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738A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 - Google Patents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738A
KR20130038738A KR1020110103263A KR20110103263A KR20130038738A KR 20130038738 A KR20130038738 A KR 20130038738A KR 1020110103263 A KR1020110103263 A KR 1020110103263A KR 20110103263 A KR20110103263 A KR 20110103263A KR 20130038738 A KR20130038738 A KR 2013003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heonjamun
offline
character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윤
Original Assignee
최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윤 filed Critical 최상윤
Priority to KR102011010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738A/ko
Publication of KR2013003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38Key agreement,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 in which a shared key is derived by parties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contributed by, or associated with, each of these
    • H04L9/0841Key agreement,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 in which a shared key is derived by parties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contributed by, or associated with, each of these involving Diffie-Hellman or related key agreement protocols
    • H04L9/0844Key agreement,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 in which a shared key is derived by parties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contributed by, or associated with, each of these involving Diffie-Hellman or related key agreement protocols with user authentication or key authentication, e.g. ElGamal, MTI, MQV-Menezes-Qu-Vanstone protocol or Diffie-Hellman protocols using implicitly-certified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천자문을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중국어 병음 포함), 천자문 쓰기노트에 대한 선택입력을 UI메뉴로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뉴의 입력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기 제1항의 제2단계의 메뉴 선택으로 제3단계에서 출력되는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 천자문 쓰기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천자문을 통하여 중국어의 학습이 가능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하여 기억력 향상과 기억 지속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Method for on-line and off-line learning thousand chinese character with the textbook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천자문을 통하여 중국어의 학습이 용이하게 가능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하여 기억력 향상과 기억 지속성을 증진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천자문은 사언고시 250구를 합하여 각기 다른 1,000자의 글자로 이루어지며 한문 초학자를 위한 교과서 겸 습자교본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2498호의 "암기하기 쉽게 배열된 천자문 책",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7930호의 "카드 절취형 천자문 책" 등의 선행특허가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각종 휴대 단말기로 천자문을 배울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도 선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2498호에 의하면, 표지와, 두터운 배면지와, 상기 표지와 배면지 사이의 중앙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작동레버를 가진 클램퍼와, 상기 클램퍼의 고리부에 끼워져서 정렬됨과 동시에, 좌측부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전ㆍ후면에 다수의 한자가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인쇄되고 하부에 쪽 번호가 인쇄된 다수의 한자 인쇄면과, 상기 한자 인쇄면의 첫쪽과 표지 사이에 상기 클램퍼의 고리부에 끼워져서 천자문의 표지를 표시하는 색인란을 가진 식별 면과, 외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순서를 표시하는 색인란을 가지며 또한 한자의 같은 변을 가지고 같은 발음의 한자들이 인쇄된 한자를 한글의 순서대로 인쇄한 옥편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각 쪽을 착탈 할 수 있고 또한 같은 변을 가지며 같은 발음을 내는 한자를 나열해서 짧은 시간에 시각을 통해 많은 한자를 암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7930호에 의하면, 책의 내지를 같은 형태와 크기의 수 개 구획으로 나누고 절취용 천공을 내어 절취할 수 있도록 하며 각 구획에는 천공을 뚫는 한편, 앞쪽에는 한자를, 뒤쪽에는 음과 훈, 인덱스용 번호를 적어 놓은 책자이다. 이를 통하여 한편으로는 책을 보듯 한자를 익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지를 절취하여 휴대하면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일반적인 천자문 책자의 기능을 만족하며, 내지를 모두 절취한 후에도 충분히 천자문 책으로서 기능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시각과 청각을 모두 이용한 능률적인 학습과 다소 거리가 있고, 항시 교재를 소지하고 다니는 불편에 기인하여 활용성이 저하되며, 장기간에 걸쳐 기억력이 유지되기 곤란한 폐단을 드러낸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천자문을 통하여 중국어의 학습이 용이하게 가능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하여 기억력 향상과 기억 지속성을 증진할 수 있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천자문을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중국어 병음 표기 포함), 천자문 쓰기노트에 대한 선택입력을 UI메뉴로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뉴의 입력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단계의 중국어 발음표는 운모 칸에 개구(開口), 제치(齊齒), 합구(合口), 촬구(撮口)를 배치하고, 성모 칸에 순음(脣音), 설첨음(舌尖音), 설첨전음(舌尖前音), 설첨후음(舌尖後音), 설면음(舌面音), 설근음(舌根音)을 배치하며, 해당 칸의 발음을 한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천자문 8자구 표시는 개별 문자의 뜻, 중국어 기초발음기호, 필순, 전체 자구의 뜻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천자문 쓰기노트는 8자구에 대한 문자입력과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 입력을 저장하고 정답과 비교하여 오답 사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단계는 현대에 살고 있는 한국인에게 맞는 신천자문(新千字文)의 선택 입력을 더 포함하되, 신천자문은 근래 들어 한국 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글자군 "
Figure pat00001
"를 제외하고, 1900년도 이후 들어 자주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글자군 "
Figure pat00002
"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기 제1항의 제2단계의 메뉴 선택으로 제3단계에서 출력되는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중국어 병음 포함), 천자문 쓰기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천자문의 쓰기노트는 불투명부와 투명부를 구비하면서 교체 가능한 시트지를 사용하고, 투명부를 통하여 한자의 쓰기와 지우기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천자문을 통하여 중국어의 학습이 용이하게 가능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하여 기억력 향상과 기억 지속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의 UI메뉴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의 중국어 발음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의 천자문 8자구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의 천자문 쓰기노트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천자문의 4자구 표시(가정편)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자문 교재의 쓰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천자문을 학습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자원에 있어서 사용자 DB(10), 8자구 DB(20), 문자인식 DB(30), 동영상 DB(31)가 관리서버(40)에 연결되고, 관리서버(40)는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연결된다. 관리서버(40)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의 주된 장치이고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상으로 다수의 사용자(수요자)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천자문 학습 컨텐츠(contents)를 제공한다. 물론 인터넷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외에 휴대인터넷, 인트라넷, 전화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는 PC 또는 노트북을 기반으로 하지만 각종의 휴대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DB(10)는 사용자의 성명, ID, 패스워드 등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소정의 인증을 거친 사용자에 한하여 액세스를 허용한다.
한문과 중국어 병음(중국어의 기초 발음기호)이 동시에 병기된 8자구 DB(20)는 천지현황(天地玄黃) 우주홍황(宇宙洪荒), 일월영측
Figure pat00003
진숙열장(辰宿列張) 등으로 4자구를 2조로 병행한 8자구에 대한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천자문은 중국 남조 양의 주흥사가 지은 것을 기본적으로 수록하지만, 당의 진초천자문(眞草千字文)이나 조선의 명필 한석봉이 지은 석봉천자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한문과 중국어 기초 발음기호인 병음이 동시에 병기된 문자인식 DB(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문자의 인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문자인식을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50)에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화상카메라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의 적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동영상 DB(31) 또한 천지현황(天地玄黃) 등 4자구에 맞는 상황의 그림을 만화나 단편영화로 도시하되 한문과 중국어 병음을 동시에 병기하여 연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천지현황이라고 하면 우주가 탄생되는 모습을 만화 또는 짧은 동영상으로 그려내되, 천지현황을 중국어 병음과 4자 한문을 동시에 표기하면서 중국어 발음도 짧게 표현하여 시각적인 교육효과를 함께 도모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40)는 사용자 DB(10), 8자구 DB(20), 문자인식 DB(30), 동영상 DB(31)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讀出)하는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WEB)/왑(WAP) 서버의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단계는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관리자의 인터넷 홈페이지 등의 루트로 회원가입을 거쳐 인증을 받은 사용자에게 웹브라우저를 통해 천자문 학습 프로그램이라는 컨텐츠에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 천자문 쓰기노트에 대한 선택입력을 UI메뉴로 표시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인터넷 접속 후에 인증을 거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상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로 액세스할 수 있는 주요 메뉴를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단계의 중국어 발음표는 운모 칸에 개구(開口), 제치(齊齒), 합구(合口), 촬구(撮口)를 배치하고, 성모 칸에 순음(脣音), 설첨음(舌尖音), 설첨전음(舌尖前音), 설첨후음(舌尖後音), 설면음(舌面音), 설근음(舌根音)을 배치하며, 해당 칸의 발음을 한글로 표시하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중국어 발음표는 상단에서 횡으로 운모를 배열하고 좌단에서 종으로 성모를 배열하며 교차되는 해당 칸의 발음을 한글로 표시하거나 한글을 영어와 병기한다.
운모 칸은 개구(開口), 제치(齊齒), 합구(合口), 촬구(撮口)를 배치한다. 개구는 아, 워, 어, 으, 얼, 아이, 에이, 아오, 안, 언, 앙, 엉, 옹으로 구분되고, 제치는 이, 이아, 야오, 이에, 여우, 이엔, 인, 이앙, 잉, 이옹으로 구분되고, 합구는 우, 우아, 우어, 와이, 웨이, 우안, 운, 우앙, 윙으로 구분되고, 촬구는 위, 위에, 위앤, 윈으로 구분된다.
성모 칸은 순음(脣音), 설첨음(舌尖音), 설첨전음(舌尖前音), 설첨후음(舌尖後音), 설면음(舌面音), 설근음(舌根音)을 배치한다. 순음은 ㅃ(b), ㅍ(p), ㅁ(m), ㅎ(f)로 구분되고, 설첨음은 ㄸ(d), ㅌ(t), ㄴ(n), ㄹ(l)로 구분되고, 설첨전음은 ㅉ(z), ㅊ(c), ㅆ(s)로 구분되고, 설첨후음은 ㅈ(zh), 츠(ch), ㅅ(sh), 르(r)로 구분되고, 설면음은 ㅈ(j), 츠(q), ㅅ(x)로 구분되고, 설근음은 ㄲ(g), ㅋ(k), ㅎ(h)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운모 칸의 개구(開口)의 "아"와 성모 칸의 순음(脣音)의 "ㅃ"가 교차하는 부분에 "빠"라는 한글 발음을 기재한다. 물론 "빠"라는 표기 외에 영문 발음 "ba"를 병기할 수도 있다. 해당되는 발음이 없는 부분은 공란으로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제3단계는 상기 선택된 메뉴의 입력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출력하는 과정을 거친다.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선택된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중국어 병음 포함), 천자문 쓰기노트 중 하나의 컨텐츠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천자문 8자구 표시는 개별 문자의 뜻,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 필순, 전체 자구의 뜻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천지현황(天地玄黃)과 관련하여 하늘[천], 땅[지], 검을[현], 누를[황]을 표시하고, 우주홍황(宇宙洪荒)과 관련하여 집[우], 집[주], 넓을[홍], 거칠[황]을 표시한다. 그리고 각각의 글자에 대한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를 표시하고 필순을 표시한다. 그리고 전체 자구의 뜻과 관련하여, 천지현황은 "하늘은 위에 있으니 그 빛이 검고 그윽하며, 땅은 아래에 있으니 그 빛이 누르다"라는 의미를 부가 표기하고, 우주홍황은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다, 즉 세상의 넓음을 의미한다."라고 표시한다. 천자문 8자구와 관련된 개별 문자의 뜻,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 필순, 전체 자구의 뜻을 표시하는 컨텐츠는 클라이언트 단말기(50) 상에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한다.
물론, 도시에는 생략되나, 중국어 병음 표기와 8자구의 뜻과 함께 그에 대응하는 그래픽이나 만화(애니메이션 포함)로 표현하면 암기력 향상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천자문 쓰기노트는 8자구에 대한 문자입력과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 입력을 저장하고 정답과 비교하여 오답 사항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도 5에서, 하늘[천], 땅[지], 검을[현], 누를[황]이 표시되면 그 하측의 공란에 한자 또는 발음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50)의 터치스크린 또는 화상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관리서버(40)에 일시 저장되고, 관리서버(40)는 문자인식 DB(30)에 저장된 다양한 패턴에서 일치하는 문자를 비교하여 인식한다. 예를 들어, 하늘[천], 땅[지], 검을[현], 누를[황]에 대한 한자 입력이 정답이면 다음 단계의 8자구를 출력하지만 오답이면 정답에 이를 때까지 설정된 횟수로 반복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에 예시한 알고리즘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예와 수정예가 가능하다. 최종 입력된 한자의 정 · 오답을 판단할 수도 있지만 필순의 정확성도 정 · 오답 판단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하늘[천], 땅[지], 검을[현], 누를[황]이 아닌 음성 발음이나 전체 자구의 뜻을 출력하고 4자구 또는 8자구의 한자 및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중국어 병음)를 지정된 위치에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정 8자구의 뜻이나 그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제시하고 해당 한자 및 중국어 병음을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단계는 현대에 살고 있는 한국인에게 맞는 신천자문(新千字文)의 선택입력을 더 포함하되, 신천자문은 근래 들어 한국 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글자군 "
Figure pat00004
"를 제외하고, 1900년도 이후 들어 자주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글자군 "
Figure pat00005
"을 추가할 수도 있다.
전자의 글자군은 현재 한국 내에서 잘 쓰이지 않으므로 이를 대신하여 후자의 글자 군을 추가하여 구성하지만, 장래에 자주 사용될 한자어 및 중국어 병음의 추가 포함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신천자문(新千字文)의 사례로는, 「가정, 부부, 국토, 문화 등의 28개 항목으로 4자구를 형성」한 월간 "한글+한자문화"(2005년 11월 1일 발간)의 내용을 수록할 수도 있다. 도 6은 "가정"에 관련되어 부모 균평, 형제우애, 조손일당, 환담소성 등의 4자구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기한 제2단계의 메뉴 선택으로 제3단계에서 출력되는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중국어 병음 포함), 천자문 쓰기노트, 신천자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교재는 인터넷을 통하여 UI메뉴로 액세스 가능한 컨텐츠를 통합권 또는 분철된 형태로 수록한다. 특히, 8자로 125문장 속에 천문지리가 있으며 우리가 잊고 있었던 인간의 도리가 글 속에 담겨 있어 암기력 향상은 물론 인성의 함양에도 도움을 준다.
이때, 본 발명의 교재에서 상기 천자문 쓰기노트는 불투명부(62)와 투명부(64) 및 자구해석부(66)를 구비하면서 교체 가능한 시트지(60)를 사용하고, 투명부(64)를 통하여 한자의 쓰기와 지우기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7에서, 도 5의 쓰기노트가 있는 상면에 각각 시트지(60)를 교체 가능한 분철 구조로 합본한다. 시트지(60)는 내마모성을 지닌 수지필름을 사용하며 불투명부(62)의 바탕에서 특정한 영역에만 투명부(64) 및 자구해석부(66)를 구비한다. 투명부(64)는 한자의 뜻, 4자구의 뜻, 8자구의 뜻 중 어느 하나 이상만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해당 한자를 쓰도록 하는데, 이 때 필수적으로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병음)까지 병기하도록 함으로써 한자 및 중국어의 동시 학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도 7에 예시되어 있듯이 투명부(64) 일 측의 자구해석부(66) 난에 「해는 서쪽으로 기울고, 달도 차면 점차 이지러진다.
즉 우주의 진리를 말한다」라고 기술되고, 그 아래 투명부(62)의 네모 칸 상단에 「날 일, 달 월, 찰 영, 기울 측」이라는 독음(讀音)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 정답자(작성자)는 투명부(62)의 네모 칸 하단부에
Figure pat00006
이라는 한문 기재 또는 한문 기재와 함께
Figure pat00007
라는 중국어의 병음도 함께 기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답은 시트지(60)의 후면에서 불투명부(62)에 기재하여 둘 수 있다. 시트지(60)는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마모가 심해지면 예비용으로 교체가 용이하다.
물론, 본 발명의 교재는 시트지(60)에 한자만 입력할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중국어 발음기호를 병행해서 입력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할 뿐 아니라, 도시에는 생략되지만 그래픽이나 애니메이션 등의 형상이 다채롭게 도시된 시트지(60)로 교체하면 이를 연상하여 한자 및 중국어 기초발음기호를 함께 쓰도록 하는데 매우 이롭고 학습흥미 유발효과 및 기억력 증진에 크게 도움 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천자문을 접하지 않은 초등학생 100명의 모집단을 통하여 한자 및 중국어 학습과 관련된 능력을 평가한 결과, 아래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천자문 학습방법과 그 교재의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14~18세 사이의 청소년 모집단(母集團)을 각 120명씩 구분한 뒤 종래의 천자문 교재와 본 발명의 천자문 교재를 제공하여 획수가 적은 한자 100단어 및 중국어 병음을 함께 암기하는 속도를 측정하였고, 72시간 내에 100단어를 암기한 학생들을 상대로 그 암기 상태의 지속력을 측정하였다. 좌뇌의 자극도는 학습과정에서 뇌파 측정을 통한 활성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Figure pat00008
※ 비고: 종래 및 본 발명 모두 암기력, 지속력 편차는 대략 ±5% 정도로 나타남.
여기서 "교재"란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컨텐츠의 이용도 포함되었다. 시험 결과, [표 1]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 발명의 학습방법(교재)에 의하면, 대략 1.5배~3배의 교육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연구결과 드러났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천자문을 통하여 중국어의 학습이 가능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하여 기억력 향상과 기억 지속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자문에 실려 있는 낯선 한문만을 무지막지하게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에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한문의 영어적 표현인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병음)를 한자와 함께 자연스럽게 익히면서 컴퓨터 및 휴대폰 등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재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자 및 중국어의 체득효과가 오래 지속되게 하여 효율적인 학습 및 흥미유발은 물론, 동영상이나 만화 등의 표기방법을 통한 한문 및 중국어 표기의 3차원적 의미전달을 통하여 연상학습이 자연스럽게 터득되도록 하는 다목적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DB 20: 8자구 DB
30: 문자인식 DB 31: 동영상 DB
40: 관리서버 50: 클라이언트 단말기
60: 시트지 61: 불투명부
62: 불투명부 66: 자구(字句)해석부

Claims (6)

  1.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천자문을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으로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중국어 병음표기 포함), 천자문 쓰기노트에 대한 선택입력을 UI메뉴로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뉴의 입력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중국어 발음표는 운모 칸에 개구(開口), 제치(齊齒), 합구(合口), 촬구(撮口)를 배치하고, 성모 칸에 순음(脣音), 설첨음(舌尖音), 설첨전음(舌尖前音), 설첨후음(舌尖後音), 설면음(舌面音), 설근음(舌根音)을 배치하며, 해당 칸의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천자문 8자구 표시는 개별 문자의 뜻,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중국어 병음), 필순, 전체 자구의 뜻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의 천자문 쓰기노트는 8자구에 대한 문자입력과 중국어의 기초발음기호 입력을 저장하고, 정답과 비교하여 오답 사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
  5. 상기 제1항의 제2단계의 메뉴 선택으로 제3단계에서 출력되는 중국어 발음표, 천자문 8자구 표시, 천자문 쓰기노트, 신천자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 학습을 위한 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자문 쓰기노트는 불투명부(62)와 투명부(64)를 구비하면서 교체 가능한 시트지(60)를 사용하고, 투명부(64)를 통하여 한자 및 중국어 병음의 쓰기와 지우기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 학습을 위한 교재.
KR1020110103263A 2011-10-10 2011-10-1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 KR20130038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63A KR20130038738A (ko) 2011-10-10 2011-10-1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63A KR20130038738A (ko) 2011-10-10 2011-10-1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738A true KR20130038738A (ko) 2013-04-18

Family

ID=4843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263A KR20130038738A (ko) 2011-10-10 2011-10-10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7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58A (ko) * 2017-12-08 2019-06-18 김은아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58A (ko) * 2017-12-08 2019-06-18 김은아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Learning styles and teaching styles in college english teaching.
Riza et al. A concept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interactive multimedia for deaf students based on inquiry-based learning model
McCall Accessing the curriculum
El Zarka The pronunciation errors of L1 Arabic learners of L2 English: The role of Modern Standard Arabic and vernacular dialects transfer
Nemati Evaluation of an ESL English course book: A step towards systematic vocabulary evaluation
CN112204639B (zh) 用于训练使用者的大脑的装置、程序及方法
Tiwari et al. E-learning tool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through English, Hindi and Tamil: A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based approach
Pavey et al. The Dyslexia-friendly Teacher's Toolkit: Strategies for Teaching Students 3-18
Lo-Philip Chinese L2 literacy practices: material and sociocultural considerations
Griffin The Role of Visible Language in Building and Critiquing a Canon of Graphic Design History
KR20130038738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천자문의 학습방법과 그 교재
KR200471528Y1 (ko) 영어 학습 교재
Bassetti et al.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writing systems
Coil Differentiated activities and assessments using the common core standards
Thomson Dyslexia: Modern Foreign Languages
Vagh et al. The assessment of emergent and early literacy skills in the akshara languages
Tam et al. Strategies used in learning Chinese vocabulary by adolescent Mandarin-Korean bilinguals in Korea
Schaefer et al. in Teaching East Asian
Asanova Innovative technologies at an early stage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KR20110019513A (ko) 한자학습교재
De'Ath et al. Reading and Listening Between the Lines: Ideas on Singing the Short and Open Vowels [i],[??], and [Y], and the Long and Closed Vowels [e [??]],[o [??]], and [o [??]] in German
Ingulsrud et al. First steps to literacy in Chinese classrooms
Schaefer et al. Out of Challenges Come Opportunities: Innovative Collaboration in Teaching East Asian Languages
Tsiplakou Which dialect, what literacy?
Tiwari et al. E-Learning Tool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through English, Hindi and Tam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