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373A -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373A
KR20130040373A KR1020110105094A KR20110105094A KR20130040373A KR 20130040373 A KR20130040373 A KR 20130040373A KR 1020110105094 A KR1020110105094 A KR 1020110105094A KR 20110105094 A KR20110105094 A KR 20110105094A KR 20130040373 A KR20130040373 A KR 20130040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formation
matching
clone
cl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한
양미예
원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듀스
박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듀스, 박수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듀스
Priority to KR102011010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0373A/ko
Publication of KR2013004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학 진학을 앞둔 고교생들(검사 대상자)이나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 자신의 적성, 인성 및 역량 등과 유사 동일한 성향을 나타내는 기존 검사자들을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클론들의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검사 대상자에게 서비스하는 데 적합한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적성 검사 및 수능 성적을 이용하여 추론한 지원 가능 대학의 계열 및 학과 정보를 제공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검사 대상자(진학 진로 대상자 또는 취업 진로 대상자)의 학업 관련 검사 정보 또는 취업 진로 관련 검사 정보와 기존 검사자들의 학업 관련 정보 또는 취업 관련 정보의 각 검사 항목별의 비교를 통해 다수의 클론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다수의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또는 취업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며,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진학 진로 대상자 또는 취업 진로 대상자들에게 보다 다각적이면서 실효적인 진학 진로 서비스 또는 취업 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OUNSELING APTITUDE BY USING CLONE MATCHING TECHNIQUE}
본 발명은 진로 적성 검사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학 진학을 앞둔 고교생들(검사 대상자)이나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검사 대상자) 자신의 적성, 인성 및 역량 등과 유사 동일한 성향을 나타내는 기존 회원들(기존 검사자들)을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클론들의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검사 대상자에게 서비스하는 데 적합한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진학을 앞둔 학생(예컨대, 고교생)들은 자신의 적성과 인성에 적합한 전공을 선택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진학 진로에서의 전공 선택 등은 학교에 소속된 진로 상담 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혹은 주변 지인들(가족, 친구 등)과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찬가지로, 취업을 준비 중인 학생(예컨대, 대학생)들은 자신의 전공, 적성과 인성 등에 적합한 기업을 지원하거나 혹은 지원한 기업의 직무를 선택하는 등의 결정을 해야 하는데, 취업 진로에서의 결정 등은 학교에 소속된 진로 상담 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혹은 주변 지인들(가족, 친구 등)과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혹은 각 기업에서의 기업 설명회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형적인 방식의 진학 진로 또는 취업 진로의 경우, 상담사가 알고 있는 정보나 상담사의 판단 능력 및 자질 등에 따라 그 상담 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진학 진로 또는 취업 진로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63641호(이하, 선행특허라 함)에서는 이용자에 대한 인성, 지능 및 적성 검사를 실시하고, 수능 성적을 입력하거나 혹은 수능 모의고사를 실시하며, 각종 검사 결과와 수능 성적에 의거하여 지원 가능 대학의 계열 및 학과 정보를 이용자에게 서비스하는 진학 진로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63641 (공개일 : 2000. 11. 06.)
일반적으로, 적성, 인성, 역량 등에서 유사 동일한 경향을 갖는 사람들은 대학에서 유사 관련성을 갖는 계열을 전공하거나 혹은 유사 관련성을 갖는 직업 또는 직무를 가질 가능성이 확률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적성, 인성, 역량 등에서 자신과 유사 동일한 경향을 갖는 선행 경험자들의 학업 관련 통계 정보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 정보를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만 있다면, 진학 진로 대상자 또는 취업 진로 대상자들에게 보다 다각적이면서 실효적인 진학 진로 서비스 또는 취업 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선행특허에 개시된 종래 방식은 인/적성 검사 및 수능 성적을 이용하여 추론한 지원 가능 대학의 계열 및 학과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선행 경험자들의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 기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도 개시도 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수집된 상기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과정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학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과, 수집된 상기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항목 평가 블록과,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클론 결정 블록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학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 블록과, 상기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수집된 상기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과정과, 매칭된 상기 다수의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와 취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과, 수집된 상기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항목 평가 블록과,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클론 결정 블록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 블록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수집된 상기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과정과, 매칭된 상기 다수의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와 취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과, 수집된 상기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항목 평가 블록과,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클론 결정 블록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 블록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검사 정보 또는 취업 진로 관련 검사 정보와 기존 검사자들의 학업 관련 정보 또는 취업 관련 정보의 각 검사 항목별의 비교를 통해 다수의 클론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다수의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또는 취업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며,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진학 진로 대상자 또는 취업 진로 대상자들에게 보다 다각적이면서 실효적인 진학 진로 서비스 또는 취업 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로 적성 검사 장치를 적용하는 데 적합한 진로 적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론 결정 블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클론을 결정하는 검사 로직의 개념도,
도 5는 도 4의 검사 로직에 따라 클론을 결정할 때 각 검사 대상별의 상세 조건을 예시적으로 기재한 조건 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클론 결정 블록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클론을 결정하는 검사 로직의 개념도,
도 8은 도 7의 검사 로직에 따라 클론을 결정할 때 각 검사 대상별의 상세 조건을 예시적으로 기재한 조건 표,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클론 결정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클론을 결정하는 검사 로직의 개념도,
도 11은 도 10의 검사 로직에 따라 클론을 결정할 때 각 검사 대상별의 상세 조건을 예시적으로 기재한 조건 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학습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취업 준비도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진로 적성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인성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역량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
도 19a 및 19b는 본 발명에 따라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보여주는 다른 화면의 예시도,
도 20a 및 20b는 본 발명에 따라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보여주는 또 다른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인/적성 검사 및 수능 성적을 이용하여 추론한 지원 가능 대학의 계열 및 학과 정보를 제공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검사 대상자(진학 진로 대상자 또는 취업 진로 대상자)의 학업 관련 검사 정보 또는 취업 진로 관련 검사 정보와 기존 검사자(선행 경험자)들의 학업 관련 정보 또는 취업 관련 정보의 각 검사 항목별의 비교를 통해 다수의 클론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다수의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또는 취업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며,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 또는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목적으로 하는 바를 실현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업 관련 정보는, 예컨대 학교, 전공, 학업 활동, 학업 이외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학업 활동은, 예컨대 학점, 토익, 외국어 실력 등이 될 수 있고, 학업 이외 활동은, 예컨대 자격증, 인턴 경험, 해외 연수, 봉사활동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취업 관련 정보는, 예컨대 관심 기업, 지원 기업, 기업 합격 여부, 지원 직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로 적성 검사 장치를 적용하는 데 적합한 진로 적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계통도로써, 다수의 유선 클라이언트(102/1 - 102/n)로 된 유선 클라이언트 그룹(102), 다수의 무선 클라이언트(104/1 - 104/n)로 된 무선 클라이언트 그룹(104), 무선 통신망(106), 유선 통신망(108) 및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선 클라이언트 그룹(102) 내 각 유선 클라이언트(102/1 ?? 102/n)들은, 예컨대 전용선, ADSL, 모뎀 등과 같은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망(110)을 통해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유선 단말(예컨대, PC 시스템, 노트북, 넷북, 유선 통신 단말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각 유선 클라이언트들(102/1 - 102/n)은, 본 발명에 따라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가 온라인 제공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각 유선 클라이언트는 본 발명에 따른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검사 대상자(진학 진로 대상자 또는 취업 진로 대상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각 유선 클라이언트는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받았던 대학 또는 기업(사기업 또는 공기업)에 지원한 후 그 결과(합격 여부)를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에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해당 유선 클라이언트는 기존 검사자(또는 선행 경험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유선 클라이언트들(102/1 - 102/n)은 회원 정보(예컨대, 성명, 성별, 연령, 자택 주소, 이메일 주소, 휴대폰번호, 취미, 관심사항 등)를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에 제공하여 이용자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학업 관련 정보(예컨대, 학교, 전공, 학업 활동, 학업 이외 활동 등), 취업 관련 정보(예컨대, 관심 기업, 지원 기업, 기업 합격 여부, 지원 직무 등), 취업 준비도 검사(ABT) 정보, 진로 적성 검사(BNT)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SVLT) 정보, 인성 검사(PT) 정보, 역량 검사(KT) 정보 등을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에 제공하여 등록(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취업 준비도 검사, 진로 적성 검사, 학업 성취도 검사, 인성 검사, 역량 검사 각각은 수십 내지 수백 개의 검사 문항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용자 회원들은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가 제공하는 각 검사 항목별의 입력 화면을 통해 각 검사 문항별의 질의에 답하는 방식으로 관련 검사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되는 이용자 회원들의 관련 검사 정보는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또는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성 검사는 개인적 인성, 타인적 인성, 환경적 인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역량 검사는 핵심 역량 및 중요 역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에, 무선 클라이언트 그룹(104) 내 각 무선 클라이언트(104/1 ?? 104/n)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무선의 휴대 단말들(예컨대, 휴대폰, PDA폰, DMB폰, PMP, HSDPA폰, 스마트폰, 아이패드, 태플릿 PC, 넷북, 노트북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각 무선 클라이언트들(104/1 - 104/n)은, 무선 통신망(106)과 유선 통신망(108)을 경유하는 접속 경로를 통해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함으로써, 유선 클라이언트들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라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가 온라인 서비스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각 무선 클라이언트(104/1 - 104/n)는, 상술한 각 유선 클라이언트(102/1 - 102/n)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검사 대상자 또는 기존 검사자(선행 경험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망(106)은, 예컨대 2세대(2G) 통신망, 3세대(3G) 통신망, 4세대(4G) 통신망, 5세대(5G)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망(108)은 유선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는, 본 발명에 따라 각 클라이언트(유선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들에게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진로 적성 검사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로 적성 검사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크게 구분해 볼 때, 인터페이스 블록(210), 검사 실행 모듈(220), 데이터베이스 모듈(2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검사 실행 모듈(220)은 서비스 관리 블록(221),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222), 항목 평가 블록(223), 클론 결정 블록(224), 통계 산출 블록(225),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 및 코멘트 생성 블록(227)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모듈(230)은 회원 정보 DB(232) 및 기존 검사자 DB(2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블록(221)은 유선 통신망(108) 또는 무선 통신망(106)과 유선 통신망(108)을 통해 각 클라이언트(유선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 정보와 함께 회원 등록 요청이 있을 때 관련 회원 정보를 회원 정보 DB(231)에 저장하여 이용자 회원으로 등록하고, 이용자 회원(검사 대상자 또는 기존 검사자)이 각 검사 문항별의 질의에 답하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검사 관련 정보들, 학업 관련 정보들, 취업 진로 관련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 모듈(230) 내 회원 정보 DB(232) 및 기존 검사자 DB(234)에 저장(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블록(221)은 회원 정보 DB(232)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이용자 회원들의 로그인을 수행하고, 해당 클라이언트(검사 대상자 또는 기존 검사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진로 적성 검사에 필요한 항목 등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인출하여 인터페이스 블록(21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대상자 수집 블록(222)은 검사 대상자(진학 진로 대상자 또는 취업 진로 대상자)가 진로 적성 검사를 요청할 때, 회원 정보 DB(232)로부터 진로 적성 검사에 필요한 해당 검사 대상자의 검사 대상 정보를 수집(또는 인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검사 대상 정보는 제 1 서비스 모델일 때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포함하고, 제 2 서비스 모델일 때 학업 관련 정보(예컨대, 학교, 전공 등),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포함하며, 제 3 서비스 모델일 때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서비스 모델은 대학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모델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서비스 모델은 미래의 취업을 고려하는 대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모델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 3 서비스 모델은 현재의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항목 평가 블록(223)은 검사 대상자의 각 검사 정보들에 대한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수준)을 각각 산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 검사 항목별의 레벨은 이용자 회원이 각 검사별(예컨대, 취업 준비도 검사, 진로 적성 검사, 학업 성취도 검사, 인성 검사, 역량 검사 등) 복수의 설문 문항에 응답을 하게 되면 각 검사 항목별로 점수를 합산한 원점수가 산출되는데, 레벨을 상/중/하로 표현할 경우, 기존 검사자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원점수를 백분위 점수로 환산할 때, 예컨대 0 - 20%를 "하"로, 21 - 80%를 "중"으로, 81 - 100%를 "상"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각 검사 항목별로 레벨을 산출할 수 있고, 레벨을 높음/낮음으로 표현할 경우, 백분위 점수로 환산할 때, 예컨대 51 - 100%를 "높음"으로, 0 - 50%를 "낮음"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각 검사 항목별로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클론 결정 블록(224)은 기존 검사자 DB(234)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항목 평가 블록(223)을 통해 산출된 검사 대상자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각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클론 결정 블록(224)은, 검사 대상자가 검사 요청한 서비스가 제 1 서비스 모델일 때,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고, 검사 대상자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M(M은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으로 추출하는데, 이를 위하여 클론 결정 블록(224)은,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N을 300명 이상, M을 200명 이상(300명 이하), L을 100명 이상(200명 이하)으로 각각 설정하는 방식을 적용하거나 혹은 N, M, L 모두를 동일한 수(예컨대, 100명, 150명, 200명, 250명, 300명 등) 이상으로 설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론 결정 블록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진로 적성 매칭 블록(302), 학업 성취도 매칭 블록(304) 및 인성 매칭 블록(3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로 적성 매칭 블록(302)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여 학업 성취도 매칭 블록(3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학업 성취도 매칭 블록(304)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M(M은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여 인성 매칭 블록(3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인성 매칭 블록(306)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L(L은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다수의 클론으로 최종 추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클론을 결정하는 검사 로직의 개념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진로 적성 검사의 매칭 조건을 300명 이상으로, 학업 성취도 검사의 매칭 조건을 200명 이상(300명 이하)으로, 인성 검사의 매칭 조건을 100명 이상(200명 이하)으로 설정한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로 적성 매칭 블록(302)에서는 매칭되는 제 1 후보 클론의 수가 300명 이상이 될 때까지 BNT1 조건의 매칭, BNT2 조건의 매칭, BNT3 조건의 매칭, BN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300명 이상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학업 성취도 매칭 블록(304)으로 통지(제 1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BNT1 내지 BN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5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학업 성취도 매칭 블록(304)에서는 매칭되는 제 2 후보 클론의 수가 200명 이상(300명 이하)이 될 때까지 SVLT1 조건의 매칭, SVLT2 조건의 매칭, SVLT3 조건의 매칭, SVL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200명 이상(300명 이하)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인성 매칭 블록(306)으로 통지(제 2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SVLT1 내지 SVL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5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성 매칭 블록(306)에서는 매칭되는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의 수가 100명 이상(200명 이하)이 될 때까지 PT1 조건의 매칭, PT2 조건의 매칭, PT3 조건의 매칭, P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100명 이상(200명 이하)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도 2의 통계 산출 블록(225)으로 통지(다수 클론의 추출 완료 통지)한다. 여기에서, PT1 내지 P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5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후보 클론, 제 2 후보 클론 및 다수의 클론을 추출하기 위한 매칭 순서를 진로 적성 검사 정보의 매칭,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의 매칭 및 인성 검사 정보의 매칭의 순으로 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사 대상자가 각 검사 대상 정보들의 매칭 순서를 임의적으로 선택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클론 결정 블록(224)은, 검사 대상자가 검사 요청한 서비스가 제 2 서비스 모델일 때,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예컨대, 학교, 전공 등)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학업 관련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고,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M(M은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고,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K(K는 상기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으로 추출하는데, 이를 위하여 클론 결정 블록(224)은, 일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예로서, N을 400명 이상, M을 300명 이상(400명 이하), L을 200명 이상(300명 이하), K를 100명 이상(200명 이하)으로 각각 설정하는 방식을 적용하거나 혹은 N, M, L, K 모두를 동일한 수(예컨대, 100명, 150명, 200명, 250명, 300명 등) 이상으로 설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클론 결정 블록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학업 매칭 블록(602), 진로 적성 매칭 블록(604), 인성 매칭 블록(606) 및 역량 매칭 블록(6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학업 매칭 블록(602)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예컨대, 학교, 전공 등)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학업 관련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여 진로 적성 매칭 블록(6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진로 적성 매칭 블록(604)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M(M은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여 인성 매칭 블록(6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인성 매칭 블록(606)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L(L은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클론으로 추출하여 역량 매칭 블록(608)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역량 매칭 블록(608)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K(K은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으로 추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클론을 결정하는 검사 로직의 개념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학교 매칭 조건을 500명 이상으로, 전공 매칭 조건을 400명 이상(500명 이하)으로, 진로 적성 검사의 매칭 조건을 300명 이상(400명 이하)으로, 인성 검사의 매칭 조건을 200명 이상(300명 이하)으로, 역량 검사의 매칭 조건을 100명 이상(200명 이하)으로 설정한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학업 매칭 블록(602)에서는 예비 후보 클론의 수가 500명 이상이 될 때까지 학교1 조건의 매칭, 학교2 조건의 매칭, 학교3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고, 학교 매칭 조건(즉, 500명 이상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제 1 후보 클론의 수가 400명 이상이 될 때까지 전공1 조건의 매칭, 전공2 조건의 매칭, 전공3 조건의 매칭, 전공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400명 이상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진로 적성 매칭 블록(604)으로 통지(제 1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학교1 내지 학교3 및 전공1 내지 전공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8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진로 적성 매칭 블록(604)에서는 매칭되는 제 2 후보 클론의 수가 300명 이상이 될 때까지 BNT1 조건의 매칭, BNT2 조건의 매칭, BNT3 조건의 매칭, BN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300명 이상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인성 매칭 블록(606)으로 통지(제 2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BNT1 내지 BN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8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성 매칭 블록(606)에서는 매칭되는 제 3 후보 클론의 수가 200명 이상(300명 이하)이 될 때까지 PT1 조건의 매칭, PT2 조건의 매칭, PT3 조건의 매칭, P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200명 이상(300명 이하)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역량 매칭 블록(608)으로 통지(제 3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PT1 내지 P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8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역량 매칭 블록(608)에서는 매칭되는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의 수가 100명 이상(200명 이하)이 될 때까지 KT1 조건의 매칭, KT2 조건의 매칭, KT3 조건의 매칭, K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100명 이상(200명 이하)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도 2의 통계 산출 블록(225)으로 통지(다수 클론의 추출 완료 통지)한다. 여기에서, KT1 내지 K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8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후보 클론, 제 2 후보 클론, 제 3 후보 클론 및 다수의 클론을 추출하기 위한 매칭 순서를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의 매칭, 인성 검사 정보의 매칭 및 역량 검사 정보의 매칭의 순으로 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사 대상자가 각 검사 대상 정보들의 매칭 순서를 임의적으로 선택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클론 결정 블록(224)은, 검사 대상자가 검사 요청한 서비스가 제 3 서비스 모델일 때,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고,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M(M은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고,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K(K는 상기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으로 추출하는데, 이를 위하여 클론 결정 블록(224)은, 일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예로서, N을 400명 이상, M을 300명 이상(400명 이하), L을 200명 이상(300명 이하), K를 100명 이상(200명 이하)으로 각각 설정하는 방식을 적용하거나 혹은 N, M, L, K 모두를 동일한 수(예컨대, 100명, 150명, 200명, 250명, 300명 등) 이상으로 설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클론 결정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취업 준비도 매칭 블록(902), 진로 적성 매칭 블록(904), 인성 매칭 블록(906) 및 역량 매칭 블록(9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취업 준비도 매칭 블록(902)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여 진로 적성 매칭 블록(90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진로 적성 매칭 블록(904)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M(M은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여 인성 매칭 블록(906)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인성 매칭 블록(906)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L(L은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클론으로 추출하여 역량 매칭 블록(908)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역량 매칭 블록(908)은 회원 정보 DB(232)와 기존 검사자 DB(234)를 탐색하여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K(K은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으로 추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클론을 결정하는 검사 로직의 개념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취업 준비도 매칭 조건을 400명 이상으로, 진로 적성 검사의 매칭 조건을 300명 이상(400명 이하)으로, 인성 검사의 매칭 조건을 200명 이상(300명 이하)으로, 역량 검사의 매칭 조건을 100명 이상(200명 이하)으로 설정한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취업 준비도 블록(902)에서는 제 1 후보 클론의 수가 400명 이상이 될 때까지 학교1 내지 학교 3의 조건 매칭, 전공1 내지 전공4의 조건 매칭, 학점1 내지 학점3의 조건 매칭, 토익1 내지 토익3의 조건 매칭, OPIC/토스1 내지 OPIC/토스3의 조건 매칭, 기타 스펙1 내지 기타 스펙3의 조건 매칭, 취업 준비도1 내지 취업 준비도3의 조건 매칭, 취업 마인드1 내지 취업 마인드3의 조건 매칭을 순차적으로 선택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400명 이상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진로 적성 매칭 블록(904)으로 통지(제 1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학교1 내지 학교 3, 전공1 내지 전공4, 학점1 내지 학점3, 토익1 내지 토익3, OPIC/토스1 내지 OPIC/토스3, 기타 스펙1 내지 기타 스펙3, 취업 준비도1 내지 취업 준비도3, 취업 마인드1 내지 취업 마인드3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11a 및 11b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진로 적성 매칭 블록(904)에서는 매칭되는 제 2 후보 클론의 수가 300명 이상이 될 때까지 BNT1 조건의 매칭, BNT2 조건의 매칭, BNT3 조건의 매칭, BN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300명 이상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인성 매칭 블록(906)으로 통지(제 2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BNT1 내지 BN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11c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성 매칭 블록(906)에서는 매칭되는 제 3 후보 클론의 수가 200명 이상(300명 이하)이 될 때까지 PT1 조건의 매칭, PT2 조건의 매칭, PT3 조건의 매칭, P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200명 이상(300명 이하)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역량 매칭 블록(908)으로 통지(제 3 후보 클론의 추출 통지)한다. 여기에서, PT1 내지 P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11c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역량 매칭 블록(908)에서는 매칭되는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의 수가 100명 이상(200명 이하)이 될 때까지 KT1 조건의 매칭, KT2 조건의 매칭, KT3 조건의 매칭, KT4 조건의 매칭을 선택적으로 순차 실행하는데, 매칭 조건(즉, 100명 이상(200명 이하)의 클론이 매칭되는 조건)이 성립될 때 이를 도 2의 통계 산출 블록(225)으로 통지(다수 클론의 추출 완료 통지)한다. 여기에서, KT1 내지 KT4의 각 조건은, 일예로서 도 11c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후보 클론, 제 2 후보 클론, 제 3 후보 클론 및 다수의 클론을 추출하기 위한 매칭 순서를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의 매칭, 인성 검사 정보의 매칭 및 역량 검사 정보의 매칭의 순으로 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사 대상자가 각 검사 대상 정보들의 매칭 순서를 임의적으로 선택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통계 산출 블록(225)은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또는 취업 관련 정보를 기존 검사자 DB(234)로부터 인출하여 학업 관련 통계 및/또는 취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서비스 모델일 때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인출하여 학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고, 제 2 서비스 모델일 때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의 학업 관련 정보(예컨대, 학교, 전공 등),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인출하여 학업 관련 통계 및 취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며, 제 3 서비스 모델일 때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인출하여 취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되는 학업 관련 통계 및/또는 취업 관련 통계를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으로 전달한다.
다음에,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에서는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 및/또는 취업 관련 통계를, 일예로서 도 18 내지 도 2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 재구성(또는 편집)하여 해당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코멘트 생성 블록(227)은 클론 매칭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검사 대상자의 학업 진로에 필요로 할 수 있는 코멘트를 생성하거나 혹은 검사 대상자의 취업 진로에 필요로 할 수 있는 코멘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생성되는 코멘트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으로 전달되어 클론 매칭 결과 정보에 포함되어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진로 적성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들에게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학습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검사 대상자(진학 진로 대상자)가 로그인을 통해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한 후(단계 1202),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요청하면,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222)에서는 검사 대상자의 정보(검사 정보)를 수집, 즉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회원 정보 DB(232)로부터 순차 인출하여 항목 평가 블록(223)으로 전달한다(단계 1204).
이에 응답하여, 항목 평가 블록(223)에서는 각 검사 정보들에 대한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수준)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검사 대상자의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 값들을 클론 결정 블록(224)으로 전달한다(단계 1206). 여기에서 각 검사 항목별의 레벨은 각 검사 항목별로 점수를 합산한 원점수를 산출한 후, 기존 검사자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원점수를 백분위 점수로 환산하고, 0 - 20%를 "하"로, 21 - 80%를 "중"으로, 81 - 100%를 "상"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에, 클론 결정 블록(224)에서는,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검사 로직에서와 같이,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간의 매칭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기 설정된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을 추출하며(단계 1208), 그 추출 결과를 통계 산출 블록(225)으로 전달한다.
이어서, 통계 산출 블록(225)에서는 추출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를 기존 검사자 DB(234)로부터 인출(획득)하고(단계 1210), 이 인출된 각 클론들의 학업 관련 정보들에 기반하여 학업 관련 통계를 산출한다(단계 1212).
이후,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으로 전달되는데,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에서는 전달된 학업 관련 통계를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 재구성(또는 편집)하여 해당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전송)한다(단계 1214). 따라서, 검사 대상자(진학 진로 대상자)는 자신과 적성, 학업 성취도, 인성 등에서 유사 동일한 경향을 갖는 사람들의 진학 진로 현황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자신의 진학 진로에 바람직한 참고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검사 대상자(취업 진로 대상자)가 로그인을 통해 진로 적성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한 후(단계 1302), 진로 적성 검사 서비스를 요청하면,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222)에서는 검사 대상자의 정보(검사 정보)를 수집, 즉 학업 관련 정보(또는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 제 3 서비스 모델일 때),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회원 정보 DB(232)로부터 순차 인출하여 항목 평가 블록(223)으로 전달한다(단계 1304).
여기에서,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는, 일예로서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검사 결과 정보로서 각 검사 대상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취업 준비도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진로 적성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인성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역량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에 응답하여, 항목 평가 블록(223)에서는 각 검사 정보들에 대한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수준)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검사 대상자의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 값들을 클론 결정 블록(224)으로 전달한다(단계 1306). 여기에서 각 검사 항목별의 레벨은 각 검사 항목별로 점수를 합산한 원점수를 산출한 후, 기존 검사자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원점수를 백분위 점수로 환산하고, 0 - 20%를 "하"로, 21 - 80%를 "중"으로, 81 - 100%를 "상"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에, 클론 결정 블록(224)에서는, 제 2 서비스 모델일 때, 일예로서 도 7에 도시된 검사 로직에서와 같이, 검사 대상자의 학교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학교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전공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전공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간의 매칭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거나 혹은 제 3 서비스 모델일 때, 일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검사 로직에서와 같이,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간의 매칭,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추출된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간의 매칭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서, 기 설정된 다수의 클론(최종 매칭 클론)을 추출하며(단계 1308), 그 추출 결과를 통계 산출 블록(225)으로 전달한다.
이어서, 통계 산출 블록(225)에서는 추출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와 취업 관련 정보(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역량 검사 정보)를 기존 검사자 DB(234)로부터 인출(획득)하고(단계 1310), 이 인출된 각 클론들의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들에 기반하여 학업 관련 통계 및 취업 관련 통계를 산출한다(단계 1312).
이후,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 및 취업 관련 통계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으로 전달되는데, 매칭 결과 관리 블록(226)에서는 전달된 학업 관련 통계 및 취업 관련 통계를, 일예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 재구성(또는 편집)하여 해당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전송)한다(단계 1314). 따라서, 검사 대상자(진학 진로 대상자)는 자신과 취업 준비도, 적성, 인성, 역량 등에서 유사 동일한 경향을 갖는 사람들의 취업 진로 현황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자신의 취업 진로에 바람직한 참고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2 및 제 3 서비스 모델을 실행할 때, 클론 매칭 결과 정보를, 일예로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데, 도 19a 및 19b는 본 발명에 따라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보여주는 다른 화면의 예시도로서 대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이고, 도 20a 및 20b는 본 발명에 따라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서 보여주는 또 다른 화면의 예시도로서 대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진로 적성 검사 방법은 컴퓨터(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와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 등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10 : 인터페이스 블록 220 : 검사 실행 모듈
221 : 서비스 관리 블록 222 :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
223 : 항목 평가 블록 224 : 클론 결정 블록
225 : 통계 산출 블록 226 : 매칭 결과 관리 블록
227 : 코멘트 산출 블록 230 : 데이터베이스 모듈
302, 604, 904 : 진로 적성 매칭 블록
304 : 학업 성취도 매칭 블록 306, 606, 906 : 인성 매칭 블록
602 : 학업 매칭 블록 608, 908 : 역량 매칭 블록
902 : 취업 준비도 매칭 블록

Claims (15)

  1.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수집된 상기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과정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학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과정은,
    상기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와 상기 제 1 후보 클론들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M(M은 상기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상기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상기 다수의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보 클론, 제 2 후보 클론 및 다수의 클론의 추출을 위한 각 매칭 대상 정보인 상기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의 매칭 순서는 상기 검사 대상자에 의해 선택 변경 가능한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4.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과,
    수집된 상기 진로 적성 검사 정보,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 및 인성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항목 평가 블록과,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클론 결정 블록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학업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 블록과,
    상기 산출된 학업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론 결정 블록은,
    상기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진로 적성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와 상기 제 1 후보 클론들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M(M은 상기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학업 성취도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상기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상기 다수의 클론으로 추출하는 인성 매칭 블록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
  6.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수집된 상기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과정과,
    매칭된 상기 다수의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와 취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과정은,
    상기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학업 관련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M(M은 상기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상기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상기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K(K는 상기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상기 다수의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보 클론, 제 2 후보 클론, 제 3 후보 클론 및 다수의 클론의 추출을 위한 각 매칭 대상 정보인 상기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의 매칭 순서는 상기 검사 대상자에 의해 선택 변경 가능한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9.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과,
    수집된 상기 학업 관련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항목 평가 블록과,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클론 결정 블록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 블록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론 결정 블록은,
    상기 검사 대상자의 학업 관련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학업 관련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학업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M(M은 상기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진로 적성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상기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인성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상기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K(K는 상기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상기 다수의 클론으로 추출하는 역량 매칭 블록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
  11.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수집된 상기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과정과,
    매칭된 상기 다수의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와 취업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과정은,
    상기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M(M은 상기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상기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상기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K(K는 상기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상기 다수의 클론으로 추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보 클론, 제 2 후보 클론, 제 3 후보 클론 및 다수의 클론의 추출을 위한 각 매칭 대상 정보인 상기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의 매칭 순서는 상기 검사 대상자에 의해 선택 변경 가능한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14.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자 정보 수집 블록과,
    수집된 상기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 진로 적성 검사 정보, 인성 검사 정보 및 역량 검사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각 검사 항목별의 평가 점수 및 레벨을 산출하는 항목 평가 블록과,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에 대한 평가 점수 및 레벨과 상기 산출된 평가 점수 및 레벨을 검사 항목별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 중 기 설정된 수의 기존 검사자들을 상기 검사 대상자에 대한 다수의 클론으로 매칭시키는 클론 결정 블록과,
    매칭된 다수의 각 클론들에 대한 학업 관련 정보 및 취업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 블록과,
    상기 산출된 취업 진로 관련 통계를 클론 매칭 결과 정보로써 상기 검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매칭 결과 관리 블록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론 결정 블록은,
    상기 검사 대상자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와 다수의 기존 검사자들의 취업 준비도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N수의 기존 검사자를 제 1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취업 준비도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와 제 1 후보 클론들의 진로 적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M(M은 상기 N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1 후보 클론을 제 2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진로 적성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인성 검사 정보와 상기 제 2 후보 클론들의 인성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L(L은 상기 M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2 후보 클론을 제 3 후보 클론으로 추출하는 인성 매칭 블록과,
    상기 검사 대상자의 역량 검사 정보와 상기 제 3 후보 클론들의 역량 검사 정보를 매칭시켜 기 설정된 K(K는 상기 L보다 적어도 작은 정수)수의 제 3 후보 클론을 상기 다수의 클론으로 추출하는 역량 매칭 블록
    을 포함하는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장치.
KR1020110105094A 2011-10-14 2011-10-14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0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94A KR20130040373A (ko) 2011-10-14 2011-10-14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94A KR20130040373A (ko) 2011-10-14 2011-10-14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73A true KR20130040373A (ko) 2013-04-24

Family

ID=4844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094A KR20130040373A (ko) 2011-10-14 2011-10-14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037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408A1 (ko) * 2014-03-28 2015-10-01 (주)에이치씨컨설팅 매칭을 이용한 진로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N107516283A (zh) * 2016-06-16 2017-12-26 柳荣奎 学习课程的匹配系统及方法
WO2018136883A3 (en) * 2017-01-23 2018-08-30 Wisys Technology Foundation, Inc. System for interest aligned educational degree planning
KR20210001702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자 성향 교정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01700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01701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자 성향 교정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01703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자 성향 교정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78981A (ko) * 2019-12-19 2021-06-29 (주)사람인에이치알 내준적 인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7379B1 (ko) * 2022-04-26 2023-02-08 주식회사 이니스트 추천 진로 및 맞춤형 커리어 트랙을 기반으로 취업 정보를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KR20230151827A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이니스트 역량 평가를 기초로 개인 맞춤형 전공 트랙을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408A1 (ko) * 2014-03-28 2015-10-01 (주)에이치씨컨설팅 매칭을 이용한 진로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N107516283A (zh) * 2016-06-16 2017-12-26 柳荣奎 学习课程的匹配系统及方法
WO2018136883A3 (en) * 2017-01-23 2018-08-30 Wisys Technology Foundation, Inc. System for interest aligned educational degree planning
KR20210001702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자 성향 교정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01700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01701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자 성향 교정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01703A (ko) 2019-06-28 2021-01-06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학습자 성향 교정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078981A (ko) * 2019-12-19 2021-06-29 (주)사람인에이치알 내준적 인적성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7379B1 (ko) * 2022-04-26 2023-02-08 주식회사 이니스트 추천 진로 및 맞춤형 커리어 트랙을 기반으로 취업 정보를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KR20230151827A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이니스트 역량 평가를 기초로 개인 맞춤형 전공 트랙을 제공하는 학생 종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학생 종합 관리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0373A (ko) 클론 매칭 기법을 이용한 진로 적성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Joseph et al. The theory evaluation scale: An epistemological tool for analyzing social work theories
CN106355530A (zh) 一种高考志愿填报自动化分析与决策方法
Edwin et al.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aspirations
KR20160109575A (ko) 진로 멘토링 방법 및 장치
Mazzucca et al. Assessing organizational supports for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in local public health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new measure
Rahim et al. Software engineering practices and challenges in Bangladesh: A preliminary survey
Easley et al. Perceived quality factors in higher education
Panayiotou et al. Testing the validity of the dynamic model at school level: A European study
Connolly et al. 'Supranationalism'in question: Beliefs, values, and the socializing power of the European Commission revisited
Vila et al. Multidimensional social capital in new ventures
Man et al. Implementing and evaluating co-design
KR101278693B1 (ko) 합격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1804138B1 (ko) 진로 체험 프로그램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Szyjewski et al. A study on existing and actually used capabilities of mobile phones technologies
KR101170999B1 (ko)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CN111105198A (zh) 一种基于网络的即时问答平台系统
Hadiwiyanti et al. Evaluation of Campus Even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ing System Usability Scale Method
Avci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mpetency and workplace social networking on hotel employees’ career success
Hampden-Thompson et al. Post-16 physics and chemistry uptake: combining large-scale secondary analysis with in-depth qualitative methods
Ribeiro et al. The 4 C’s Tourism Destination Competitiveness Matrix Validation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Coefficient
CN114817699A (zh) 一种实时精准择校方法及系统
Keller-Margulis et al.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An examination of computer-adaptive measures an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JP2016153833A (ja) 性格評価支援システム及び採用試験システム
Rācene et al. Internet tools as a kind of career e-guid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