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753A - 골절 치료용 k-강선 - Google Patents

골절 치료용 k-강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753A
KR20130042753A KR1020110106818A KR20110106818A KR20130042753A KR 20130042753 A KR20130042753 A KR 20130042753A KR 1020110106818 A KR1020110106818 A KR 1020110106818A KR 20110106818 A KR20110106818 A KR 20110106818A KR 20130042753 A KR20130042753 A KR 20130042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body portion
partial body
screw
met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11010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753A/ko
Publication of KR2013004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6Nails or pins, i.e. anchors without movable parts, holding by friction only, with or without structured surface
    • A61B17/848Kirschner wires, i.e. thin, long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with thread interrupted or changing its form along shank, other than constant t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36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 F16B25/0042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 F16B25/0057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the screw having distinct axial zones, e.g. multiple axial thread sections with different pitch or thread cross-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2017/681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못의 몸체부에 적어도 2 이상의 다른 형태를 가지는 부분 몸체부를 가져 골절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골절 치료용 K-강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를 포함하는 나사못 몸체부; 및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못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골절면을 효과적으로 압박하거나, 골절면에 가해지는 압박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골절 치료 시의 치료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절 치료용 K-강선{K-wire for Fracture}
본 발명은 골절 치료용 K-강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K-강선의 몸체부에 적어도 2 이상의 다른 형태를 가지는 부분 몸체부를 가져 골절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골절 치료용 K-강선에 관한 것이다.
장관 골(long bone, or tubular bone)이 골절 시 골절이 치료가 되려면 정확한 해부학적인(될 수 있는 데로 뼈가 부러지기 전 모양) 정복(뼈 맞춤)과 골절 면에 뼈진(가골)이 나와 뼈가 붙는 기간(4~12 주간)동안 골절 면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인데, 이때 골절 면의 간격(틈새)이 적을수록 골절 치유가 잘된다고 하여 틈새가 없도록 압박고정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K-강선에는 나사못과 금속핀 등이 있다. 기존의 K-강선은 압박 효과가 약하거나, 견인 효과를 이끌어 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K-강선의 예로 골절 치료용 locking 나사못과 non locking 나사못의 다른 형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이와 같은 나사못은 골절면을 효과적으로 압박하거나, 견인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도 2의 구조와 같은 경우에는 골절면이 더 벌어지지 않게 하는 정도에 그치며, 골절면의 압박 효과는 상당히 낮은 문제가 있었다.
도 35 및 도 36은 종래의 K-강선 예로 골절 치료용 금속핀에 대한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종래의 금속핀은 도 35에서와 같이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가 짧은 금속핀과 도 36에서와 같이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가 긴 금속핀이 있었다.
이에, 골절의 빠른 치료를 위한 골절 면의 압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거나 견인 시킬 수 있는 나사못의 개발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골절 치료용 K-강선의 구성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골절부를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치료용 K-강선 몸체부의 구성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골절 치료용 K-강선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를 포함하는 나사못 몸체부;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못 헤드부;및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못 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을 제시한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교번하여 이격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있는 것이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 사이에는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는 스레드 부의 유무,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스레드 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못 몸체부와 상기 나사못 헤드부는 동일한 몸체부 내경을 가지는 것이거나,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내경이 상기 나사못 헤드부의 내경보다 더 적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못 헤드부의 둘레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스레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레드 부의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및 스레드의 두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는 상기 나사못의 전진을 보조하는 기 설정된 형태의 나사못 헤드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못 전단부는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평균적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 이상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의 방향각과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의 방향각이 서로 다른 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레드의 방향각은 순방향 방향각과 역방향 방향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순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몸체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못 헤드부 또는 상기 나사못 전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나사못 헤드부의 스레드 형태 또는 상기 나사못 전단부의 스레드 형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형성되는 스레드의 형태와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및 스레드부의 폭 및 스레드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서 상기 나사못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2/3 내지 3/4 위치에서 나사못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서 상기 나사못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1/2 내지 1/3 위치에서 나사못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있는 것이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 사이에 상기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의 형태는 서로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스레드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골절 치료용 K-강선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를 포함하는 금속핀 몸체부;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금속핀 막대부; 및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금속핀 전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을 제시한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교번하여 이격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있는 것이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 사이에는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는 스레드 부의 유무,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스레드 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핀 몸체부와 상기 금속핀 막대부는 동일한 몸체부 내경을 가지는 것이거나,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내경이 상기 금속핀 막대부의 내경보다 더 적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레드의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및 스레드의 두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핀 전단부는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평균적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 이상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의 방향각과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의 방향각이 서로 다른 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레드의 방향각은 순방향 방향각과 역방향 방향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순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몸체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금속핀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 막대부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금속핀 전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핀 전단부의 스레드 형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형성되는 스레드의 형태와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및 몸체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금속핀 막대부에서 상기 금속핀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2/3 내지 3/4 위치에서 금속핀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금속핀 막대부에서 상기 금속핀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1/2 내지 1/3 위치에서 금속핀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있는 것이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 사이에 상기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의 형태는 서로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몸체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골절면을 효과적으로 압박하여, 골절 치료를 촉진시켜 골절 치료 효과를 월등하게 제고할 수 있다.
둘째, 골절면에 가해지는 압박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특수한 골절 치료 시의 치료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절 치료용 locking 나사못의 형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골절 치료용 non locking 나사못의 다른 형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스레드의 외경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스레드의 두께가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스레드의 방향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 부의 폭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나사못 몸체부의 내경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나사못 헤드부와 나사못 몸체부가 동일하거나, 거의 같은 내경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특별한 구조를 가지는 나사못 전단부가 없거나 나사못 몸체부의 절단 또는 절단 가공되는 형태로 나사못 전단부가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전단부의 끝이 뾰쪽하게 되어, 뼈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구멍으로의 나사못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스레드의 방향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헤드 쪽의 스레드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서로 다른 스레드 형태를 가지는 부분 몸체부가 서로 붙어 있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서로 다른 스레드 형태를 가지는 부분 몸체부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서, 나사못 헤드부에 가까이 있는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 스레드의 간격이 나사못 헤드부로 가까이 갈수록 넓어지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의 사용 양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뼈 내부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의 사용 양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2개 이상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의 사용 양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35는 및 도 36은 종래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은 스레드의 외경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41 및 도 42는 스레드의 두께가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43 및 도 44는 스레드의 방향이 다르며, 역방향 스레드 방향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45 및 도 46은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 부의 폭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47 및 도 48은 금속핀 몸체부의 내경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49 및 도 50은 금속핀 전단부의 끝이 뾰쪽하게 되어, 뼈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구멍으로의 금속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51 및 도 52는 스레드의 방향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53 내지 도 56은 제1 부분 몸체부에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57 및 도 58은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의 사용 양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K-강선의 일종인 나사못(10)부터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도 3과 도 4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사못(10)은 나사못 헤드부(200)와 나사못 몸체부(10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사못 헤드부(200)에는 나사못 헤드부 스레드(210)가 형성되어 있는 locking 유형의 나사못(10)과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non locking 유형의 나사못(10)이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non locking 유형의 나사못(10)에 대한 예시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나사못 몸체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분 몸체부(110) 및 상기 제1 부분 몸체부(110)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110)에는 도 17 내지 도 18에서와 같이 제1 부분 몸체부 스레드(111)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서는 2개의 서로 이격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에 각각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들은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나사못 헤드부(200)에서 가까운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스레드 간격(510)이 좁고, 상기 나사못 헤드부(200)에서 먼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스레드 간격(510)이 큰 경우, 상기 스레드의 단위 회전에 대해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스레드 간격(510)이 큰 쪽이 그렇지 않은 쪽보다 다른 전진력(나사못(10)의 회전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나사못 헤드부(200)에서 가까운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스레드 간격(510)이 넓고, 상기 나사못 헤드부(200)에서 먼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스레드 간격(510)이 좁은 경우에도, 상기 스레드의 단위 회전에 대해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큰 쪽이 그렇지 않은 쪽보다 다른 전진력(나사못(10)의 회전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골절면이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큰 쪽과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좁은 쪽의 사이에 있을 경우, 이러한 전진력의 차이에 의해 압박을 받거나, 견인을 받게 되어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동일한 경우보다 추가적인 압박이나 견인을 받게 된다. 골절면에 대한 이러한 압박이 골절 치료에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한편, 골절된 부위의 뼈가 파쇄되는 경우와 같이 골절 치료에 경우에도 견인력을 제공하는 구조의 나사못(10)을 사용하는 경우, 골절 부위에 효과적으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골절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스레드의 형태는 스레드의 유무,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가 이루는 스레드의 방향, 스레드부의 폭 및 몸체부 내경(5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스레드가 없을 수도 있으며, 이는 스레드의 유모에 대응된다. 스레드 간격(510)은 스레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스레드가 있을 때, 특정 스레드와 그 특정 스레드와 이웃하는 스레드 간의 떨어진 거리를 말한다. 스레드 두께(520)는 하나의 스레드가 가지는 두께로, 이 두께는 스레드의 최상단 스레드 종단부의 물리적인 폭이나 스레드의 몸체의 물리적인 폭, 스레드와 나사못 몸체부(100)와 인접하는 곳의 물리적인 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말한다. 스레드 방향(530)은 나사못 몸체부(100)의 방향과 스레드가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스레드부의 폭은 나사못 몸체부(100)에서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110) 또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의 나사못 몸체부(100) 길이 방향의 물리적인 폭을 말한다. 그리고, 몸체부 내경(550)은 나사못 몸체부(100) 전체의 외경에서 스레드의 높이를 제외한 길이를 말한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110) 및/또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에는 기 설정된 스레드의 형태가 대응되는데, 각각의 스레드의 형태에는 스레드의 유무, 스레드 간격(510), 스레드 외경(540), 스레드 두께(520), 스레드 방향(530), 스레드부의 폭(스레드부의 폭은 나사못 몸체부(100)에서 제1 부분 몸체부(110) 또는 제2 부분 몸체부(120)에서 스레드가 형성된 영역의 크기를 말한다) 및 몸체부 내경(550)이 변수가 되어, 각기 다른 형태의 스레드를 가지게 된다.
상기 나사못 헤드부(200)의 둘레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가 있다. 이때, 스레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나사못 헤드부(200)의 외경이 스레드 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한편, 상기 나사못 헤드부(200)에는 상기 나사못(10)의 효과적인 삽입을 위하여 기 설정된 형태의 나사못 헤드부(200)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나사못 헤드부(200) 홈은 육각형 홈 또는 십자형 홈 또는 기타 기 설정된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못 헤드부(200) 홈의 모양일 수 있다.
골절 치료용 K-강선(10)은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드릴로 구멍을 낸 다음 드라이버로 돌리면 스스로 길을 찾아 들어가는 self tapping 나사못(10)이 있고, 다른 하나는 드릴로 구멍을 낸 다음 tapper로 스레드 길을 낸 다음 드라이버로 돌려야 들어가는 non-self tapping 나사못(10)이 있다. 본 발명은 self tapping 나사못(10)에 주로 활용될 수 있지만, 뼈에도 일정한 수준의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non-self tapping 나사못(10)에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상기 나사못(10)의 상기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나사못 전단부(3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나사못 전단부(300)는 도 3에서와 같이 뾰쪽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도 17과 도 18에서와 같이 나사못 전단부(300)에 기 설정된 나사못 전단부 스레드(3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self tapping 나사못(10)의 경우에는 뾰족한 끝과 나사못 전단부 스레드(310)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못 전단부(300)이어야 뼈에 나사못(10)을 효과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스레드 외경(540)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외경이 서로 다른 나사못(10)에 대한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의 외경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보다 작을 경우에는 스레드의 회전에 따라 각 부위에서 외경의 차이에 따른 다른 압박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의 외경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보다 큰 경우에는 스레드의 회전에 따라 각 부위에서 외경의 차이에 따라 골절 부위의 양 측면에서 다른 힘을 받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스레드 두께(520)가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7은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두께가 서로 다른 나사못(10)에 대한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두께가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두께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스레드 두께(520)에 따라 골절 부위의 뼈를 압박하는 정도가 다르게 되어, 골절 부위에 대한 압박이나 견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스레드 방향(530)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9는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못(10)에 대한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방향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방향과 다를 경우에는 나사못(10)이 일단 골절부에 고정된 다음에 나사못(10)이 느슨해 지거나, 특정한 방향으로의 미세한 움직임이 철저하게 차단되게 되어 나사못(10)의 고정 효과가 아주 크게 된다. 특히, 도 9나 도 10과 같이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방향이 나사못(10)의 회전 방향과 나사못(10)의 전진 방향이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나사못(10)의 로킹(locking) 효과가 뛰어나게 되어, 뼈에 시술된 이후에도 나사못(10)이 특정한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뼈에 잘 고정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 효과는 골절 치료 효과를 크게 높이게 된다. 도 9나 도 10에서와 달리 도 21이나 도 22는 2개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스레드 방향(530)이 약간 차이가 나는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스레드 방향(530) 또는 방향각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보다 고정 효과가 뛰어나게 된다. 이는 특히, non-self tapping 방식으로 시술하는 경우에는 경우에 더욱더 그러하다. 이때, 스레드 방향(530)각은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가 나사못(1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가 나사못(1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보다 큰 것이 더욱더 바람직할 것이다. 즉, 나사못 헤드부(200)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가 나사못(1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이 완만하여, 나사못(10)의 단위 회전당 더 적게 전진하게 되고,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가 나사못(1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이 급격하여, 나사못(10)의 단위 회전당 더 많이 전진하게 되면, 2개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 사이에 골절면이 있는 경우, 골절면의 압박 효과가 더 크게 된다.
도 11과 도 12는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 부의 폭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하나의 나사못(10)에 여러 부분 몸체부들이 있는 경우, 각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모두 일치할 필요는 전혀 없고, 유동적으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뼈의 종류와 골절 부위, 골절 위치에 대하여 다양한 스레드부의 폭을 가지는 나사못(10)이 골절 치료용으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보다 작은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2는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보다 큰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3과 도 14는 나사못 몸체부(100)의 내경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나사못 몸체부(100)를 구성하는 각 부분 몸체부들의 내경이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non-self tapping 방식의 경우, tapper가 먼저 뼈에 나사못(10)을 위한 홀을 생성하는데, 이때, 뼈에 형성된 동일한 직경(통상적으로 tapper는 동일한 직경의 홀을 생성한다.)의 홀 공간을 나사못(10)이 채우는 경우에, 나사못 몸체부(100)의 외경이 동일하더라도, 내경이 다를 경우, 스레드의 높이가 다르게 되고, 스레드의 높이가 다를 경우, 뼈에 작용하는 압력도 다르게 된다. 이때, 나사못 몸체부(100)의 외경이 동일한 경우,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스레드의 높이가 나사못 헤드부(200) 반대쪽에 있는 스레드의 높이보다 큰 것이 골절 압박에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3은 제1 몸체부 내경(550)보다 제2 몸체부 내경(550)이 더 큰 상태에서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보다 작은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4는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540)보다 큰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5와 도 16은 나사못 헤드부(200)와 나사못 몸체부(100)가 동일하거나, 거의 같은 내경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 도 33과 도 34에서 알 수 있듯이, 골절 치료를 위해서는 플레이트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나사못(10)은 플레이트에 형성된 플레이트 홀을 통과하여 뼈에 침투되므로, 나사못(10)이 플레이트에 잘 고정되기 위해서는 나사못 헤드부(200)에 나사못(10) 헤드부 스레드(210)가 형성되어 플레이트 홀에 형성되는 대응 스레드(암스레드)과 결합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나사못 헤드부(200)의 직경은 플레이트 홀의 내경보다 더 커야 한다. 한편,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도 31 및 도 32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나사못(10)을 뼈에 함몰하거나 또는 내입하는 경우에는 나사못 헤드부(200)의 직경이 나사못 몸체부(100)의 직경보다 클 이유가 없다. 다만, 이 경우에도 나사못 헤드부(200)는 필요한 이유가 나사못(10)을 뼈에 삽입하기 위해서 나사못 헤드부(200)에 홈 등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홈에 드라이버나 기타 도구를 활용하여, 나사못(10)을 회전시키면서 뼈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서로 다른 스레드 형태를 가지는 제1 부분 몸체부(110)와 제2 부분 몸체부(120)가 서로 붙어 있는 경우이다. 도 17 내지 도 18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이들의 경우에는 제2 부분 몸체부(120)가 1개만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부분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의 평균적인 위치가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다면(즉, 양자가 모두 또는 일부 이상이 나사못(10)의 중앙부에서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거나, 나사못 몸체부(100)의 하부쪽의 일부 또는 상부쪽보다 하부쪽에 더 많은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 나사못 전단부(300)에서 더 가까운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스레드 간격(510)이 제1 부분 몸체부 스레드(111)의 스레드 간격(510)보다 좁거나, 스레드의 폭이 좁거나, 스레드 두께(520)가 더 얇은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부분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의 평균적인 위치가 나사못 헤드부(200)쪽에 있다면(즉, 양자가 모두 또는 일부 이상이 나사못(10)의 중앙부에서 나사못 헤드부(200)쪽에 형성되어 있거나, 나사못 몸체부(100)의 상부쪽의 일부 또는 하부쪽보다 상부쪽에 더 많은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 나사못 헤드부(200)에서 더 가까운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의 스레드 간격(510)이 제1 부분 몸체부 스레드(111)의 스레드 간격(510)보다 좁거나, 스레드 폭이 좁거나, 스레드 두께(520)가 더 좁은 것일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전단부에도 나사못 전단부(300)에 나사못 전단부 스레드(310)가 형성되어 있어 나사못(10)이 뼈에 삽입되는 것을 돕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나사못 전단부 스레드(310)는 뼈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구멍으로의 나사못(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self tapping 유형으로 골절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나사못(10)의 예시들은 특별한 구조를 가지는 나사못 전단부(300)가 없거나 나사못 몸체부(100)의 절단 또는 절단 가공되는 형태로 나사못 전단부(300)가 구성되는 나사못(10)에 대한 것들이다. 도 19 내지 도 20과 다른 이러한 구조는 non-self tapping 유형으로 골절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이미 뼈에 나사못(10)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못(10)에 뼈를 직접 뚫고 들어가기 위한 구조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되기 때문이다.
도 21과 도 22는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 부의 스레드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530)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하나의 나사못(10)에 여러 부분 몸체부들이 있는 경우, 각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모두 일치할 필요는 전혀 없고, 유동적으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뼈의 종류와 골절 부위, 골절 위치에 대하여 다양한 스레드부의 스레드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530)을 가지는 나사못(10)이 골절 치료용으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1은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530)의 방향각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의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530)의 방향각보다 작은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22는 나사못 헤드부(2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121)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530)의 방향각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120)의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530)의 방향각보다 큰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23은 나사못(10) 헤드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부분 몸체부(120)보다 좁은 나사못(1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4는 나사못(10) 헤드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나사못 헤드부(200)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부분 몸체부(120)보다 좁은 나사못(10)을 도시하고 있다. 도 23과 도 24에서는 제1 부분 몸체부(110)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도 25는 나사못(10) 헤드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나사못 전단부(300)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유지되다가,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110)에서 스레드 간격(510)이 넓어지며, 제2 부분 몸체부(120)에서는 나사못 전단부(300)로 갈수록 스레드 간격(510)이 좁아지는 형태의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26은 나사못(10) 헤드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제1 부분 몸체부(110)쪽으로 넓어지다가,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110)에서 스레드 간격(510)이 가장 넓게 유지되며, 나사못 전단부(300)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서는 스레드 간격(510)이 좁은 형태로 유지되는 형태의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27은 나사못(10) 헤드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나사못 전단부(300)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유지되다가,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110)에서 스레드 간격(510)이 넓어지며, 제2 부분 몸체부(120)에서는 나사못 전단부(300)로 갈수록 스레드 간격(510)이 좁아지는 형태의 헤드쪽에 스레드가 없는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26은 나사못(10) 헤드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510)이 제1 부분 몸체부(110)쪽으로 넓어지다가,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110)에서 스레드 간격(510)이 가장 넓게 유지되며, 나사못 전단부(300)쪽의 제2 부분 몸체부(120)에서는 스레드 간격(510)이 좁은 형태로 유지되는 형태의 헤드쪽에 스레드가 없는 나사못(10)을 예시하고 있다.
도 29 및 도 30은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의 사용 양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며, 도 33 및 도 34는 2개 이상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10)의 사용 양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물론, 이때,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은 플레이트 면과 반드시 수직일 필요는 없을 것이며,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각도가 되면, 골절 위치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나사못(10)을 적정한/최적의 깊이나 적절한/최적의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골절면에 더 많은 압박 또는 견인을 가하기 위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본 발명은 나사못(10)의 구조와 형태를 통하여, 나사못(10)이 시술되었을 때의 골절면에 가해지는 압박이나 견인을 조절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압박이나 견인의 조절은 통상적인 압박의 강화와 견인력의 강화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발명 사상은 골절면의 압박을 강화하는 나사못(10)의 구조와 형태뿐만 아니라, 골절면을 견인하는 나사못(10)의 구조와 형태를 포함함을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이어,본 발명의 K-강선의 일종인 금속핀(6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7 내지 도 56은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도 37과 도 38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핀(60)은 금속핀 막대부(700)와 금속핀 몸체부(60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금속핀 막대부(700)는 원통 형상의 긴 금속 막대 내지는 금속선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금속핀 몸체부(6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분 몸체부(610) 및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6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에는 도 53 내지 도 56에서와 같이 제1 부분 몸체부 스레드(611)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7과 도 38에서는 2개의 서로 이격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에 각각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들은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7은 금속핀 막대부(700)쪽의 제2 부분 몸체부(6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410)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부분 몸체부(620)보다 넓은 금속핀(6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8은 금속핀 막대부(700)쪽의 제2 부분 몸체부(620)에 형성된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410)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부분 몸체부(620)보다 좁은 금속핀(60)을 도시하고 있다. 도 37과 도 38에서는 제1 부분 몸체부(610)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도 37에서와 같이 금속핀 막대부(700)에서 가까운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스레드 간격(410)이 좁고, 상기 금속핀 막대부(700)에서 먼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스레드 간격(410)이 큰 경우, 상기 스레드의 단위 회전에 대해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스레드 간격(410)이 큰 쪽이 그렇지 않은 쪽보다 다른 전진력(금속핀(60)의 회전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한편, 도 38에서와 같이 금속핀 막대부(700)에서 가까운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스레드 간격(410)이 넓고, 상기 금속핀 막대부(700)에서 먼 쪽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스레드 간격(410)이 좁은 경우에도, 상기 스레드의 단위 회전에 대해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410)이 큰 쪽이 그렇지 않은 쪽보다 다른 전진력(금속핀(60)의 회전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골절면이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410)이 큰 쪽과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410)이 좁은 쪽의 사이에 있을 경우, 이러한 전진력의 차이에 의해 압박을 받거나, 견인을 받게 되어 스레드의 스레드 간격(410)이 동일한 경우보다 추가적인 압박이나 견인을 받게 된다. 골절면에 대한 이러한 압박이 골절 치료에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한편, 골절된 부위의 뼈가 파쇄되는 경우와 같이 골절 치료에 경우에도 견인력을 제공하는 구조의 금속핀(60)을 사용하는 경우, 골절 부위에 효과적으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골절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스레드의 형태는 스레드의 유무,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가 이루는 스레드의 방향, 몸체부의 폭 및 몸체부 내경(4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 중 어느 하나에는 스레드가 없을 수도 있으며, 이는 스레드의 유모에 대응된다. 스레드 간격(410)은 스레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스레드가 있을 때, 특정 스레드와 그 특정 스레드와 이웃하는 스레드 간의 떨어진 거리를 말한다. 스레드 두께(420)는 하나의 스레드가 가지는 두께로, 이 두께는 스레드의 최상단 스레드 종단부의 물리적인 폭이나 스레드의 물리적인 폭, 스레드와 금속핀 몸체부(600)와 인접하는 곳의 물리적인 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말한다. 스레드 방향(430)은 금속핀 몸체부(600)의 방향과 스레드가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몸체부의 폭은 금속핀 몸체부(600)에서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 또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의 금속핀 몸체부(600) 길이 방향의 물리적인 폭을 말한다. 그리고, 몸체부 내경(450)은 금속핀 몸체부(600) 전체의 외경에서 스레드의 높이를 제외한 길이를 말한다.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 및/또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에는 기 설정된 스레드의 형태가 대응되는데, 각각의 스레드의 형태에는 스레드의 유무, 스레드 간격(410), 스레드 외경(440), 스레드 두께(420), 스레드 방향(430), 몸체부의 폭(몸체부의 폭은 금속핀 몸체부(600)에서 제1 부분 몸체부(610) 또는 제2 부분 몸체부(620)에서 스레드가 형성된 영역의 크기를 말한다) 및 몸체부 내경(450)이 변수가 되어, 각기 다른 형태의 스레드를 가지게 된다.
상기 금속핀 막대부(700)의 둘레에는 도 37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스레드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끈한 표면을 가지게 되나, 상기 금속핀 막대부를 고정시켜 뼈에 침투시키는 기구와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매끈한 원통 형상의 표면에 홈이나, 부분적인 평면부 등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핀(60)의 상기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금속핀 전단부(8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금속핀 전단부(800)는 도 37에서와 같이 뾰쪽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도 49과 도 50에서와 같이 금속핀 전단부(800)에 기 설정된 금속핀 전단부 스레드(8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은 스레드 외경(440)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은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외경이 서로 다른 금속핀(60)에 대한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39에서와 같이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의 외경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보다 큰 경우에는 스레드의 회전에 따라 각 부위에서 외경의 차이에 따른 다른 압박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40에서와 같이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의 외경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레드의 회전에 따라 각 부위에서 외경의 차이에 따라 골절 부위의 양 측면에서 다른 힘을 받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41 및 도 42는 스레드 두께(420)가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41은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두께가 서로 다른 금속핀(60)에 대한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두께가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두께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스레드 두께(420)에 따라 골절 부위의 뼈를 압박하는 정도가 다르게 되어, 골절 부위에 대한 압박이나 견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43 및 도 44는 스레드 방향(430)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도 43은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방향이 서로 다른 금속핀(60)에 대한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방향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방향과 다를 경우에는 금속핀(60)이 일단 골절부에 고정된 다음에 금속핀(60)이 느슨해 지거나, 특정한 방향으로의 미세한 움직임이 철저하게 차단되게 되어 금속핀(60)의 고정 효과가 아주 크게 된다. 특히, 도나 도 44과 같이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방향이 금속핀(60)의 회전 방향과 금속핀(60)의 전진 방향이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금속핀(60)의 로킹(locking) 효과가 뛰어나게 되어, 뼈에 시술된 이후에도 금속핀(60)이 특정한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뼈에 잘 고정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 효과는 골절 치료 효과를 크게 높이게 된다. 도 43이나 도 44에서와 달리 도 51이나 도 52는 2개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에 형성되어 있는 스레드 방향(430)이 약간 차이가 나는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스레드 방향(430) 또는 방향각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보다 고정 효과가 뛰어나게 된다. 이는 특히, non-self tapping 방식으로 시술하는 경우에는 경우에 더욱더 그러하다. 이때, 스레드 방향(430)각은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가 금속핀(6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가 금속핀(6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보다 큰 것이 더욱더 바람직할 것이다. 즉, 금속핀 막대부(700)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가 금속핀(6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이 완만하여, 금속핀(60)의 단위 회전당 더 적게 전진하게 되고,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가 금속핀(6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이 급격하여, 금속핀(60)의 단위 회전당 더 많이 전진하게 되면, 2개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 사이에 골절면이 있는 경우, 골절면의 압박 효과가 더 크게 된다.
도 45과 도 46은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 부의 폭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하나의 금속핀(60)에 여러 부분 몸체부들이 있는 경우, 각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모두 일치할 필요는 전혀 없고, 유동적으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뼈의 종류와 골절 부위, 골절 위치에 대하여 다양한 몸체부의 폭을 가지는 금속핀(60)이 골절 치료용으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5는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보다 작은 금속핀(60)을 예시하고 있다. 도 46은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보다 큰 금속핀(60)을 예시하고 있다.
도 47과 도 48은 금속핀 몸체부(600)의 내경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금속핀 몸체부(600)를 구성하는 각 부분 몸체부들의 내경이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non-self tapping 방식의 경우, tapper가 먼저 뼈에 금속핀(60)을 위한 홀을 생성하는데, 이때, 뼈에 형성된 동일한 직경(통상적으로 tapper는 동일한 직경의 홀을 생성한다.)의 홀 공간을 금속핀(60)이 채우는 경우에, 금속핀 몸체부(600)의 외경이 동일하더라도, 내경이 다를 경우, 스레드의 높이가 다르게 되고, 스레드의 높이가 다를 경우, 뼈에 작용하는 압력도 다르게 된다. 이때, 금속핀 몸체부(600)의 외경이 동일한 경우,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스레드의 높이가 금속핀 막대부(700) 반대쪽에 있는 스레드의 높이보다 큰 것이 골절 압박에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47은 제1 몸체부 내경(450)보다 제2 몸체부 내경(450)이 더 큰 상태에서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보다 작은 금속핀(60)을 예시하고 있다. 도 48은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부의 폭 또는 스레드 외경(440)보다 큰 금속핀(60)을 예시하고 있다.
도 53 내지 도 56은 서로 다른 스레드 형태를 가지는 제1 부분 몸체부(610)와 제2 부분 몸체부(620)가 서로 붙어 있는 경우이다. 도 53 내지 도 56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이들의 경우에는 제2 부분 몸체부(620)가 1개만이 형성되어 있다.
도 5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의 평균적인 위치가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다면(즉, 양자가 모두 또는 일부 이상이 금속핀(60)의 중앙부에서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거나, 금속핀 몸체부(600)의 하부쪽의 일부 또는 상부쪽보다 하부쪽에 더 많은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 금속핀 전단부(800)에서 더 가까운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의 스레드 간격(410)이 제1 부분 몸체부 스레드(611)의 스레드 간격(410)보다 좁거나, 스레드의 폭이 좁거나, 스레드 두께(420)가 더 얇은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54에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01)보다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는 더 넓은 스레드 간격(410)을 가지는 금속핀(60)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5에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는 상기 스레드 간격(410)이 상기 금속핀 막대부(700)에서 상기 금속핀 전단부(800)쪽으로 오면서 감소하는 형태이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의 스레드 간격(410)보다는 동일하거나 큰 형태를 가지는 금속핀(60)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5에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01)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가 만나는 접점 부근에서는 상기 스레드 간격(410)이 거의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도 56에서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는 상기 스레드 간격(410)이 상기 금속핀 전단부(800)에서 상기 금속핀 막대부(700)쪽으로 오면서 감소하는 형태이면서,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10)의 스레드 간격(410)보다는 동일하거나 큰 형태를 가지는 금속핀(60)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6에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601)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가 만나는 접점 부근에서는 상기 스레드 간격(410)의 차이가 크지 않은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도 49 및 도 50은 금속핀 전단부(800)에 금속핀 전단부 스레드(810)가 형성되어 있어 금속핀(60)이 뼈에 삽입되는 것을 돕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금속핀 전단부 스레드(810)는 뼈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구멍으로의 금속핀(6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self tapping 유형으로 골절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금속핀(60)의 예시들은 특별한 구조를 가지는 금속핀 전단부(800)가 없거나 금속핀 몸체부(600)의 절단 또는 절단 가공되는 형태로 금속핀 전단부(800)가 구성되는 금속핀(60)에 대한 것들이다. 도 49 내지 도 50과 다른 이러한 구조는 non-self tapping 유형으로 골절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이미 뼈에 금속핀(60)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핀(60)에 뼈를 직접 뚫고 들어가기 위한 구조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되기 때문이다.
도 51과 도 52는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 부의 스레드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430)이 다른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하나의 금속핀(60)에 여러 부분 몸체부들이 있는 경우, 각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모두 일치할 필요는 전혀 없고, 유동적으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부분 몸체부들의 폭은 뼈의 종류와 골절 부위, 골절 위치에 대하여 다양한 스레드의 스레드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430)을 가지는 금속핀(60)이 골절 치료용으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1은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430)의 방향각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의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430)의 방향각보다 큰 금속핀(60)을 예시하고 있다. 도 52는 금속핀 막대부(700) 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621)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430)의 방향각이 금속핀 막대부(70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제2 부분 몸체부(620)의 각도 또는 스레드 방향(430)의 방향각보다 작은 금속핀(60)을 예시하고 있다.
도 56 및 도 58은 본 발명의 골절 치료용 K-강선(60)의 사용 양태에 대한 일 예시적 도면이다. 물론, 이때, 골절 치료용 K-강선(60)의 금속핀 몸체부(600)의 물리적인 길이는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길이가 되면, 골절 위치에 따라 적절한 금속핀(60)을 선택하여 적정한/최적의 깊이나 적절한/최적의 위치까지 금속핀(60)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골절면에 더 많은 압박 또는 견인을 가하기 위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본 발명은 금속핀(60)의 구조와 형태를 통하여, 금속핀(60)이 시술되었을 때의 골절면에 가해지는 압박이나 견인을 조절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압박이나 견인의 조절은 통상적인 압박의 강화와 견인력의 강화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발명 사상은 골절면의 압박을 강화하는 금속핀(60)의 구조와 형태뿐만 아니라, 골절면을 견인하는 금속핀(60)의 구조와 형태를 포함함을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 산업 및 의료용 기구 산업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나사못 : 10
나사못 몸체부 : 100
나사못 헤드부 : 200
나사못 전단부 : 300
제1 부분 몸체부 : 110
제2 부분 몸체부 : 120
나사못 헤드부 홈 : 220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 : 121
제1 부분 몸체부 스레드 : 111
나사못 헤드부 스레드 : 210
나사못 전단부 스레드 : 310
스레드 간격 : 510
스레드 두께 : 520
스레드 방향 또는 스레드 방향각 : 530
스레드 외경 : 540
몸체부 내경 : 550
금속핀 : 60
금속핀 몸체부 : 600
금속핀 막대부 : 700
금속핀 전단부 : 800
제1 부분 몸체부 : 610
제2 부분 몸체부 : 620
제2 부분 몸체부 스레드 : 621
제1 부분 몸체부 스레드 : 611
금속핀 전단부 스레드 : 810
스레드 간격 : 410
스레드 두께 : 420
스레드 방향 또는 스레드 방향각 : 430
스레드 외경 : 440
몸체부 내경 : 450

Claims (37)

  1. 골절 치료용 K-강선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를 포함하는 나사못 몸체부; 및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못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교번하여 이격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있는 것이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 사이에는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를 구성하는 스레드의 형태는 단위 회전 시, 전진량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는 스레드부의 유무,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스레드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몸체부와 상기 나사못 헤드부는 동일한 몸체부 내경을 가지는 것이거나,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내경이 상기 나사못 헤드부의 내경보다 더 적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헤드부의 둘레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스레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레드부의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및 스레드의 두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는 상기 나사못의 전진을 보조하는 기 설정된 형태의 나사못 헤드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은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못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나사못 전단부는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평균적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 이상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의 방향각은 순방향 방향각과 역방향 방향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순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은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못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나사못 헤드부 또는 상기 나사못 전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나사못 헤드부의 스레드 형태 또는 상기 나사못 전단부의 스레드 형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형성되는 스레드의 형태와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및 스레드부의 폭 및 스레드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은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못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서 상기 나사못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2/3 내지 3/4 위치에서 나사못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서 상기 나사못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나사못 몸체부의 1/2 내지 1/3 위치에서 나사못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 헤드부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있는 것이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 사이에 상기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의 형태는 서로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스레드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1. 골절 치료용 K-강선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를 포함하는 금속핀 몸체부; 및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금속핀 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교번하여 이격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있는 것이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 사이에는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제2 부분 몸체부를 구성하는 스레드의 형태는 단위 회전 시, 전진량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는 스레드의 유무,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몸체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 몸체부와 상기 금속핀 막대부는 동일한 몸체부 내경을 가지는 것이거나,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내경이 상기 금속핀 막대부의 내경보다 더 적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레드의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및 스레드의 두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은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금속핀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금속핀 전단부는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평균적 내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0.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적어도 일 영역 이상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1.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와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스레드는 서로 다른 방향각을 가지는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의 방향각은 순방향 방향각과 역방향 방향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순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방향각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금속핀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 막대부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금속핀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은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금속핀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금속핀 전단부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금속핀 전단부의 스레드 형태는 상기 제1 부분 몸체부 및 상기 제2 부분 몸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형성되는 스레드의 형태와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및 몸체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은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금속핀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금속핀 막대부에서 상기 금속핀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2/3 내지 3/4 위치에서 금속핀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스레드가 형성된 제1 부분 몸체부는 상기 금속핀 막대부에서 상기 금속핀 전단부 방향으로 상기 금속핀 몸체부의 1/2 내지 1/3 위치에서 금속핀 전단부 앞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3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에는 스레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부분 몸체부는 2개 있는 것이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 사이에 상기 제1 부분 몸체부가 존재하며,
    상기 2개의 부분 몸체부에 형성된 스레드의 형태는 서로 다른 것인 것이며,
    상기 형태는 스레드 간의 간격, 스레드의 외경, 스레드의 두께, 스레드의 방향, 몸체부의 폭 및 몸체부의 내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특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 치료용 K-강선.
KR1020110106818A 2011-10-19 2011-10-19 골절 치료용 k-강선 KR20130042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818A KR20130042753A (ko) 2011-10-19 2011-10-19 골절 치료용 k-강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818A KR20130042753A (ko) 2011-10-19 2011-10-19 골절 치료용 k-강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753A true KR20130042753A (ko) 2013-04-29

Family

ID=4844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818A KR20130042753A (ko) 2011-10-19 2011-10-19 골절 치료용 k-강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7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76B1 (ko) 2016-03-08 2016-11-03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길이 조절형 골 접합 와이어
KR102138076B1 (ko) 2019-11-06 2020-07-27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76B1 (ko) 2016-03-08 2016-11-03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길이 조절형 골 접합 와이어
KR102138076B1 (ko) 2019-11-06 2020-07-27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봉합사 가이드용 k-강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5109C (en) Assemblies for aligning a bone fixation plate
CN102596073B (zh) 可变角度锁定支撑栓
EP2802294B1 (de) FUßCHIRURGISCHE INTRAMEDULLÄRE VERRIEGELUNGS- KNOCHENSCHRAUBE ZUR FIXATION DES GROßZEHENGRUNDGELENKS
AT507271B1 (de) Knochenschraubenset
EP1693013A1 (en) Plate and screws for treatment of bone fractures
US20240090930A1 (en) Orthopaedic bone stabilisation device
CN104224291A (zh) 新型组合式跟骨骨折内固定钢板
KR20130042753A (ko) 골절 치료용 k-강선
KR20130042751A (ko) 골절 치료용 나사못
KR20130042752A (ko) 골절 치료용 금속핀
JP6553058B2 (ja) 創外固定器の適用のための細長ピン
CN215821129U (zh) 一种组合型加压空心骨螺钉
WO2019242300A1 (zh) 防爆无头加压空心螺钉
CN215306599U (zh) 一种交锁型骨钉
RU2660238C2 (ru) Способ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длинных костей углеродной пластиной с заклепками
US10010349B2 (en) Elongated pin for application of an external fixator
CN216365224U (zh) 一种骨科用捆绑线、丝固定装置
CN220193135U (zh) 骨螺钉及钉棒系统
CN115192165A (zh) 加压器具及骨折复位内固定装置
JP2013094628A (ja) 創外固定ピン
TWM459839U (zh) 骨螺釘之結構
CN118252585A (zh) 一种动力滑动加压抗牵张螺钉
TW202145967A (zh) 骨折固定針的固定方法及裝置
DE202013102084U1 (de) Chirurgische Subtalarschraube sowi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