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014A -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014A
KR20130043014A KR1020110107209A KR20110107209A KR20130043014A KR 20130043014 A KR20130043014 A KR 20130043014A KR 1020110107209 A KR1020110107209 A KR 1020110107209A KR 20110107209 A KR20110107209 A KR 20110107209A KR 20130043014 A KR20130043014 A KR 2013004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voltage
power consumption
invert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737B1 (ko
Inventor
김광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7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는, 압축기용 전동기 및 팬모터용 전동기의 입력전류를 직접 검출하는 복잡한 회로를 생략하고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용 전동기 및 팬모터용 전동기의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으로부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함으로써 간단한 회로 구현으로 공기조화기의 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COMPRESSOR AND MOTOR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기 부하의 소비전력으로부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방, 거실, 사무실 또는 영업 점포 등의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압축기, 팬 등에는 전동기가 사용되며, 구동장치를 통해 상기 전동기들을 구동한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인버터가 사용된다.
통상, 인버터는 직류전력을 임의의 가변주파수를 갖는 3상 교류전력(U, V, W)으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장치로서, 에너지 절약 및 출력 제어의 용이성 때문에 공기조화기 등의 전기제품에 채용되어 압축기모터 및 팬모터를 구동한다.
이러한 인버터는 정격전압과 정격전류의 최대 허용전력이 정해져 있어서 정격전압과 정격전류를 벗어난 전압 또는 전류가 입력되면, 인버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을 유발한다. 따라서, 정격전류가 아닌 전류가 입력될 경우 인버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버터에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인버터에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전류변환기(Current Transformer;CT)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변환기(CT)는 상용 입력전원단측에 연결되고, 전류변환기(CT)의 2차측에 유기된 교류신호를 저항을 통해 정류기에서 정류함으로써 인버터에 입력되는 전원의 입력전류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버터의 입력전류 측정장치는 인버터에 입력되는 전류를 직접 검출하기 위해 별개의 전류변환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전류변환기에서 검출된 전류의 신호처리를 위해 정류기와, 평활콘덴서 및 저항으로 구성된 로우 패스 필터(LPF)의 부가회로를 설치해야 하므로 회로가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전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별개의 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부하에서 소모되는 소비전력으로부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하여 그로부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는, 입력전원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 전압을 전동기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인가하는 인버터와; 상기 평활부 양단의 직류전압과 상기 인버터 및 전동기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직류전압 및 출력전류를 사용하여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소비전력으로부터 상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입력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기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상기 인버터부에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직류전압으로부터 지령전압을 산출하는 지령전압산출모듈과; 상기 검출된 출력전류로부터 좌표변환을 수행하여 지령전류를 산출하는 지령전류산출모듈과; 상기 산출된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하는 소비전력추정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소비전력은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적어도 복수회 누적하여 평균한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소비전력의 추정은 압축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 팬모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 및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의 소비전력의 합을 전력효율로 나눈값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팬모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은, 상기 압축기용 전동기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팬모터용 전동기를 강제로 운전하여 얻어지는 상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의 소비전력은 소정의 상수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기 평활부의 출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기 입력전원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리액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입력전류가 미리설정된 허용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의 생성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부는 두 쌍의 다이오드들이 병렬로 연결되고, 각 쌍은 두 개의 다이오드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평활부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전동기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동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는, 공기조화기에서 전동기의 입력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복잡한 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및 팬모터용 전동기의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으로부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함으로써 회로 구현이 간단하고 공기조화기의 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기 전동기의 입력전류를 직접 검출하지 않고 각 전동기의 소비전력으로부터 상기 입력전류를 추정하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산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일 예시를 보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전동기 구동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의 인버터 입력전류를 추정하는 과정을 보인 블록도;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는, 정류부(200)와, 평활부(300)와, 인버터(400)와,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는, 입력전원(100) 및 저항(350)을 포함하고, 압축기용 전동기(500) 및/또는 팬모터용 전동기(800)와 연결된다.
상기 입력전원(100)은, 압축기용 전동기(500) 및 팬모터용 전동기(800)의 전원공급원으로서, 예를 들어, 220V 및 60Hz의 교류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정류부(200)는, 입력전원(100)이 공급하는 교류전압을 정류한다. 즉, 상기 정류부(200)는 4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통해 입력전원(100)이 공급하는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부(200)는 2쌍의 다이오드들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각 쌍은 2개의 다이오드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부(200)는 6개의 다이오드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활부(300)는,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평활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직류 링크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포함한 간단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40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 전압을 전동기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인가한다. 즉, 상기 인버터(400)는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평활부(30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을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하여 임의의 가변주파수를 갖는 3상 교류전압(U, V, W)로 바꾸어 압축기용 전동기(500)에 공급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는, 압축기용 전동기(500)에 3상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400)와, 팬모터용 전동기(800)에 3상 교류전압을 제공하는 모터제어회로(600)가 각각 별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버터(400)의 스위칭 소자들은, 서로 직렬 연결된 상암 스위칭 소자와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을 형성하고, 총 3쌍의 상암 및 하암 스위칭 소자가 병렬 연결된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모터제어회로(600)는 상기 인버터(400)와 유사한 회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평활부(300) 양단에 걸리는 직류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예를 들어, 션트 저항(350)을 통해 상기 인버터(400) 및 전동기(50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검출된 직류전압 및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추정된 소비전력으로부터 상기 인버터(400)의 입력전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추정된 입력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기(500)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상기 인버터부(400)에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는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를 따르는 일반적인 방식을 가리키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검출된 직류전압 및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검출된 직류전압으로부터 지령전압을 산출하는 지령전압산출모듈과, 상기 검출된 출력전류로부터 좌표변환을 수행하여 지령전류를 산출하는 지령전류산출모듈과, 상기 산출된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하는 소비전력추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령전류산출모듈은, 상기 검출된 출력전류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전동기의 회전속도 및 회전속도 지령치로부터 전류지령치 Id , Iq를 산출한다. 상기 지령전압산출모듈은, 검출된 직류전압과 상기 산출된 전류지령치 Id , Iq에 기초하여 전압지령치 Vd, Vq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소비전력추정모듈은, 상기 전류지령치 및 전압지령치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1)을 통해 전동기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한다. 여기서는 정류부(200)의 다이오드들의 전력손실은 무시하였다.
전동기의 소비전력(W) = Vd*Id , + Vq*Iq (1)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기 평활부(300) 양단의 직류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인버터(400) 및 전동기(50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어 션트저항(35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기 검출된 출력전류를 d축, q축 전류로 변환하거나, 상기 d축, q축 전류를 인버터 및 전동기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적어도 복수회 누적하여 평균한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1000회 누적하여 평균한 값을 압축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신뢰성 있는 소비전력 추정값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400)의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예를 들어, 상기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에 기초하여 추정된 인버터 입력전류가 정해진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압축기용 전동기(500) 및 팬모터용 전동기(800)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대응하는 인버터(400, 600)의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전동기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의 인버터측의 입력전류를 추정하는 과정을 블록도를 통해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를 이용하여 식(1)을 통해 압축기용 전동기(500)의 소비전력을 추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압축기용 전동기(500)의 구동을 정지하고 공기조화기의 팬모터용 전동기(800)만을 강제로 구동하여 팬모터용 전동기(800)의 소비전력을 추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소비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의 소비전력은 소정의 상수값이며, 상기 상수 값은 정류부에 구비된 다이오드 소자 및 스위칭 소자에서 소모되는 전력값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용 전동기, 팬모터용 전동기, 및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의 소비전력을 모두 합산하고 이를 전력효율로 나누어 전동기 구동장치의 총합 소비전력(W)을 추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총합 소비전력(W)으로부터 인버터(400)에 인가되는 입력전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추정된 입력전류값이 정해진 정격전류의 최대 허용전력값을 초과하면, 제어부(700)는 인버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추정된 입력정류가 미리설정된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의 생성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총합 소비전력의 추정은 압축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 팬모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 및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소비전력의 합을 전력효율로 나눈값으로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기준전력값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기 평활부(300)의 출력단과 상기 인버터(200)의 입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션트 저항(350)을 포함한다. 상기 션트 저항(350)은 인버터 및 전동기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거나 추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기 입력전원(100)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리액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액터는 예를 들어, 상기 정류부(200)의 출력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정류된 교류전압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전동기 구동장치의 회로 구성도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전동기 구동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비교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전동기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은, 입력전원, 정류부, 평활부, 인버터, 및 인버터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의 전동기 구동장치는 입력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직렬 연결시킨 전류변환기(Current Transformer;CT)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전류변환기(CT)는 입력전원의 1차측 전류신호를 전류변환기(CT)의 2차측에 유기하고, 유기된 교류신호를 정류하여 인버터에 인가되는 입력전류를 직접 측정한다. 이와 같이 전류변환기(CT)에 의해 제공된 전류신호로부터 인버터에 입력되는 입력전류를 직접 측정하는 경우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의 제작비용이 상승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의 경우 입력전원의 전류를 직접 검출하기 위한 전류변환기(CT)를 생략하고,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하는 연산 로직이 모두 제어부(700)(MCU)에서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였다. 상기 제어부(700)에서의 구체적인 연산 로직의 과정은 상기에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도 1은, 상기 기술한 전동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일 예를 보여준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를 구동하는 실외기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는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구비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를 운전하는 전동기와, 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상기 냉매를 공기와 열 교환하여 방열하는 증발기(13)와, 상기 증발기에서 방열된 상기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하는 팽창 밸브(14)와,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를 물과 열 교환하는 응축기(15)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2)와, 상기 압축기(12)의 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된 상기 냉매를 상기 증발기(13) 또는 상기 응축기(15)로 안내하는 냉매전환밸브(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압축기(12)와 증발기(13) 그리고 팽창 밸브(14)와 응축기(15)로 된 냉동사이클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1)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13)와 열교환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팬(16)이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15)에는 실내기(20)들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매질순환관(3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2)의 출구에는 그 압축기(12)에서 압축되는 냉매를 운전조건에 따라 증발기 방향 또는 응축기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냉매전환밸브(17)가 설치된다. 상기 냉매전환밸브(17)는 통상 4방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실외기(10)는 하절기에는 냉방기로 운전을 하는 반면 동절기에 난방기로 전환하여 운전한다. 예를 들어, 하절기에는 압축기(1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냉매전환밸브가 증발기(13)로 안내하여 그 증발기(13)에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방열하고 팽창 밸브(14)에서 저온, 저압으로 만든 후 응축기(15)에서 물과 열교환되어 그 열교환된 물을 냉방 열원으로 사용하는 실내기(20)들에 공급한다. 한편, 동절기에는 상기 냉매전환밸브(17)가 냉매를 응축기 방향으로 안내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기(15)에서 물과 열교환되어 그 열교환된 물을 난방 열원으로 사용하는 실내기(20)들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전동기 구동장치의 전동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실외팬, 및 실내팬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전동기의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으로부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할 수 있도록 전동기 구동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압축기용 전동기 또는 팬모터용 전동기의 인버터측 입력전류를 직접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생략하여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감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는, 공기조화기에서 전동기의 입력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복잡한 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연산 로직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및 팬모터용 전동기의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하고 이로부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함으로써 회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압축기 및 팬모터의 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100 - 입력전원 200 - 정류부
300 - 평활부 350 - 션트저항
400 - 인버터 500 - 압축기용 전동기
600 - 모터제어회로 700 - 제어부
800 - 팬모터용 전동기

Claims (12)

  1. 입력전원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을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류 전압을 전동기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인가하는 인버터; 및
    상기 평활부 양단의 직류전압과 상기 인버터 및 전동기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직류전압 및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 부하에서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소비전력으로부터 상기 인버터의 입력전류를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입력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기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상기 인버터부에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직류전압으로부터 지령전압을 산출하는 지령전압산출모듈과; 상기 검출된 출력전류로부터 좌표변환을 수행하여 지령전류를 산출하는 지령전류산출모듈과; 상기 산출된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추정하는 소비전력추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전력은, 상기 전동기 부하에 흐르는 소비전력을 적어도 복수회 누적하여 평균한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전력의 추정은, 압축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 팬모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 및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의 소비전력의 합을 전력효율로 나눈값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용 전동기의 소비전력은, 상기 팬모터용 전동기를 강제로 운전하여 얻어지는 상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부의 출력단과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원의 역률을 개선하는 리액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령전압 및 지령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입력전압이 미리설정된 허용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 소자들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의 생성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두 쌍의 다이오드들이 병렬로 연결되고, 각 쌍은 두 개의 다이오드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평활부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동기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동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10107209A 2011-10-19 2011-10-1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196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09A KR101965737B1 (ko) 2011-10-19 2011-10-1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09A KR101965737B1 (ko) 2011-10-19 2011-10-1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014A true KR20130043014A (ko) 2013-04-29
KR101965737B1 KR101965737B1 (ko) 2019-08-27

Family

ID=4844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209A KR101965737B1 (ko) 2011-10-19 2011-10-1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952A (ko) * 2014-04-22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035378A (ko) * 2017-09-26 201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US10533207B2 (en) 2014-10-16 2020-01-14 Quantamatrix Inc. Bioactivity testing structure for single cell tracking using gelling ag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447A (ko) * 2002-09-13 2004-03-20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
KR20100106823A (ko) * 2009-03-24 2010-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447A (ko) * 2002-09-13 2004-03-20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
KR20100106823A (ko) * 2009-03-24 2010-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952A (ko) * 2014-04-22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10533207B2 (en) 2014-10-16 2020-01-14 Quantamatrix Inc. Bioactivity testing structure for single cell tracking using gelling agents
KR20190035378A (ko) * 2017-09-26 201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737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2336B2 (en) Air conditioner with variable power converter
KR102308028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8120299B2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CN103270376A (zh) 热泵装置、热泵系统和三相逆变器的控制方法
JP2013106455A (ja) 直流電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204395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965737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2014257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203433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5818600B2 (ja) 電動機駆動用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4009662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58042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40092B1 (ko) 전력변환장치, 이의 제어방법 및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00003580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054439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2199378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66586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591884B1 (ko) 전동기 제어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870719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090081914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2002118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공기조화기
KR102366401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02240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200007417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200015017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