part 43, and is the rear inner edge part 43R1. )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it goes rearward. In the 1st flap part 63, the 1st largest width position (outer edge part) 63WM located in the outermost width direction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than the 1st narrow part 61. As shown in FIG. The first maximum width position 63WM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flap portion 63.

제2 플랩부(64)는, 제1 플랩부(63)의 후단부가 되는 제1 잘록부(61)에서 제2 잘록부(62)까지의 영역이며, 제1 잘록부(61)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플랩부(64)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4WM)는, 제2 잘록부(62)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최대 폭 위치(64WM)는, 제2 플랩부(64)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The second flap portion 64 is an area from the first cut portion 61 to the second cut portion 62, which becomes the rear end of the first flap portion 63, and is rearward from the first cut portion 61. As it faces, it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2nd flap part 64, the 2nd largest width position (outer edge part) 64WM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2nd narrow part 62. As shown in FIG. The second largest width position 64WM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cond flap portion 64.

제3 플랩부(65)는, 제2 플랩부(64)의 후단부가 되는 제2 잘록부(62)에서 플랩부의 후측 단부(60RI)까지의 영역이며, 제2 잘록부(62)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3 플랩부(65)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5WM)는, 제2 잘록부(62)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3 최대 폭 위치(65WM)는, 제3 플랩부(65)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The 3rd flap part 65 is an area | region from the 2nd cut part 62 used as the rear end of the 2nd flap part 64 to the back end part 60RI of the flap part, and is rearward from the 2nd cut part 62. As it faces, it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3rd flap part 65, the 3rd largest width position (outer edge part) 65WM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2nd narrow part 62. As shown in FIG. The third largest width position 65WM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hird flap portion 65.

도 4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B-B' 단면의 단면도이다. 착용자의 움직임 등으로 인한 폭 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해지는 외력은, 고간부 근방에 배치되는 윙부(43)에 끼워진 영역에 작용한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1 is attached to the undergar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shown in FIG. 4. The external force directed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wearer's movement or the like acts on the region fitted into the wing portion 43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groin.

윙부(43)는, 착용자가 다리를 폐쇄했을 때 등에 폭 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플랩부(60)는, 윙부(43)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폭 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힘이 가해졌을 때에, 윙부(43)가 위치하는 전측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힘이 가해진다. The wing portion 43 is a portion to which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inside when the wearer closes the leg. The flap part 60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wing part 43, and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a force is applied toward the back from the front side where the wing part 43 is located.

이때, 플랩부(60)에 제1 잘록부(61) 및 제2 잘록부(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부(60)는, 제1 잘록부(61) 및 제2 잘록부(62)를 기점으로 변형하여 전측으로부터의 힘을 흡수한다. 예컨대, 윙부(43)측에서 가해지는 힘은, 제1 잘록부(61)에 의해서 흡수되어, 제1 잘록부(61)보다도 후방에 전파하는 힘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측으로부터의 힘이 플랩부 전체에 전파하는 것을 억제하고, 플랩부 전체에 주름이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1st narrow part 61 and the 2nd narrow part 62 are formed in the flap part 60, the flap part 60 is the 1st narrow part 61 and the 2nd narrow part 62 ) To the starting point to absorb the force from the front side. For example, the force exerted on the wing portion 43 side is absorbed by the first narrowing portion 61, and the force propagating behind the first narrowing portion 61 can be reduced. Therefore, it can suppress that the force from the front side propagates to the whole flap part, and can prevent wrinkles and kinks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whole flap part.

또한, 제1 플랩부(63), 제2 플랩부(64) 및 제3 플랩부(65)의 최대 폭 위치는, 각 플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각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가 전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플랩부의 전측 부분만이 국소적으로 접어 구부러져, 각 플랩부 전체에서 힘을 흡수할 수 없다. Moreover, the largest width position of the 1st flap part 63, the 2nd flap part 64, and the 3rd flap part 65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flap part. For example, if the maximum width position of each flap part is located in the front side, only the front part of the flap part may be bent locally, and it cannot absorb a force in the whole flap part.

그러나, 각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가, 각 플랩부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측에 위치함으로써, 각 플랩부 전체에서 힘을 흡수할 수 있고, 국소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maximum width position of each flap part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each flap part, a force can be absorbed in the whole flap part, and it can suppress that wrinkles generate | occur | produce locally.

또한, 제1 최대 폭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제2 최대 폭 위치가 위치하고, 제2 최대 폭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제3 최대 폭 위치가 위치한다. 즉, 후방에 위치하는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가, 전방에 위치하는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방에서 전파하는 힘을 전방의 플랩부에 의해서 흡수하고, 그 다음에, 후방의 플랩부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즉, 단계적으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속옷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Moreover, a 2nd largest width position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a 1st largest width position, and a 3rd largest width position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a 2nd largest width position. That is, the maximum width position of the flap part located in the back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maximum width position of the flap part located in the front. Therefore, the force propagating from the front side can be absorbed by the front flap portion, and then absorbed by the rear flap portion. That is, the force can be absorbed in stages. Moreover, since the width becomes wider as it goes back, it can arrange | position along underwear.

플랩부(60)에는, 두께 방향(T)에서 오목해지는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41), 중간 시트(35) 및 이면 시트(20)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오목부(70)는, 윙부(43)의 후방 내측 단부(43RI)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오목부(7l)와, 제1 오목부(71)에서 분기되고, 또한 제1 잘록부(61)에 도달하는 제2 오목부(72)와, 제1 오목부(71)에서 분기되고, 제2 잘록부(62)에 도달하는 제3 오목부(73)와, 제1 오목부(71)에서 분기되고, 제3 플랩부(65)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최대 폭 위치(65WM) 근방에 도달하는 제4 오목부(74)를 갖는다. In the flap part 60, the recessed part 70 which become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formed. As for the recessed part 70, as shown in FIG. 3, the side sheet 41, the intermediate sheet 35, and the back sheet 20 which comprise a surface sheet a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recess 70 is branched from the first recess 7l and the first recess 71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inner end 43RI of the wing 43, and the first narrowed portion 61. ) 2nd recessed part 72 which reaches | attains), 3rd recessed part 73 which reaches | attained from 1st recessed part 71, and reaches 2nd narrow part 62, and 1st recessed part 71 It has a 4th recessed part 74 branched by and reaching the 3rd largest width position 65WM vicinity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of the 3rd flap part 65. As shown in FIG.

오목부는, 표면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을 향해서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표면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을 향해서 압축하여 오목부(70)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할 때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41)측에서 이면 시트측을 향해서 압축되어 있다. The recess is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front sheet side toward the back sheet side. By compressing from the front sheet side toward the back sheet side to form the concave portion 70,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earing of the back sheet made of a film when forming the concave por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compressed toward the back sheet side from the side sheet 41 side which comprises a surface sheet.

제2 오목부(72), 제3 오목부(73) 및 제4 오목부(74)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가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따르기 때문에, 오목부가 접는 기점이 되고, 플랩부가 자연스럽게 절첩된다. 따라서, 플랩부(60)가 신체에 대해서도, 속옷에 대해서도 무리없고 적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부에 무질서한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위화감이 없는 변형을 할 수 있어, 산뜻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The 2nd recessed part 72, the 3rd recessed part 73, and the 4th recessed part 74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extend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from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as it goes back. By forming the concave portion so as to extend from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the concave portion foll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concave portion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folding and the flap portion is folded naturally. Therefore, the flap part 60 becomes easy to fit neither body nor underwear. Accordingly, disordered wrinkles are less likely to occur in the flap portion, deformation without discomfort can be achieved, and a fresh feeling of wearing can be obtained.

또한, 제3 오목부(73)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는, 제2 잘록부(62)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3 오목부(73)를 통해서 전파한 힘이 제2 잘록부에 도달하기 쉬워지고, 제2 잘록부(62)와 제3 오목부를 기점으로 절첩되기 쉬워진다. Moreover, the outer edge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3rd recessed part 73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2nd narrowing part 62.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force propagated through the 3rd recessed part 73 becomes easy to reach a 2nd narrow part, and it becomes easy to be folded from a 2nd narrow part 62 and a 3rd recessed part as a starting point.

또한, 오목부(7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T)에서 플랩 접착부(53)에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70)와 플랩 접착부(53)가 중복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속옷과 플랩부와의 접착 개소에 의해서 플랩부가 절첩되지 않기 때문에, 속옷에의 접착 위치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없이, 플랩부(60)를 절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 접착부(53)가 속옷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하고, 흡수성 물품(1) 전체에 있어서 접착 위치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In addition, the recessed part 70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flap adhesion part 5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s shown in FIG. By constructing the concave portion 70 and the flap bonding portion 53 so that they do not overlap, the flap portion is not folded due to the bonding point between the underwear and the flap portion, so that the flap portion does not affect the bonding position to the underwear. (60) can be folded. Therefore, the flap adhesion part 53 is prevented from peeling from an underwear, and it becomes easy to hold | maintain an adhesion position in the whole absorbent article 1.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설명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제1 단계로서, 표면 시트 생성 공정을 행한다. 그 다음에, 제2 단계로서, 표면 시트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10)와 사이드 시트(41)를, 예컨대 열용착에 의해서 접착한다.Next, a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sorbent article 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about the method which is not demonstrated, an existing method can be us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absorbent article performs a surface sheet formation process as a 1st step. Next, as a 2nd step, a surface sheet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side sheet 41 are adhered by, for example, heat welding.

제3 단계로서, 흡수체 성형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성형 드럼에 의해서 흡수체의 재료가 되는 펄프를 성형하여 흡수체(30)를 성형한다. 또,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의 표면 시트의 제조 공정과, 제3 단계의 흡수체 성형 공정의 순서는, 반대의 순서이더라도 좋다. As a third step, an absorber mold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absorbent body 30 is formed by molding the pulp serving as the material of the absorbent body by the forming drum. In addition, the order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rface sheet of a 1st step and a 2nd step, and the absorber shaping | molding process of a 3rd step may be reverse order.

제4 단계에서,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3 단계에 있어서 성형한 흡수체와, 제2 단계에서 접합한 표면 시트 및 사이드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한다. In a fourth step, the bond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a bonding step of joining the absorber molded in the third step and the surface sheet and side sheet joined in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제5 단계에서, 제1 압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압착부(80)를 형성한다. 제6 단계에서, 이면 시트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착부를 형성한 흡수체 및 표면 시트 등과, 이면 시트를 접합한다. In a fifth step, a first crimp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absorber 30 and the surface sheet 10 a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form the crimping portion 80. In a sixth step, a back sheet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absorber, the surface sheet and the like on which the crimping portion is formed are bonded to the back sheet.

제7 단계로서, 제2 압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또한 사이드 시트(41), 중간 시트(35) 및 이면 시트(2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오목부(70)를 형성한다. 상기 단계 후,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공정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As a seventh step, a second crimp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side sheet 41, the intermediate sheet 35 and the back sheet 20 are further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form the recesses 70. After the step, a process of applying the adhesive is provided. By the said process,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윙부는, 착용자가 다리를 오므렸을 때 등에 폭 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플랩부는, 윙부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폭 방향 외측에서 폭 방향 내측을 향해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윙부가 위치하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힘이 가해진다. 이때, 플랩부는, 잘록부를 기점으로 변형함으로써, 전방으로부터의 힘을 흡수할 수 있다.The wing portion is a portion to which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inside when the wearer pinches the leg. The flap portion is disposed behind the wing portion, and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toward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he force is applied from the front in which the wing portion is located to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flap portion can absorb the force from the front side by deforming the cut portion to the starting point.

윙부측으로부터 플랩부에 가해지는 힘은, 잘록부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잘록부보다도 후방에 전파하는 힘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윙부측으로부터의 힘이 플랩부 전체에 전파하는 것을 억제하고, 플랩부 전체에 주름이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flap portion from the wing portion side is absorbed by the narrowing portion, the force propagating behind the narrowing por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propagation of the force from the wing part side to the whole flap part can be suppressed, and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wrinkle and a twist in the whole flap part can be prevented.

또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 도록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가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따르기 때문에, 오목부가 접는 기점이 되어, 플랩부가 자연스럽게 절첩된다. 따라서, 플랩부가 신체에 대해서도, 속옷에 대해서도 무리없고 적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부에 무질서한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위화감이 없는 변형을 할 수 있어, 산뜻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Further, by forming the concave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the concave portion foll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concave portion becomes a starting point of folding and the flap portion is folded naturally. Therefore, a flap part is easy to fit also with respect to a body and underwear. Accordingly, disordered wrinkles are less likely to occur in the flap portion, deformation without discomfort can be achieved, and a fresh feeling of wearing can be obtained.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도 6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만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Next, the absorbent articl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6. 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 only the structure different from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using the same code | symbol about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Embodiment.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과 오목부(70)의 형상이 다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의 오목부는, 흡수체의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경사지는 경사 오목부(75)를 복수 구비한다. 복수의 경사 오목부(75)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The absorbent articl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sorbent artic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recesse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recesses 75 which extend from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and incline toward the rear from the width direction outer end of the absorber. The plurality of inclined recesses 75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에, 도 7에 기초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B)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B)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과 플랩부(60)의 형상이 다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B)의 플랩부(60)는, 제1 잘록부(61)와 제2 잘록부(62) 중 제1 잘록부(61)만이 형성되어 있다. 플랩부(60)는, 제1 잘록부(61)의 전측에 배치된 제1 플랩부(63)와, 제1 잘록부(61)의 후측에 배치된 제2 플랩부(64)를 갖는다. 제2 플랩부(64)의 제2 최대 폭 위치(64WM)는, 제2 플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Next, based on FIG. 7, the absorbent article 1B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absorbent article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sorbent article 1 and the flap portion 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lap portion 60 of the absorbent article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nly the first cut portion 61 is formed among the first cut portions 61 and the second cut portions 62. The flap part 60 has the 1st flap part 63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1st narrow part 61, and the 2nd flap part 64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1st narrow part 61. As shown in FIG. The 2nd largest width position 64WM of the 2nd flap part 64 is arrange | positioned ahead of the center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2nd flap par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서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만한 것은 아니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의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tent of this invention was disclosed thr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which form a part of this indication do not understand that it limits this invention. From this disclosure, various alternative embodiments, embodiments and operational technique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예컨대, 각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는, 반드시 각 플랩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플랩부에서 후방에 위치하는 플랩부는, 반드시 전방에 위치하는 플랩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고, 폭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이더라도 좋고, 폭 방향에서 내측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For example, the maximum width position of each flap part may not necessarily be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flap part. Moreover, the flap part located in back of several flap parts may not necessarily be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rather than the flap part located in front, may be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오목부의 후단부는, 반드시 잘록부에 위치해 있지 않더라도 좋고, 잘록부와 틀어져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오목부는, 플랩 접착부와 반드시 두께 방향으로 틀어져서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고, 일부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플랩부의 착용자에 대한 접촉면은, 반드시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중간 시트는, 반드시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고, 게다가 중간 시트는, 반드시 마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concave portion may not necessarily be located at the concave portion, or may be arranged in a concave manner with the concave portion. In addition, the recessed part may not be arrange | positioned necessarily with the flap adhesion 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may be arrange | positioned partially. The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wearer of the flap part may not necessarily be comprised by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 middle sheet may not necessarily be comprised by the air-through nonwoven fabric, and also the intermediate | middle sheet may not necessarily be provided.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오목부는, 선형이지만, 예컨대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트형 집합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오목부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으로 압축되어서 형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이면 시트측에서 사이드 시트측으로 압축되어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Although the recessed par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linear, it may be comprised, for example by the some dot-shaped assembly arrange | positioned intermittently.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ar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compressed and formed from the side sheet side which comprises a surface sheet to the back sheet side, it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compressing from the back sheet side to the side sheet side.

또,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1-217829호(2011년9월30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인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217829 (filed September 30, 2011)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장착시에 있어서의 플랩부의 주름이나 꼬임을 억제하고, 또한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서 배치하여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an suppress the wrinkles and kinks of a flap par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arrange | positions along a wearer's body can suppress deterioration of a wearing feeling.

L : 길이 방향
S : 속옷
T : 두께 방향
W : 폭 방향
1, lA, lB : 흡수성 물품
2 : 본체부
10 : 표면 시트
20 : 이면 시트
30 : 흡수체
35 : 중간 시트
41 : 사이드 시트
43 : 윙부
43RI : 후방 내측 단부
51 : 중앙 접착부
52 : 윙 접착부
53 : 플랩 접착부
60 : 플랩부
61 : 제1 잘록부
62 : 제2 잘록부
63 : 제1 플랩부
63WM : 제1 최대 폭 위치
64 : 제2 플랩부
64WM : 제2 최대 폭 위치,
65 : 제3 플랩부
65 : 제3 최대 폭 위치
70 : 오목부
71 : 제1 오목부
72 : 제2 오목부
73 : 제3 오목부
74 : 제4 오목부
80 : 압착부
L: longitudinal direction
S: Underwear
T: thickness direction
W: width direction
1, lA, lB: absorbent article
2:
10: surface sheet
20: back sheet
30: absorber
35: middle sheet
41: side sheet
43: wing section
43RI: posterior medial end
51: center adhesive
52: wing adhesive
53: flap adhesive portion
60: flap part
61: first narrowing part
62: second narrowing part
63: first flap portion
63WM: first maximum width position
64: second flap portion
64WM: second maximum width position,
65: third flap portion
65: third maximum width position
70: recess
71: first recessed portion
72: second recess
73: third recessed portion
74: fourth recessed portion
80: crimping portion

Claims (6)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착용자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는 윙부와,
상기 윙부보다도 후방에서, 상기 본체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랩부는,
상기 플랩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그 전후 영역의 폭 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된 잘록부와,
상기 잘록부보다도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잘록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플랩부와,
상기 잘록부보다도 후측에 위치하여, 상기 잘록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플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랩부에는, 상기 플랩부의 두께 방향에서 오목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has a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A main body having an absorbent body,
A wing portion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dy portion in a width direction and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wearer's underwear,
It has a flap part which protrudes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from the said main-body part from behind the said wing part,
The flap portion,
The narrow part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aid flap part was formed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ront-back area | region,
A first flap portion located at a front side of the cut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in a width direction from the cut portion;
It is located behind the said narrow part, and is provided with the 2nd flap part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said narrow part,
The said flap part is formed with the recessed part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id flap part,
The concave portion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from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oward the rea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부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플랩부의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랩부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2 플랩부의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outer edge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a said 1st flap part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of the said 1st flap part,
The outer edge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2nd flap part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of the said 2nd flap part, The absorbent art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랩부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플랩부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outer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flap portion is positioned outside the outer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lap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후단부는, 상기 잘록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rear end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is located at the narrowed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의 상기 속옷에 대한 접촉면에는, 속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착하는 접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플랩부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접착부에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aid underwear of the said flap part is provided with the adhesion part which detachably attaches to an underwear, The contact part of any one of Claims 1-3,
The said recessed part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said adhesion 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id flap part, The absorbent art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의 착용자에 대한 접촉면은,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lap portion against the wearer is made of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KR1020127025717A 2011-09-30 2012-04-20 Absorbent article KR1012919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7829 2011-09-30
JP2011217829A JP5082007B1 (en) 2011-09-30 2011-09-30 Absorbent articles
PCT/JP2012/060792 WO2013024605A1 (en) 2011-09-30 2012-04-20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50A true KR20130045250A (en) 2013-05-03
KR101291963B1 KR101291963B1 (en) 2013-08-09

Family

ID=4655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17A KR101291963B1 (en) 2011-09-30 2012-04-20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082007B1 (en)
KR (1) KR101291963B1 (en)
CN (2) CN102614051B (en)
MY (1) MY148444A (en)
SG (1) SG188939A1 (en)
TW (1) TWI397405B (en)
WO (1) WO201302460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2007B1 (en) * 2011-09-30 2012-11-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169413B2 (en) * 2013-05-16 2017-07-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WO2016093034A1 (en) 2014-12-12 2016-06-16 山田 菊夫 Disposable garment
JP6232042B2 (en) * 2015-12-28 2017-1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427520B2 (en) 2016-03-29 2018-1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404269B2 (en) * 2016-06-09 2018-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263584B1 (en) 2016-08-25 2018-01-17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360539B2 (en) * 2016-11-25 2018-07-18 大王製紙株式会社 Individual absorbent articl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folding absorbent article
CN113924633B (en) 2019-05-29 2024-01-05 三菱电机株式会社 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8657A (en) * 1992-07-23 1996-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overlapping undergarment covering components that automatically wrap the sides of undergarments
JP3871706B2 (en) * 1994-04-15 2007-01-2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Absorbent articles having zones of different flaps and extensibility
CN1259856A (en) * 1997-05-30 2000-07-12 普罗克特和甘保尔公司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JP4492913B2 (en) * 2001-10-04 2010-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359020B2 (en) * 2002-03-28 2009-11-04 大王製紙株式会社 Sanitary napkin
US20040068244A1 (en) * 2002-10-07 2004-04-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mbination of stress relief
JP4476611B2 (en)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Sanitary napkin
JP4518856B2 (en) * 2004-07-26 2010-08-04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164390B2 (en) * 2007-02-02 2013-03-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242211B2 (en) * 2008-03-26 2013-07-24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732497B2 (en) * 2008-09-30 2011-07-27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261200B2 (en) * 2009-01-07 2013-08-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432753B2 (en) * 2010-02-03 2014-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082007B1 (en) * 2011-09-30 2012-11-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14051A (en) 2012-08-01
TWI397405B (en) 2013-06-01
MY148444A (en) 2013-04-22
CN202497339U (en) 2012-10-24
KR101291963B1 (en) 2013-08-09
SG188939A1 (en) 2013-05-31
CN102614051B (en) 2013-08-21
JP5082007B1 (en) 2012-11-28
JP2013075098A (en) 2013-04-25
TW201304754A (en) 2013-02-01
WO2013024605A1 (en)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963B1 (en) Absorbent article
JP5452910B2 (en) Absorbent articles
JP6219573B2 (en) Absorbent articles
KR101291848B1 (en) Absorbent article
JP5904712B2 (en) Absorbent articles
TW201818896A (en)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folding the same capable of being more fitted with human body and preventing or alleviating discomfort caused by wrinkles
JP5651555B2 (en) Absorbent articles
JP6030875B2 (en) Absorbent articles
JP6199646B2 (en) Absorbent articles
JP6043643B2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030876B2 (en) Absorbent articles
JP5944218B2 (en) Absorbent articles
JP5735869B2 (en) Absorbent articles
JP6220805B2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5993235B2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6106025B2 (en) Absorbent articles
JP2013078560A (en) Absorptiv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