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638A -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638A
KR20130041638A KR1020110106028A KR20110106028A KR20130041638A KR 20130041638 A KR20130041638 A KR 20130041638A KR 1020110106028 A KR1020110106028 A KR 1020110106028A KR 20110106028 A KR20110106028 A KR 20110106028A KR 20130041638 A KR20130041638 A KR 20130041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pplication program
portable device
in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11010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1638A/ko
Publication of KR2013004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문자 입력창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 입력된 문자와 상응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용 기기(100)의 핫 키(110) 눌림을 인식하는 단계(S10); 핫 키(110)의 눌림에 따라 휴대용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20)상에 입력영역(130)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입력영역(130)으로부터 감지하는 단계(S30); 및 문자입력에 따라 휴대용 기기(1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 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Application program executing method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문자 입력창에 문자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 입력된 문자와 상응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터치패드, 노트북 컴퓨터 및 테블릿피씨 등의 휴대용 기기의 사용자 수가 급격히 높아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이들 휴대용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개발자에 의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사용자도 이를 무료 또는 유료로 가상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기기에는 사용자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가 늘어날수록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일일이 찾아서 아이콘을 터치하는 방식에 의해 실행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찾기 쉽게 카테고리별로 함께 모아 둘 필요성이 있어서 항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이를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4416(발명의 명칭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방법)에 따르면 복잡한 기능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에 간편한 터치입력을 통해 편리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선행기술문헌은 특정 아이콘 영역에서 필기체가 터치가 되는 경우에 해당 아이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발명이다. 이러한 예로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아이콘 영역(도 5 참조)에 "C"라는 글자가 쓰여진 경우 이는 메시지 확인 기능과 대응되며, "S"라는 글자가 쓰여지는 경우 이는 SMS 메시지 작성 기능과 대응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에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찾기 위한 특별한 폴더관리를 요하지 않으며 또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다 신속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기기(100)의 핫 키(110) 눌림을 인식하는 단계(S10); 핫 키(110)의 눌림에 따라 휴대용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20)상에 입력영역(130)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입력영역(130)으로부터 감지하는 단계(S30); 및 문자입력에 따라 휴대용 기기(1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 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입력영역(130)은, 터치에 의해 사용자가 문자를 쓰거나 또는 팝업된 복수의 문자를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영역(130)은, 문자의 개수 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자는, 각국 언어, 숫자, 부호, 심볼,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30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문자입력 순서에 따라 각 문자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목록을 보여주는 단계; 및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목록에서 선택함으로써 문자입력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30 단계는,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문자입력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40 단계 실행 전에, 문자입력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서로 인터페이스 되도록 문자입력과 이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을 서로 대응시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실행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몇 번의 터치에 의해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폴더관리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 이러한 폴더 관리를 제공하는 유료 어플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필기체를 인식함에 따라 신속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에 관한 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역에 사용자가 터치펜을 이용하여 직접 필기체를 써서 입력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역에 사용자가 터치펜을 이용하여 팝업된 키패드를 직접 선택하여 입력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역에 입력된 문자의 초성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목록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빠르고 또한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휴대용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자책 리더기 등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가 일예이다.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과 같이, 먼저 사용자가 핫 키(110)를 눌러는 동작에 의해 휴대용 기기(100)가 핫 키(110)의 눌림을 인식한다(S10). 이때 핫 키(110)는 휴대용 기기(100)에 부착된 클릭 돔 형태의 키를 의미하거나 또는 스마트 폰 등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20)에 팝업되어 나타나는 기능 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스마튼 폰 등의 홈 버튼을 핫 키의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핫 키가 홈 버튼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한편, 사용자가 홈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날짜 및 시계를 확인하기 위한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뒤 홈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경우, 또는 입력영역(130)에 입력되는 문자와 이 문자에 대응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정을 위한 경우 등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홈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술한 기능 중 어떤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 물어보는 팝업 창이 제공되는 단계가 더 실행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팝업 창은 상술한 홈버튼의 기능 이외에 휴대용 기기의 종류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적으로 더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홈 버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홈버튼 고유의 여러가지 기능으로 인한 사용자가 홈버튼의 어떤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는 단계가 더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를 피하기 위해 홈버튼 이외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의 버튼을 추가적으로 더 휴대용 기기(100)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용버튼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100)의 홈버튼 또는 전용버튼을 누른 경우, 휴대용 기기(100)는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20)상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영역(130)을 팝업하거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120)의 일정영역에 입력할 수 있도록 창을 활성화한다.
이때, 전자의 팝업되는 입력영역(130)은 디스플레이 화면(120)상에 추가적으로 특정영역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의미하며, 후자는 입력영역(130)이 팝업되는 것이 아니라 기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120)의 특정영역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창이 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후자의 일예로서 디스플레이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입력할 수 있는 활성 및 비활성화되는 전용 창이 존재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전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후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팝업되는 입력영역(130)은 대략 2가지 형태로 팝업될 수 있다. 첫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터치펜(10)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팝업되는 영역이다. 둘째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되는 입력영역(130)은 종래의 스마트 폰 등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팝업되는 전자 키패드 등이 팝업되는 영역이다. 다만, 입력영역(130)의 팝업형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는 영역에서 이를 다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직접 쓰거나 또는 팝업된 전자 키패드에 문자키를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영역(130)은 사용자가 쓴 문자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휴대용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여역을 확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영역을 축소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나라의 언어 실정에 맞게 팝업되는 전자 키패드의 크기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문자의 일예로서 각국 언어로 된 글자이거나, 숫자, 부호, 특수문자, 심벌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팝업되는 전자 키패드는 한국어의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 선택에 의해 문자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국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입력영역(130)에 한글로 쓰거나(이하에서는 이를 필기체라고 설명한다), 원하는 한글 키를 조합하거나, 숫자, 부호, 또는 특수문자 등을 입력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휴대용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은 이를 감지한다(S30). 제어 프로그램이 문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세부적으로 다음의 2가지 형태의 단계가 일예로서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첫번째 형태의 실행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순차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입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한글에 의한 일예로서 만약 사용자가 "카카오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카카오독" 전체 글자를 입력할 수도 있고, "ㅋㅋㅇㄷ"의 초성만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하겠지만 카카오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카카오독" 또는 "ㅋㅋㅇㄷ"과 서로 대응되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 것이다.
사용자의 "카카오독" 또는 "ㅋㅋㅇㄷ"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문자입력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문자입력 완료의 인식은 사용자가 입력이 완료된 경우 "확인버튼" 등을 눌러서 제어 프로그램에 알려주거나 또는 제어 프로그램이 일정시간 입력영역(130)에 입력이 안되는 경우에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자동으로 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숫자, 특수문자, 또는 심벌 등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대응되어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두번째 형태의 실행방법이 첫번째 형태의 실행방법과 다른 점은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입력을 시작하는 경우 휴대용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이 문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이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카카오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목적으로 입력영역(130)에 "ㅋㅋㅇㄷ"의 초성을 입력한 경우 "카카오독", "카카이독", 및 "카카오딕"이라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카카이독" 및 "카카오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카카오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기능이 전혀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가정하며,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카카오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카카오독"과 서로 대응되어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가지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목록 중 실행시키길 원하는 프로그램의 목록인 "카카오독"을 선택하여 문자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은 문자입력 완료를 상술한 첫번째 실행방법과 같이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이외에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영역(130)에 "카카오독"이라고 입력을 하면 카카오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카카오독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카카오독"이 아닌 "ㅋㅋㅇㄷ"이라고 초성만 입력한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ㅋㅋㅇㄷ" 초성에 해당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며 사용자는 실행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함으로써 입력을 완료할 수도 있다. 다만 초성 전부를 다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초성만 입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이 경우에는 초성 전부를 입력한 것 보다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은 종래의 스마트 폰 등에 사용되는 어플 아이콘과 같이 아이콘을 터치하면 실행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일예로서 문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화면(120)상에 디스플레이 되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화면은 입력영역(130) 이외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아이콘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두번째 방법의 실행 예로서 "ㅋㅋㅇㄷ"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ㅋㅋㅇㄷ"인 경우 첫번째 "ㅋ"만 입력한 경우에도 "ㅋ"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는 "ㅋㅋㅇㄷ"에 비해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ㅋㅋㅇㄷ"이 아닌 "카카오독" 문자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바에 갈음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입력영역(130)에 입력된 문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 되어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문자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서로 대응시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설정 단계는 상술한 S10 단계 전이나, S10 단계 내지 S30 단계 사이, 또는 S30 단계 수행 후 S40 단계 전 어디에서라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설정 단계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S40 단계 전에 자유롭게 설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문자의 설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설정된 문자가 입력영역(130)에서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S40).
여기서, 입력영역(130)에 입력되는 문자와 해당 문자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과문자"를 "itu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드래그 앤 드랍 하는 경우 서로 인터페이스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드래그 앤 드랍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카카오독" 또는 "편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인터페이스 시킬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도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방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일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예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설정단계에서 실행되는 설정 창은 홈버튼의 기능에 포함되거나 아니면 전용버튼을 한번 누른 경우에는 입력영역(130)이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 연속으로 누른 경우에는 설정 창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터치펜
20 : 어플리케이션
100 : 휴대용 기기
110 : 핫 키
120 : 디스플레이 화면
130 : 입력영역
140 : 설정 창

Claims (7)

  1. 휴대용 기기(100)의 핫 키(110) 눌림을 인식하는 단계(S10);
    상기 핫 키(110)의 눌림에 따라 상기 휴대용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20)상에 입력영역(130)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상기 입력영역(130)으로부터 감지하는 단계(S30); 및
    상기 문자입력에 따라 상기 휴대용 기기(1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 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입력영역(130)은,
    터치에 의해 사용자가 문자를 쓰거나 또는 팝업된 복수의 문자를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상기 문자를 입력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130)은,
    문자의 개수 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각국 언어, 숫자, 부호, 심볼,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문자입력 순서에 따라 각 문자에 해당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목록을 보여주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목록에서 선택함으로써 상기 문자입력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영역(130)에 문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문자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문자입력 완료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 실행 전에,
    상기 문자입력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서로 인터페이스 되도록 상기 문자입력과 이에 상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을 서로 대응시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10106028A 2011-10-17 2011-10-17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KR20130041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28A KR20130041638A (ko) 2011-10-17 2011-10-17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28A KR20130041638A (ko) 2011-10-17 2011-10-17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638A true KR20130041638A (ko) 2013-04-25

Family

ID=4844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028A KR20130041638A (ko) 2011-10-17 2011-10-17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16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282B2 (en) Extended keyboard user interface
TWI553541B (zh) 用於詞意圖像對比的方法及計算裝置
US8873858B2 (en) Apparatus,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text copy capability with touch input display
KR101331697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981701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JP57826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67352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0272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09111138A1 (en) Handwriting recognition interface on a device
US20140033110A1 (en) Accessing Secondary Functions on Soft Keyboards Using Gestures
TW20094510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a user application on a computing device
US9747002B2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represent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057441B2 (ja)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US20190302952A1 (en) Mobile device, computer input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US1004877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hinese language input to a touch screen
KR20130041638A (ko) 휴대용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US20140331132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2116497A1 (en)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in pinyin mode
KR20150039511A (ko)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134765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2912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