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393A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393A
KR20130040393A KR1020110105122A KR20110105122A KR20130040393A KR 20130040393 A KR20130040393 A KR 20130040393A KR 1020110105122 A KR1020110105122 A KR 1020110105122A KR 20110105122 A KR20110105122 A KR 20110105122A KR 20130040393 A KR20130040393 A KR 20130040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anner
list
area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지선
안윤정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10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0393A/en
Publication of KR2013004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intuitively recognize banner contents without unnecessary space consumption by displaying the banner contents on a content list display position. CONSTITUTION: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controls a list of contents usable in a site to display the list o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site connection screen(S10). The system controls a list of banner conten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usable contents to display the list on a second area except for the first area(S20). The system controls banner contents corresponding to list information selected from list information about the banner contents by an input unit of user terminal to display the banner contents on the first area(S30).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 Displaying a list of usable contents i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a connection screen for use of a content providing service; (S20) Displaying a list of banner contents related to the usable contents in a second area which is a part of the connection screen except for the first area; (S30) Displaying a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an input unit of a user terminal among the banner contents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Description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본 발명은, 특정 컨텐츠 또는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의 화면 일부에 표시되어 광고되는 배너 컨텐츠를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에 대한 배너 광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isplaying banner content that is displayed on a portion of a screen of a user terminal and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content or sit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ecking a banner advertisement for content together with available content. It's about technology that makes it possible.

최근 온라인 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거나,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자신들의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사용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광고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acquire information or use cont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online technology and online network is increasing rapidly. Accordingly, companies that provide network services are trying to ensure that users can view advertising content online to attract users to use their content.

광고 컨텐츠는, 기본적으로 영상과 음성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흔히 확인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컨텐츠이다. 이러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광고 컨텐츠는, 인터넷 웹사이트들에 표시되어 사용자들을 유인하고 있다.The advertisement content basically includes at least one of a video and audio content. Recently,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advertisement content is content of an image or a video. Such image or video advertising content is displayed on Internet websites to attract users.

특히, 최근 광고 컨텐츠로 각광받고 잇는 것이 배너(Banner) 컨텐츠이다. 배너 컨텐츠는, 인터넷 웹사이트 상에서 웹사이트 접속 화면의 일부에 특정 컨텐츠의 이름, 또는 특정 컨텐츠에서 사용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내용을 부탁하여 홍보하는 그래픽 컨텐츠를 의미한다. 마치 오프라인에서의 현수막 광고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어, 배너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In particular, banner content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s advertising content. The banner content refers to graphic content that promotes a part of a website access screen on an Internet website by requesting a name of a specific content or content that may be of interest to users in the specific content. It has the same meaning as a banner advertisement offline, and it has the name Banner.

이러한 배너 컨텐츠들은 실제로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컨텐츠 이용이 가능한 웹사이트로의 사용자 접속 수를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율적인 온라인 광고 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웹사이트 상에서 지나치게 혼잡한 배너 컨텐츠의 표시는, 사용자들이 배너 컨텐츠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도록 할 뿐 아니라,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어, 배너 컨텐츠를 표시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컨텐츠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컨텐츠 이용 시 배너 컨텐츠를 동시에 확인할 수 없어, 배너 컨텐츠를 통해,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These banner contents are in the spotlight as a very effective online advertisement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user accesses to a web site where the contents are available so that users can actually use the contents. However, display of excessively crowded banner content on a website not only prevents the user from accurately identifying the banner content, but also may be offensive to the user, thereby increasing the need for a new method of displaying banner content. . In addition,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n using the content, it is not possible to simultaneously check the banner content when using the content,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content through the banner content.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접속 시, 배너 광고를 컨텐츠와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들이 배너 컨텐츠를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배너 광고 방법을 제안하여, 배너 컨텐츠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banner advertisement method for displaying a banner advertisement with the content when the user accesses a site that can use the content, and enables the user to specifically recognize the banner content. The purpose is to maximize advertising effectiven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상기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rea that is part of the connection screen to the site for use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the list of contents available on the site Controlling to display; Controlling to display a list of banner conten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s in a second region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region; And displaying, in the first area,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from among lis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의 상기 접속 화면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가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 수단이 위치한 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ing of displaying the banner content may include: detecting a movement in the access screen of an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controlling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input means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desirable.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가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banner conten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banner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when the location of the input means is outside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list to be displayed again.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중 일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에 연관된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banner conten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banner content on a portion of the first area; And a list of at least one content belonging to a content group, including any one of the available contents related to the banner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a portion of the first region except for the region wher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Controlling to display; preferably.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의 모양, 크기 및 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trolling of displaying the banner conten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o change at least one of shape, size, and color information of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적어도 한 부분이 인접된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상기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배너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list that controls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on the site i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a connection screen to a site for us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Display control unit; A banner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list information of banner content including content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 and banner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And displaying a list of the banner content on a second area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on the first area, lis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And a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display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상기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중 일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에 연관된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banner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first area, and any of the available contents related to the banner content in a part of the first area except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o display a list of at least one content belonging to a content group including one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상기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의 모양, 크기 및 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may control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적어도 한 부분이 인접된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상기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배너 컨텐츠 관리부; 상기 접속 화면 내에서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 감지부;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입력 수단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입력 수단이 위치한 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list that controls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on the site i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a connection screen to a site for us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Display control unit; A banner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list information of banner content including content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 and banner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An input means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in the access screen; And displaying a list of the banner contents on a second region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region, and among the lis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banner contents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s list, the input means sensing unit.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input means is detected by the display, the first area;

상기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가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에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ent list display control unit to display the list of available contents again in the first area when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outside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It is desirable to.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곳에, 컨텐츠에 관련된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화면의 공간을 소모하지 않고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으로 배너 컨텐츠가 인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에 대한 배너 컨텐츠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ner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is displayed where the list of contents available to the user is displayed, so that the banner conten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by the users without consuming unnecessary screen space. .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of the banner content for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선택될 때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는 다른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공급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접속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splaying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manner in which banner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flow when banner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4 illustrates another manner in which banner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banner content is su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1 illustrate examples of a connection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quivalent inven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munication ", " communication network ", and " network " The three terms refer to wired and wireless local area and wide are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network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le between a user terminal, a terminal of another user, and a download server.

이하의 설명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업체의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로부터 컨텐츠 검색, 이용, 다운로드 및 업로드 등이 가능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network service provider refers to a company that uses a network to provide users with all services that enable users to access a company's server and search, use, download, and upload content from the server.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는 예를 들어, 음원 제공 및 음악 재생 서비스 제공 업체, 인터넷 포털 검색 서비스 업체, 메일 서비스 업체, 게임 서비스 제공 업체, 영상 검색 서비스 제공 업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 업체 또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교환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 포함될 수 있다.Network service providers include, for example, sound source providers and music playback service providers, Internet portal search service providers, mail service providers, game service providers, video search service providers, and the like. In addition, since the provider of the social community service also performs the information exchange service using the network, it may be included in the network service provider.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는 컨텐츠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배너 컨텐츠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이용 사이트에 관한 것이며, 이 사이트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일 수 있다.The network service provider may use the content. The banner conten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ervice using site where users can access and use a specific content, and the site may be a site operated by a network service provider.

본 발명에서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컨텐츠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음원의 다운로드 및 이용이 가능한 사이트에서는, 컨텐츠는 음원 파일 그 자체를 의미하거나, 사이트에서 음원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 컨텐츠, 요금제 컨텐츠 등이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ent available to users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content for all services provided by a network service provider. For example, in the site where the sound source can be downloaded and used, the content may mean the sound source file itself, or the content may include usage right content, plan content, and the like, which may use the sound source file on the site.

한편,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게임 포털 사이트에서는, 게임 컨텐츠, 게임 요금제 컨텐츠, 게임 이용권 컨텐츠 등이 본 발명에서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game portal site that can use the game service, game content, game plan content, game use rights content, etc.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available to users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배너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통용되는 배너 광고 이미지를 포함하여, 특정 컨텐츠를 홍보하는 그래픽 컨텐츠를 의미한다. 배너 컨텐츠는 정지된 이미지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ner content refers to graphic content that promotes specific content, including a banner advertisement image generally used online. Banner content may include still image content or video content.

배너 컨텐츠에는, 특정 컨텐츠의 내용을 홍보하거나, 사용자들이 특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이벤트에 대해서 홍보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문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banner content may include various images, text information, etc. that may catch the user's attention in order to promote the content of the specific content or to promote the event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in using the specific content. .

상기 컨텐츠과 관련하여 배너 컨텐츠에 대한 예를 들면, 게임 포털 사이트에서, 특정 게임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실시하는 할인 또는 게임 내용 상의 이벤트를 홍보하는 이미지 등이 배너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게임 자체를 홍보하도록 게임의 이름과 캐릭터 등이 포함된 이미지 역시 배너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game portal site regarding the banner content in relation to the above content, the banner content may include an image for promoting a discount or an event on the game content performed by a service provider for a specific game. In addition, the banner content may also include an image including a name and a character of the game to promote the specific game itself.

음원 이용 사이트를 예로 들면, 이용권 컨텐츠에 대한 할인 이벤트 등을 홍보하는 이미지 또는 문자 정보가 배너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a banner content may include image or text information that promotes a discount event for a usage right content.

본 발명에서 컨텐츠의 리스트 또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라 함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컨텐츠 또는 배너 컨텐츠의 이름 또는 내용을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배너 컨텐츠의 정보를 나열한 정보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st of contents or the list of banner contents means information in which at least one content or banner content information is listed so that users can simply identify the name or contents of the content or banner contents through the user terminal. .

따라서, 사용자들은 컨텐츠의 리스트를 통해 컨텐츠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배너 컨텐츠의 경우 배너 컨텐츠의 내용을 요약한 문자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확인하여 배너 컨텐츠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name of the content through the list of contents, and in the case of the banner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banner contents can be guessed by checking the text information or the image information summarizing the contents of the banner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splaying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0)가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on a site is displayed on a portion of a first screen of a connection screen to a site for us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The controlling step S10 is displayed.

S10 단계에서 표시되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대해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문자 또는 이미지 정보가 나열된 것을 의미한다. The list of available contents displayed in step S10 means that the text or image information displayed is listed so that users can easily check the available contents as mentioned above.

예를 들어 게임 포털 사이트의 경우, 사용자들이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게임 컨텐츠의 제목들이 나열된 문자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음원 제공 사이트의 경우, 사용자들이 음원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권들의 이름이 나열된 사항, 또는 요금제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 문자 정보가 나열된 사항이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ame portal site, it may be a list of contents in which text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in which titles of at least one game content available for download or streaming by users are listed. In the case of a sound source providing site, a list of names of usage rights for users to use the sound source, or a list of text information briefly summarizing the contents of the plan may be included in the list of available contents.

리스트에는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가 나열되어 있다. 리스트 정보는 상기 언급한 컨텐츠에 대한 문자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 각각을 의미한다. 사용자들은 리스트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선택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리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사이트 또는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The list lists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The list information means each of text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about the above-mentioned content. Users may select list information, and when a selec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a content providing site 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S10 단계에 의해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될 때, 각 리스트는 컨텐츠의 제목 또는 내용에 따라서 그룹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나다 순으로 컨텐츠를 그룹화하고 정렬하거나, 컨텐츠의 종류, 예를 들어 게임의 장르에 따라서 컨텐츠가 그룹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list of contents available by the step S10 is displayed, each list may be displayed grouped according to the title or contents of the contents. For example, the content may be grouped and sorted in alphabetical order, or the content may be group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for example, the game genre.

제1 영역을 제외한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In operation S20, a control is performed to display a list of banner conten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s in the second region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region.

S20 단계에서는 S1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가 제2 영역에 표시된다.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리스트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이다.In step S20, the same information as described in step S10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e lis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s a list of banner conten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contents available to the user.

배너 컨텐츠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언급한 배너 컨텐츠에 포함되는 내용이, 제1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에 관한 것임을 의미한다. 즉, 제1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벤트 또는 컨텐츠 자체에 대한 홍보 내용이 배너 컨텐츠에 포함될 것이다.The fact that the banner content includes content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 means that the content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banner content relates to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That is, the banner content may include promotion contents about an event or any content of one of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list of content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따라서,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에는, 홍보 내용을 요약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문자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 등이 리스트 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자신이 흥미를 갖는 리스트 정보를 선택하여 배너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n the list of banner contents, tex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or the like, which may induce interest of users by summarizing the promotional content, may be displayed as list information. Users may check the list of banner contents and select the list information of interest to check the banner contents.

본 발명에서 S10 및 S20 단계에서 언급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서로 인접하여 존재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적어도 한 부분에 인접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사용자들이 단말의 접속 화면 내에서 한 번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entioned in the steps S10 and S20 may exist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area is located adjacent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are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ithin the access screen of the terminal at a time.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접속 화면 중앙 부분에 사각 영역으로 존재하고 있다면,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상부에 제1 영역에 접하여 존재하는 사격 영역이 될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의 측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여 존재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first area exists as a rectangular area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on screen, the second area may be a shooting area exist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area above the first area. Or adjacent to the side or bottom of the first region.

S20 단계 후, 사용자들은 표시된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확인한 뒤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매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After the step S20, the user may check the list of the displayed banner content and then select any one of at least one li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At this time, the server performs the step of controlling so that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among the list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S30). do.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은, 접속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부분에 대해 선택할 수 있는 모든 입력 수단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는, 예를 들어 마우스, 펜마우스, 터치 스크린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키보드 등 모든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means all the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select for any part of the connection screen.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ll input means such as a mouse, a pen mouse, a user's touch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module, a keyboard, and the like.

사용자들은 입력 수단을 통해, 제2 영역에 표시된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그 중 어느 한 리스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스트 정보를 선택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마우스 커서는 리스트 정보에 위치시키고 클릭하는 행위를 포함한다.The users may check the list of banner content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rough the input means and select any one of the list information. Selecting list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the act of placing and clicking the mouse cursor on the list information.

사용자가 배너 리스트에 포함된 리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제1 영역에는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다.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li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nner list,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즉, 원래 제1 영역에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가 표시되지만, 사용자가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가 표시되는 공간에 배너 컨텐츠가 오버레이(Overlay)되는 것이다. That is, although the list information of the content available to the user is originall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when the user selects the list information of the banner content, the banner content is overlaid in the space where the list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displayed.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배너 컨텐츠를 원래 사용자들이 즐겨보게 되는 컨텐츠 리스트의 표시 영역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배너 컨텐츠의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시에만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고,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이 이미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이 되기 때문에, 접속 화면이 단순화되고, 쓸데없는 화면 영역의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In this way, since the user can check the banner content through the display area of the content list that the original users enjoy, the advertisement effect of the banner content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sinc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only at the time of user selection, and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is already an area where the content list is displayed, the access screen can be simplified and the consumption of the unnecessary screen area can be reduc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2 illustrates a manner in which banner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 1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S20 단계가 완료된 후의 흐름이 설명되어 있다. 즉, S20 단계에 의해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이 접속 화면을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들은 배너 컨텐츠 또는 다른 접속 화면 상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 수단을 접속 화면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low after the step S20 of FIG. 1 is completed is described. That is, when the list of banner contents inclu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ontent is displayed in step S20, and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access screen, the users input the input means to select a banner content or a menu on another access screen. Will move on.

이때,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의 접속 화면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S31). At this time, the server detects a movement in the access screen of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S31).

이후, 입력 수단의 위치가 배너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를 수행한다.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S32).

S31 단계와 S32 단계는, 입력 수단의 위치가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전까지 반복 수행될 것이다.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의 일부분이 될 것이다.Steps S31 and S32 will be repeat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list of banner contents is displayed. The region in which the list of banner contents is displayed will be part of the second region as mentioned above.

S32 단계에서 입력 수단의 위치가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입력 수단이 위치한 영역에 표시된, 밴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배너 컨텐츠에 포함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를 검색한 후, 이를 바로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3)가 수행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list of banner contents is displayed,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van content list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input means is located; After searching for S, controlling to display it immediately in the first area (S33) is performed.

즉, 도 1에 대한 설명에서는, 리스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예를 들어 클릭)이 있을 때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되었으나,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수단이 리스트 정보에 위치하는 즉시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다.That is, in the description of FIG. 1, when there is a user's selection input (for example, a click) on the list information,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is display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input means is a list. As soon as the information is located,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S33 단계 이후에는, 표시된 배너 컨텐츠가 영구적으로 표시되게 하는 것은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입력 수단의 위치가,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로부터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가 수행된다. After step S33, permanently displaying the displayed banner content may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and thus, step S34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out of the list of banner content.

만약 다른 리스트 정보로 입력 수단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S33 단계에 의해 변경된 입력 수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될 것이다.If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changed to other list information,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changed in step S33 will be displayed.

하지만 만약 S34 단계에서 입력 수단의 위치가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전체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배너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종료하고, 제1 영역에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5)를 수행하게 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deviates from the display area of the entire list of banner contents, the display is terminated to display the banner contents and control to display the list of contents available in the first region again. Step S35 is performed.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배너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다시 입력 수단을 이동하는 것으로 컨텐츠의 리스트를 재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한 사이트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way, the user can check the banner contents only by moving the input means, and re-confirm the list of contents by moving the input means again,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ite more convenient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선택될 때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과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3 illustrates a flow when banner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및 2에서의 S20 단계와 S30 단계가 수행된다. 즉, 제2 영역에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배너 컨텐츠가 제1 영역에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3, steps S20 and S30 in FIGS. 1 and 2 are performed. That is, the list of banner contents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th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이때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리스트 정보가 무엇인지 강조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rver may help the user by emphasizing what lis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이를 위해,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리스트 정보를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된 다른 리스트 정보와 구별되도록, 그 리스트 정보의 모양, 크기 및 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rver may perform step S40 of changing at least one of shape, size,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list information so that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distinguished from other li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ist of banner contents. .

예를 들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문자 정보가 포함된 경우라면, 문자 정보에 밑줄을 표시하거나, 문자 정보의 글씨를 굵게 표시하거나, 문자 정보의 색을 변화시키는 등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haract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elected list information, effects such as underlin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bold text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or changing the color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may be applied.

선택된 리스트 정보가 이미지 정보라면, 그 이미지 정보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효과, 크기를 크게 하는 효과, 또는 색을 변화시키는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If the selected list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the effect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image informa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ize, or the effect of changing the color may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는 다른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4 illustrates another manner in which banner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3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20 단계에 의해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가 제2 영역에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4, first, a list of banner contents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in step S20.

이후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서버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를 제1 영역의 일부분에 표시하는 단계(S36)를 수행한다.Subsequently, when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e server displays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among the li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ist of the banner content on a part of the first area (S36). ).

즉 도 1 내지 3에 대한 실시예가 배너 컨텐츠가 제1 영역에 표시될 때, 제1 영역의 전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실시예라면, 도 4에 대한 실시예에서는 배너 컨텐츠가 제1 영역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만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실시예인 것이다.That is, if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ntirety of the first area is overlaid and displayed when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n the embodiment of FIG. This is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display to be overlaid only on a portion thereof.

S36 단계에 의해 배너 컨텐츠가 제1 영역의 일부분에 표시되면, 나머지 부분에는, 배너 컨텐츠에 연관되어 있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 중 한 컨텐츠가 속하는 컨텐츠 그룹의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단계(S37)가 수행된다.When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in a part of the first area by the step S36, in step S37, a content list of a content group to which one of the availabl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banner content belongs is displayed.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컨텐츠들은 명칭 또는 종류에 따라서 그룹화되어 정렬된 후 리스트화 된다. 만약 컨텐츠들이 종류에 따라서 그룹화된 경우라면, 배너 컨텐츠를 제1 영역 전체에 표시하는 대신 일부분에 표시하고, 이외의 영역에는 배너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가 속하는 그룹의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are grouped and sorted according to the name or type and then listed. If the content is grouped according to the typ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in a part of the first area instead of the entire first area, and in other areas, the content list of the group to which the content related to the banner content belongs is further enhanced. It can be.

예를 들어, 게임 포탈에서 게임이 그 장르에 따라서 리스트화되어 있고, 한 스포츠 게임에 대한 이벤트를 홍보하기 위한 배너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영역의 일부에는 이벤트 홍보를 위한 배너 컨텐츠가 표시될 것이고, 제1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는, 스포츠 게임에 속하는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game is listed according to the genre in a game portal, and banner content for promoting an event for a sports game is selected, a part of the first area may display banner content for promoting an event. In the remaining area of the first area, a list of contents belonging to the sports game may be displayed.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10)은,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11), 배너 컨텐츠 관리부(12) 및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14)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단 이외에, 입력 수단 감지부(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list display control unit 11, a banner content management unit 12, and a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14.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means, an input means detector 13 may be further included.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11)는, 컨텐츠 이용 서버(20)로부터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도 1 내지 4에서 S10 단계를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The content list display control unit 11 receives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to users from the content using server 20 and displays the list on the user terminal 30. That is, it means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he step S10 in FIGS.

배너 컨텐츠 관리부(12)는, 컨텐츠 이용 서버(20) 또는 기타 외부 서버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한 배너 컨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30)에 표시할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될 각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와, 각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nner content management unit 12 receives and manages banner content about available content from the content using server 20 or other external server, and generates a list of banner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 Do this. It performs a function of managing the list information for each banner content to be included in the list of banner contents and the information of the banner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14)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언급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30)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제1 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14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list of banner contents in the above-mentioned second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30 is generated. This function controls the display to be overlaid on 1 area.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14)는, 도 1, 3 및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배너 컨텐츠 리스트를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를 제1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14 may display the banner content list in the second area among the steps illustrated in FIGS. 1, 3, and 4, and display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banner content list as a whole or in the first area. It means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the step of controlling to display on a portion.

동시에,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S37 단계에서 수행되는, 배너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가 속하는 컨텐츠 그룹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제1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of a content group to which content related to the banner content belongs in the first area except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which is performed in step S37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4. have.

또한 선택된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의 모양, 크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Also, a function of changing at least one of a shape, a size, and a color of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banner content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입력 수단 감지부(13)는, 도 2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input means detecting unit 13, which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FIG.

즉, 입력 수단 감지부(13)는 사용자의 입력 수단이 접속 화면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14)가 도 2에서 S31 단계 내지 S3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input means detecting unit 13 detects that the user's input means moves on the access screen,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14 to perform steps S31 to S35 in FIG. 2.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배너 컨텐츠가 공급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banner content is su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이용 서버에는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모든 컨텐츠(21, C1 내지 C4)가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이 컨텐츠들의 리스트 정보는 접속 화면 상에서 제1 영역(31)에 표시될 것이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 선택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ll contents 21, C1 to C4 available to users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using server. The list information of the contents will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31 on the access screen, and the user can use the contents by checking and selecting the contents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한편, 각 컨텐츠(21) 중 적어도 하나(C2, C4)에 대해서는, 서비스 제공 업체의 설정에 의해 이벤트 또는 그 컨텐츠 자체에 대한 광고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고는 배너 컨텐츠(22)를 통해 이루어진다. 각 배너 컨텐츠(22)는 리스트화되어 제2 영역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리스트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제1 영역에 배너 컨텐츠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for at least one of each content 21 (C2, C4), an advertisement for the event or the content itself may be performed by the setting of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advertise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banner content 22. Each banner content 22 is listed and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When the user selects list information, the banner content 22 is displayed with the banner content overlaid on the first area. The user may check this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사용자가 배너 컨텐츠를 클릭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30)의 화면에는 배너 컨텐츠의 내용을 자세하게 확인하거나 배너 컨텐츠에 포함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사이트가 표시된다. 이 사이트가 표시되는 방법은, 한 화면에서 이동하는 방법 또는 팝업(Pop-up) 화면으로 표시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user clicks on the banner content,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30 displays a site for checking the content of the banner content in detail or participating in an event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As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it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such as moving on one screen or displaying on a pop-up screen.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접속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7 to 11 illustrate examples of access screen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6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2)가 존재하며,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컨텐츠 이용을 위한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 접속하고, 이때 사이트의 접속 화면(100)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7, a display unit 32 of a user terminal exists, and users access a service providing site for using content in order to use the content, and the access screen 100 of the site is displayed.

사이트의 접속 화면(100)에는,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이 포함되어 있다. 제1 영역(110)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된다.The site access screen 100 includes a first region 110 and a second region 12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rea 110 refers to an area where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to the user is displayed, and a list of banner contents is display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영역(120)은 제1 영역(110)과 인접한 어느 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제1 영역(110)과 인접한 부분이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20)은 어떤 위치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As can be seen in FIG. 7, the second region 120 may be any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110. If the portion is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110, the second region 120 may be any position as shown in FIG.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표시되는 개략적인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FIG. 8 illustrates schematic content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2)에 디스플레이된 접속 화면(100)을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의 리스트(C1 내지 CN)가 표시된 제1 영역(110)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영역(120)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e access screen 1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y check the first area 110 in which the list of contents C1 to CN is displayed, and the second area 120 may be confirmed. have.

제2 영역에는, “컨텐츠 리스트 보기”라는 선택 메뉴(121)와 함께, 배너 1 내지 3의 리스트(12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배너 1 내지 3의 리스트(122) 중 어느 한 리스트 정보를 선택하여 배너 컨텐츠를 제1 영역(110)에 오버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컨텐츠 리스트 보기”라는 선택 메뉴(121)를 선택하여 다시 컨텐츠 리스트가 제1 영역(11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second area, the list 122 of the banners 1 to 3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election menu 121 of “view content lis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input means to select any one of the list information of the lists 122 of the banners 1 to 3 so that the banner contents can be overlaid on the first area 110, and select "view content list". By selecting the menu 121, the content list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110 again.

도 9를 참조하면,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된 화면의 예를 확인할 수 있다.9,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can be seen.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2)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 포털 사이트의 접속 화면(100)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e display unit 32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check the access screen 100 of the game portal site.

이때 제1 영역(110)에는, 각 장르별로 게임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제2 영역(120)에는, “xx 게임 전체 보기”로 표시되어 컨텐츠의 리스트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메뉴(121)가 포함되어 있다.In this case, a list of game contents for each genre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0. The second area 120 includes a selection menu 121 that is displayed as “view all xx games” so that a list of contents can be viewed.

또한 제2 영역(120)에는, 컨텐츠 리스트를 그룹화하거나 정렬할 수 있는 선택 메뉴(124)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가나다 순” 또는 “장르별”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컨텐츠의 리스트가 제1 영역(110)에 표시되는 형태를 변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rea 120 includes a selection menu 124 for grouping or sorting the content list.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menus in alphabetical order or genre to change the form in which the list of contents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0.

제2 영역(120)의 일부에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123)가 표시되어 있다.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123)에는, 사용자들이 배너 컨텐츠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 9에서의 “YY 온라인 2차 업뎃!”과 같은 문자 내용 또는 기타 이미지 정보가 리스트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A portion 123 of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second area 120. In the list 123 of the banner content, text content or other image information such as “YY Online Secondary Update!” In FIG. 9 may be displayed as list information so that users can roughly check the content of the banner content. .

도 10을 참조하면, 배너 컨텐츠가 제1 영역(110)에 표시된 예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n example of displaying banner content on the first area 110 may be confirmed.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2)를 통해 접속 화면(100)을 사용자가 확인 도중, 제2 영역(120)에서 컨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는 “xx 게임 전체 보기”의 선택 메뉴(121), 컨텐츠 리스트를 “가나다 순” 또는 “장르별”로 정렬할 수 있는 선택 메뉴(124) 이외에,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인 “YY 온라인 2차 업뎃”이라는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의 색이 변한 메뉴 이미지(123-1)가 표시된다.While the user checks the access screen 100 via the display unit 32 of the user terminal, the selection menu 121 of “view all xx games” and the content list “ In addition to the selection menu 124, which can be sorted alphabetically or by genre, if a selection menu called “YY Online Secondary Update”, which is a list of banner contents, is selected, the menu image in which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banner contents is changed in color. (123-1) is displayed.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중 어느 한 리스트 정보가 선택된 제1 영역(111)에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다. 배너 컨텐츠에는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세한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다.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11 in which any list information of the list of banner content is selected. As can be seen in FIG. 10, the banner content displays detailed banner content.

도 11은 도 10과는 다른 실시예에서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banner content is displayed in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of FIG. 10.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과 동일하게,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2)를 통해 접속 화면(100)을 사용자가 확인 도중, 제2 영역(120)에서 컨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는 “xx 게임 전체 보기”의 선택 메뉴(121), 컨텐츠 리스트를 “가나다 순” 또는 “장르별”로 정렬할 수 있는 선택 메뉴(124) 이외에,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인 “YY 온라인 2차 업뎃”이라는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의 색이 변한 메뉴 이미지(123-1)가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0, while the user checks the access screen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32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y view a list of contents in the second area 120. Selection menu 121, a selection menu 124 that allows the content list to be sorted by "in alphabetical order" or "by genre", a selection menu called "YY Online Secondary Update", which is a list of banner contents, is selected. The menu image 123-1 in which the color of the lis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banner content is changed is displayed.

도 11에서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하나 이상 존재한다. 즉, 제1 영역은 다시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112)과, 배너 컨텐츠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YY 온라인”이 속한 그룹인 “RPG” 게임 장르에 포함된 “BB 온라인, CC 퀘스트, DD 헌터, YY 온라인” 게임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113)으로 분할된다. In FIG. 11, at least on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exists. In other words, the first area is the area 112 wher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again, and “BB Online, CC Quest, and DD Hunter” included in the “RPG” game genre, which is a group to which “YY Online”, which corresponds to the banner content, belongs. , YY online ”game area is divided into an area 113 where a list of game contents is displayed.

즉, 제1 영역의 일부분에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며, 나머지 부분에는 배너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속한 그룹의 컨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것이다.That is, banner content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first area, and a list of content of a group to which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banner content belongs is displayed on the remaining part.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which is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a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terminal. Can be recorded.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Such a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executed by a computer so that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can be execu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ecute 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C, C ++, JAVA, or machine languag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processor (CPU). It may include (Code).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de may include a function code related to a function or the like that define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n execution procedure related control cod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code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 as to what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needed to cause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should be referenced at any location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processor of a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etc.,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code may be stored in a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e.g., a wired and / ) May be used to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related codes such as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should be transmitted or received during commun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The functional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code and code segment may be implement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computer that reads the recording medium and executes the program, Or may be easily modified or modified by the user.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Examples of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recording a program as described above include, for exampl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medi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may be distributed to a computer system connected via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case, an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at least on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nd transmit the result The receiving computer may als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In particula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service. It may be a storage medium (eg, a hard disk, etc.) included in an application provider server such as a hard disk or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itself.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mputer which can read th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ed the application which is the program for executing 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which concerns on eac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only general PCs, such as a desktop or a notebook, but also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ay be included, as well a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ll computing devices (Compu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for executing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se of a terminal, th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o a general PC and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synchronization progra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at least on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상기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Controlling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at the site i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an access screen to a site for us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Controlling to display a list of banner conten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s in a second region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region; And
And displaying, in the first area,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from among lis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Featuring online banner advertising display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의 상기 접속 화면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가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 수단이 위치한 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banner content,
Detecting a movement in the access screen of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And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controlling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input means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To display online banner a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후,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가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banner content,
After the controlling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if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out of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controlling to display the list of available contents in the first area again. How to display online banner a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중 일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에 연관된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banner content,
Controlling the banner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list of at least one content belonging to a content group including any one of the availabl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banner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a portion of the first region except for the region wher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Controlling to display the on-line banner advertis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의 모양, 크기 및 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banner conten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적어도 한 부분이 인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adjacent to each other.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상기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배너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
A content list displa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at the site i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a connection screen to a site for us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 banner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list information of banner content including content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 and banner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And
Displaying a list of the banner contents on a second region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region, and among the lis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banner contents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s list on the first region, And a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isplay of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중 일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배너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배너 컨텐츠에 연관된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The banner content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first area, and a part of the first area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is displayed, the content of any one of the available contents related to the banner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displaying the list of at least one content belonging to the content gro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의 모양, 크기 및 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적어도 한 부분이 인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adjacent to each other.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상기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와, 상기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배너 컨텐츠 관리부;
상기 접속 화면 내에서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 감지부;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입력 수단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입력 수단이 위치한 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
A content list displa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at the site i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a connection screen to a site for us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A banner content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list information of banner content including content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 and banner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An input means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in the access screen; And
The list of banner contents is displayed on a second area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area, and among the lis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And a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is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input means is detected,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컨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입력 수단의 위치가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제어부에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banner content display control unit,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input means is outside the area where the banner content list is displayed, sending a signal to the content list display control unit to control to display the list of the available content in the first area again. Ad display system.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이트로의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1 영역에, 상기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접속 화면 중 일부분인 제2 영역에, 상기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배너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배너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너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중,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된 리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배너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ntrolling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available at the site in a first area which is a part of an access screen to a site for us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Controlling to display a list of banner conten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the available contents in a second region which is a part of the access screen except for the first region; And
And displaying, in the first area, banner content corresponding to list information selected by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from among lis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banner content included in the banner content lis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an online banner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KR1020110105122A 2011-10-14 2011-10-14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KR201300403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22A KR20130040393A (en) 2011-10-14 2011-10-14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22A KR20130040393A (en) 2011-10-14 2011-10-14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93A true KR20130040393A (en) 2013-04-24

Family

ID=4844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122A KR20130040393A (en) 2011-10-14 2011-10-14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039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058B1 (en) 2022-11-16 2023-05-26 육은영 Announcing advertisement banner provision system for websi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058B1 (en) 2022-11-16 2023-05-26 육은영 Announcing advertisement banner provision system for websi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9370B1 (en) Mobile application generation
US9436767B2 (en) Serving content items based on device rotational orientation
US201003059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Managing and Monetizing Widgets in a Mobile Environment
US20120323704A1 (en) Enhanced world wide web-based communications
US20120260158A1 (en) Enhanced World Wide Web-Based Communications
US201002357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managing and monetizing widgets
US200701742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n electronic file management application
CN103477610A (en) Recommending mobile content by matching similar users
US2012015094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contextually-based media enhancement widget
CN108549567B (en) Animation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JP6059315B1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tribution device
CN102448029A (en) Mobile phone client for managing multi micro blog accounts and method
EP212020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advertising
US20160239171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6019193B1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tribution device
US20160274780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6679640B2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istribution device
JP6186457B2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istribution device
JP2017058643A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873865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a request for a media enhancement
KR20130040393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line banner advertisement
JP2017129752A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ntrol device
US873257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dia enhancement
JP6566915B2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distribution apparatus, and distribution method
JP6211041B2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tribu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