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475A -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475A
KR20130044475A KR1020110108558A KR20110108558A KR20130044475A KR 20130044475 A KR20130044475 A KR 20130044475A KR 1020110108558 A KR1020110108558 A KR 1020110108558A KR 20110108558 A KR20110108558 A KR 20110108558A KR 20130044475 A KR20130044475 A KR 20130044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ater
natural
ethyl acetate
ram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우
유병국
양수옥
Original Assignee
이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우 filed Critical 이충우
Priority to KR102011010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475A/ko
Publication of KR2013004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시풀(Boehmeria niv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시풀의 메탄올, 에탄올, 열수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모시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과 방부 효과를 나타내며, 화학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 자극 유발 가능성이 낮고, 화장료 제형에 미치는 영향 또한 매우 적다.
색인어 ; 모시풀, 항균, 방부

Description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Anti-microbial effect from Boehmeria nivea extract and its applicant}
본 발명은 방부 활성과 항균 활성을 가지며 피부 자극 가능성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항균 원료로써, 화학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우수한 항균 활성 및 방부 활성을 가지는 모시풀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모시풀 추출물을 함유하여 천연항균제 개발의 일환으로 항균 효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 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항균 물질을 추출하였으며, 여러 균주들(S. aureus , P. aeruginosa , E. coli , C. albicans , A. niger)에 항균조사를 하였고, 항균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다양한 화장품에 넣어 천연 항균 화장품으로 응용 가능하며, 또한 물리화학적인 안정성과 안전성 및 화장료 제형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피부 자극 유발 가능성이 낮은 무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추출물에 존재하는 항균성 물질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식품, 의약 및 생물공학산업 등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항균성에 대한 연구가 식품이나 한약재로 이용되는 식물체에 국한되고 있고 주위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많은 자생식물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식물에서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및 방부 능력이 우수하고 물리화학적인 안정성 및 화장료 제형에 미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 영향이 매우 적은 추출물을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인 모시풀 추출물을 이용해 그람 음성세균, 그람양성세균, 곰팡이와 효모를 포함한 진균류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화장료에 대한 항균활성 능력이 우수하고, 물리화학적인 안정성과 안전성 그리고 화장료 제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으며, 피부 자극 유발가능성이 낮은 항균 방부 활성화장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또한 화장품 생산의 증가에 따라 방부제는 더욱 다양해지고 그 사용량도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방부제는 국민 보건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국내에서는 그 종류와 배합 한도를 식품 의약품안전청 고시로 표시성분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이를 제품에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천연 항균 부분은 항균 제품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해 국내 규모는 3천 5백억원에 이르며 연평균 15%이상 급신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화장품 항균 소재를 개발하고 있는 몇몇 업체가 있으나 그 중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항균소재 화장품 보존제 개발 업체는 거의 전무하다. 실제로 국내 천연 방부소재 화장품을 개발하는 업체는 소수에 불구하며, 다수가 해외에서 원료를 수입해서 판매 만 하는 실정이다.
화학방부제의 기능은 제품에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제품에 안전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항균활성를 갖는 방부제로는 대부분은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하며 대량생산이 쉬운 편이라 인공적으로 화학 합성한 물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부제 중 대표적인 화장품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류인 메틸 파라벤(Metyl Paraben),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부틸 파라벤(Butyl Paraben) 등의 화학 방부제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파라벤류(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라는 화학 방부제를 들 수 있다. 파라벤류는 사상균류, 효모류와 곰팡이를 포함한 진균류에도 효과적이며, 비교적 독성이 낮으며, 세균류에 대해 매우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등 장점이 많아 전 세계적으로 사용량이 가장 많은 방부제이다. 이러한 화학 방부제의 기능은 제품에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제품에 안전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피부 자극 유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생물에 의한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하여 사용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기존에 화장품에 첨가하는 물질 중 대표적인 것이 파라벤류(paraben)의 방부제(preservative)물질이다. 이 물질은 인체의 조직 내부에 축적되며 유방암 세포 등에서 정상세포에 비해 월등히 높은 농도로 측정된다. 또한 파라벤이 여성 호르몬의 일종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것이 알려졌으며 이는 파라벤이 내분비계를 교란하는 물질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근래에는 소비자의 웰빙에 대한 인식 증대되어 인공합성보존제의 기피현상이 사회전반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또 안정성이 문제시되는 화학방부제 대신에 천연 소재로부터 얻은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화장품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수반되고 있다.
따라서, 한약제와 민간약제 같은 천연식물 중에서도 상당한 항균성물질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이들 성분의 약리작용 및 항균성 효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화장품 산업계에서는 화학적 방부제의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항균 물질을 방부제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예를 들어, 후라보노이드, 알카로이드, 파이토알렉신, 항균펩타이드에 대한 연구보고와 유기산과 지방산 등의 항균성에 대한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식물로부터 분리된 물질 중 항균 및 항산화 작용, 그리고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갖는 물질들이 매년 보고되고 있어, 식용으로 이용 가능한 식물자원의 발굴과 함께 이들이 함유한 각종 기능성 물질과 항균물질을 탐색하고 그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항균작용을 지닌 식물 유래물질은 phenolic, polyphenol, quinine, flavone, flavonoid, flavonol, tannin, coumarin, terpenoid, alkaloid, lectin, polypeptide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식물 유래 천연 물질의 항균력에 대한 작용 기작은 모두 밝혀지진 않았지만, 이 중, terpenoid와 phenolic은 미생물의 세포막을 파괴하는 기작을 통해 항균작용을 지닌다고 보고되었고, phenol과 flavonoid는 미생물의 대사작용에 필수적인 물질에 결합함으로써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coumarin과 alkaloid는 유전자 수준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화학방부제를 대신할 수 있는 항균 활성을 가진 식물추출물로 모시풀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쐐기풀과에 속하는 모시잎(Boehmeria nivea)은 습기가 많고 따뜻한 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로 우리나라는 제주, 전남, 경북 및 충남의 한산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줄기의 껍질에서 채취한 섬유는 밧줄이나 모시라고 하여 전통 의류 등의 소재로, 뿌리는 약재로, 잎은 떡이나 부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모시잎의 엽록소는 활성산소의 강력한 억제 물질로서의 항산화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C 등이 풍부하고, 항균, 당뇨, 하혈, 이뇨 작용 등에 효과가 있어 향신류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한 식품이다.
본 발명의 모시풀잎에는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비롯해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루틴등 다양한 영향성분이 함유하고 있으며, 뿌리에는 phenol류, triterpenes, chlorogenic acid가 들어 있으며, 전초와 종자에는 hydrocyanic acid가 들어 있다. 옛날부터 천연 자생식물인 쐐기풀과 모시풀은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몸에 찬 데에 치료제로 쓰이며, 나쁜 피가 뭉친 데와 뱀에 물닌 데에 지혈제로도 쓰인다. 또한 체내에서 소화관의 운동을 촉진하여 장관 내 체류기간을 단축하며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 고지혈증, 비만, 동맥경화 및 대장암 등을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약제 내성세균에 항균활성도 뛰어나다는 것이 본 발명을 통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항균제와는 다른 기원을 가지는 천연식물로부터 유래되고 세균뿐만 아니라 진균과 같은 유해세균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천연추출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균 및 진균의 생육저해를 일으키는 항균성 천연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모시풀로부터 유래되고 추출 분획된 항균 활성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인 모시풀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그람음성세균 및 그람양성세균,
곰팡이와 효모를 포함한 진균류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화장료
에 대한 방부능력이 우수하고, 화장료 제형 및 물리화학적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 매우 적으며, 피부 자극 유발가능성이 적은 항균 방부 활성화장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크림, 밀크로션, 맛사지 크림, 클렌싱 폼, 에센스, 클렌싱 워터, 팩 또는 보디오일 등의 기초 화장료 및 화운 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화장료의 천연 방부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세정제로 사용할 경우, 세안제, 입욕제 그리고 목욕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국 등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모시풀을 이용하여 에탄올을 사용해서 추출함과 동시에 여과, 분획 등의 정제 과정을 거쳐 유해 미생물에 대하여 강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고 순도의 모시풀 추출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모시풀 천연추출물은 항균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또는 식품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물질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자생식물로부터 추출된 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지는 않았지만 예전부터 민간약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므로 인체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의 우려가 상당히 적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한 발명은 기존 화학 방부제를 대신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인 모시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화장품 제형 내에 적용이 가능하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진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방부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최근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화학 방부제의 단점을 극복한 화학 방부제 무첨가, 천연 방부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천연산물인 모시풀 보유하고 있는 탁월한 항균성분을 에탄올 추출방법을 통하여 추출한 모시풀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이다. 상기 모시풀 추출물은 모시풀로부터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고, 다시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시풀 추출액은 모시풀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한 모시풀을 에탄올 용매를 첨가하고, 침지시켜 모시풀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지로 여과 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상기 단계에 더하여 다시 물과 부탄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용매는 모시풀 시료 무게의 10배로 넣어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천연 방부제의 한계를 극복함과 아울러 일상 생활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시풀 추출액을 함유하는 항균활성 제공하는 천연방부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 균주>
본 발명을 위한 항균 활성 측정 시험 및 방부력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항세균 활성에 그람 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TCC6538P)와 그람 음성균 Pseudomonas aeroginosa (P. aeroginosa, ATCC9027)와 Escherichia coli (E. coli, ATCC8739)를 이용하고, 세균용 배지는 Merck (Germany)사의 tryptic soy agar (TSA)와 tryptic soy broth (TSB)를 사용하였다. 항진균 활성에는 효모류인 Candida albicans (C. albicans ATCC10231)와 곰팡이균인 Aspergillus niger (A. niger ATCC22343)를 이용하였으며, 진균용 배지는 Merck (Germany)사의 potato dextrose agar (PDA), potato dextrose broth (PDB)을 사용하였다(표 1).
화장품 항균활성 실험 균주
분류 균주
Gram positie bacteria S. aureus
Gram negatie bacteria P. aeruginosa , E. coli
Yeast C. albicans
Mold A. niger
이하, 추출 방법을 실시예로 나타낸다.
실시예 1. 모시풀 추출물의 제조
모시풀의 전초를 재료로 사용하여 모시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모시풀 전초 부위를 채취한 후 물로 깨끗이 씻어 일주일 간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동량의 비율로 전초 500g을 건조물 대비 10배량의 80% 에탄올에 넣고 95 ~ 100도시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건조시켜 40.6 g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모시풀 분획 추출물 평가
모시풀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는 80% 에탄올(EtOH) 및 분획용 헥산(n-hexane), 디클로로메탄(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OAc) 그리고 부탄올(BuOH)을 사용하여 용매의 극성을 이용한 순차적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즉, 분말 건조된 시료에 80% 에탄올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 건조기로 완전 건조시켰다. 상기의 과정을 3회 반복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은 뒤, 건조된 에탄올추출물에 10배량의 증류수와 동량의 헥산을 첨가하여 분획한 후 감압농축하여 헥산 분획물을 얻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그리고 물 층을 분획하여 각각의 순차분획물을 얻었으며, 모든 과정은 3회 반복 실시하였다. 각 시료 분획물은 해당 용매로 용해시켜 0.2 마이크로미터 membrane filter(Advantec MFS Inc., USA)로 제균하여 4도시에 보관하면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모시풀로부터 추출된 분획물의 수율
Solent Yield (%, w/w)
EtOH extract 8.12
n-Hexane fraction 6.95
CH2Cl2 fraction 5.1
EtOAc fraction 11.6
BuOH fraction 25.55
Water fraction 44
에탄올 추출물 중 20g을 10배량의 증류수로 현탁시킨 후에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헥산 층에서 1.39g, 디클로로메탄 층에서 1.02g,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2.32g, 부탄올 층에서 5.11g 그리고 물층에서 8.8g의 분획물을 얻었다(표 2).
실시예 3 :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페놀성 물질인 phosphomo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원리를 이용한 Folin-Denis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1 mg/mL로 녹인 다음 0.2mL를 시험관에 취하고 증류수를 가하여 2 mL로 만든 후, 여기에 0.2 mL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Sigma Chemical Co, USA)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3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그리고, 2 M sodium carbonate 용액 0.4 mL를 가하여 혼합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4 mL로 만든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등액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물질은 tannic acid(Sigma Chemical Co, USA)를 이용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각각의 분획물의 TPC(Total phenolic content)함량을 조사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층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헥산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폴리페놀함량을 나타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약 2배 가량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표 3).
모시풀 각각의 분획추출물에서 검출된 총 페놀함량
Fraction TPC in Bniea plant part (mg GAE/g)
Root Stem Leaf
n-Hexane 15 2 20
Methylene chloride 43 25 65
Ethyl acetate 31 88 185
n-Butanol 37 18 134
Water 3 1 14
Crude extract 28 50 80
다음은 항균활성 평가를 실시예로 나타낸다.
실시예 4 : 항균활성 탐색
항균활성 측정시험 및 항균활성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항세균 활성에 그람 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TCC6538P)와 그람 음성균 Pseudomonas aeroginosa (P. aeroginosa, ATCC9027)와 Escherichia coli (E. coli, ATCC8739)를 이용하고, 항진균 활성에는 효모류인 Candida albicans (C. albicans ATCC10231)와 곰팡이균인 Aspergillus niger (A. niger ATCC22343)를 이용하였다.
항균 활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저해환의 직경을 측정하는 paper disc법을 이용하였다. 배양기에서 배양한 균주를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세균류의 경우 1x106 cells/mL, 진균류의 경우 1x105 cells/mL) 미리 만들어진 고체 배지에 0.5 mL씩 분주하고 말린 다음, 멸균된 paper disc에 추출물을 100ul씩 점적, 건조한 후, paper disc를 올린다.
일정 시간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세균류의 경우 32도시, 48h, 진균류의 경우 25 도시, 72h) 나타난 저해환의 직경 크기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모시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들의 세균,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paper disc법을 이용한 저해환 측정을 한 결과 S. aureus , A. niger에 대한 저해환 크기를 측정한 결과 각각 23mm, 24mm로 다른 균주에 비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 , E. coli과 효모 C. albicans에서도 어느 정도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표 4).
각각의 균주에 대한 모시풀의 항균 활성 능력
Diameter of inhibition zone (mm)
Plants Gram + Gram - Yeast Mold
S. aureus P. aeruginosa E. coli C. albicans A. niger
Boehmeria nivea 23 19 15 9 14
실시예 5 : 항균력 측정
Paper disc법에 의하여 모시풀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최소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고체 배지 희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IC 값은 각 시료들을 2배수 농도로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한천배지에 처리한 후 시험 균주들이 한천 배지에서 자라지 않는 최소 저해 농도로 하였다.
모시풀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10 mL TSA나 PDA 배지에 넣고 잘 섞은 후 petri dish에 부었다. 각 배지가 고체화된 후 5종의 시험 균주들을 백금이를 이용하여 긁은 후 세균은 32도시 incubator에서 48h, 진균은 25도시 incubator에서 72 h 배양 후 균들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모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을 대상으로 시험균에 보다 정확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소저해농도(MIC) 측정법을 이용해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표 5).
각각의 균주에 대한 모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에 대한 MIC 측정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v%)
Plant extract Gram + Gram - Yeast Mold
S. aureus P. aeruginosa E. coli C. albicans A. niger
Boehmeria nivea 0.05 0.1 0.3 0.5 0.2
실시예 6 : 미생물 생육저해율 측정
미생물의 생육 저해율의 측정은 배지 10 mL에 각각의 균 농도를 650 nm에서 O.D 값 0.4(106CFU/mL)가 되게 한 후, 각각의 시료를 1,000 마이크로그람/mL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 후 microplate reader(Bio-TEK Instrumenis Inc., USA)를 통해 650 nm에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생육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생육 저해율은 균의 정지기인 24시간에서 그 값을 측정하였다.
treatment - treatment blank
% inhibitory effect =( 1 - ----------------------------- ) x 100
control - control blank
에탄올추출물은 각각의 균주마다 약간의 차이는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40% 정도의 생육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S. aureus에 대하여 53%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순차적 분획물들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60% 이상의 생육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부탄올 분획물에서 50% 이상의 생육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생육저해율은 p<0.05 수준으로 매우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시풀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들 중 가장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본 실험에 사용된 5종의 균주 중 그람양성균인 S. aureu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를 대상으로 처리농도에 따른 생육곡선을 측정비교 하였다. 즉 각 균주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농도별(0, 100, 250, 500, 1000 마이크로그람/mL)로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균주의 성장속도를 측정비교 하였다.
그 결과 표 6, 표 7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S. aureus의 경우, 모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배지에서는 8시간 이후부터 급격한 증가를 보여 빠른 성장이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한 경우 8시간 이후부터 500 마이크로그람/mL와 1,000 마이크로그람/mL 농도에서 균의 증식이 완만하게 이루어져 24시간 동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모시풀로부터 추출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대한 그람양성균인 S. aureus 농도별 생육저해율
배양
시간
농도
(/)
4 시간 8 시간 12 시간 16 시간 20 시간 24 시간
1,000/ 0.08 0.13 0.28 0.37 0.40 0.27
500/ 0.08 0.19 0.35 0.38 0.49 0.30
250/ 0.09 0.21 0.41 0.42 0.61 0.68
100/ 0.12 0.36 0.43 0.44 0.66 0.66
0/ 0.28 0.68 0.91 0.92 0.92 1.02
E. coli에서의 생육 저해정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7에서 보듯이 배양 후 8시간부터 균의 증식속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볼 수 있었지만,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의 증식이 완만하게 이루어져 모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E. coli의 성장 또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7).
모시풀로부터 추출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대한 그람음성균인 E. coli 농도별 생육저해율
배양
시간
농도
(/)
4 시간 8 시간 12 시간 16 시간 20 시간 24 시간
1,000/ 0.05 0.25 0.36 0.40 0.43 0.39
500/ 0.05 0.29 0.39 0.44 0.46 0.60
250/ 0.07 0.30 0.63 0.75 0.79 0.89
100/ 0.06 0.42 0.48 0.53 0.77 0.84
0/ 0.12 0.61 0.84 0.92 1.06 0.92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시풀추출물은 항균, 방부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및 생활용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모시풀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항균활성 조성물.
  2. 모시풀 분말 건조된 시료에 80% 에탄올로 추출한 추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기로 완전 건조시킨 에탄올 추출물에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각각의 순차적인 분획물.
  3. 제 2항에 있어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로 하여 얻어진 천연항균관련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모시풀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의 함유량은 전체의 0.05 내지 20.0 중량% 추출물을 함유를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형의 에멀젼,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분산물, 이온성 및/ 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 연고, 클렌싱 폼, 클렌싱 워터, 팩 또는 보디오일 등의 기초 화장료 및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마스카라,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등의 색조 화장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또는 생활용품














KR1020110108558A 2011-10-24 2011-10-24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KR20130044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558A KR20130044475A (ko) 2011-10-24 2011-10-24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558A KR20130044475A (ko) 2011-10-24 2011-10-24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475A true KR20130044475A (ko) 2013-05-03

Family

ID=4865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558A KR20130044475A (ko) 2011-10-24 2011-10-24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4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08B1 (ko) * 2013-10-02 2015-03-23 코스맥스 주식회사 모시풀(Boehmeria niv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200068985A (ko) * 2018-12-06 2020-06-16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하귤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피부 보습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6210A (ko) * 2019-10-18 2021-04-28 김은혜 친환경 살균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08B1 (ko) * 2013-10-02 2015-03-23 코스맥스 주식회사 모시풀(Boehmeria niv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200068985A (ko) * 2018-12-06 2020-06-16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하귤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피부 보습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6210A (ko) * 2019-10-18 2021-04-28 김은혜 친환경 살균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525976B1 (ko) 용아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용정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356423B1 (ko) 항균, 피부 보습, 항아토피,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JP2018520985A (ja) 抗菌漢方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101511747B1 (ko) 금전초, 오배자, 계피 및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356799B1 (ko) 타히보, 토복령, 방아잎 및 양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694229B1 (ko) 사카잉키 오일 및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128888A (ko) 연잎, 연꽃, 연씨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495272B1 (ko) 3-도데카노일옥시-2-이소부티릴옥시-4-메틸펜타노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41498B1 (ko) 천연 항균 물질 복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3925B1 (ko)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130044475A (ko)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3386596A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myrsine africana extracts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2117693B1 (ko) 로즈마리, 계피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항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507533B1 (ko) 백호은침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13905717A (zh) 用于治疗氧化应激和恢复皮肤健康的天然护肤组合物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