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430A -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430A
KR20130039430A KR1020110103966A KR20110103966A KR20130039430A KR 20130039430 A KR20130039430 A KR 20130039430A KR 1020110103966 A KR1020110103966 A KR 1020110103966A KR 20110103966 A KR20110103966 A KR 20110103966A KR 20130039430 A KR20130039430 A KR 20130039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map
area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서
Original Assignee
(주)다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음소프트 filed Critical (주)다음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03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430A/ko
Publication of KR2013003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만 하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영역의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기술적 구성은 사용자의 지도 검색, 이동, 확대, 축소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출력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서버의 출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 및 통신부를 통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출력부의 특정 영역에 영역정보 추출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도를 축소, 확대, 이동시킨 지도의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에 상기 사용자의 검색에 해당하는 특정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출력부, 영역정보 추출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REG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본 출원은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행정구역 및 내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만 하면, 그 영역 내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지도(Digital Map, 電子地圖)는 디지털 정보를 토대로 하여 작성된 지도로써, 종래의 종이지도를 컴퓨터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로 표현한 것을 일컬으며, 종이지도보다 훨씬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갖가지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지리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전자지도에서 지리정보 시스템을 적용하면 위도, 경도, 주소 등의 위치 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또, 인터넷 통신기술과 결합시키면 지도 정보를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건물이나 도로 정보에 변동이 있을 때에는, 그 변경 내용을 지도에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고, 국가 또는 지방 행정기관이 도시 계획을 하거나 재해 대책을 마련하는 데 활용 가치가 높고, 고객의 속성이나 지리적 분포 등을 분석하는 마케팅 수단으로서도 이용가치가 높고, GPS(위성항법장치) 기능을 탑재한 휴대폰으로 현재 자기가 있는 위치를 지도에 나타낼 수도 있다.
전자지도는 축적률에 따라 계층적으로 지리정보를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는데, 축적률이 큰 상위레벨과 축적률이 작은 하위레벨이 서로 계층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레벨의 단위지도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지도는 차량항법기능 또는 인터넷 지도검색기능 등으로 이용되는데, 차량항법기능은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고, 차량의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면서 목적지로 차량을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인터넷 지도검색기능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행정구역에 의한 지도검색기능, 전자전화번호부 및 주소와의 연동에 의한 상호/업종 검색 및 검색 결과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그 중 인터넷 지도검색기능은 전자지도와 상호/업종 검색, 검색결과의 지도상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이며, 그 적용 모델은 전자 전화번호부와 연계한 개별 상호들의 위치표시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 정보에 따른 상호 검색이나 지역에 따른 상호의 개별적인 검색에 한정되어 있고, 검색된 상호들을 동일 지역의 전자지도상에 출력하는 기능에 제약이 있어 이러한 제약을 개선한 기술이 특허공개공보 10-2001-010314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창을 이용하여 검색 대상 지역을 선택하는 화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검색 지역 출력 및 거리/업종 선택을 나타낸 화면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업종검색에 따른 상호가 전자지도상에 출력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1, 2,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검색 대상 지역(서초구)을 입력하고, 찾기 레이어를 클릭하면, 업종별로 상호 출력에 사용되는 클릭 레이어 및 반경거리/업종 선택기능이 출력된다.
대상 지역, 업종이 입력되면, 검색 지역 출력 및 반경 거리, 업종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도시되고, 예를 들면 약국을 검색했다고 하면, 지도상에 앵커(Anchor)로서 강조 표시되고, 가장 가까운 상호를 추출해서 도시하거나 상세 주소를 원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최근 출시된 프로그램인 윙스푼(Wingspoon)은 전국의 맛집과 평가, 리뷰, 이미지 정보 등을 제공하는 인터넷, 모바일의 맛집 검색 프로그램으로써, 전국 각지의 내 손안의 인기 맛집, 생생 평가, 리뷰, 사진 정보라는 주제로 다양한 맛집을 소개해주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이라 칭함)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윙스푼의 초기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윙스푼에서 서울지역이 선택된 화면이며,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윙스푼에서 서울지역의 사당동이 선택된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내에서는 윙스푼이라는 앱을 구동시키면, 초기 화면으로 각각의 도별로 맛집을 구분해놓고, 이런 도별로 맛집을 선택하라는 화면이 실행된다.
여기서, 우측 상단에 위치한 닫기를 선택하면, 전국 맛집에 소개된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의 맛집이 아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 지역의 맛집을 선택하라는 화면이 실행되며, 이에 강남 맛집을 선택하면, 가나다순으로 정렬된 행정구역 및 유명한 거리명으로 구분되어 정렬된다.
그리고 나서, 사당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맛집과 뜨는 맛집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구분이 없는 전체 맛집이 왼쪽 탭(Tab)에 정렬되는데, 이 화면에서 하나의 식당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식당의 위치 정보, 주차 정보, 리뷰 정보 등이 검색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와 최근 개시된 기술들은 행정 구역별로 나뉘어 검색하도록 이루어졌기 때문에, 홍대와 신촌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홍대를 갈 수도 있고, 신촌을 갈 수도 있는 경우에, 홍대와 신촌을 각각 검색하여야 하기 때문에, 속도가 유선으로 연결된 PC 보다 현저히 느린 모바일에서는 검색을 두 번 이상 실시하므로, 2 배 이상의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야 했고, 내 위치를 주변으로 검색하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를 검색하고자 할 때, 다시 위와 같은 경로를 거쳐 행정 구역별로 검색을 하게 되므로, 세 배 또는 네 배 이상의 시간과 데이터 비용이 소요되어 최악의 경우, 검색을 포기하게 만드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앱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앱의 평가에 있어서, 앱 자체뿐만 아니라, 앱을 구동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까지 낮게 평가되었으며, 내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1KM 에 대한 개념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내 주변을 중심으로 1KM가 어느 정도인지를 모른 채 검색하게 되므로, 검색을 실시했더라도, 1KM의 거리를 도보로 갈 수 있는 것인지, 또는 차량으로 이동해야하는지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검색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행정 구역에 구애받지 않고, 행정 구획의 중심에 있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만 하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영역의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하여 모바일 내에서 빠른 속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현재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를 검색하더라도, 행정 구역별로 검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를 축소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하고, 자세한 정보를 보고자 할 때에는 축소된 지도를 다시 확대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만 하면, 해당 영역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데이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데이터 송, 수신이 느린 모바일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 검색만으로도 해당 영역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앱의 평가에 있어서, 앱 자체뿐만 아니라, 앱을 구동하는 단말기의 성능까지 높게 평가될 수 있어, 본 기술을 채용하는 단말기의 신뢰도까지 높일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내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하는 경우, KM의 개념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설정한 경우 그 지역뿐만 아니라, 행정구역별로 뎁스(Depth)를 주어 그 주변위치도 검색가능하도록 구동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그 주변을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방향으로 뎁스(Depth)를 단계를 높게 설정하여, 이동하는 방향의 주변 영역이 더 넓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영역의 검색이 지능적으로 구현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실시예들 중에서, 사용자의 지도 검색, 이동, 확대, 축소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출력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서버의 출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 및 통신부를 통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출력부의 특정 영역에 영역정보 추출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도를 축소, 확대, 이동시킨 지도의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에 상기 사용자의 검색에 해당하는 특정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출력부, 영역정보 추출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실시예들 중에서, 사용자의 지도 검색 입력이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 및 통신부를 거쳐 서버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지도 검색 입력에 대한 응답을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응답이 저장부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응답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단계;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지도에 상기 제어부에서 영역정보 추출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단계;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면,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① 행정 구역에 구애받지 않고, 행정 구획의 중심에 있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만 하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해당 영역의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하여 모바일 내에서 빠른 속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② 현재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를 검색하더라도, 행정 구역별로 검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를 축소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하고, 자세한 정보를 보고자 할 때에는 축소된 지도를 다시 확대하여 영역 정보 추출기에 삽입만 하면, 해당 영역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데이터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③ 데이터 송, 수신이 느린 모바일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 검색만으로도 해당 영역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앱의 평가에 있어서, 앱 자체뿐만 아니라, 앱을 구동하는 단말기의 성능까지 높게 평가될 수 있어, 본 기술을 채용하는 단말기의 신뢰도까지 높일 수 있고, ④ 내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하는 경우, KM의 개념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설정한 경우 그 지역뿐만 아니라, 행정구역별로 뎁스(Depth)를 주어 그 주변위치도 검색가능하도록 구동되며, ⑤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그 주변을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방향으로 뎁스(Depth)를 단계를 높게 설정하여, 이동하는 방향의 주변 영역이 더 넓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영역의 검색이 지능적으로 구현되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창을 이용하여 검색 대상 지역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검색 지역 출력 및 거리/업종 선택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업종검색에 따른 상호가 전자지도상에 출력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윙스푼의 초기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윙스푼에서 서울지역이 선택된 화면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윙스푼에서 서울지역의 사당동이 선택된 화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행정구역에 관계없이 맛집을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제주도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숙박업체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중 동부간선도로를 달리는 사용자가 강북구의 주유소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잠실본동을 중심으로 고등학교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잠실본동을 중심으로 주유소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1)는 입력부(10), 출력부(30), 제어부(50), 통신부(70), 저장부(90)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의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1)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Navigation), 넷북, 스마트폰, 노트북, 키오스크(Kiosk),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태블릿 PC) 등과 같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채용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의 터치, 롱터치, 드래그(Drag) 등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며,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각 모바일 단말기에 구현가능한 방식으로 구비되고, 누르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저항막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누르면, 투명 전도막 2 장이 맞닿으면서 발생한 전류와 저항의 변화를 감지해 입력을 판별(가로, 세로 좌표인식)하도록 구비된다.
만지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에는, 우리 몸에 있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액정 유리에 전기가 통하는 화합물을 코팅해서 전류가 계속 흐르도록 만들고, 화면에 손가락이 닿으면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게 되며,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모퉁이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입력을 판별하도록 구비된다.
출력부(30)는 입력부(10)와 같이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 자료를 받음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 패널은 상하좌우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므로, 입력부(10)임과 동시에 출력부(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패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게 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입력부(10)와 동시에 출력부(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모바일 단말기의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받아 통신부(70)를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명령을 통신부(70)로 내리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수신을 통신부(70)에서 받으면, 저장부(90)에 저장을 함과 동시에 출력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50) 내에는 영역정보 추출기(51)가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프로그램 상으로만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한데, 영역정보 추출기(51)는 출력부(30)의 화면상에 도시되어 그 내부로 지도를 드래그하거나 하는 등의 입력 방식으로 집어넣게 되면, 그 내부에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맛집을 검색한다고 하면, 해당 지도를 축소하거나 확대하여 영역정보 추출기(51) 내부로 집어넣게 되면, 행정구역에 관계없이, 그 내부에 있는 맛집이 검색되게 되고, 맛집뿐만 아니라, 꽃집, 약국, 병원, 학교, 대학교, 특허사무소, 화장품 가게, 슈퍼마켓, 편의점, 숙박업소, 호텔, 주유소, 자동차 공업사, 웨딩홀 등등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에 따라 영역정보 추출기(51) 내부에 지도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집어넣게 되면, 이러한 정보가 뜨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 내에서 서울, 동작구, 사당동 순으로 검색을 해야했던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지도만을 넣고 빼고 확대하고 축소하기만 하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어서 더욱 직관적인 검색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0)는 자신이 검색을 원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단계 더 깊이(Depth)를 주고, 예를 들면, 자신이 위치한 곳이나 또는 검색하고자 하는 곳이 사당동이라고 가정하면, 사당동 주변의 방배동, 남현동, 봉천동, 동작동 등도 같이 테두리로 검색되어, 행정구역으로 나뉘어진 것이 아니라,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각 동을 더 보여줌으로써, 그 전에 실시되었던 기술의 불편함을 없앨 수도 있으며, 이는 생략가능하고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0)는 도보, 자전거, 자동차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자신이 이동하고 있는 방향은 한 단계 더 깊이(Depth)를 주고, 자신이 이동하고 있는 반대 방향은 한 단계 깊이(Depth)를 주지 않아서, 자신이 이동하고 있는 속도에 비례하여, 자신이 이동하고 있는 방향은 더 많은 영역이 표시되고, 자신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은 적은 영역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생략가능하고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 내에 구비된 자이로센서(GyroSensor)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센서에서 입력된 값을 기초로 하여, 이동하고 있는 방향의 넓이 및 길이에 따른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로 시속 80km가고 있다면, 자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80 만큼의 넓이를 더 넓게 표시하고, 자신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80만큼의 넓이를 더 좁게 표시하고, 자전거로 시속 10km로 가고 있다면, 자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10만큼의 넓이를 더 넓게 표시하고, 자신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10만큼의 넓이를 더 좁게 표시하고, 도보로 시속 4km로 가고 있다면, 자신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4만큼의 넓이를 더 넓게 표시하고, 자신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4만큼의 넓이를 더 좁게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넓이 또는 속도에 따른 넓이는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통신부(7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이 제어부(50)를 통해 명령으로 전달되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인터넷 망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되도록 제어부(50)의 명령을 송신하고,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을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90) 및 제어부(50)로 전달함으로써, 출력부(30)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음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부(50) 및 저장부(9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저장부(90)는 입력부(10), 제어부(50) 및 통신부(70)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을 통신부(70)가 받으면, 이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며, 사용자의 뒤로 가기 입력 등의 전 상태로 돌려놓는 입력에 대해 다시 서버에 요청하지 않아도 되도록 서버에서 받은 응답을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 등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술한 구성으로 본 출원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맛집이나, 주유소 등의 특정 정보를 검색하게 되면, 서버에서는 이와 같은 요청을 수신하여, 요청에 따른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게 된다(S10).
상기 단계(S10)가 입력되지 않고, 검색하고자 하는 지도만이 출력되고, 바로 영역정보 추출기를 통해 특정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생략가능하거나 또는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나서, 모바일 단말기는 통신부로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를 통하여 출력부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S20), 영역정보 추출기도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0).
여기서, 영역정보 추출기란, 본 출원에서 정의된 것으로, 원, 사각형 등의 도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부에 지도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단계(S10)에서 검색을 원했던 특정 정보가 영역정보 추출기의 테두리 내부에서 도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역정보 추출기 내로 삽입하게 되면, 그 내부에서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특정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종래의 단계별로 들어가서 찾아야 했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방법과는 다르게, 그 화면을 중심으로 다른 영역을 검색하고자 할 때에는, 그 화면에서 지도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가면서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이동만 시키면 되므로, 획기적으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영역정보 추출기가 디스플레이되면(S30), 영역정보 추출기 내로 지도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S40),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송, 수신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지역에서 불필요한 검색을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기 전까지는 불필요한 검색을 막되,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값으로 내 주변의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60),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된 경우에는(S50), 영역정보 추출기 내에 해당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0).
그리고 나서, 지도의 이동이나 확대/축소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70), 이러한 입력이 없는 경우, 검색할 특정 정보를 변경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S80),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데도 아무런 입력이 없다면(S90),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을 종료하고, 상기 단계(S70)에서 지도의 이동하거나 확대/축소의 입력이 있다면, 그에 따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로 복귀하며, 상기 단계(S80)에서 검색할 특정 정보를 변경했다면,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0)로 복귀하며, 상기 단계(S70 내지 S90)는 삭제가능하며, 이는 다른 방법으로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내 주변을 중심으로 또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해당 구역뿐만 아니라, 검색하고자 하는 영역 이외의 인접지까지 검색가능케 함으로써, 단계별로 구역으로 나뉘어서 검색했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인접지까지 검색됨으로써, 직관적으로 지역을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맛집이나, 주유소 등의 특정 정보를 검색하게 되면, 서버에서는 이와 같은 요청을 수신하여, 요청에 따른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게 되는데(S10), 모바일 단말기는 통신부로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를 통하여 출력부로 내 주변을 중심으로 또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했던 영역을 중심으로 인접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S21), 영역정보 추출기도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0).
상기 단계(S10)가 입력되지 않고, 검색하고자 하는 지도만이 출력되고, 바로 영역정보 추출기를 통해 특정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생략가능하거나 또는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영역정보 추출기란, 본 출원에서 정의된 것으로, 원, 사각형 등의 도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부에 지도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단계(S10)에서 검색을 원했던 특정 정보가 영역정보 추출기의 테두리 내부에서 도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역정보 추출기 내로 삽입하게 되면, 그 내부에서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특정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종래의 단계별로 들어가서 찾아야 했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방법과는 다르게, 그 화면을 중심으로 다른 영역을 검색하고자 할 때에는, 그 화면에서 지도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가면서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이동만 시키면 되므로, 획기적으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영역정보 추출기가 디스플레이되면(S30), 영역정보 추출기 내로 지도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S40),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송, 수신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지역에서 불필요한 검색을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기 전까지는 불필요한 검색을 막되,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값으로 내 주변 또는 검색을 원했던 지역의 인접지에 해당하는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61),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된 경우에는(S40), 영역정보 추출기 내에 해당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0).
그리고 나서, 지도의 이동이나 확대/축소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70), 이러한 입력이 없는 경우, 검색할 특정 정보를 변경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S80),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데도 아무런 입력이 없다면(S90),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을 종료하고, 상기 단계(S70)에서 지도의 이동하거나 확대/축소의 입력이 있다면, 그에 따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1)로 복귀하며, 상기 단계(S80)에서 검색할 특정 정보를 변경했다면,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0)로 복귀하며, 상기 단계(S70 내지 S90)는 삭제가능하며, 이는 다른 방법으로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이동중인 경우, 즉 자동차, 자전거,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를 각각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서 모니터링을 하여 제어부로 입력시키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내 주변을 중심으로 또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해당 구역뿐만 아니라, 검색하고자 하는 이외의 인접지까지 검색하되, 이동하는 방향의 구역을 좀 더 넓게 표시하고,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의 구역은 좀 더 좁게 표시함으로써, 이동하는 사용자를 고려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직관적으로 또한 지능적으로 지역을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맛집이나, 주유소 등의 특정 정보를 검색하게 되면, 서버에서는 이와 같은 요청을 수신하여, 요청에 따른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게 되는데(S10), 이동중이 아닌 경우에는(S11), 상기 도 9의 단계(S21)로 진입하여 내 주변을 중심으로 또는 검색했던 영역을 중심으로 인접지까지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이동중인 경우에는(S11),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더 넓게, 이동 반대 방향을 더 좁게 표시되도록 하여 인접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며(S23), 영역정보 추출기도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0).
상기 단계(S10)가 입력되지 않고, 검색하고자 하는 지도만이 출력되고, 바로 영역정보 추출기를 통해 특정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생략가능하거나 또는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영역정보 추출기란, 본 출원에서 정의된 것으로, 원, 사각형 등의 도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부에 지도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단계(S10)에서 검색을 원했던 특정 정보가 영역정보 추출기의 테두리 내부에서 도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역정보 추출기 내로 삽입하게 되면, 그 내부에서 자신이 원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특정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종래의 단계별로 들어가서 찾아야 했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방법과는 다르게, 그 화면을 중심으로 다른 영역을 검색하고자 할 때에는, 그 화면에서 지도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가면서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이동만 시키면 되므로, 획기적으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영역정보 추출기가 디스플레이되면(S30), 영역정보 추출기 내로 지도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S40),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송, 수신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지역에서 불필요한 검색을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기 전까지는 불필요한 검색을 막되,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값으로 내 주변 또는 검색을 원했던 지역의 인접지에 해당하는 특정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61),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된 경우에는(S40), 영역정보 추출기 내에 해당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0).
그리고 나서, 지도의 이동이나 확대/축소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70), 이러한 입력이 없는 경우, 검색할 특정 정보를 변경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S80),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데도 아무런 입력이 없다면(S90),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을 종료하고, 상기 단계(S70)에서 지도의 이동하거나 확대/축소의 입력이 있다면, 그에 따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3)로 복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고려하는 단계(S11)로 복귀하여 속도 및 방향에 따라 변경된 내 주변 또는 변경된 검색했던 영역의 주변까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계(S80)에서 검색할 특정 정보를 변경했다면,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0)로 복귀하며, 상기 단계(S70 내지 S90)는 삭제가능하며, 이는 다른 방법으로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11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행정구역에 관계없이 맛집을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홍대와 신촌의 중간에 서있는 사용자가 맛집을 검색하고자 할 때, 기존의 방법은 전국, 서울, 강북, 홍대로 들어가야 하고, 다시 신촌을 검색하고자 할 때에는 전국, 서울, 강북, 신촌으로 차례로 들어가야 하므로, 화면이 적어도 5번이 바뀌게 되고, 화면 변경이 있을 때마다,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므로 그에 따라 인터넷의 속도가 현저히 느린 모바일에서는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자신이 맛집을 찾고자 한다면, 원하는 영역을 지도로 검색하거나 또는 자신의 위치가 검색되어 그에 따른 주변 지도가 디스플레이되게 되는데, 신촌과 홍대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면, 신촌의 맛집으로 가거나 또는 홍대의 맛집으로 가거나 거리상으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신촌과 홍대의 맛집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신촌과 홍대가 표시되도록 지도를 확대하거나 축소한 뒤, 신촌과 홍대가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를 드래그하여 넣게 되면, 자신이 찾고자 하는 맛집의 정보가 그 내부에서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도가 검색될 때부터 맛집의 정보를 수신받지 않아도 되므로,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빨라지고,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을 볼 수 있게 되므로, 맛집을 검색하는데, 즉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데 필터링된 결과만을 보게 되므로, 난잡하게 나열된 맛집들을 사용자 스스로가 걸러내지 않아도 되는 것이며, 데이터 정액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검색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본질적으로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넣고 빼고만 할 수 있는 사용자라면 모두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신촌, 홍대의 맛집이 맘에 들지 않거나 자신이 다른 곳의 정보도 원하는 경우에는, 지도를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축소 또는 확대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지도를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다른 정보를 보고자 한다면, 특정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여 다시 검색을 실시하면 가능한데, 이러한 방법 및 순서는 변경가능하다.
또한, 영역정보 추출기의 위치 및 크기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각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회사의 사정에 맞게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이 아닌, 상하좌우의 등으로 이동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제주도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숙박업체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주도 내의 숙박업체를 검색하기 위해,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화면이다.
여기서, 제주도 전체의 숙박업체를 검색하고자 한다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제주도가 들어갈 정도로 제주도를 축소시켜서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넣게 되면, 제주도 전역에 위치한 숙박업체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제주도 공항 근처의 숙박업체가 보고 싶은 경우에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들어갈 정도로 줄어들었던 지도를 제주도 공항중심으로 확대시켜 다시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집어넣게 되면, 제주도 공항 근처의 숙박업체, 또는 호텔, 민박, 모텔 등이 도시되게 된다.
이때, 제주도 전체로 숙박업체를 검색할 때에는, 제주도 어느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제주도 한 바퀴를 다 돌아서라도 가 볼만한 곳만 추천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주도 공항 근처의 숙박업체를 검색할 때에는 제주도 공항 근처의 모든 숙박 업체가 다 검색될 수 있을 수 있으며, 제주도 공항 근처를 검색할 때에도 꼭 가볼 만한 곳만 추천될 수도 있고, 이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설정가능하며, 변경가능하다.
또한, 영역정보 추출기의 위치 및 크기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각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회사의 사정에 맞게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이 아닌, 상하좌우의 등으로 이동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중 동부간선도로를 달리는 사용자가 강북구의 주유소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동부간선도로를 달리는 사용자가 기름을 충전하고자 강북구의 주유소를 검색하기 위해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지도는 현재 내 위치가 표시되게 된다.
이때, 강북구의 주유소를 검색해야 하므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지도가 확대된 상태라면 강북구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축소시키거나 또는 축소된 상태라면 역시 강북구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확대시켜 강북구 전역의 주유소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영역정보 추출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되면,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킨 강북구의 지역을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넣고,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정보 추출기의 내부에서는 강북구에 위치한 주유소들이 모두 검색가능케 되는 것이다.
덧붙여서, 현재 위치에서 제일 가까운 주유소가 어디인지의 여부도 도시할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주유소를 모바일로 찾는 경우는 주유가 시급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주유소의 가격을 실시간으로 서버에서 처리하여 가장 휘발유, 경유, LPG 등을 기준으로 싼 곳의 주유소가 어디인지도 함께 도시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삭제,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또는, 동부간선도로를 달리는 사용자가 브레이크 오일 튜브가 끊어져 강북의 공업사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은 위험한 경우이고, 보험사에게도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경우에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우선 지도는 현재 내 위치가 표시되게 된다.
이때, 동부간선도로에 가장 가깝고, 현재 영업중인 공업사를 검색해야 하므로, 현재 지도가 확대된 상태라면 강북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축소시키거나 또는 축소된 상태라면 역시 강북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확대시켜 강북 전역의 현재 영업중인 공업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은 본 출원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나서, 영역정보 추출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되면,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킨 강북의 지역을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넣고, 영역정보 추출기의 내부에서는 강북에 위치한 현재 영업중인 공업사들이 모두 검색가능케 되는 것이다.
덧붙여서, 현재 위치에서 제일 가깝고 영업중인 공업사가 어디인지의 여부도 도시할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공업사를 모바일로 찾는 경우는 차량이 언제 고장날지도 모르는 시급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공업사를 누르게 되면 바로 통화가 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공업사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장 가까이 있는 보험사의 견인차를 검색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의 방법이 모두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험사로 전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삭제,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영역정보 추출기의 위치 및 크기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각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회사의 사정에 맞게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이 아닌, 상하좌우의 등으로 이동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잠실본동을 중심으로 고등학교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 또는 사용자가 검색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 지역까지 함께 검색이 되어 지도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그 지역의 고등학교를 방문하기 위해 고등학교를 검색하는 경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사용자가 검색한 위치뿐만 아니라, 인접지역까지 함께 이동하여 잠실본동뿐만 아니라, 잠실 7동, 삼전동, 석촌동, 송파 1동, 방이 2동, 잠실 4동, 잠실 6동, 잠실 3동 등, 자신이 원하는 위치의 주변 인접지까지 함께 검색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잠실본동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그 인접지까지 모두 넣게 되면, 그 내부의 고등학교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영역의 특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는 고등학교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영역정보 추출기의 위치 및 크기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각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회사의 사정에 맞게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이 아닌, 상하좌우의 등으로 이동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화면 중 잠실본동을 중심으로 주유소를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실본동에서 잠실 7동 쪽으로 이동하면서 주유소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잠실본동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일정 면적이 지도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가는 방향과 속도를 고려하여, 가는 방향으로 속도만큼의 면적이 더 표시되게 되고, 가는 반대 방향으로 속도만큼의 면적이 덜 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가는 방향을 + 라 잡고,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인접지의 일정 정도의 면적을 b라 하고, 사용자의 속도를 aKm라 하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면적이 표시되게 된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가는 반대 방향은 - 이고,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인접지의 일정 정도의 면적을 b라 하고, 사용자의 속도를 aKm라 하면, 일정 정도의 면적 b에서 -ax만큼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위의 수식은 변경가능하며, 면적이 아닌 검색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길이인 반경일 수도 있으며, 이는 도보, 자전거, 자동차에 따라 각각의 속도 a는 설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방향에 따라, 내 주변 또는 사용자가 검색을 원했던 영역을 중심으로 검색하되,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이동 방향으로는 더 많은 지역을 검색하고, 이동 반대 방향으로는 더 적은 지역을 검색함으로써, 이동에 따른 속도 및 거리, 면적 등을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영역을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실본동을 중심으로 잠실 7동 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삼성 1동, 대치 2동과 같은 영역은 더 검색되게 되는 것이고, 이동 반대편인 삼전동, 송파 1동과 같은 영역들은 영역이 부분적으로만 검색되게 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에서 이동하고 있는 방향이 더 검색되므로, 사용자는 본 출원에 따른 앱이 지능적으로 검색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고, 이를 채용한 단말기의 성능까지 높게 살 수 있는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영역정보 추출기의 위치 및 크기는 확정되지 않았으며, 각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회사의 사정에 맞게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이 아닌, 상하좌우의 등으로 이동 및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10: 입력부 30: 출력부
50: 제어부 51: 영역정보 추출기
70: 통신부 90: 저장부

Claims (20)

  1. 사용자의 지도 검색, 이동, 확대, 축소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출력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서버의 출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 및 통신부를 통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출력부의 특정 영역에 영역정보 추출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도를 축소, 확대, 이동시킨 지도의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에 상기 사용자의 검색에 해당하는 특정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출력부, 영역정보 추출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는
    PDA,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키오스크, 태블릿 컴퓨터에 해당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폴트로 설정된 값인 내 주변의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킬 때, 내 주변을 중심으로 또는 사용자가 검색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지까지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킬 때,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더 넓게, 이동 반대 방향을 더 좁게 표시하되, 내 주변을 중심으로 또는 사용자가 검색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지까지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 라 하고, 사용자의 이동 반대 방향을 - 라 하고, 상기 인접지의 면적을 b 라 하며, 사용자의 속도를 aKm라 하면, 하기 수학식과 같은 y 인 면적 또는 거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Figure pat00002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이 상기 제어부를 통해 명령으로 전달되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인터넷 망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어부의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명령에 대한 상기 서버의 응답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 및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부가 입력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받으면, 상기 응답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11. 사용자의 지도 검색 입력이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 및 통신부를 거쳐 서버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지도 검색 입력에 대한 응답을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응답이 저장부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응답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단계;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지도에 상기 제어부에서 영역정보 추출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단계;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면,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으면, 디폴트값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내 주변 또는 사용자가 검색한 지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지도의 이동 또는 확대, 축소의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이동 또는 확대, 축소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지도 검색 입력을 변경한 경우, 상기 제1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사용자가 변경한 검색에 따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5. 사용자의 지도 검색 입력이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 및 통신부를 거쳐 서버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지도 검색 입력에 대한 응답을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응답이 저장부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응답인 지도를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내 주변 또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지까지 디스플레이하는 제1 단계;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지도에 상기 제어부에서 영역정보 추출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단계;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면,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영역정보 추출기 내부로 지도가 삽입되지 않으면, 디폴트값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내 주변 또는 사용자가 검색한 지역의 인접지까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지도의 이동 또는 확대, 축소의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이동 또는 확대, 축소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지도 검색 입력을 변경한 경우, 상기 제1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사용자가 변경한 검색에 따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중인 경우, 상기 이동에 따른 방향, 속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더 넓게, 이동 반대 방향을 더 좁게 설정하고, 인접지까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 라 하고, 사용자의 이동 반대 방향을 - 라 하고, 상기 인접지의 면적을 b 라 하며, 사용자의 속도를 a 라 하면, 하기 수학식과 같은 y 인 면적 또는 거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방법.
    Figure pat00003
KR1020110103966A 2011-10-12 2011-10-12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30039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66A KR20130039430A (ko) 2011-10-12 2011-10-12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66A KR20130039430A (ko) 2011-10-12 2011-10-12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430A true KR20130039430A (ko) 2013-04-22

Family

ID=4843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966A KR20130039430A (ko) 2011-10-12 2011-10-12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4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340B1 (ko) * 2013-05-30 2015-05-20 (주)피엑스디 객체 감지를 이용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602268B1 (ko) * 2014-10-2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340B1 (ko) * 2013-05-30 2015-05-20 (주)피엑스디 객체 감지를 이용하는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602268B1 (ko) * 2014-10-2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3056B (zh) 用于高度定制的交互式移动地图的解决方案
US9285234B1 (en) Automatic display of trip information in a mapping application
JP4192731B2 (ja) 案内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32277B2 (ja) アイテム選択の曖昧性を解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1828233A (zh) 業務對象的顯示、地圖資料的處理方法、客戶端及伺服器
US20170010118A1 (en) Transit Incident Reporting
US11442596B1 (en) Interactive digital map including context-based photographic imagery
US10101892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settings and dependency adjustments
CN103514169A (zh) 兴趣点搜索方法及装置、移动终端
US20240045571A1 (en) Immersive, Multi-State Uni-Card
WO2014085900A1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JP200818078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0741229A (zh) 数字地图上指示符的动态变化的视觉属性
US93297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etailed map information
WO20141768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etailed map information
US20160116296A1 (en) Providing instant routing options
US102098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gmented scrollbar
KR20130039430A (ko) 모바일 단말기의 영역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Zhou et al. Block Party: Synchronized Planning and Navigation Views for Neighbourhood Expeditions
JP2012053665A (ja) スコープ指定によるpoi情報検索端末及びpoi情報検索システム
Choi Multi-touch based standard UI design of car navigatio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areas
JP2002062801A (ja) 地図画面拡大表示方法、地図画面拡大表示システム、地図画面拡大表示用上位コンピュータ、及び地図画面拡大表示用情報記憶媒体
WO20240197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ce search in augmented reality
Cheung et al. Simplification of Map Contents for Mobile-based Navigation
CN110909900A (zh) 一种行程预定方法、装置、电子终端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