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649A - 케이블용 다중 관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다중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649A
KR20130041649A KR1020110106042A KR20110106042A KR20130041649A KR 20130041649 A KR20130041649 A KR 20130041649A KR 1020110106042 A KR1020110106042 A KR 1020110106042A KR 20110106042 A KR20110106042 A KR 20110106042A KR 20130041649 A KR20130041649 A KR 20130041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tube
cable
pipe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630B1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11010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6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Abstract

지중에 매설되는 광 케이블이나 전화선 등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케이블용 다중관은, 외피로 제공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의 내측에 제공되고 케이블 수용공간을 갖는 다중의 내부 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부관은 외부관과 연계 고정되어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케이블이나 전화선 등의 통신 케이블이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다중의 케이블 수용공간을 제공하여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보호 및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하되, 특히 실제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는 내부관의 수축 또는 팽창이 방지되어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용 다중 관{Multi type duct for cable}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광 케이블이나 전화선 등의 통신 케이블 시공용 다중 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광 케이블이나 전화선 등의 통신 케이블의 매설후 보호를 견고하게 하면서 시공작업은 용이하게 하되, 특히 내부관의 수축또는 팽창이 방지되도록 한 케이블용 다중 관에 관한 것이다.
전화선이나 광 케이블(이하, '통신 케이블'로 설명함)과 같은 통신 선로는 통상 지중에 매설되어 시공되는데, 이 경우에 통신 케이블을 수용하는 중공관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통신 케이블을 수용시키고, 중공관을 지중에 매설하게 된다.
즉, 중공관의 내부에 통신 케이블을 수용하여 매설하는 이유는 매설후 지중의 토사나 물로부터 통신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최근 인터넷 통신의 일반화에 따라 광 케이블 네트워크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장됨에 따라, 광 케이블의 매설 시공이 급증하고 있고, 이와 같은 광 케이블의 매설은 광 통신 라인을 구축한다.
그런데, 광 케이블의 광 섬유는, 빛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섬유 모양의 도파관(導波管)으로서 제공되는데, 예컨대 광 케이블로 구축된 광 통신의 경우 외부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신이 없고, 도청이 어려우며, 특히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 회선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 모든 통신 라인은 광 통신 으로 구축되는 실정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광 통신 구축시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적절한 설계와 설치(시공)이 필요하고, 이는 통신 케이블로 수송되는 정보나 전기에너지의 순수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통신 케이블의 외부 온도 압력 오염원과 접촉 등의 외부 압박원 즉, 토사나 지하수 등의 압박원으로부터 통신 케이블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 통신 케이블의 지중 매설시 보호를 위하여 중공관의 내부에 삽입하여 시공하는데, 예를 들어 중공관을 시공 구간에 매설하고, 그 내부에 통신 케이블의 수용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또는, 미리 통신 케이블을 중공관에 수용시키고 이를 매설하는 경우도 있다.
즉, 맨홀들 사이에 통신 케이블 보다는 직경이 큰 중공관을 매설 시공하고, 중공관의 개방단부에서 직경이 작은 통신 케이블을 삽입하거나, 별도의 안내관들에 적정수의 통신 케이블을 삽입하고, 이들 안내관들을 중공관의 내부에 삽입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직경이 큰 중공관 내부에 통신 케이블이 삽입된 안내관들을 삽입 시공하는 것 또한 시공이 어렵고, 중공관 내부에서 삽입된 통신 케이블 또는 안내관들이 유동되면서 엉키거나 과도하게 밀착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중공관과 안내관들을 일체화하여 다중의 통신 케이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통신 케이블의 매설 시공시 사용되는 다중관(덕트 조립체)가 제안된 바 있다.
즉, 본건의 동일 발명자가 출원한 등록특허 10-0355751호에서는 케이블용 다중 채널 덕트 조립체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서 제시된 케이블용 다중 채널 덕트 조립체는 외관(외피부재)의 내부에 띠로 연결되어 외관의 삽입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다중의 띠형 내부관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은 독립적인 점유공간(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내부관에 삽입되어 시공되고, 다중 채널 덕트 조립체가 지중에 매설 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다중 채널 덕트 조립체의 경우도 복수의 내부관이 외부관에 삽입되되 가능한 내부 여유 공간은 형성되지 않아 내부관이 종래 안내관과 같이 중공관의 내부에서 유동되지는 않으나, 내부관이 단순하게 외부관에 삽입된 구조이기 때문에, 다음의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외부 온도에 따른 내부관의 팽창 또는 수축시 내부관이 과도하게 외부관에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들어가서 통신 케이블 시공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권취용 롤에 권취되는 경우에도 내부관의 유동으로 내부관의 외부관 내부에서의 배열(위치)가 일정하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광 케이블이나 전화선 등의 통신 케이블의 매설후 보호를 견고하게 하면서 시공작업은 용이하게 하되, 특히 내부관의 수축 또는 팽창이 방지되도록 한 케이블용 다중 관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피로 제공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의 내측에 제공되고 케이블 수용공간을 갖는 다중의 내부 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부관은 외부관과 연계 고정되어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토록 구성된 케이블용 다중 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에 접합 고정되는 제1 내부 관; 및, 상기 제1 내부 관들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관과 접합 구조로 연계 고정되는 제2 내부 관들;을 포함하여 제1,2 내부관은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토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관에 접합 고정되는 제1 내부 관 들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접합 고정되는 상기 제2 내부 관이 접합 고정되어 상기 제1,2 내부관들은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내부관들은, 관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공간 또는 관들이 접하는 접면에서 소정간격 또는 일체로 접합 고정된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관은, 권취를 용이토록 주름관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내부관의 외측에 상기 주름관이 말리면서 제1 내부관은 외부관에 접합 고정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관과 제1 내부관 및, 상기 제1 내부관과 제2 내부관은, 열융착, 융착재료를 매개로 한 열융착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내부관과 제1 내부관의 접합 위치는 주름관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용 다중 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로 접합되는 제2 내부관들은 접합수단을 매개로 접합 고정되고, 상기 접합수단은, 접착층이 도포되거나 열풍으로 융착 접합되는 접합블록으로 제공되면서 제2 내부관들의 내측공간에서 접합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케이블이나 전화선 등의 통신 케이블의 매설후 보호를 견고하게 하면서 시공작업은 용이하게 하되, 특히 내부관의 수축 또는 팽창이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케이블의 권취시 내부관의 유동이 차단되어 안정적인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다중 관을 도시한 다면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다중 관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케이블용 다중 관의 실제 시공을 위한 권취용 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케이블 용 다중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케이블용 다중 관의 내부 제1 관부재 접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중 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내부관이 외부관에 접합 없이 삽입되는 경우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 또는 팽창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다중 관(1)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케이블을 통신 케이블 예컨대, 광 케이블 또는 전화선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다중의) 내부관(30)의 제1 내부관(40) 및 제2 내부관(50)에는 통신 케이블의 구축 환경에 따라 여러 가닥의 통신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어 매설되는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관(1)의 길이와 내부관(30)의 길이는 같은 길이로 제공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관(1)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용 롤(100)에 권취되어 권취용 롤(100)에서 풀면서 실제 매설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 및 도 4,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관(1)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다중관의 외피로 제공되어 토압이나 수압 등을 지탱하는 외부관(10) 및, 상기 외부관(10)의 내측에 제공되고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다중의 내부 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상기 내부관(30)은 (접합) 고정되어 적어도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관(1)의 상기 외부관(10)은, 권취를 용이토록 주름관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골부(12)와 산부(14)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주름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주름관으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외부관(10)은 평관에 비하여 그 내구성이 더 높고, 특히 도 3과 같이 권취용 롤(100)에 권취되는 경우, 그 권취를 위한 휘어짐도 용이하게 이루어 지는데, 이는 주름관의 골부와 산부에 의한 공간에의해서 구현된다.
결국, 본 발명의 외부관(10)인 주름관은 다중관(1)이 지중에 매설되면 토압이나 수압 등에도 견고하게 변형이나 손상없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주름관의 외부관(10)은, 본건의 동일 발명자가 특허 출원한 공개특허 2001-0005334호에서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원료를 공급하여 원통의 관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면 고온의 상태에서 소정길이의 주름을 갖는 지그가 회전하면서 나사형태의 주름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면서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의 외부관(10)으로 제공되는 주름관을 제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지그에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산부에는 셕션이 이루어져 원통형상의 관을 주름부의 골부와 산부를 형성시키면서 도 4와 같은 연속적인 주름관의 외부관(10)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반드시 외부관(10)이 주름관일 필요는 없는데, 평탄한 면을 갖는 평관을 외부관으로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만, 실제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1)의 경우 외부관(10)의 내부에 다중 다열의 내부관(30)이 수용되므로, 직경이 일정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외부관(10)을 주름관으로 제공하는 것이 내구성이나 권취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1,2 및 도 4,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1)의 외부관(10)의 내부에 제공되고 실질적으로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공간(미부호)을 갖는 상기 내부관(30)은, 외부관측에 접합되어 온도에 따른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되는 제1 내부 관(40)들과, 상기 제1 내부 관(40)들의 내측에 연계 고정되도록 제공된 제2 내부 관(5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관(10)의 내부에 제공되는 제1 내부관(40)은, 외부관과 내부관들의 직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략 9-12개 정도가 제공되고, 그 내부로 제1 내부관(40)과 밀착되도록 제공되는 3-5개 정도의 제2 내부관(50)들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 다중관(1)에서는 상기 제1 내부 관(40)들중 적어도 하나와 제2 내부 관(50)이 접합 구조로 연계 고정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적어도 제2 내부관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1,2 및 도 4,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관(1)에서, 상기 제 2 내부관(50)들은 서로 접합되는데 내측공간(S1) 또는 관들이 서로 접합는 접면(S2)에서 소정간격 또는 관의 길이를 따라 일체로 접합 고정되고, 서로 접합 고정되는 제2 내부관(50들은 제1 내부관과 접합 고정되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합되는 제2 내부관 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내부관(40)과 접합 연계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 도면부호 'P'는 접합부위를 나타낸다.
즉, 제2 내부관(50)들은 서로 접합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관(10)과 접합(P)되는 제1 내부관(40)중 적어도 하나와 소정간격을 두고 또는 관의 길이를 따라 일체로 접합(P)고정되므로, 관들이 유동되지 않고, 따라서 제1,2 내부관(40)(50)들은 쉽게 팽창 또는 수축되지 않게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내부관들이 접합 고정되지 않은 다중관(1')에서의 내부관들이 외부 온도 환경 변화에 따라 쉽게 수축 또는 팽창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7에서 도면부호는 본 발명 관련 동일 도면부호에 (')를 표기하여 설명한다.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외부관(10)에 내부관(50'a)이 접합 고정된 경우에는 외부 온도에 따라 쉽게 수축 또는 팽창하지 않으나, 유동이 가능하게 외부관(10)에 단순 수용된 내부관(50'b)(50'c)의 경우에는, 외부 온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 즉, 여름이나 겨울에 현장에서 시공하기 위하여 외부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 내부관은 D1 만큼 팽창되거나 D2만큼 수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내부관(50'b)(50'c)들의 팽창이나 수축은, 관의 전체 길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심한 경우 500mm 이상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팽창된 내부관(50'b) 또는 수축된 내부관(50'c)의 경우 통신 케이블의 수용(삽입)을 어렵게 하거나, 특히 도 3과 같이 권취용 롤(100)에 권취되는 경우 유동되고 수축 또는 팽창된 내부관의 유동이 더 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1)의 경우에는, 도 1,2 및 도 4,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부관(50)들이 서로 중앙측 내측공간(S1)이나 관들이 접하는 접면(S2)에서 소정간격이나 일체로 관을 따라 접합(P)되고, 이들 제2 내부관 중 적어도 하나가 그 외측의 제1 내부관(40)과 접합(P)되면서, 적어도 제2 내부관(50)은 서로는 물론 제1 내부관과도 연계되어 접합 고정되기 때문에, 그 수축이나 팽창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부관(50)과 제1 내부관(30)의 접합 위치는 본 발명 다중관을 도 3과 같이, 권취용 롤에 귄취하는 경우 좁아지는 부분(도 1,4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의 보상을 위하여, 제2 내부관들을 서로 내측공간이나 접면에서 접합되나, 이들중 하나와 접합되는 제1 내부관과의 접합(P) 위치는 권취방향에 대응하여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 예를 들어, 상부측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내부관과 외부관 및 제2 내부관과 제1 내부관의 접합 상태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부관(50)들의 중앙측 내측공간(S1)이나 관들이 접하는 접면(S2)에서 관부재와 동일재료의 융착재료를 이용하여 열풍으로 일체로 접합하거나, 별도의 융착재료 없이 열풍을 불어서 접합하여 제2 내부관(50)을 따라 소정 간격이나 일체로 접합(P)시킬 수 있다.
또는, 융착이 아닌 알려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P)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내부관(50)중 적어도 하나와 제1 내부관(40)을 접합(P)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도, 열융착, 용착재료나 접착제를 사용한 융착이나 접착을 통하여 접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제2 내부관들이 내측 공간이나 접면에서 소정간격이나 관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접합부위(P)를 매개로 접합되고, 이들 중 하나가 제1 내부관(40)에 같은 방식으로 접합되고, 제1 내부관(40)은 외부관(50)과 소정간격을 두고 또는 일체로 접합(P)되어 하나의 다중 케이블용 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내부관과 접합된 제1 내부관 및 다른 제1 내부관들의 외측에 앞에서 설명한 공개특허 제2001-0005334호에서 개시된 방법으로 주름관의 외부관(10)이 접합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관(30)을 진행시키면서 외부관(10)의 주름관을 연속적으로 내부관을 감싸면서 나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제1 내부관(40)들은 성형되는 외부관(10)의 골부(1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접합되는 것이 접합 강도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내부관도 재2 내부관과 마찬가지로, 길이가 정해진 외부관(10)에 접합 고정되므로, 외부 온도에 따라 (과도하게) 수축 또는 팽창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도 7에서와 같은 과도한 수축이나 팽창이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1)에서는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1)는 정리하면 바람직하게는, 외부관(10)과 제1 내부관(40)이 접합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내측공간이나 접면에서 소정간격으로 또는 관을 따라 일체로 서로 접합 고정된 제2 내부관(50)이 접합되어, 결과적으로 제1,2 내부관(40)(50)의 다중의 내부관(30)은 외부관(10)의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물론, 실제 제조시에는 제1,2 내부관(40)(50)들이 접합되고, 제2 내부관(40)의 외측에 나사형태로 말리면서 제공되는 주름관의 외부관(10)이 접합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내측의 제2 내부관(50)들은 외연에 제공되는 연결띠(7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연결띠(70)는 제2 내부관들을 말아서 서로 접합하거나 제1 내부관의 내측에 시공하는 경우 관들이 각각 별도로 유동되거나 잡을 필요가 없게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6에서는 상기 내부 관(30)의 제2 내부관(50)들은 별도의 접합수단(60)을 매개로 접합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접합수단(60)은, 접착층(62)이 형성되거나 열풍을 가하면 표면이 융착되는 접합블록(64)을 포함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접착증인 경우 보호지(66)를 부착하고, 작업시 보호지(66)를 제거하여 제2 내부관(50)의 내측 공간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적당하게 배치하면 제2 내부관들은 일체로 접합되거나, 접합블록을 배치하고 접착층 없이 열풍을 가하여 접합블록의 융측으로 내측공간에서 제2 내부관(50)들을 접합 고정할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통신 케이블용 다중 관(1)은 실제 통신 케이블들이 수용되는 제1,2 내부관들로 이루어진 내부관이 외부관에서 유동되지 않고 접합 고정되기 때문에,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온도에 따라 괴도하게 수축되거나 팽창되지 않고, 더하여 내부관들이 외부관의 내부에서 단순하게 밀착 제공되는 것에 비하여 유동이 적고 권취용 롤에 권취시 내부 엉킴이나 꺽임들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1.... 케이블용 다중 관 10.... 외부관
12.... 골부 14..., 산부
30.... 다중의 내부관 40.... 제1 내부관
50.... 제2 내부관 60.... 접합수단

Claims (8)

  1. 외피로 제공되는 외부관(10); 및,
    상기 외부관(10)의 내측에 제공되고 케이블 수용공간을 갖는 다중의 내부 관(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부관(30)은 외부관과 연계 고정되어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토록 구성된 케이블용 다중 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30)은, 상기 외부관(10)에 접합 고정되는 제1 내부 관(40); 및,
    상기 제1 내부 관(40)들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관(40)과 접합 구조로 연계 고정되는 제2 내부 관(50)들;
    을 포함하여 제1,2 내부관은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 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에 접합 고정되는 제1 내부 관(40)들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접합 고정되는 상기 제2 내부 관이 접합 고정되어 상기 제1,2 내부관들은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 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관(50)들은, 관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공간(S1) 또는 관들이 접하는 접면(S2)에서 소정간격 또는 일체로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용 다중 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10)은, 권취를 용이토록 주름관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내부관(40)의 외측에 상기 주름관이 말리면서 제1 내부관은 외부관에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 관.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과 제1 내부관 및, 상기 제1 내부관과 제2 내부관은, 열융착, 융착재료를 매개로 한 열융착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 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관과 제1 내부관의 접합 위치는 주름관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용 다중 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접합되는 제2 내부관(50)들은 접착층(62)이 도포되거나 열융착되면서 제2 내부관들의 내측공간(S1)에서 접합되는 접합블록(64)을 포함하는 접합수단(60)을 매개로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다중 관.
KR1020110106042A 2011-10-17 2011-10-17 케이블용 다중 관 KR10130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42A KR101306630B1 (ko) 2011-10-17 2011-10-17 케이블용 다중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42A KR101306630B1 (ko) 2011-10-17 2011-10-17 케이블용 다중 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649A true KR20130041649A (ko) 2013-04-25
KR101306630B1 KR101306630B1 (ko) 2013-09-11

Family

ID=4844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042A KR101306630B1 (ko) 2011-10-17 2011-10-17 케이블용 다중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30B1 (ko) * 2016-03-17 2017-04-04 (주) 이우티이씨 지중 매설관 및 매설관 시스템
KR102182802B1 (ko) * 2020-03-04 2020-11-25 이광희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 보호용 마이크로 통신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116U (ja) * 1992-05-20 1993-12-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ダクト用複合管
JP2003116209A (ja) * 2001-07-30 2003-04-18 Kubota Corp 多条ケーブル保護管
KR100773083B1 (ko) * 2007-04-05 2007-11-02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케이블용 다중관
KR100875279B1 (ko) 2007-10-12 2008-12-23 신정아 광케이블 다중관 성형장치 및 성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630B1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3651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前記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ES2959866T3 (es) Un conjunto para guiar y proteger cables de fibra óptica o guías de onda ópticas y un método para fabricar los mismos
AP1290A (en) Multiple channel duct assembly for cables.
AU2011239144B2 (en) Pipe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a plurality of internal tubes
CS292591A3 (en) Nest of tubes for a cable l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ubular system for said nest of tubes
KR101306630B1 (ko) 케이블용 다중 관
KR101126728B1 (ko)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ES2289803T3 (es) Red de cables de telecomunicacion en un sistema de canalizacion o de tuberia primariamente utilizado para otros fines.
US5778652A (en) Cable with a sheath made of steel,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cable
KR100773083B1 (ko) 케이블용 다중관
US5694510A (en) Tub-aggregated optical cable
EP2478284B1 (en) Conduit assembly
US20050224124A1 (en) Sheathed microduct system
JP2011150166A (ja) ケーブル接続部、電力・光ファイバ複合ケーブル、およびケーブル接続方法
CN211930170U (zh) 用于建筑装修排线的智能穿线管
CA2443876A1 (en) Flexible factory joint for metallic tubes which enclose loosely inside them optical fibers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KR20160109464A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KR20170014316A (ko) 케이블용 다중관
JP2006121800A (ja) 地中埋設管を用いた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地中埋設管
JP5435478B2 (ja) 通線方法
RU2229147C1 (ru) Муфта для опт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связи (варианты)
MX2012009653A (es) Sistema de ducto para componentes de fibra optica.
JP2008312295A (ja) 通信ケーブル用鞘管とハンドホール側壁との接続構造
KR20010005463A (ko) 통신선로용 다공관
JP2003116209A (ja) 多条ケーブル保護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