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704A - 미세조류배양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조류배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704A
KR20130043704A KR1020110107530A KR20110107530A KR20130043704A KR 20130043704 A KR20130043704 A KR 20130043704A KR 1020110107530 A KR1020110107530 A KR 1020110107530A KR 20110107530 A KR20110107530 A KR 20110107530A KR 20130043704 A KR20130043704 A KR 20130043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seawater
culture
microalga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391B1 (ko
Inventor
김규준
서호철
신하림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3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2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means provid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gas introduc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including condition or time responsive control, e.g. automatically controlled fermentors
    • C12M1/38Temperature-respons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3/00Combinations of bioreactors or fermenters with other apparatus
    • C12M43/04Bioreactors or fermenters combined with combustion devices or plants, e.g. for carbon dioxide remov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랑크톤 등과 같은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장 내의 용접공정에서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효과적을 배양할 수 있는 미세조류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조류배양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용접장치에서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집진하여 배출하는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집진챔버;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에 의해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하나 이상의 배양수조; 상기 배양수조 측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 및 상기 배양수조 측에서 해수를 회수하는 해수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조류배양장치{APPARATUS FOR CULTURING MICRO ALGAE}
본 발명은 플랑크톤 등과 같은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장 내의 용접공정에서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효과적을 배양할 수 있고, 배출가스 내의 독성 및 이산화탄소의 저감, 용접공정 시에 발생하는 용접광을 이용한 전력에너지화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미세조류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석자원의 무분별한 사용 때문에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문제와 더불어 에너지 고갈 문제가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대체 에너지원의 개발에 대한 특별한 진전이 거의 없는 현실이다.
최근에는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바이오매스(biomass)가 널리 각광 받고 있는데, 바이오매스라 함은 식물이나 미생물 등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생물체이며 지구상에서 1년간 생산되는 바이오매스는 석유의 전체 매장량과 맞먹어 적정하게 이용하면 고갈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바이오매스는 생물체를 열분해시키거나 발효시켜 메테인·에탄올·수소와 같은 연료, 즉 바이오매스에너지를 채취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에는 바이오매스를 채취하기 위하여 곡물, 목재 등을 원료로 사용함에 따라 자원 낭비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그 자원량이 매우 풍부한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생산공장에는 용접공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접공정 시에는 각종 유해가스, 용접 흄(fume), 이산화탄소 등을 함유한 배출가스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출가스에 대한 배출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용접공정 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함으로써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 및 미세조류의 배양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미세조류의 배양효율 향상을 통한 바이오매스의 수확/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배출가스 내의 독성 및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용접공정 시에 발생하는 용접광을 이용한 전력에너지화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미세조류배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세조류배양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용접장치에서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집진하여 배출하는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집진챔버;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에 의해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하나 이상의 배양수조;
상기 배양수조 측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 및
상기 배양수조 측에서 해수를 회수하는 해수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공급부는 상기 배양수조의 일측에 연결된 해수공급라인, 상기 해수 공급라인 측에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탱크 및 상기 해수공급탱크의 도입구 측에 설치된 전처리필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회수부는 일단이 상기 배양수조의 타측에 연결된 해수회수라인 및 상기 해수회수라인의 도중에 설치된 수확필터를 가지며, 상기 수확필터를 통해 배출가스에 의해 배양된 미세조류가 수확되며, 상기 해수회수라인의 타단은 상기 해수공급탱크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장치에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광전지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광전지모듈은 상기 용접장치에서 생성되는 용접광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상기 광전지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충전유닛에 충전된다.
상기 광전지모듈과 충전유닛 사이에는 전력조절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충전유닛에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과충전 및 저전압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공정 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함으로써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 및 미세조류의 배양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세조류의 배양효율 향상을 통한 바이오매스의 수확/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배출가스 내의 독성 및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용접공정 시에 발생하는 용접광을 이용한 전력에너지화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서 생성된 용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하는 용접광 발전부을 통해, 미세조류배양장치의 전원공급부 또는 공장 내의 기타 수요처로 전기에너지를 자급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추가적인 배출이 없는 보다 친환경적인 전원공급시스템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배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미세조류배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배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조류배양장치(10)는 용접장치(1)의 용접공정을 통해 생성된 용접용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가스 집진라인(11),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도중에 설치된 열교환기(12),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도중에 설치된 집진챔버(13),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단부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양수조(15), 배양수조(15) 측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20), 및 배양수조(30) 측에서 해수를 회수하는 해수회수부(30)를 포함한다.
용접장치(1)가 대상물(2)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일단에는 배출가스를 집진하는 집진구(11a)가 구비되고, 이 집진구(11a)를 통해 용접용 배출가스가 효율적으로 집진된 후에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을 통해 이송된다.
열교환기(12)는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도중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적절히 냉각시킨다. 한편, 용접공정 도중에 발생한 배출가스는 그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이므로 그 상태로 배양수조(15) 내로 유입되면 배양수조(15)에 의한 미세조류배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열교환기(12)에 의해 배출가스의 온도를 미세조류의 배양에 적합한 온도로 조절하도록 냉각시킴으로써 배양수조(15)의 미세조류 배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여름철의 경우에는 열교환기(12)의 냉각성능을 높여 배출가스의 온도를 적절히 냉각시킬 수 있다. 겨울철의 경우에는 열교환기(12)의 냉각성능을 상대적으로 낮춰 배출가스의 온도를 약간만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겨울철의 배출가스는 여름철에 비해 높은 고온 상태로 배양수조(15) 내에서 저온의 해수와 접촉함으로써 해수의 수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미세조류 배양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집진챔버(13)는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도중에 설치되고, 집진챔버(13)는 그 내부에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단면적 보다 넓은 수용공간을 가진다. 이에 집진챔버(13)는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을 통해 이송되는 배출가스를 일정시간동안 수용함에 따라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가 집진챔버(13)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출가스의 농도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집진챔버(13)를 통해 배출가스의 농도를 미세조류의 배양에 적합한 농도로 조절함으로써 배양수조(15)의 미세조류 배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양수조(15)는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배양수조(15)에는 해수 등과 같은 배양액이 충전되어 있다. 배출가스 집진라인(11)을 통해 이송되는 배출가스가 배양수조(15) 내로 유입되면, 해수 내의 미세조류는 배출가스 내에서 광합성을 하면서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등을 흡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배양되고, 이와 더불어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등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한편, 미세조류의 배양과정에서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등이 저감된 배출가스는 배양수조(15)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5a)를 통해 배출된다.
배양수조(15)는 태양광 또는 인공광 등의 투과가 용이하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배양수조(15) 내에서 미세조류의 광합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배양수조(15)가 공장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외부의 태양광의 흡수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배양수조(15)에 인접하여 LED광원 등과 같은 인공광원(미도시)이 설치되고, 인공광원(미도시)은 모든 가시광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양수조(15)에는 미세조류의 배양에 적합한 최적 수온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수온관리시스템(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배양수조(15)의 일측에는 해수공급부(20)가 설치되고, 해수공급부(20)는 배양수조(15)의 일측에 연결된 해수공급라인(21) 및 해수공급라인(21)측에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탱크(22)로 이루어진다. 해수공급탱크(22)의 도입구 측에는 전처리필터(23)가 설치되고, 이 전처리필터(23)에 의해 해수공급탱크(22)로 도입되는 해수 내의 각종 이물질이 여과된다.
배양수조(15)의 타측에는 해수회수부(30)가 설치되고, 해수회수부(30)는 배양수조(15) 내에서 배출가스의 이산화탄소에 의해 배양이 이루어진 고농도의 해수를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해수회수부(30)는 배양수조(15)의 타측에 연결된 해수회수라인(31) 및 해수회수라인(31)의 도중에 설치되어 미세조류를 여과하여 수확하는 수확필터(32)를 가진다. 한편, 해수회수라인(31)의 일단은 배양수조(15)의 타측에 연결되고, 해수회수라인(31)의 타단은 해수공급부(20)의 해수공급탱크(22) 측으로 연결되며, 이에 미세조류가 수확된 나머지 해수는 해수공급부(20)를 통해 재순환될 수 있으므로 해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배양수조(15)는 복수의 배양수조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배양수조(15)는 배출가스 집진라인(11) 측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양수조(15)는 해수공급라인(21) 측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조류장치(10)는 집진구(11a), 열교환기(12), 배양수조(13), 해수공급탱크(22) 등으로 전원을 적절히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5)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용접장치(1)에 인접하여 용접광 발전부(50)가 설치되고, 이 용접광 발전부(50)는 용접장치(1)의 용접공정 중에 발생하는 용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미세조류배양장치(10)의 전원공급부(35) 또는 공장 내의 기타 수요처로 공급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인 전원공급시스템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용접광 발전부(50)는 용접장치(1)에 인접하여 설치된 하나 이상의 광전지모듈(51)을 포함하고, 광전지모듈(51)은 용접장치(1)에 의해 대상물(2)이 용접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용접광을 수광하며, 그 수광된 용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광전지모듈(51)은 pn접합구조를 가진 태양전지(solar cell)의 일종으로, 외부로부터 광자(photon)가 광전지모듈의 내부로 흡수되면 광자가 지닌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 내부에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쌍(e-h pair)이 생성된다. 생성된 전자-정공 쌍은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형 반도체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 반도체로 이동해서 각각의 표면에 있는 전극에서 수집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광전지모듈(51)에서 생성된 직류 전기에너지는 충전유닛(52)에 충전되고, 광전지모듈(51)과 충전유닛(52) 사이에는 전력조절유닛(53, charge controller)이 연결되어 충전유닛(52)측에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과충전 및 저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충전유닛(52) 측에 전기에너지의 안정적인 충전을 구현한다.
그리고, 충전유닛(52)는 미세조류배양장치(10)의 전원공급부(35) 또는 공장 내의 기타 수요처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공정 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함으로써 배출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 및 미세조류의 배양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세조류의 배양효율 향상을 통한 바이오매스의 수확/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배출가스 내의 독성 및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용접공정 시에 발생하는 용접광을 이용한 전력에너지화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장치(1)에서 생성된 용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하는 용접광 발전부(50)을 통해, 미세조류배양장치(10)의 전원공급부(35) 또는 공장 내의 기타 수요처로 전기에너지가 자급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추가적인 배출이 없는 보다 친환경적인 전원공급시스템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용접장치 2: 대상물
11: 배출가스 집진라인 12: 열교환기
13: 집진챔버 15: 배양수조
20: 해수공급부 30: 해수회수부
51: 광전지모듈 52: 충전유닛
53: 전력조절유닛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용접장치에서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집진하여 배출하는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집진챔버;
    상기 배출가스 집진라인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에 의해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하나 이상의 배양수조;
    상기 배양수조 측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 및
    상기 배양수조 측에서 해수를 회수하는 해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배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부는 상기 배양수조의 일측에 연결된 해수공급라인, 상기 해수 공급라인 측에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탱크 및 상기 해수공급탱크의 도입구 측에 설치된 전처리필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배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회수부는 일단이 상기 배양수조의 타측에 연결된 해수회수라인 및 상기 해수회수라인의 도중에 설치된 수확필터를 가지며, 상기 수확필터를 통해 배출가스에 의해 배양된 미세조류가 수확되며, 상기 해수회수라인의 타단은 상기 해수공급탱크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배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에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광전지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광전지모듈은 상기 용접장치에서 생성되는 용접광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상기 광전지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충전유닛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배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지모듈과 충전유닛 사이에는 전력조절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충전유닛에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과충전 및 저전압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배양장치.
KR1020110107530A 2011-10-20 2011-10-20 미세조류배양장치 KR10131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30A KR101311391B1 (ko) 2011-10-20 2011-10-20 미세조류배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30A KR101311391B1 (ko) 2011-10-20 2011-10-20 미세조류배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04A true KR20130043704A (ko) 2013-05-02
KR101311391B1 KR101311391B1 (ko) 2013-09-25

Family

ID=4865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530A KR101311391B1 (ko) 2011-10-20 2011-10-20 미세조류배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3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925A (ja) 2001-01-15 2002-07-23 Electric Power Dev Co Ltd 排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WO2008107896A2 (en) * 2007-03-08 2008-09-12 Seambiotic Ltd. Method for growing photosynthetic organisms
DE102009051588A1 (de) 2009-10-20 2011-04-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lgenkulturverfahren
KR101072844B1 (ko) 2010-12-24 2011-10-14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배기가스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391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0258B (zh) 二氧化碳零排放型有机废弃物能源化利用的系统
Hossain Green science: Independent building technology to mitigate energy,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N101914572B (zh) 二氧化碳零排放型有机废弃物能源化利用的方法
Lee et al. Review of advances in biological CO 2 mitigation technology
CN101908633B (zh) 一种植物-土壤微生物燃料电池系统
JP2010530757A (ja) バイオリアクター
CN102500604A (zh) 固体生活垃圾能源化利用及可再生生物碳循环技术
WO2012176168A3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454416B1 (ko) 연소 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식물 재배 시설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203714A1 (en) Systems for Growing Phototrophic Organisms Using Green Energy
CN103165932A (zh) 一种可产生电能的绿色屋顶系统及应用
Beshta et al. AUTONOMOUS POWER SUPPLY OF THE OBJECTS BASED ON BIOSOLID OXIDE FUEL SYSTEMS.
KR101311391B1 (ko) 미세조류배양장치
CN102057814A (zh) 太阳氢新能源应用在园艺割草机上的动力装置
TWI708401B (zh) 一種透光性太陽能光電板的發電系統
JP2012090623A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多段利用システム
Kwon et al. Efficiency of Spathiphyllum spp. as a plant-microbial fuel cell
JP2645254B2 (ja) ソーラーバイオエネルギー変換装置
CN202197231U (zh) 沼气光伏互补复合能源系统
CN208814836U (zh) 一种可移动畜禽养殖废水处理装置
KR101443236B1 (ko) 연소 장치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mmalyma et al. Microalgae-microbial fuel cell
KR102074348B1 (ko) 태양광발전 및 해양양식 복합시스템
CN201491497U (zh) 太阳能光伏发电系统应用在抛秧机上的动力装置
CN104883093A (zh) 一种采用生物光伏进行智能发电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