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438A - 장애 처리를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 처리를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438A
KR20130042438A KR1020120099537A KR20120099537A KR20130042438A KR 20130042438 A KR20130042438 A KR 20130042438A KR 1020120099537 A KR1020120099537 A KR 1020120099537A KR 20120099537 A KR20120099537 A KR 20120099537A KR 20130042438 A KR20130042438 A KR 20130042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rfid
root cause
type
dis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원
이호성
방효찬
김선진
황재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JP201222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3089249A/ja
Publication of KR2013004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구성하는 RFID 자원들에서 발생되는 장애 이벤트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장애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들을 장애 유형으로 분류한다. 장애 유형은 적어도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한다.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을 결정되고 복구 방법에 따라 근본 원인 장애에 관련된 RFDI 자원에서의 장애 복구가 수행되며, 그 결과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근본 원인 장애를 제외한 나머지 장애들이 복구된다.

Description

장애 처리를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FID resource}
본 발명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를 처리하는 RFID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RFID 태그와의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을 통해, RFID 태그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변경하는 시스템이다. 통상,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 RFID 리더, RFID 미들웨어(middleware), RFID 데이터 저장소 등으로 구성된다.
RFID 리더는 RFID 태그와의 직접적인 주파수 통신을 통해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ISO/IEC(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18000은 이러한 RFID 주파수 통신 프로토콜을 규정한 국제 표준 규격이다. RFID 미들웨어는 RFID 리더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정제하여, RFID 응용 시스템 또는 RFID 데이터 저장소에 전달한다. 일부 RFID 미들웨어는 RFID 리더를 제어하거나, RFID 리더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ISO/IEC 24791, EPCglobal Reader Protocol, EPCglobal Application Level Event, EPCglobal Reader Management 등은 RFID 미들웨어가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규격을 제시한다. RFID 데이터 저장소는 RFID 리더 또는 RFID 미들웨어에서 수집 및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EPCglobal EPC Information Service는 RFID 데이터 저장소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규정한다.
RFID 미들웨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ID 리더들과 연동할 수 있고, RFID 데이터 저장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ID 미들웨어들로부터 데이터 리포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술은 주로 RFID 리더에 대한 성능 또는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안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RFID 리더의 동작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거나, RFID 리더에서 발생한 장애 이벤트를 수신하여, RFID 리더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는 방법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RFID 리더에서 발생된 장애에 대해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하여 해당 장애를 해소함으로써, RFID 리더가 정상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예컨대, RFID 리더 내부의 RF 기능 장애 발생시, 이에 대한 장애 이벤트를 발생하여 RFID 리더 외부에게 알릴 수 있는 기능만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해당 RFID 리더를 관리하는 담당자의 직접적인 대응이 있을 때까지 해당 RFID 리더의 장애가 해소되지 못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RFID 자원을 관리하고 RFID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은 RFID 시스템을 구성하는 RFID 자원들을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RFID 자원으로부터 장애 발생을 나타내는 장애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을 분석하여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며, 상기 장애 유형은 적어도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근본 원인 장애에 해당하는 복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발생시킨 RFID 자원으로 상기 결정된 복구 방법에 해당하는 복구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애 유형은 상기 근본 원인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장애인 적어도 하나의 개별 장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원 원인 장애의 복구를 수행한 다음에,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개별 장애의 복구 여부를 토대로 상기 개별 장애와 상기 근본 원인 장애의 관련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장애를 발생시키는 RFID 자원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별 장애가 상기 근본 원인장애와 관련된 연관 장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개별 장애가 상기 근본 원인 장애와 관련되지 않은 비연관 장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장애 유형 모델을 토대로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개별 장애에 대한 연관 장애 또는 비연관 장애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장애 유형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 사이의 순차 관계, 시간 관계, 인과 관계, 내용 관계를 분석하는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장애들을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발생시킨 RFID 자원으로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복구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 및 상기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지 않고 다른 복구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RFID 자원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해당 장애가 복구되지 않음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애 유형의 적어도 2개의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가 관련된 복구 방법을 사용하여도 복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근본 원인 장애에 관련된 복구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이 복구되는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 이벤트는 장애가 발생된 RFID 자원이 어떠한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RFID 자원 타입, 장애가 발생된 RFID 자원을 구별하기 위한 RFID 자원 ID, 상기 장애 이벤트의 타입, 그리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는 RFID 시스템을 구성하는 RFID 자원들을 관리하는 장치에서, 상기 RFID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들에 대한 복구 방법이 저장되어 있는 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 상기 RFID 자원들과 통신하여 상기 RFID 자원으로부터 장애 발생을 나타내는 장애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 수신하고, 장애 복구를 위한 제어 명령을 해당하는 RFID 자원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을 분석하여 장애 유형--상기 장애 유형은 적어도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함--으로 분류하는 장애 유형 분석부; 및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근본 원인 장애에 해당하는 복구 방법을 상기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복구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장애 복구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 유형은 상기 근본 원인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장애인 적어도 하나의 개별 장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본 원인 장애의 복구에 따라 상기 개별 장애가 선택적으로 자동 복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 복구 처리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복구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RFID 자원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장애의 복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RFID 자원 관리 장치는 상기 RFID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들을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한 장애 유형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장애 유형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애 유형 분석부는 상기 장애 유형 모델을 토대로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 사이의 순차 관계, 시간 관계, 인과 관계, 내용 관계를 분석하는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장애들을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 복구 처리부는 상기 근본 원인 장애 복구 이후에 상기 장애 유형에 속하는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해당 개별 장애를 상기 근본 원인장애와 관련된 연관 장애인 것으로 하고,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개별 장애가 상기 근본 원인 장애와 관련되지 않은 비연관 장애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애 유형 모델은 상기 개별 장애에 대한 연관 장애 또는 비연관 장애 판단 결과를 토대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RFID 리더, RFID 미들웨어, RFID 데이터 저장소 등의 RFID 자원들로 구성되는 RFID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장애들로부터 장애 유형 및 근본 원인 장애를 파악하여, 일련의 RFID 시스템 장애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장애들에 대하여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하여 서로 관련 있는 장애들을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함으로써,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에 대한 복구시 근본 원인으로 판단되는 장애에 대한 자율적 복구를 수행하여 연관된 장애들도 자동적으로 복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인 장애 복구가 이루어진 다음에 장애 유형에 포함된 장애들 중에서도 비연관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토대로 장애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모델을 갱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장애 유형 판단 및 그에 따른 복구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지 RFID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데 그치지 않고 RFID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전체적인 장애 이벤트 수집을 비롯하여, 장애에 대한 대응 및 대응 결과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RFID 시스템의 자율적인 장애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RFID 리더를 비롯한 RFID 자원들을 이용한 서비스 환경에서의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RFID 기술 기반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RFID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원격 관리 및 자율 제어를 가능케 하여, 유비쿼터스 정보 사회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와 RFID 자원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들에서의 장애 발생 유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장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장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와 RFID 자원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RFID 자원들을 관리하며, RFID 자원(2)에서 발생되는 장애들을 처리한다.
여기서 RFID 자원(2)은 RFID 시스템을 구성하는 RFID 시스템 자원들을 나타내며, RFID 태그(21)와 통신하는 RFID 리더(22), RFID 미들웨어(middleware)(23), RFID 데이터 저장소(24)를 포함한다.
RFID 리더(22)는 RFID 태그(21)와의 직접적인 주파수 통신을 통해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RFID 미들웨어(23)는 RFID 리더(22)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및 정제하여, RFID 응용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또는 RFID 데이터 저장소(24)에 전달한다. RFID 데이터 저장소(24)는 RFID 리더(22) 또는 RFID 미들웨어(23)에서 수집 및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RFID 미들웨어(2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ID 리더들과 연동할 수 있고, RFID 데이터 저장소(2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ID 미들웨어들로부터 데이터 리포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RFID 리더(22), RFID 미들웨어(23), RFID 데이터 저장소(24)가 각각의 IP 주소를 가지고 RFID 자원 관리 장치(1)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RFID 자원(2)을 관리하며 RFID 자원(2)에서 발생되는 장애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RFID 자원(2)에서 발생되는 장애에 대한 자율 복구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RFID 자원(2)이 스스로 복구가 가능한 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에 따라 RFID 자원(2)의 초기화(Reset) 또는 재시작(Reboot) 절차를 통해, 해당 RFID 자원(2)이 다시 정상 상태로 복구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이외에도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RFID 자원(2)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들을 분류하고, 장애 유형별로 자율적인 장애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도 2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 장애 유형(fault pattern) 분석부(12), 장애 유형 저장부(13), 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14), 및 장애 복구 처리부(15)를 포함한다.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는 RFID 시스템을 구성하는 RFID 자원(2)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RFID 자원(2)으로부터 장애 이벤트를 수집하고, RFID 자원(2)으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또는 장애 대응에 필요한 제어 명령을 장애 복구 처리부(15)로부터 제공받아서 RFID 자원(2)에 전달한다.
장애 유형(fault pattern) 분석부(12)는 일련의 장애 이벤트들로부터 장애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장애의 유형을 분류한다. 장애 유형 저장부(13)는 장애 유형에 대한 모델을 저장 및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장애 유형 분석부(12)는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하여 수집되는 장애 이벤트들에 대해서, 장애 유형 저장부(13)에 저장된 장애 유형 모델을 이용하여 장애 유형을 판단할 뿐만 아니라, 해당 장애 유형의 근본 원인 장애를 파악한다. 즉, 서로 상관 있는 장애들을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시키고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에서 근본 원인 장애를 파악한다. 근본 원인 장애는 임의 장애에 영향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장애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B, C의 3가지 장애가 있는 경우, A 장애가 다른 장애 B, C가 발생하는데 영향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근본 원인 장애일 수 있다.
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14)는 RFID 자원에서 발생된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애 대응 모델을 저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장애 유형 분석부(12)에서 분석된 장애 유형에 대한 장애 대응을 수행하고, 장애 대응 결과를 확인한다. 즉,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14)를 조회하여 장애 유형에 속한 장애에 대한 대응 방법을 판단한다. 또한,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하여 장애가 발생된 RFID 자원에게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하여 전달되는 RFID 자원의 정보를 토대로 RFID 자원의 상태를 확인하여 장애 대응의 결과를 확인하여 장애 복구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장애 유형 분석부(13)에 의하여 분석된 장애 유형 중에 대해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장애 대응 및 대응 결과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위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시에 다른 조합으로 모듈화될 수 있다. 예컨대, 장애 유형 분석부(12)와 장애 유형 저장부(13)가 하나의 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RFID 자원(2)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로 전달하는 장애 이벤트는 발생된 장애가 어떠한 장애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장애 이벤트 정보 설명
RFID 자원 타입 [RFID 리더/RFID 미들웨어/RFID 데이터 저장소] 구분
RFID 자원 ID RFID 시스템 자원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RFID 장애 이벤트 타입 RFID 시스템 자원에서 발생한 장애 이벤트
RFID 장애 발생 시간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장애 이벤트는 표 1과 같이, RFID 자원 타입, RFID 자원 ID, RFID 장애 이벤트 타입, RFID 장애 발생 시간을 포함한다. RFID 자원 타입은 장애 이벤트가 발생된 자원이 어떠한 종류의 RFID 자원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장애 이벤트를 제공하는 주체가 RFID 리더, RFID 미들웨어, RFID 데이터 저장소 중 어느 자원 타입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다. RFID 자원 ID는 장애 이벤트를 제공하는 RFID 자원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RFID 리더가 사용되는 경우 각 RFID 리더에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RFID 장애 이벤트 타입은 RFID 자원에서 발생한 장애 이벤트의 타입을 나타낸다.
RFID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 이벤트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RFID 자원 장애 이벤트 설명
RFID 리더 RD_PrinterEvent RFID 태그 라벨 출력 장애
RFID 리더 RD_TagOperationEvent RFID 태그 메모리 액세스 장애
RFID 리더 RD_DeviceEvent RFID 리더 자체의 동작 장애
RFID 리더 RD_DataCollectionEvent RFID 리더 데이터 수집 장애
RFID 리더 RD_IOPortEvent RFID 리더 입출력 포트 장애
RFID 리더 RD_NetworkEvent RFID 리더의 네트워크 장애
RFID 리더 RD_AntennaEvent RFID 리더 안테나 장애
RFID 리더 RD_PowerSupplyEvent RFID 리더 전원 공급 장애
RFID 리더 RD_CPUEvent RFID 리더 프로세싱 부하
RFID 리더 RD_MemoryEvent RFID 리더 메모리 부하
RFID 리더 RD_SourceNoiseEvent RFID 리더 주파수 간섭
RFID 리더 RD_BatteryEvent RFID 리더 충전 전원
RFID 미들웨어 MW_DataCollectionFault 미들웨어 데이터 수집 장애
RFID 미들웨어 MW_DataProcessingFault 미들웨어 데이터 처리 장애
RFID 미들웨어 MW_DataReportTransmissionFault 미들웨어 데이터 리포트 전송 장애
RFID 미들웨어 MW_NetworkManagementFault RFID 리더 관리 네트워크 연결 장애
RFID 미들웨어 MW_NetworkControlFault RFID 리더 제어 네트워크 연결 장애
RFID 미들웨어 MW_NetworkDataCollectionFault RFID 리더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장애
RFID 미들웨어 MW_CPUEvent RFID 미들웨어 프로세싱 부하
RFID 미들웨어 MW_MemoryEvent RFID 미들웨어 메모리 부하
RFID 미들웨어 MW_HDDEvent RFID 미들웨어 저장소 부하
RFID 미들웨어 MW_NetwokEvent RFID 미들웨어 네트워크 장애
RFID 저장소 IS_WebServiceIFEvent RFID 데이터 저장소 웹서비스 장애
RFID 저장소 IS_RepositoryOperationEvent RFID 데이터 저장소 동작 장애
한편, 다수의 RFID 자원들로 구성된 RFID 시스템 환경에 있어, 각각의 RFID 자원에서 발생하는 장애 이벤트는 해당 RFID 자원과 연관된 다른 RFID 자원의 장애 이벤트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들에서의 장애 발생 유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RFID 시스템이 m개의 RFID 리더(RD-1~RD-m), 2개의 RFID 미들웨어(MW-1, MW-2), 그리고 2개의 RFID 데이터 저장소(DB-1, DB-2) 등의 RFID 자원들로 이루어진 경우, 각 RFID 자원에서 장애 A 내지 장애 G까지의 7가지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발생되는 장애 이벤트들은 다음 표 3과 같다고 가정한다.
장애 장애 이벤트 설명
장애 A RD_AntennaEvent RD-1의 안테나 장애
장애 B RD_DataCollectionEvent RD-1의 데이터 수집 장애
장애 C MW_DataCollectionFault MW-1의 데이터 수집 장애
장애 D MW_DataProcessingFault MW-1의 데이터 처리 장애
장애 E IS_RepositoryOperationEvent DB-2의 동작 장애
장애 F IS_WebServiceIFEvent DB-2의 웹서비스 인터페이스 장애
장애 G MW_DataCollectionFault MW-2의 데이터 리포트 전송 장애
이러한 장애 A 내지 장애 G까지의 7가지 장애 이벤트들을 두 가지 장애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RFID 리더에서 발생된 장애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장애 유형과, RFID 데이터 저장소에서 발생된 장애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장애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ID 리더(RD-1)에서의 장애 A가 장애 B, 장애 C, 장애 D를 순차적으로 일으킨 경우를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리더의 안테나 연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RFID 리더는 RFID 태그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이 불가능하다. 이는 RFID 미들웨어의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리포트 생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RFID 리더(RD-1)에서 안테나 장애에 의한 장애 A가 발생하면 RFID 리더(RD-1)에서 데이터 수집 장애인 장애 B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RFID 미들웨어(MW-1)에서도 데이터 수집 장애인 장애 C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RFID 데이터 저장소(DB-2)에서의 장애 E가 장애F, 장애 G를 순차적으로 일으킨 경우를 다른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볼 수 있다. RFID 데이터 저장소(DB-2)에서 동작 장애인 장애 E가 발생하게 되면, RFID 데이터 저장소(DB-2)의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불가하여 장애 F가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RFID 데이터 저장소(DB-2)에 연결된 RFID 미들웨어(MW-2)의 데이터 리포트 전송도 불가하여 장애 G가 발생하게 된다. 즉, RFID 데이터 저장소의 동작 장애가 RFID 미들웨어에서의 데이터 리포트 전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애 A나 장애 E는 다른 장애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장애들을 "근본 원인 장애"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근본 원인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장애들(예를 들어, 장애 B, 장애 C 또는 장애 F, 장애 G)는 "개별 장애"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근본 원인 장애와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개별 장애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장애 유형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RFID 자원들에서 발생하는 장애 이벤트들에 대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을 통하여 장애 이벤트들을 {장애 A, B, C, D}의 장애 유형과 {장애 E, F, G}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장애 유형 분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RFID 자원들에서 발생되는 장애 이벤트들간의 상관 관계 분석은 "순차 관계", "시간 관계", "인과 관계", 그리고 "내용 관계"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관 관계 분석은 다음 표 4와 같다.
상관관계 설명
순차관계 RFID 장애 이벤트가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집된 순서. 예컨대, 가장 먼저 수집된 장애 이벤트가 나중에 수집된 장애 이벤트의 발생과 연관성을 가질 수 있음
시간관계 RFID 장애 이벤트의 발생 시간 순서. 예컨대, 발생시간이 가장 빠른 이벤트가 다른 장애 이벤트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음
인과관계 예컨대, RFID 리더에서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RFID 미들웨어에서 관련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내용관계 예컨대, RFID 리더에서의 데이터 수집 장애는 RFID 미들웨어의 데이터 수집 장애에 영향을 미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장애 이벤트들에 대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순차 관계, 시간 관계, 인과 관계, 내용 관계들을 포함하는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발생된 장애 이벤트들을 장애 유형으로 분류한다. 장애 유형에서 근본 원인 장애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건의 장애 이벤트 장애 A, 장애 B, 장애 C가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장애 유형은 "{A, B, 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장애 A가 근본 원인 장애인 경우 장애 A를 다른 장애와 식별되게 <A>로 표시하여, 최종적으로 장애 유형을 "{<A>, B, 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장애 유형을 통하여, 근본 원인 장애 A를 다른 개별 장애에 앞서서 복구할 경우, 장애 B 및 장애 C를 직접 대응하지 않아도 장애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가 다른 개별 장애의 복구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 이러한 이력을 근본 원인 장애와 개별 장애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로직에 반영하여 개선된 장애 유형 도출 및 근본 원인 장애 파악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RFID 자원들의 장애에 대응하기 위해, 장애 유형 도출 및 근본 원인 장애를 표시함에 있어, 각 개별 장애에 대하여 대응을 위한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장애 A, 장애 B, 장애 C에 대하여 각각 1.1, 1.2, 1.3의 가중치들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중치에 따라 장애 유형이 {C, B, A}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에 따라 장애 C부터 장애 B, 장애 A의 순서로 장애 대응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장애 A, 장애 B, 장애 C의 장애 대응 우선 순위가 각각 3순위, 1순위, 2순위로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애 유형이 {B, C, A}로 표시되어, 장애 B부터 장애 C, 장애 A의 순서로 장애 대응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서는,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RFID 자원들로부터 장애 발생에 따른 장애 이벤트를 수신한다(S100).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은 장애 A, 장애 B, 장애 C 등의 장애 이벤트를 수신한다.
장애 이벤트들을 수신한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수신된 장애 이벤트들로부터 장애 유형을 판단한다(S110). 예를 들어, 수신된 장애 A, 장애 B, 장애 C의 관계를 토대로 해당 장애들이 하나의 장애 유형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A, B, C}로 표시한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장애 유형에 대하여 근본 원인 장애를 조회한다(S120). 예를 들어, {A, B, C}의 장애 유형에서 발생의 근본적 원인이 되는 근본 원인 장애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장애 A가 장애 B, 장애 C의 발생에 영향을 준 근본 원인 장애인 것으로 판단한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장애 복구를 위하여, 먼저,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을 찾는다(S130).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이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복구 방법을 선택하고(S140, S150), 선택된 복구 방법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RFID 자원을 제어하여 장애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60). 예를 들어,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A에 대하여 복수의 복구 방법 A#1, A#2 가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복구 방법 중에서 하나의 복구 방법을 선택하고, 선택된 복구 방법에 따라 장애가 발생한 RFID 리더를 제어한다.
복구 방법에 따라 근원 원인 장애가 발생한 RFID 자원에 대한 복구 제어가 이루어진 다음, 도 6에서와 같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180). 근본 원인 장애의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복구 방법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190), 다른 장애 복구 방법에 따라 다시 근본 원인 장애가 발생한 RFID 자원을 제어하여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 다른 장애 복구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자원 관리를 하는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사용자에 의한 직접적인 장애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200).
한편 단계(S180)의 판단 결과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가 이루어진 경우,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 여부를 판단한다. 즉, 해당 장애 유형(예를 들어, {A, B, C})에서 복구된 근본 원인 장애를 제외한 다른 장애들 중에서 하나의 개별 장애를 선택하고, 선택된 개별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0, S220). 근본 원인 장애의 영향으로 발생된 개별 장애는 해당하는 근본 원인 장애의 복구에 따라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다. 선택된 개별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해당 장애가 복구된 근본 원인 장애와 관련된 연관 장애인 것으로 최종적으로 분류한다(S230). 반면, 선택된 개별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장애가 복구된 근본 원인 장애와 관련이 없는 비연관 장애인 것으로 분류한다(S240). 비연관 장애로 분류된 장애를 자원을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개별 장애 복구 처리 단계들(S210, S240)을 장애 유형에 포함된 근본 원인 장애를 제외한 나머지 개별 장애들(예를 들어, 장애 유형 {A, B, C}에서 장애 B, 장애 C)에 대하여 각각 수행한다.
다음, RFDI 자원 관리 장치(1)는 하나의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모든 개별 장애들에 대한 복구 여부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 다음(S250), 모든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 여부가 확인된 경우에는 확인 결과를 토대로 장애 유형 및 근본 원인 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모델을 갱신한다(S260). 즉,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 여부 결과를 토대로 획득한 연관 장애 및 비연관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일련의 장애 이벤트로부터 장애 유형 및 근본 원인 장애를 판단하는 모델을 갱신한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수행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장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는 RFID 자원들로부터 장애 발생에 따른 장애 이벤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위의 표 3을 토대로, RFID 리더(22)는 안테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안테나 장애에 따른 장애 A 및 데이터 수집 장애인 장애 B에 해당하는 장애 이벤트들을 전송한다. 그리고 RFID 미들웨어(23)는 장애 C에 대응하는 장애 이벤트를 전송한다. 이러한 장애 A, 장애 B, 장애 C는 도 7에서와 같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에 의하여 수신되어 장애 패턴 분석부(12)로 전달된다(S1~S4).
장애 이벤트들을 수신한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장애 패턴 분석부(12)는 수신된 장애 이벤트들의 장애 유형을 판단하며, 특히 장애 패턴 저장부(13)에 저장된 장애 유형 모델을 토대로 장애 유형을 판단한다. 장애 패턴 분석부(12)는 수신된 장애 이벤트들 예를 들어, 장애 A, 장애 B, 장애 C들에 대하여 순차 관계, 시간 관계, 인과 관계, 내용 관계들을 포함하는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면서 장애 패턴 저장부(13)에 저장된 장애 유형 모델을 참조하여, 장애 이벤트들의 장애 유형을 판단한다(S5). 분석 결과 예를 들어, 장애 A, 장애 B, 장애 C가 서로 상관 있는 장애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장애 패턴 분석부(12)는 장애 패턴 저장부(13)에 저장된 장애 유형 모델을 토대로 판단된 장애 유형에서 근본 원인 장애가 어떤 것인지를 판단한다(S6, S7). 그리고 장애 패턴 분석부(12)는 분석 결과인 장애 유형과 근본 원인 장애를 장애 복구 처리부(15)로 전달한다(S8). 예를 들어, 장애 A, 장애 B, 장애 C가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판단되고 장애 A가 근본 원인 장애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A>, B, C}로 표시되는 분석 결과를 장애 복구 처리부(15)로 전달한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장애 패턴 분석부(12)로부터 전달받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먼저,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전달받은 장애 유형 {<A>, B, C}에서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A에 대한 복구 방법을 조회한다. 구체적으로 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14)로 장애 A를 제공하여 복구 방법 조회를 요청하며, 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14)는 저장된 장애 대응 모델을 토대로 장애 A에 대한 복구 방법을 조회하여 그 결과를 장애 복구 처리부(15)로 전달한다(S9).
도 8에서와 같이,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A에 대한 복구 방법이 존재하지 않거나 복구 방법에 따른 근본 원인 장애 복구가 실패하면, RFID 자원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해당 장애에 대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통보한다(S10). 한편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복구 방법을 토대로 장애가 발생한 RFID 자원을 제어하여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복구 방법이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복구 방법을 토대로 해당 장애가 복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복구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장애가 복구될 때까지 복구 동작을 수행한다(S11, S12). 이 경우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복구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하여 장애가 발생된 RFID 자원으로 전달하여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장애 유형에서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가 이루어지면,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13).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복구를 수행한 RFID 자원으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하여 전달되는 RFID 자원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장애 대응의 결과 즉, 장애 복구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추후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도, 해당 RFID 자원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서 개별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근본 원인 장애의 영향으로 발생된 개별 장애는 해당하는 근본 원인 장애의 복구에 따라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유형 {<A>, B, C}에서,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A는 RFID 리더의 안테나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RFID 리더에서 안테나 장애가 복구되면 이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장애 B 즉, RFID 리더에서의 데이터 수집 장애도 자동적으로 복구된다. 또한 RFID 리더에서의 데이터 수집 장애가 복구되면 RFID 리더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이 RFID 미들웨어로 제공됨으로써, 장애 C 즉, RFID 미들웨어에서의 데이터 수집 장애도 자동적으로 복구될 수 있다.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된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개별 장애들에 대하여 복구 여부를 각각 확인하여(S11)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개별 장애는 해당 근본 원인 장애가 관련이 없는 비연관 장애로 분류하고, 이 결과를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통보한다(S14, S15). 반면, 복구가 이루어진 개별 장애는 해당 근본 원인 장애와 관련이 있는 연관 장애로 분류한다(S16).
이후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하나의 장애 유형에 대하여 처리된 복구 결과를 토대로 임의 개별 장애가 비연관 장애로 판단된 경우에는 판단 결과를 토대로 관련 장애 유형 모델을 갱신하여 이후 처리시 반영되도록 한다(S1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장애 이벤트들이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하여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판단되고,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에 대한 근본 원인 장애가 판단된 다음에, 근본 원인으로 판단되는 장애에 대한 복구를 수행함으로써, 근본 원인 장애뿐만 아니라 이에 연관된 장애들도 자동적으로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인 장애 복구가 이루어진 다음에 장애 유형에 포함된 장애들 중에서도 비연관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토대로 장애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모델을 갱신하여 추후 장애 복구 처리시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장애 유형 판단 및 그에 따른 복구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련의 RFID 자원의 장애 이벤트로부터 장애 유형을 판단하여 장애 복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근본 원인 장애 복구를 통해서 장애가 해결되지 않은 개별 장애들에 대한 결과를 단순히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아니라, 장애 유형에서 근본 원인 장애를 제외한 개별 장애들 중에서 차 순위에 해당하는 근본 원인 장애를 다시 찾아서 복구를 수행하거나, 개별 장애들에 대해서 다른 장애 유형이 있는 지를 확인하여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에서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수행되는 단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서는,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RFID 자원들로부터 장애 발생에 따른 장애 이벤트를 수신하고(S400), 수신된 장애 이벤트들로부터 장애 유형을 판단하며(S410), 판단된 장애 유형에 대하여 근본 원인 장애를 조회한다(S420).
근본 원인 장애를 조회한 결과, 하나의 장애 유형에서 복수의 근본 원인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를 선택한다(S430). 예를 들어, {A, B, C}의 장애 유형에서 장애 A, 장애 B가 근본 원인 장애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A>, <B>, C}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복수의 근본 원인 장애들 중에서 선택된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을 찾고, 해당 복구 방법을 토대로 관련 RFID 자원과 연계하여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한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구 방법이 존재하고 하나의 복구 방법을 토대로 근본 원인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S450, S460). 반면, 선택된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하여 복구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 유형에 대하여 다른 근본 원인 장애가 있으면 다른 근본 원인 장애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복구 방법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470). 이 경우 선택된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해서 복구 방법이 없고 다른 근본 원인 장애도 없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 유형에 대하여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이 없음을 자원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통보한다(S480).
한편, 단계(S460)에서 근본 원인 장애 복구를 수행한 다음에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90), 도 10에서와 같이,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복구 방법을 선택하여 다시 근본 원인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S500, S510). 그러나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복구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S470)을 통하여 다른 근본 원인 장애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른 근본 원인 장애에 따른 복구 방법을 찾아서 장애 복구를 수행하거나 다른 근본 원인 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의 단말로 통보한다.
한편 단계(S500)에서,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된 경우,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장애 유형에서 개별 장애를 선택하고(S520), 선택된 개별 장애의 복구 여부를 판단하고(S530) 그 결과를 토대로 해당 개별 장애를 비연관 장애로 분류하거나(S540) 연관 장애로 분류한다(S550). 복구된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하는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모든 개별 장애에 대하여 복구 여부를 판단하여 비연관 장애 또는 연관 장애로의 분류가 이루어지면(S560), RFID 자원 관리 장치(1)는 분류된 결과를 토대로 장애 유형 모델을 갱신한다(S570).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이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수행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 자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장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RFID 자원 관리 장치(1)의 RFID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는 도 11에서와 같이, RFID 자원들로부터 예를 들어, 장애 발생에 따른 장애 A, 장애 B, 장애 C는 수신하여 장애 패턴 분석부(12)로 전달한다(S31~S34). 장애 패턴 분석부(12)는 장애 패턴 저장부(13)에 저장된 장애 유형 모델을 토대로 장애 유형을 판단하고, 장애 유형에서 근본 원인 장애를 판단한다(S35~S37). 여기서는 둘 이상의 근본 원인 장애가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장애 A, 장애 B, 장애 C가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판단되고 장애 A, 장애 B가 근본 원인 장애인 것으로 판단되며, {<A>, <B>, C}와 같이 분석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장애 패턴 분석부(12)로부터 전달받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S38). 먼저, 도 12에서와 같이,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전달받은 장애 유형 {<A>, <B>, C}에서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A를 선택하고(S39), 선택된 장애 A에 대한 복구 방법을 조회한다(S40). 장애 A에 대한 복구 방법이 없거나 다른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B에 대해서도 복구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장애 복구 처리부(15)가 자원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해당 장애 유형에 대한 복구 방법이 없음을 통보하여(S41), 사용자에 의한 직접적인 장애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 장애 A에 대한 복구 방법이 있거나, 또는 장애 A에 대한 복구 방법이 없어도 다른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B에 대해서 복구 방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복구 방법을 토대로 근본 원인 장애(장애 A 또는 장애 B)를 복구한다(S42).
이후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3),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44). 예를 들어, 장애 유형 {<A>, <B>, C}에서, 근본 원인 장애인 장애 A가 복구된 경우, 장애 C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개별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비연관 장애로 분류하고, 이 결과를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통보한다(S45). 반면, 개별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연관 장애로 분류한다(S46). 이후 장애 복구 처리부(15)는 하나의 장애 유형에 대하여 처리된 복구 결과를 토대로 관련 장애 유형 모델을 갱신한다(S47).
한편, 위에 기술된 제2 실시 예에서, 하나의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이 모두 근본 원인 장애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각 장애에 대한 가중치 또는 대응 우선 순위를 토대로 장애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 B>, <C>}와 같이 하나의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 A, 장애 B, 장애 C가 모두 근본 원인 장애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각 장애에 대하여 부여되는 가중치 또는 대응 우선 순위를 토대로 가장 높은 가중치나 대응 우선 순위를 가지는 근본 원인 장애를 먼저 선택하여, 관련된 복구 방법을 찾아서 해당하는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된 근본 원인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 가중치나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근본 원인 장애를 찾아서 복구 방법을 조회하고 복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애 유형 모델을 통해 각각의 장애 이벤트들이 단일 장애에 대한 장애 유형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각 장애 이벤트에 대한 자율적인 복구를 시도하고,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만 자원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직접적인 장애 대응이 필요함을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A, 장애 B, 장애 C가 발생되고, 각각의 장애가 {<A>}, {<B>}, {<C>}와 같이 단일 장애로만 이루어진 장애 유형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각 장애 유형별 장애에 대한 복구 방법을 찾아서 복구를 수행하는 자율적인 복구를 시도하고,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단말로 직접적인 장애 대응이 필요함을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RFID 자원을 복구하는 방법으로, 장애가 발생한 RFID 자원을 초기화(Reset) 또는 재시작(Reboot) 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RFID 시스템을 구성하는 RFID 자원들을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RFID 자원으로부터 장애 발생을 나타내는 장애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을 분석하여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며, 상기 장애 유형은 적어도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근본 원인 장애에 해당하는 복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발생시킨 RFID 자원으로 상기 결정된 복구 방법에 해당하는 복구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형은 상기 근본 원인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장애인 적어도 하나의 개별 장애를 더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원 원인 장애의 복구를 수행한 다음에,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개별 장애의 복구 여부를 토대로 상기 개별 장애와 상기 근본 원인 장애의 관련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장애를 발생시키는 RFID 자원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별 장애가 상기 근본 원인장애와 관련된 연관 장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개별 장애가 상기 근본 원인 장애와 관련되지 않은 비연관 장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장애 유형 모델을 토대로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자원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장애에 대한 연관 장애 또는 비연관 장애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장애 유형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 사이의 순차 관계, 시간 관계, 인과 관계, 내용 관계를 분석하는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장애들을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자원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발생시킨 RFID 자원으로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복구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 및
    상기 근본 원인 장애가 복구되지 않고 다른 복구 방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RFID 자원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해당 장애가 복구되지 않음을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형의 적어도 2개의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가 관련된 복구 방법을 사용하여도 복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근본 원인 장애에 관련된 복구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근본 원인 장애를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가중치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장애들이 복구되는 순서가 달라지는, 자원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이벤트는 장애가 발생된 RFID 자원이 어떠한 타입인지를 나타내는 RFID 자원 타입, 장애가 발생된 RFID 자원을 구별하기 위한 RFID 자원 ID, 상기 장애 이벤트의 타입, 그리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시간을 포함하는 자원 관리 방법.
  12. RFID 시스템을 구성하는 RFID 자원들을 관리하는 장치에서,
    상기 RFID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들에 대한 복구 방법이 저장되어 있는 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
    상기 RFID 자원들과 통신하여 상기 RFID 자원으로부터 장애 발생을 나타내는 장애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 수신하고, 장애 복구를 위한 제어 명령을 해당하는 RFID 자원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을 분석하여 장애 유형--상기 장애 유형은 적어도 하나의 근본 원인 장애를 포함함--으로 분류하는 장애 유형 분석부; 및
    상기 장애 유형에 포함되는 근본 원인 장애에 해당하는 복구 방법을 상기장애 복구 방법 제공부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복구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장애 복구 처리부
    를 포함하는, 자원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형은 상기 근본 원인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장애인 적어도 하나의 개별 장애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본 원인 장애의 복구에 따라 상기 개별 장애가 선택적으로 자동 복구되는, 자원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복구 처리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복구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RFID 자원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장애의 복구 여부를 판단하는, 자원 관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자원에서 발생되는 장애들을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한 장애 유형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장애 유형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 유형 분석부는 상기 장애 유형 모델을 토대로 상기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응하는 장애들 사이의 순차 관계, 시간 관계, 인과 관계, 내용 관계를 분석하는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장애들을 하나의 장애 유형으로 분류하는, 자원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복구 처리부는
    상기 근본 원인 장애 복구 이후에 상기 장애 유형에 속하는 개별 장애에 대한 복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된 경우에는 해당 개별 장애를 상기 근본 원인장애와 관련된 연관 장애인 것으로 하고, 상기 개별 장애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개별 장애가 상기 근본 원인 장애와 관련되지 않은 비연관 장애인 것으로 하는, 자원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형 모델은 상기 개별 장애에 대한 연관 장애 또는 비연관 장애 판단 결과를 토대로 갱신되는, 자원 관리 장치.
KR1020120099537A 2011-10-18 2012-09-07 장애 처리를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2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8915A JP2013089249A (ja) 2011-10-18 2012-10-16 障害処理を実行するrfid資源管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542 2011-10-18
KR20110106542 2011-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438A true KR20130042438A (ko) 2013-04-26

Family

ID=4844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537A KR20130042438A (ko) 2011-10-18 2012-09-07 장애 처리를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89249A (ko)
KR (1) KR201300424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458B1 (ko) * 2015-03-19 2016-07-08 주식회사 위엠비 데이터센터 통합 관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190004970A (ko) * 2017-07-05 2019-01-15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품질 데이터 기반 실시간 고장원인분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6408A (zh) * 2016-06-28 2016-11-16 浪潮(北京)电子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基于linux网卡错误的诊断处理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458B1 (ko) * 2015-03-19 2016-07-08 주식회사 위엠비 데이터센터 통합 관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190004970A (ko) * 2017-07-05 2019-01-15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품질 데이터 기반 실시간 고장원인분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89249A (ja)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7081C (zh) 检查和修复网络配置的方法和系统
US83704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perator guidance in network and systems management
US7266758B2 (en) Network monitoring program, network monitoring method, and network monitoring apparatus
CN107870832B (zh) 基于多维度健康诊断方法的多路径存储设备
CN103069752B (zh) 收集信息的代理的方法和存储管理系统
CN110807064B (zh) Rac分布式数据库集群系统中的数据恢复装置
CN102045192A (zh) 网络结构的假定所用的装置及系统
US20090138757A1 (en) Failure recovery method in cluster system
CN111327685A (zh) 分布式存储系统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和存储介质
CN114091610A (zh) 智能决策方法及装置
KR20130042438A (ko) 장애 처리를 수행하는 rfid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080288432A1 (en) Device and Method of Fixing Wireless Network Problems
CN104158843B (zh) 分布式文件存储系统的存储单元失效检测方法及装置
CN114253799A (zh) 一种故障处理系统、方法、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Babu et al. Comprehensive analysis on sensor node fault management schem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8512675B (zh) 一种网络诊断的方法、装置、控制节点和网络节点
US8473788B2 (en)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CN111309515B (zh) 一种容灾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5499294A (zh) 一种分布式存储环境网络亚健康检测及故障自动处理方法
KR101288535B1 (ko) 통신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4116122A (zh) 一种应用容器高可用负载平台
CN113794595A (zh) 一种基于工业互联网的IoT设备高可用方法
JP4506814B2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11095830A (ja) 情報収集装置
JP2007052756A (ja) ワイヤレスデバイスの不具合診断に適用する学習型診断データベ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