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403A -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403A
KR20130042403A KR1020110106686A KR20110106686A KR20130042403A KR 20130042403 A KR20130042403 A KR 20130042403A KR 1020110106686 A KR1020110106686 A KR 1020110106686A KR 20110106686 A KR20110106686 A KR 20110106686A KR 20130042403 A KR20130042403 A KR 2013004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target point
moving
movement comman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준
문종보
김벽선
김용덕
이혜정
최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403A/ko
Priority to EP12161708.8A priority patent/EP2584448A3/en
Priority to US13/525,668 priority patent/US8890810B2/en
Publication of KR2013004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커서의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및 커서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부, 커서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면, 오브젝트 내에서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타겟 포인트로 커서를 자동 이동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쉽고 편리한 조작으로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cursor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컴퓨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하여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조작한다. 이 같은 입력 장치의 조작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가 요청한 오브젝트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 같이, 사용자가 요청한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커서가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후속 조작 명령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같이 커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수가 매우 적거나 혹은 오브젝트들 간의 간격이 넓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로 커서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화면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수가 매우 많거나 혹은 오브젝트들 간의 간격이 매우 조밀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로 커서를 쉽게 이동시키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로 커서를 이동시킬 경우, 오브젝트들 간의 간격이 매우 조밀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올바르게 선택하지 못하고, 인접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들의 선택을 위한 커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해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는 커서가 해당 오브젝트 내에 고정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해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오브젝트 내에 커서가 고정되는 지점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및 커서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면,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를 자동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겟 포인트의 위치는, 상기 오브젝트의 모양 및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사각형이면, 상기 오브젝트의 중심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폭 및 높이가 상이한 사각형이면, 상기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내의 상기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를 누적 계산하며, 누적된 이동 거리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동안에는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오브젝트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내의 상기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고, 가상 커서를 생성하여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가상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삭제하면서 상기 가상 커서를 상기 커서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면,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타겟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를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겟 포인트의 위치는, 상기 오브젝트의 모양 및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사각형이면, 상기 오브젝트의 중심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겟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폭 및 높이가 상이한 사각형이면, 상기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내의 상기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누적된 이동 거리의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절대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커서를 상기 오브젝트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고, 가상 커서를 생성하여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가상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브젝트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상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삭제하면서 상기 가상 커서를 상기 커서를 대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커서의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들의 선택을 위한 커서의 이동이 매우 용이함으로써, 보다 쉽고 편리한 조작으로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커서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 또는 오브젝트 외측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타겟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오브젝트의 선택 가능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Cursor)를 화면상에 함께 표시한다. 입력부(120)는 화면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하여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조작한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는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커서가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해당 커서가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해당 영역 중 타겟 포인트를 가변적으로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결정된 타겟 포인트로 커서를 자동 이동시킨다.
이 같은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로 이동시킨 커서가 타겟 영역 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해당 커서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타겟 포인트의 위치는 오브젝트의 모양 및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커서가 특정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면, 해당 오브젝트의 모양 및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타겟 포인트의 위치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커서가 폭과 높이가 일정한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오브젝트의 중심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의 위치 정보와 다수의 오브젝트들의 선택 가능 영역 및 크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미도시)를 참조하여 해당 커서가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커서가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해당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획득한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로부터 오브젝트의 폭과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모양인 것으로 확인되면,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오브젝트의 진입 방향에 상관없이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중 중심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한다. 즉, 제어부(130)는 해당 오브젝트의 X,Y축 좌표값이 (0,0)인 영역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이, 타겟 포인트가 설정되면, 제어부(130)는 설정된 타겟 포인트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타겟 포인트로 이동된 커서가 고정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의 정사각형 모양을 포함하는 모든 사각형 모양이면, 해당 오브젝트의 중심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30)는 오브젝트가 정사각형 모양일 경우,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가 오브젝트의 좌측면의 진입 방향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오브젝트의 X,Y축 좌표값이 (-X축의 중심값,0)인 영역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커서가 9시에서 3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의 좌측면의 진입 방향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경우,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의 X축 값 중 가장 낮은 -α와 Y축 값이 0되는 영역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커서가 폭과 높이가 상이한 사각형 모양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의 위치 정보와 다수의 오브젝트들의 기설정된 범위 및 크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미도시)를 참조하여 해당 커서가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커서가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해당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획득한 오브젝트의 크기 정보로부터 오브젝트의 모양이 폭과 높이가 상이한 사각형 모양인 것으로 확인되면, 커서의 이동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가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커서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 즉, 9시에서 3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의 좌측면의 진입 방향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X축 값 중 가장 낮은 -α와, Y축 값이 0되는 영역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커서가 3시에서 9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의 우측면의 진입 방향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경우, 제어부(130)는 X축 값 중 가장 높은 α와, Y축 값이 0되는 영역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커서가 11시에서 5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의 좌측면의 진입 방향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경우, 제어부(130)는 커서가 11시에서 5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X축과 교차되는 교차점의 값인 -β를 X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의 X,Y 좌표값이 (-β,0)인 영역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커서가 1시에서 7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의 우측면의 집입 방향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경우, 제어부(130)는 커서가 1시에서 7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X축과 교차되는 교차점의 값인 β를 X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의 X,Y 좌표값이 (β,0)인 영역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커서가 이동할 경우, 제어부(130)는 Y축 값은 고정된 상태에서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의 X축 값을 변화시켜 타겟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커서가 이동할 경우, 제어부(130)는 해당 오브젝트의 X축 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Y축 값을 상이하게 변화시켜 타겟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이,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오브젝트에서 타겟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같이,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가 결정되고, 그 결정된 타겟 포인트에 커서가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20)를 통해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를 누적 계산하여 그에 따른 절대값을 산출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산출된 절대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산출된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오브젝트 외측으로 자동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커서가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커서 이동 명령이 최초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의 절대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오브젝트 외측으로 자동 이동시킨다. 한편, 비교 결과,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가 지속적으로 고정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최초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제어부(130)는 최초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된 이후, 또다른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과 저장부(미도시)에 기저장된 이동 거리 값을 누적시키고, 그에 따른 절대값을 산출하여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가 지속적으로 고정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또다른 커서 이동 명령에 대한 이동 거리 값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130)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를 누적시켜 산출된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까지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타겟 포인트에 커서를 고정시킨 오브젝트는 폭과 높이가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형태일 경우, 폭과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높이와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폭과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10이고, 높이와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5일 수 있다. 이 같이, 폭과 높이에 대한 임계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 즉, X,Y 좌표값(3,0), (-5, 3), (1, -1)이 획득되면, 제어부(130)는 획득한 X축 좌표값 3,-5,1을 더하여 그에 따른 절대값 1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획득한 Y축 좌표값 0,3,-1를 더하여 그에 따른 절대값 2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X축 및 Y축의 절대값이 산출되면, 제어부(130)는 X축의 절대값 1과 기설정된 임계값 10을 비교하고, Y축의 절대값 2와 기설정된 임계값 5를 비교한다.
이와 같이, X,Y축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어부(130)는 해당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가 지속적으로 고정되도록 처리한다. 반대로, 이와 같은 조건에 따라 산출된 X,Y축의 절대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해당 오브젝트의 외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커서가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커서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고, 동시에, 가상 커서를 생성하여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커서가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절대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30)는 가상 커서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지속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가상 커서를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와 실제 고정되어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커서를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 결과,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며,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삭제하면서, 동시에,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가상 커서를 실제 커서로 대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커서를 고정시키기 위한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커서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 또는 오브젝트 외측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a)가 오브젝트(10)의 기설정된 범위(10') 이내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 결과, 커서(a)가 오브젝트(10)의 기설정된 범위(10')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0)의 모양 및 커서(a)의 이동 방향에 따라, 커서(a)가 고정될 타겟 포인트를 설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a)가 9시에서 3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직사각형 모양의 오브젝트(10)의 기설정된 범위(10')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0)의 Y축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서(a)가 이동한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설정된 타겟 포인트로 커서(a)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킨다. 이 같이,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커서(a)가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가상 커서(a')를 생성하여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가상 커서(a')를 이동시킨다. 동시에, 제어부(130)는 실제 커서(a)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킨다.
한편, 제어부(130)는 가상 커서(a')가 이동하는 이동 거리를 누적 계산하여, 누적된 이동 거리 값에 대한 절대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30)는 실제 커서(a)를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면서 가상 커서(a')를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비교 결과,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a)를 삭제하면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가상 커서(a')를 실제 커서(a)로 대체시킨다.
지금까지, 도 2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오브젝트의 모양에 따라 타겟 포인트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해당 커서를 고정시키고, 또다른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고정된 커서를 해당 오브젝트의 외측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3을 통해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동작 및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오브젝트의 외측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210)상에는 복수의 오브젝트(10~18)들 및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a)가 표시된다. 이 같이, 복수의 오브젝트(10~18)들 및 커서(a)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커서(a)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맨 하단에 위치한 커서(a)가 오브젝트(10)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커서(a)의 이동 방향 및 오브젝트(10)의 모양에 따라 오브젝트(10)의 기설정된 범위 중 타겟 포인트를 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10)의 모양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커서(a)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 즉, 6시에서 12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10)의 하측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0)의 X축과 Y축이 0이 되는 지점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한다. 따라서, 커서(a)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10)의 중심 포인트 즉, X,Y 좌표값이 (0,0)에 해당하는 타겟 포인트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서(a)가 오브젝트(10)의 중심 포인트인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해당 커서(a)는 오브젝트(11)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같은 이동에 따라, 커서(a)가 오브젝트(11)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1)의 모양 및 커서(a)의 이동 방향에 따라 오브젝트(11)의 타겟 포인트를 설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11)의 모양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커서(a)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 즉, 7시에서 1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11)의 하측면 중 우측면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1)의 X축과 교차되는 교차점의 값인 +β와 Y축 값이 0이 되는 지점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서(a)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11)의 우측 영역 중 X,Y 좌표값이 (+β,0)에 해당하는 타겟 포인트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서(a)가 오브젝트(11)의 X,Y 좌표값(+β,0)에 해당하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해당 커서(a)는 오브젝트(15)의 기설정된 범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같은 이동에 따라, 커서(a)가 오브젝트(15)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5)의 모양, 커서(a)의 이동 방향 및 커서(a)의 이동에 따라 진입하는 오브젝트(15)의 진입 방향을 고려하여 오브젝트(15)의 기설정된 범위 중 타겟 포인트를 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15)의 모양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커서(a)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 즉, 7시에서 1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15)의 하측면 중 우측면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5)의 X축과 교차되는 교차점의 값인 -β와 Y축 값이 0이 되는 지점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서(a)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15)의 우측 영역 중 X,Y 좌표값이 (-β,0)에 해당하는 타겟 포인트로 자동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커서(a)가 오브젝트(10)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해당 커서(a)는 오브젝트(16)의 기설정된 범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같은 이동에 따라, 커서(a)가 오브젝트(16)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6)의 모양 및 커서(a)의 이동 방향에 따라 오브젝트(16)의 기설정된 범위 중 타겟 포인트를 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16)의 모양이 폭과 넓이가 일정한 정사각형 모양이며, 커서(a)는 우측에서 좌측방향 즉, 4시에서 10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16)의 우측면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6)의 폭과 높이가 일정한 정사각 모양인 것으로 판단하여, 오브젝트(16)의 X축과 Y축이 0이 되는 지점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한다. 따라서, 커서(a)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브젝트(16)의 중심 포인트 즉, X,Y 좌표값(0,0)에 해당하는 타겟 포인트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오브젝트의 모양 및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커서를 고정시키기 위한 타겟 포인트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해당 오브젝트의 선택 가능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타겟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a)는 오브젝트(11)의 우측 영역 중 X,Y 좌표값이 (-β,0)에 해당하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같이, 오브젝트(11)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커서 이동 명령이 최초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으로부터 절대값을 산출하여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11)의 폭과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10이고, 높이와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5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폭과 높이에 대한 임계값이 기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최초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으로부터 이동값인 X,Y 좌표값을 획득한다. 만약, 최초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으로부터 획득한 이동 거리 값 즉, X,Y 좌표값이 (3,0)일 경우, 제어부(130)는 X 좌표값 3과 폭과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 10을 비교하고, Y 좌표값 0과 높이와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 5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X,Y 좌표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1)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상관없이 커서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교 결과, X,Y 좌표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30)는 가상 커서(a')를 생성하여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가상 커서(a')를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30)는 타겟 포인트에 실제 커서(a)가 고정되어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a')와 실제 고정되어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커서(a)를 화면(2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커서 이동 명령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이전에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과 추가적으로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을 누적시키고, 그에 따른 절대값을 산출하여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 즉, X,Y 좌표값이 (3,1), (1,3), (1,2)이면, 제어부(130)는 X축 좌표값인 3,1,1을 더하여 그에 따른 절대값 5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획득한 Y축 좌표값인 1,3,2을 더하여 그에 따른 절대값 6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X축 및 Y축의 절대값이 산출되면, 제어부(130)는 X축의 절대값 5와 기설정된 임계값 10을 비교하고, Y축의 절대값 6과 기설정된 임계값 5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Y축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30)는 오브젝트(11)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오브젝트(11)의 선택 가능 영역 외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가변적으로 결정하여 이동하는 커서를 해당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가변적으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타겟 포인트에 커서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 그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 그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다(S510).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커서가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는지를 체크한다(S520).
체크 결과,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하나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커서가 이동한 것으로 체크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의 이동 방향 및 해당 오브젝트의 모양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상이하게 설정한다(S53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오브젝트의 모양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타겟 포인트로 커서를 자동으로 이동시키켜 고정시킨다.(S540).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가 폭과 높이가 일정한 정사각형 모양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체크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의 이동 방향에 상관없이 해당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중 중심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오브젝트의 X,Y축 좌표값(0,0)인 지점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가 폭과 높이가 상이한 직사각형 모양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체크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 모양의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한 것으로 체크되고, 커서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 즉, 9시에서 3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진입 방향은 오브젝트의 좌측면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X축 값 중 가장 낮은 -α와, Y축 값이 0되는 지점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커서가 3시에서 9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브젝트의 우측면의 진입 방향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X축 값 중 가장 높은 α와, Y축 값이 0되는 지점을 타겟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커서가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Y축 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커서가 진입하는 오브젝트의 진입 방향을 고려하여 X축 값을 상이하게 변화시켜 타겟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커서가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X축 값은 고정된 상태에서 커서의 이동 방향과 그 이동 방향에 따라 진입하는 오브젝트의 진입 방향에 따라, Y축 값을 상이하게 변화시켜 타겟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커서가 오브젝트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할 경우, 해당 오브젝트의 모양, 커서의 이동 방향 및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진입하는 오브젝트의 진입 방향을 고려하여 타겟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이, 타겟 포인트가 설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된 타겟 포인트로 커서를 이동시켜 해당 타겟 포인트에 커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서의 이동에 따라,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를 가변적으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타겟 포인트에 커서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해당 오브젝트의 선택 가능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오브젝트의 선택 가능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가 오브젝트의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다(S610).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을 누적시키고, 그에 따른 절대값을 산출한다(S6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된 절대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인지를 체크한다(S630). 체크 결과, 산출된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가 해당 타겟 포인트에 지속적으로 고정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체크 결과, 산출된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해당 오브젝트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킨다(S640).
실시예에 따라, 타겟 포인트에 커서를 고정시킨 오브젝트는 폭과 높이가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형태일 경우, 폭과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높이와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폭과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10이고, 높이와 관련되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5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폭과 높이에 대한 임계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 값 즉, X,Y 좌표값(3,0), (-5, 3), (1, -1)이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X축 좌표값 3,-5,1을 더하여 그에 따른 절대값 1을 산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Y축 좌표값 0,3,-1를 더하여 그에 따른 절대값 2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X축 및 Y축의 절대값이 산출되면, 제어부(130)는 X축의 절대값 1과 기설정된 임계값 10을 비교하고, Y축의 절대값 2와 기설정된 임계값 5를 비교한다.
이와 같이, X,Y축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가 그 타겟 포인트에서 지속적으로 고정되도록 처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X,Y축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상 커서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가상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겟 포인트에 실제 커서가 고정되어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와 실제 고정되어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커서를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조건에 따라 산출된 X,Y축의 절대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해당 오브젝트의 선택 가능 영역 외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커서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고, 가상 커서를 생성하여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가상 커서를 이동시킬 경우, X,Y축의 절대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삭제하면서, 가상 커서를 실제 커서로 대처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18 : 오브젝트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입력부 130 : 제어부

Claims (16)

  1.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및 커서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면,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를 자동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인트의 위치는,
    상기 오브젝트의 모양 및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사각형이면, 상기 오브젝트의 중심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폭 및 높이가 상이한 사각형이면, 상기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내의 상기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를 누적 계산하며, 누적된 이동 거리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동안에는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오브젝트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 내의 상기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서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고, 가상 커서를 생성하여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가상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삭제하면서 상기 가상 커서를 상기 커서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로 이동하면,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타겟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를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인트의 위치는,
    상기 오브젝트의 모양 및 상기 커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사각형이면, 상기 오브젝트의 중심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폭 및 높이가 상이한 사각형이면, 상기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 경계면 내측의 포인트를 상기 타겟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내의 상기 타겟 포인트로 상기 커서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커서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른 이동 거리를 누적 계산하여 상기 누적된 이동 거리의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절대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절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커서를 상기 오브젝트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커서를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시키고, 가상 커서를 생성하여 상기 커서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가상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상 커서가 상기 오브젝트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타겟 포인트에 고정된 커서를 삭제하면서 상기 가상 커서를 상기 커서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서 이동 제어 방법.
KR1020110106686A 2011-10-18 2011-10-18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30042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686A KR20130042403A (ko) 2011-10-18 2011-10-18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12161708.8A EP2584448A3 (en) 2011-10-18 2012-03-2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sor movement
US13/525,668 US8890810B2 (en) 2011-10-18 2012-06-1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sor mov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686A KR20130042403A (ko) 2011-10-18 2011-10-18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403A true KR20130042403A (ko) 2013-04-26

Family

ID=4608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686A KR20130042403A (ko) 2011-10-18 2011-10-18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90810B2 (ko)
EP (1) EP2584448A3 (ko)
KR (1) KR201300424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262B1 (ko) * 2013-12-02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D745536S1 (en) * 2013-12-30 2015-12-15 Connect In A Flash A NJ Nonprofi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885417B (zh) * 2017-11-03 2021-02-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环境中的目标定位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57152B2 (en) * 2018-11-05 2021-10-26 Sap Se Interaction mechanisms for point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845A (en) * 1990-04-27 1994-12-06 Ashlar, Inc. Technique for providing improved user feedback in an interactive drawing system
US6031531A (en) * 1998-04-06 2000-0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ursor object movement for physically challenged computer users
US6362840B1 (en) * 1998-10-06 2002-03-26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 display of link actions
FR2814254B1 (fr) * 2000-09-15 2006-07-21 Thomson Csf Procede de traitement du deplacement d'un curseur sur un ecran
US6642947B2 (en) * 2001-03-15 2003-11-04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ursor configuration
US20020171690A1 (en) * 2001-05-15 2002-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ca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idget based on selection pointer proximity
US20070198942A1 (en) * 2004-09-29 2007-08-23 Morris Robert 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daptive magnifying cursor
US20080229254A1 (en) * 2006-03-24 2008-09-18 Ervin-Dawson Warner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ursor control
US20110157011A1 (en) * 2008-01-04 2011-06-30 Oqo, Inc. User-operated directional controll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90249257A1 (en) * 2008-03-31 2009-10-01 Nokia Corporation Cursor navigation assistance
US20100060571A1 (en) * 2008-09-10 2010-03-11 Aten International Co., Ltd. Kvm switch using a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3671A1 (en) 2013-04-18
EP2584448A3 (en) 2015-08-26
US8890810B2 (en) 2014-11-18
EP2584448A2 (en)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9247B2 (en) Motion-based view scrolling with augmented tilt control
KR20130053929A (ko)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477324B2 (en) Gesture processing
JP6279553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使用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方法及び装置
US11318371B2 (en) Program,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963136B2 (en) Highlighting of objects on a display
US9547379B2 (en) Method, air mouse, and set top box for controlling air mouse
US20150116213A1 (en) Input unit
US20150109242A1 (en)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three-dimensional operation control of a touch screen
KR20150012290A (ko) 터치 스크린 장치에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터랙션 방법, 장치, 터치 스크린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30042403A (ko)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4238887B (zh) 常用应用程序的图标查找方法和装置
KR20130142157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8878781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5094586A (zh) 一种显示窗口的调节方法及电子设备
KR20160018265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367771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875020B2 (en) Method for capturing user input from a touch screen and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CN111427490B (zh) 一种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20150095999A (ko) 슈팅 게임을 위한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8874933B (zh) 基于地图不可见资源点的切换方法和装置
KR101367622B1 (ko) 스크롤 속도 가변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4222391A (ja) 電子機器、軌跡補正方法、プログラム
CN113304471B (zh) 虚拟对象的展示方法、装置、设备
CN109597560A (zh) 触摸板控制方法以及触摸板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