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209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209A
KR20130038209A KR1020127025715A KR20127025715A KR20130038209A KR 20130038209 A KR20130038209 A KR 20130038209A KR 1020127025715 A KR1020127025715 A KR 1020127025715A KR 20127025715 A KR20127025715 A KR 20127025715A KR 20130038209 A KR20130038209 A KR 2013003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lap
wing
width directio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1848B1 (en
Inventor
준 쿠도
마리 야스이
유지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은, 흡수체(30)와, 흡수체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윙부(43) 및 플랩부(60)와, 윙부와 플랩부 사이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45)를 갖는다. 플랩부 및 잘록부에는, 플랩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오목해지고, 잘록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윙부가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 상태에서,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에서 플랩부가 오목부를 기점으로 되접어짐으로써, 플랩부의 피부 접촉면측이 착용자에게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absorbent article 1 includes an absorber 30, a wing portion 43 and a flap portion 60 extending outward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absorber, and a cut portion 45 that is cut off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wing portion and the flap portion. Has The flap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p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70 extending from the concave portion to the rear side is formed, and the non-skin contact of the underwear is performed while the wing portion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a flap part may face a wearer by returning a flap part from a surface side to a starting point.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0001] ABSORBENT ARTICLE [0002]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수체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는 윙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and more particularly to absorbent articles having wings that exten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absorbent body and are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특허 문헌 1에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가지고, 흡수체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윙부를 갖는 생리용 냅킨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생리용 냅킨을 속옷에 장착할 때는, 흡수체 이면측의 이면 시트를 속옷의 가랑이부에 접촉시켜, 윙부를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는 것에 의해, 속옷의 가랑이 부분이 말려들도록 하면서, 생리용 냅킨을 속옷에 장착할 수 있다.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sanitary napkin having a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a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and an absorbent body dispose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nd having a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absorber. have. When attaching the sanitary napkin thus constructed to the undergarment, while making the crotch part of the undergarment dry by bringing the back sheet of the absorber back side into contact with the crotch portion of the undergarment and folding the wing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garment, Sanitary napkins can be worn on underwear.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11-156034호 공보(도 5, 단락 0004 등)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156034 (Fig. 5, paragraph 0004, etc.)

그러나, 전술의 생리용 냅킨은,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을 속옷에 장착할 때는, 윙부의 폭 방향에서의 내측 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접음선을 기점으로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다. 이 접음선은, 속옷의 가랑이 양측 단부를 따라서 있고, 윙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전측 에지(edge)에서부터 후측 에지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윙부의 전측 에지와 후측 에지에는, 접음선의 단부가 위치하여 뒤틀림이 생긴다. 이 뒤틀림 부분은, 접음선에 의해서 딱딱해지기 쉽다. 윙부 에지의 뒤틀림 부분이 접촉됨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을 줄 우려가 있었다. When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ttached to the undergarment, the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garment is folded back from the fold line located near the inn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ng portion. This fold line extends along the crotch sides of the underwear and extends from the front edge to the rear e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Therefore, the edge part of a fold line is located in the front edge and the rear edge of a wing part, and distortion occurs. This twisted portion tends to be hardened by the folding line. There was a fear that irritation to the skin was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warp portion of the wing edge.

본 발명은, 전술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윙부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접음선에 의한 자극을 저감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subjec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an reduce the irritation by the fold line formed in the state which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of a wing par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길이 방향 (L))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폭 방향 (W))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표면 시트(10))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이면 시트(20))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흡수체(30))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는, 착용자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는 윙부(윙부(43))와, 상기 윙부보다도 후방에 배치된 플랩부(플랩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윙부와 상기 플랩부 사이에는, 상기 윙부에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최대 폭 위치 및 상기 플랩부에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최대 폭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잘록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랩부 및 상기 잘록부에는, 상기 플랩부의 두께 방향에서 오목해지고, 상기 잘록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오목부(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잘록부는, 상기 윙부가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윙부에 형성되는 접음선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윙부가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에서 상기 플랩부가 상기 오목부를 기점으로 되접어짐으로써, 상기 플랩부의 피부 접촉면측이 상기 착용자에게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ubject,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liquid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has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idth direction W) orthogonal to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A permeable surface sheet (surface sheet 10), a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back sheet 20), and an absorber (absorber 30) dispose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r, a wing portion (wing portion 43) which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wearer's underwear and a flap portion (flap portion 60) disposed behind the wing portion are formed. Between the wing part and the said flap part, the narrow part which cuts inward in width direction rather than the largest width position which is located in the most width direction outer side in the said wing part, and the largest width position which is located mos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aid flap part (shallow part 45) )) Is formed, The flap portion and the constriction portion are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concave portion 70) which i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ap portion and extends backward from the constriction portion. On the non-skin-contacting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the w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old line formed on the wing in the state where the wing is folded back on the non-contact skin side, and the wing is folded on the non-skin-contacting surface side. The flap portion is configured to be folded so that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flap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wearer by returning the recess to the starting point.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A-A'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장착한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B-B'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skin contact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rear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FIG.
It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of the AA 'cross section shown in FIG.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n underwear. FIG.
FIG. 5: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of the BB 'cross section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며, 도 2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생리용 냅킨이다. With reference to FIGS. 1-3, the absorbent article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s demonstrated. 1 is a plan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and FIG. 2 is a rear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The absorbent article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 sanitary napkin, for example.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10)와,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갖는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설된다. 따라서, 흡수체(30)는, 도 1 및 도 2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서의 중앙 부분에 배설된다.The absorbent article 1 has a surface sheet 10 in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a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20 that does not penetrate the liquid, and an absorber 30. The absorb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Therefore, the absorber 30 is shown with the broken line in FIG. 1 and FIG. The absorber 3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1.

흡수성 물품(1)은, 흡수체(30)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윙부(43)와, 윙부(43)의 후방에서 흡수체(30)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플랩부(60)를 구비한다. The absorbent article 1 is provided with the wing part 43 arrange | positioned at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absorber 30, and the flap part 60 arrange | positioned at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absorber 30 behind the wing part 43. As shown in FIG. .

윙부(43)는, 착용자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져서, 속옷을 말려들게 하여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윙부(43)는, 흡수체(30)의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해 있다. The wing portion 43 is configured to be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wearer's underwear so that the underwear is rolled up to fix the absorbent article to the underwear. The wing part 43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in the excretory contact area | region of the absorber 30. As shown in FIG.

윙부(43)의 전측 단부(43F)와 후측 단부(43R)는, 윙부(43)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윙 최대 폭 위치(43WM)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윙부(43)의 전측 단부(43F)는, 윙부(43)의 후측 단부(43R)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윙부(43)의 전측 단부(43F)를 통하는 접음선을 기점으로 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윙부(43)를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은 상태에서는, 윙부(43)의 전측 단부(43F)보다도 윙부(43)의 후측 단부(43R) 쪽이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폭이 길어진다. The front end 43F and rear end 43R of the wing part 43 are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rather than the wing maximum width position 43WM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in the wing part 43. As shown in FIG. The front end 43F of the wing part 43 is locat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rather than the rear end 43R of the wing part 43. Therefore, starting from the fold line through the front end portion 43F of the wing portion 43, the front end portion 43F of the wing portion 43 in the state where the wing portion 43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width at which the rear end portion 43R of the wing portion 43 is rolled up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becomes longer.

윙부(43)와 플랩부(60) 사이에는, 윙부(43)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윙 최대 폭 위치(43WM) 및 플랩부(60)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플랩 최대 폭 위치(60WM)보다도 폭 방향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45)가 설치된다. Between the wing part 43 and the flap part 60, the wing largest width position 43WM located in the outermost width direction in the wing part 43, and the flap maximum located in the outermost width direction in the flap part 60 The narrowing part 45 which cuts in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rather than the width position 60WM is provided.

도 1에, 길이 방향(L)에서의 윙부(43)의 영역(RA)과, 길이 방향(L)에서의 플랩부(60)의 영역(RB)과, 길이 방향에서의 잘록부(45)의 영역(RC)을 도시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잘록부(45)는, 윙부(43)와 플랩부(60) 사이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협소 폭 위치(45WN)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잘록부(45)는, 협소 폭 위치(45WN)의 근방 영역이면 좋고, 예컨대 협소 폭 위치(45WN)에서 전후 방향으로 5 mm의 영역으로 할 수 있다. In FIG. 1, the area | region RA of the wing part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area | region RB of the flap part 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cutoff part 4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hown in FIG. The area RC of is shown and shown. The cutoff portion 45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egion including the narrow width position 45WN located at the innermost width direction between the wing portion 43 and the flap portion 60. The narrowing portion 45 may be a region near the narrow width position 45WN, and can be, for example, an area of 5 mm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narrow width position 45WN.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된 상태에서, 잘록부(45)보다도 전방의 윙부가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고, 잘록부(45)보다도 후방의 플랩부(60)가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잘록부에는, 윙부를 되접었을 때의 접음선의 단부가 위치하여 뒤틀림이 생긴다. With the absorbent article attached to the undergarment, the wing portion in front of the convex portion 45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garment, and the flap portion 60 behind the convex portion 45 faces the wearer's body. Is placed. Therefore, the edge part of the fold | fold line at the time of returning a wing part is located in a cut | disconnected part, and distortion occurs.

플랩부(60)는, 흡수체(30)보다도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한 영역으로서, 잘록부(45)의 후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해 있다. 플랩부(60)의 전측 단부는, 잘록부의 후측 단부이며, 플랩부(60)의 후측 단부는, 흡수성 물품의 후측 단부 근방에서 전후의 영역보다도 내측으로 잘록한 부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플랩부의 후측 단부는, 후술하는 오목부(70)의 후측 단부(70R)와 일치한다. 또, 플랩부(60)의 후측 단부는, 흡수성 물품의 후측 단부와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흡수성 물품의 후측 단부와 일치하지 않고 있어도 좋다.The flap portion 60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of the absorber 30 and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cut portion 45.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lap portion 60 i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utoff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lap portion 60 is a portion that is cut inward from the region before and after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rear end part of the flap part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with the rear end part 70R of the recessed part 70 mentioned later.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lap portion 60 may coincide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or may not coincide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표면 시트(10)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이다. 표면시트(10)는, 적어도 흡수체(30)의 표면을 덮는다. 표면 시트(10)는, 부직포, 직포, 유공 플라스틱 시트, 메시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 재료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The surface sheet 10 is a liquid permeable sheet which permeates a liquid such as a body fluid. The surface sheet 10 covers at least the surface of the absorber 30. The surface sheet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heet-like material having a structure that transmits liquid, such as a nonwoven fabric, a woven fabric, a porous plastic sheet, and a mesh sheet. As a raw material of a 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any of natural fiber and chemical fiber can be used.

이면 시트(20)는, 표면 시트(1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시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의 위화감을 생기게 하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20)는, 액체 불투과성이고, 또한 투습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한 것을 연신 처리한 미세 다공성 시트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The back sheet 20 has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front sheet 10. As the back sheet 20, a sheet in which a breathable resin film is bonded to a nonwoven fabric such as a laminate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a polyethylene sheet, polypropylene, or the like, a breathable resin film, a spun bond, or a spun lace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heet 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degree of flexibility that does not cause discomfort during wea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heet 20 is liquid impermeable and moisture-permeable, and it can be comprised by the microporous sheet which carried out the extending | stretching process of melt-kneading an inorganic filler with 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a polypropylene, for example.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펄프를 포함한다. 흡수체(30)는,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서 적층하여 형성되어도 좋고,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서 시트형으로 성형한 에어레이드 시트라도 좋고, 티슈(예컨대, 단위 중량 15 g/㎡)상에 고흡수 폴리머를 혼입한 분쇄 펄프를 배치하여, 티슈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absorber 30 contains hydrophilic fiber and pulp. The absorber 3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bod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The absorber 3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hydrophilic fibers or powder by an airlaid method, or may be an airlaid sheet obtained by molding a hydrophilic fiber or powder into a sheet shape by an airlaid method, or a tissue (for example, a unit weight of 15 g) / M 2) may be formed by placing a ground pulp mixed with a superabsorbent polymer and surrounding it with a tissue.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체(30)는, 선형 펄프나 합성 펄프 등을 평량 100~300 g/㎡ 정도로 적층한 펄프를 보호지(도시하지 않음)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흡수체(30)는, 전체 면이 거의 균일한 두께이더라도 좋고, 비균일한 두께이더라도 좋다. 보호지는, 펄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크레이프 페이퍼나 티슈 페이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bsorber 3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surrounding the pulp which laminated | stacked linear pulp, synthetic pulp, etc. in about 100-300 g / m <2> of basis weights with the protective paper (not shown). In addition, the absorber 30 may have a substantially uniform thickness on its entire surface or may have a non-uniform thickness. The protective paper i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pulp, and for example, crepe paper or tissue paper can be used.

흡수체(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며, 이면 시트(20)보다도 대략한 단계 정도 작다. 흡수체(30)의 폭 방향(W)의 길이는, 성인 여성의 가랑이 간격에 대응해 있고, 대체로 50~80 ㎜이다. 흡수체(30)는,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이면 시트(20)에 접착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0)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다. The absorber 30 is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about a step smaller than the back sheet 20.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r 30 corresponds to the crotch space of an adult woman, and is 50-80 mm in general. The absorber 30 is adhered to the back sheet 20 by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bsorber 30 and the surface sheet 10 are adhere | attached with the hot melt adhesive agent.

흡수체(30)는, 적어도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은,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심과 일치한다. 예컨대, 윙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윙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배설구 접촉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또한, 윙부를 갖고 있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폭 방향의 길이 치수가 가장 짧은 위치가, 배설구 접촉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또, 배설구 접촉 영역은, 착용자의 가랑이 부분과 접촉하는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한다. The absorber 30 is provided so as to include at least the center of the excretory contact area that the wearer's excretory contact contacts. The center of the excretory contact area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area where the excretory port of the wearer contacts. For example, in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the wing portio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portion is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cretory contact region. Moreover,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does not have a wing part, the position with the shortest length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of an absorber becomes a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xcretory contact area | region. The excretory outlet contact region is included in an area in contact with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er and is located between both legs of the wearer.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에서 흡수체(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시트(41)를 구비한다. 플랩부(60) 및 윙부(43)의 피부 접촉면에는, 사이드 시트(41)가 설치되어 있다. Moreover, the absorbent article 1 is provided with the side sheet 41 provided in the outer side of the absorber 30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The side sheet 41 is provided in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flap part 60 and the wing part 43. As shown in FIG.

사이드 시트(41)는, 표면 시트(10)의 양측에 배설된다. 사이드 시트(41)는, 표면 시트(10)와 마찬가지로, 흡수체(30) 보다도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의 표면 시트의 일부를 구성한다. 사이드 시트(41)는, 표면 시트(10)와 같은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단, 사이드 시트(41)를 타고 넘어서 흡수성 물품(1) 외측으로 경혈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1)는, 흡수체(30)의 측 모서리의 일부 및 윙부(43) 및 플랩부(60)를 덮는다. The side sheets 41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sheet 10. Like the surface sheet 10, the side sheet 41 is disposed on the skin contacting surface side rather than the absorber 30, and constitutes a part of the surface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heet 41 can be selected from the same material as the surface sheet 10.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acupuncture points from flowing over the side sheet 41 to the out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 it is preferable to have hydrophobicity or water repellency. The side sheet 41 covers a part of the side edge of the absorber 30, the wing part 43, and the flap part 60.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사이드 시트(41)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부드럽고 촉감이 좋기 때문에, 플랩부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체를 따라서 플랩부(60)를 배치했을 때에, 플랩부의 질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ide sheet 4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Since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is soft and feels good, the texture of the flap portion can be improved. When arrange | positioning the flap part 60 along a body, a feeling of wearing can be improved more by improving the texture of a flap part.

또한, 윙부(43) 및 플랩부(60)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41)와 이면 시트(20) 사이에는, 중간 시트(35)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시트(35)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는, 흡수체(30)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접착제 등을 통해 중간 시트(35)와 흡수체(30)를 밀착시킴으로써, 흡수체(30)와 중간 시트(35)를 일체화하여, 흡수체(30)의 면적을 넓게 보이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g part 43 and the flap part 60,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sheet 41 and the back sheet 20. As shown in FIG. The outer end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than the outer end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r 30. In addition, by adhering the intermediate sheet 35 and the absorbent body 3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absorbent body 30 and the intermediate sheet 35 can be integrated to produce a visual effect such that the area of the absorbent body 30 can be widened. have.

중간 시트(35)는, 윙부(43)의 일부와, 플랩부(60)의 일부와, 잘록부(45)에 배치되어 있다. 잘록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윙부를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은 상태에서 뒤틀림이 생기기 쉽다. 이 뒤틀림이 생기는 잘록부에 중간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뒤틀림에 의해서 플랩부(60)는 딱딱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disposed in a part of the wing part 43, a part of the flap part 60, and the cutoff part 45. As described above, the narrowing portion is likely to be warped in a state where the wing portion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By arrange | positioning an intermediate | middle sheet in the part which this distortion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flap part 60 can be suppressed from becoming hard by a twist and can reduce the irritation to skin.

중간 시트(35)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부직포에 열풍을 내뿜고, 내뿜은 열풍이 관통함으로써 부피가 회복되기 때문에, 부드럽고 촉감이 좋다.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중간 시트(35)를 구성함으로써, 신체를 따라서 플랩부(60)를 배치했을 때에, 장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made of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emits hot air to the nonwoven fabric and recovers its volume by penetrating the blown hot air, thereby providing a soft and soft touch. By forming the intermediate sheet 35 by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when the flap part 60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a body, a mounting feeling can be improved more.

중간 시트를 마련함으로써, 중간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간 시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의 경계에서 두께 차나 강성차가 형성된다. 예컨대, 플랩부(60)가 중간 시트의 단부를 기점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By providing the intermediate sheet, a thickness difference and a rigidity difference ar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sheet is disposed and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sheet is not disposed. For example, the flap portion 60 is easily deformed from the end of the intermediate sheet.

또한,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을 따른 접음선이나 폭 방향을 따른 접음선을 기점으로 절첩된 상태로 필름이나 부직포에 의해서 개별로 포장된다. 이와 같이 절첩된 흡수성 물품은, 절첩되었을 때의 접음선이 남아, 흡수성 물품을 평면형으로 전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is individually packaged by a film or a nonwoven fabric in a state of being folded at a fold lin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r a fold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folded as described above, a folding line at the time of being folded may remain, and it may be difficult to develop the absorbent article in a planar shape.

그러나, 예컨대 섬유의 자유도가 비교적 높은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중간 시트(35)를 구성함으로써, 접음선이 남기 어려워지고,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간 시트(35)는, 흡수성 물품이 절첩될 때에 형성되는 접음선을 걸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by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sheet 35 with, for example,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freedom in fibers, the fold line becomes difficult to remain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it.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mediate sheet 35 has a fold line formed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folded.

중간 시트(35)는 적어도 사이드 시트(41)와 접착제를 통해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중간 시트는, 스파이럴형으로 배치된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표면 시트(10) 및 이면 시트(20)에 접착되어 있다. 중간 시트(35)와 표면 시트(10) 등을 간헐적으로 접합함으로써, 표면 시트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중간 시트(35)를 상대 이동할 수 있고,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sheet 35 is intermittently joined at least with the side sheet 41 and the adhesive agent. The intermediat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dhered to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through a hot melt adhesive disposed in a spiral shape. By intermittently joining the intermediate sheet 35 and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like, the intermediate sheet 35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surface sheet, and the smooth texture can be maintained.

흡수성 물품(1)에서는, 표면 시트(10), 사이드 시트(41), 중간 시트(35) 및 이면 시트(20)의 주연부가 접합되어, 흡수체(30)가 내부 밀봉된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또는 핫멜트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sorbent article 1, peripheral parts of the surface sheet 10, the side sheet 41, the intermediate sheet 35, and the back sheet 20 are joined, and the absorber 30 is sealed internally. As a joining method of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20, it is possible to combine any one or multiple of heat embossing, an ultrasonic wave, or a hot melt adhesive agent.

이면 시트(20)에 있어서, 속옷과 접촉하는 표면에는, 복수개 영역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접착부는, 흡수체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속옷의 가랑이부에 흡수성 물품(1)을 고정하기 위한 중앙 접착부(51)와, 윙부(43)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가랑이부를 말려들게 하여 윙부(43)를 고정하기 위한 윙 접착부(52)와, 플랩부(60)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속옷의 뒷길에 대하여 플랩부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플랩 접착부(53)를 갖는다. In the back sheet 20, an adhesive part coated with an adhesive in a plurality of areas is provid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nderwear (see Fig. 2). An adhesive part is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side of an absorber, is provided in the center adhesive part 51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 to the crotch part of underwear, and it is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wing part 43, and the crotch part is rolled up and a wing part ( It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flap part 60, and the flap adhesion part 53 for fixing in the state which opened the flap part with respect to the back length of underwear.

사용전의 상태에서는, 접착제는, 도시하지 않는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다. 박리 시트는, 사용전에 접착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 착용자에 의해서 박리 시트가 박리된다. In the state before use, the adhesive contact | connects the peeling shee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release sheet prevents the adhesive from deteriorating before use. And a peeling sheet peels by a wearer at the time of use.

또, 박리 시트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에 의해서 사용전에 접착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접착제와 포장 시트가 접하는 경우에는, 포장 시트의 표면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접착제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does not have a peeling sheet,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an adhesive may deteriorate before use by the packaging sheet which packages an absorbent article individually. When an adhesive agent and a packaging sheet contac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process which enables peeling of an adhesive agent on the surface of a packaging sheet, without reducing the adhesive force of an adhesive agent.

또한, 윙 접착부(52) 및 플랩 접착부(53)는, 중간 시트(35)가 배치된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시트(3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이면 시트(20)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단위 중량의 재료에 의해서 이면 시트(20)를 구성한 경우이더라도, 이면 시트의 강도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사용후에 흡수성 물품(1)을 속옷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이면 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g adhesion part 52 and the flap adhesion part 53 are provided in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 middle sheet 35 is arrange | positioned. By providing the intermediate sheet 35, the back sheet 20 can be reinforced. Accordingly, even when the back sheet 20 is made of a low unit weight material, the strength of the back sheet becomes easy to be maintained, and the back sheet is prevented from being torn when the absorbent article 1 is peeled from the underwear after use. can do.

흡수성 물품(1)에는,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압착부(80)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흡수체(30)를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스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은 격자망이나 벌집 형상이더라도 좋다. In the absorbent article 1, the crimping part 80 which compressed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Moreover, the crimping | compression-bonding part 80 should just be formed by crimping | bonding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t least, and various structures can be employ | adopted. For example, it can be formed by press working or embossing, and the shape may be a lattice network or a honeycomb shape.

플랩부(60)는 폭 방향의 길이가, 그 전후 영역의 폭 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된 복수의 플랩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랩 잘록부는, 전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랩 잘록부(61)와, 후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랩 잘록부(62)를 갖는다. The flap part 60 is provided with the some flap cut off part in which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was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ront-back area | region. The flap cutting part has the 1st flap cutting part 61 located in the front side, and the 2nd flap cutting part 62 located in the rear side.

플랩부(60)는, 제1 플랩 잘록부(61)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랩부(63)와, 제1 플랩 잘록부(61)보다도 후방으로서, 제2 플랩 잘록부(62)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플랩부(64)와, 제2 플랩 잘록부(6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제3 플랩부(65)를 갖는다. The flap part 60 is behind the 1st flap part 63 located in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1st flap cut part 61, and the 1st flap cut part 61, and is compared with the 2nd flap cut part 62. FIG. It has the 2nd flap part 64 located in front, and the 3rd flap part 65 located behind back of the 2nd flap cutting part 62. As shown in FIG.

제1 플랩부(63)는, 잘록부(45)의 후측 단부(45R)에서 제1 플랩 잘록부(61)까지의 영역이며, 후측 단부(45R)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플랩부(63)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3WM)는, 제1 플랩 잘록부(61)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1 최대 폭 위치(63WM)는, 제1 플랩부(63)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The first flap portion 63 is an area from the rear end portion 45R to the first flap blocking portion 61 of the cut portion 45, and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it goes rearward from the rear end portion 45R. do. The 1st largest width position (outer edge part) 63WM located in the most width direction outer side in the 1st flap part 63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1st flap blocking part 61. As shown in FIG. The first maximum width position 63WM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flap portion 63.

제2 플랩부(64)는, 제1 플랩부(63)의 후측 단부가 되는 제1 플랩 잘록부(61)에서 제2 플랩 잘록부(62)까지의 영역이며, 제1 플랩 잘록부(61)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플랩부(64)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4WM)는, 제2 플랩 잘록부(62)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최대 폭 위치(64WM)는, 제2 플랩부(64)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The 2nd flap part 64 is an area | region from the 1st flap cut part 61 which becomes a rear end part of the 1st flap part 63 to the 2nd flap cut part 62, and the 1st flap cut part 61 )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it goes rearward. The 2nd largest width position (outer edge part) 64WM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in the 2nd flap part 64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2nd flap cutting part 62. As shown in FIG. The second largest width position 64WM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cond flap portion 64.

제3 플랩부(65)는, 제2 플랩부(64)의 후측 단부가 되는 제2 플랩 잘록부(62)에서 플랩부(60)의 후측 단부까지의 영역이며, 제2 플랩 잘록부(62)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제3 플랩부(65)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5WM)는, 제2 플랩 잘록부(62)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3 최대 폭 위치(65WM)는, 제3 플랩부(65)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이 제3 최대 폭 위치(65WM)는,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가 된다.The 3rd flap part 65 is an area | region from the 2nd flap cut part 62 used as the rear end part of the 2nd flap part 64 to the back end part of the flap part 60, and the 2nd flap cut part 62 )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it goes rearward. In the 3rd flap part 65, the 3rd largest width position (outer edge part) 65WM located in the outermost width direction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2nd flap cut off part 62. As shown in FIG. The third largest width position 65WM is located behind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hird flap portion 65. The third maximum width position 65WM is the maximum width position of the flap portion.

플랩부(60) 및 잘록부(45)에는, 두께 방향(T)에서 오목해지는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41), 중간 시트(35) 및 이면 시트(20)가, 표면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을 향하여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41)측에서 이면 시트측을 향하여 압축되어 있다. 표면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을 향해서 압축하여 오목부(70)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할 때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flap part 60 and the constriction part 45, the recessed part 70 which become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formed. As for the recessed part 70, as shown in FIG. 3, the side sheet 41, the intermediate | middle sheet 35, and the back sheet 20 a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ward the back sheet side from the front sheet side. In this embodiment, it is compressed toward the back sheet side from the side sheet 41 side which comprises a surface sheet. By compressing from the front sheet side toward the back sheet side to form the concave portion 70,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earing of the back sheet made of a film when forming the concave portion.

오목부는, 잘록부의 협소 폭 위치(45WN)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오목부(70)의 전측 단부(70F)는, 잘록부의 협소 폭 위치(45WN)이며, 오목부의 후측 단부(70R)는, 플랩부의 후측 단부이다. 또, 오목부의 전측 단부는, 잘록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협소 폭 위치와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오목부의 후측 단부는, 플랩부의 후측 단부와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The recess extends backward from the narrow width position 45WN of the narrow portion. The front side end part 70F of the recessed part 70 is the narrow width position 45WN of a narrow part, and the rear end part 70R of the recessed part is a rear end part of a flap part. Moreover, the front end part of a recessed part may just be provided in the narrow part, and may correspond with the narrow width position, and does not need to matc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cess portion may or may not coincide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lap portion.

오목부(70)는, 윙부(43)가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 상태에서,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에서 플랩부가 되접어지는 기점이 된다. 오목부(70)를 기점으로 플랩부(60)가 되접어짐으로써, 오목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의 플랩부에서의 피부 접촉면측이 착용자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오목부(70)는, 표면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을 향하여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으로 오목해져 있다. 따라서, 오목부(70)를 기점으로 플랩부(60)가 되접어지기 쉽다. The recessed part 70 becomes a starting point by which a flap part is folded back in the non-skin-contacting surface side of underwear, in the state in which the wing part 43 was folded back in the non-skin-contacting surface side of underwear. When the flap part 60 is folded back from the recessed part 70,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in the flap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recessed part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wearer. Since the recessed part 70 is compressed toward the back sheet side from the front sheet side, it is recessed from the front sheet side to the back sheet side. Therefore, the flap part 60 tends to be folded back from the recessed part 70.

또한, 오목부(70)는, 잘록부(45)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오목부에 따르면, 윙부(43)가 되접어지고, 오목부를 기점으로 플랩부가 되접어졌을 때에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되는 면적이 적어진다. Moreover, the recessed part 70 extends toward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as it goes back to the back part 45.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recessed part, the wing part 43 is folded back, and when the flap part is folded back from the recessed part, the area arrange | positioned at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becomes small.

오목부(70)는, 흡수체(3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 사이의 거리는,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보다도 전방에서 가장 짧다. 오목부(70)는, 한 쌍의 오목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 뒤, 후방으로 향하여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후방의 영역에서 플랩부를 확대하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The recesses 70 are arranged in pairs with the absorber 3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recessed parts is shortest in front than the maximum width position of a flap part. The recessed part 70 extends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after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ecessed parts is shortened. Therefore, the flap portion can be easily enlarged in the rear region.

게다가, 개별로 포장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을 절첩했을 때에 형성되는 접음선을 걸치도록,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을 절첩했을 때에 형성되는 접음선을 걸쳐서 오목부(7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70)를 기점으로 플랩부가 절첩될 때에, 오목부(70)를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접음선이 연장하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플랩부(60)의 변형 기점으로서 오목부가 안정되게 기능하기 쉬워진다. In addi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to be packaged separately, it is preferable to form a recess so as to cover the fold line formed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folded. Since the recessed part 70 is provided across the fold line formed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folded, when the flap part is folded from the recessed part 70, the foldable 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is formed along the recessed part 70. Deform to extend. Therefore, as a starting point of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of the flap part 60, a recess becomes easy to function stably.

또한, 플랩부(60)에는, 사이드 시트(41), 중간 시트(35) 및 이면 시트(20)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된 플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랩 오목부는, 오목부(70)에서 분기되고, 또한 제1 플랩 잘록부(61)에 도달하는 제l 플랩 오목부(72)와, 오목부(70)에서 분기되고, 제2 플랩 잘록부(62)에 도달하는 제2 플랩 오목부(73)와, 오목부(70)에서 분기되고, 제3 플랩부(65)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최대 폭 위치(65WM) 근방에 도달하는 제3 플랩 오목부(74)를 갖는다. Moreover, the flap recessed part by which the side sheet 41, the intermediate | middle sheet 35, and the back sheet 20 we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flap part 60. As shown in FIG. The flap recessed portion branches from the recessed portion 70 and reaches the first flap recessed portion 61 and branches from the recessed portion 70, and the second flap recessed portion ( A branch of the second flap recess 73 reaching the 62 and the recess 70, and near the third maximum width position 65WM locat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rd flap 65, respectively. It has the third flap recess 74.

제1 플랩 오목부(72), 제2 플랩 오목부(73) 및 제3 플랩 오목부(74)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플랩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랩 오목부가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따르기 때문에, 플랩 오목부가 접는 기점이 되고, 플랩부가 자연스럽게 절첩된다. 따라서, 플랩부(60)가 신체에 대해서도, 속옷에 대해서도 무리없고 적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부에 무질서한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위화감이 없는 변형을 할 수 있어, 산뜻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The 1st flap recessed part 72, the 2nd flap recessed part 73, and the 3rd flap recessed part 74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extend from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to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as it goes back. By forming the flap recesses so as to extend from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since the flap recesses foll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the flap recesses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folding and the flap portions are naturally folded. Therefore, the flap part 60 becomes easy to fit neither body nor underwear. Accordingly, disordered wrinkles are less likely to occur in the flap portion, deformation without discomfort can be achieved, and a fresh feeling of wearing can be obtained.

도 4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B-B' 단면의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의 윙부를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을 때는, 흡수체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서 되접는다. 이때, 윙부에 형성되는 접음선(FL)은, 되접어지기 전의 상태로 오목부 및 잘록부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흡수체의 측부를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sorbent article 1 is attached to the undergar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shown in FIG. 4. When the wing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the wing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s folded back from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than the absorber. At this time, the fold line FL formed in a wing part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inner side rather than a recessed part and the constriction part in the state before returning, and extends along the side part of an absor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윙부가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 상태로 윙부에 형성되는 접음선(FL)보다도, 잘록부가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윙부를 되접은 상태에서, 윙부의 붙어 있는 부분이 되는 잘록부가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되어, 잘록부가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잘록부에 생기는 뒤틀림 부분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피부에의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Since the cutout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old line FL formed on the w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wing portion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the cutoff portion that becomes the attached portion of the wing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wing portion is folded is underwear.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and it can prevent that a blocking part directly contacts sk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arp portion generated in the cutout portion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thereby reducing the irritation to the skin.

또한, 플랩부는, 오목부를 통해 되접어져 있기 때문에, 플랩부에서의 오목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을, 착용자에게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부를 착용자에게 대향하여 배치하면서, 윙부의 에지 부분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flap part is folded back through the recessed part, the area | region of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recessed part in a flap part can be arrange | positioned facing a wearer. Therefore, it can suppress the magnetic pole by the edge part of a wing part contacting, arrange | positioning a flap part facing a wearer.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설명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제1 단계로서, 표면 시트 생성 공정을 행한다. 그 다음에, 제2 단계로서, 표면 시트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10)와 사이드 시트(41)를, 예컨대 열용착에 의해서 접착한다.Next, a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sorbent article 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about the method which is not demonstrated, an existing method can be us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absorbent article performs a surface sheet formation process as a 1st step. Next, as a 2nd step, a surface sheet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side sheet 41 are adhered by, for example, heat welding.

제3 단계로서, 흡수체 성형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성형 드럼에 의해서 흡수체의 재료가 되는 펄프를 성형하여 흡수체(30)를 성형한다. 또,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의 표면 시트의 제조 공정과, 제3 단계의 흡수체 성형 공정의 순서는, 반대 순서이더라도 좋다. As a third step, an absorber mold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absorbent body 30 is formed by molding the pulp serving as the material of the absorbent body by the forming drum. In addition, the order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rface sheet of a 1st step and a 2nd step, and the absorber shaping | molding process of a 3rd step may be reverse order.

제4 단계에서,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3 단계에서 성형한 흡수체와, 제2 단계에서 접합한 표면 시트 및 사이드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한다. In a fourth step, the bond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bonding step of joining the absorber molded in the third step, the surface sheet and the side sheet joined in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제5 단계에서, 제1 압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압착부(80)를 형성한다. 제6 단계에서, 이면 시트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착부를 형성한 흡수체 및 표면 시트 등과, 이면 시트를 접합한다. In a fifth step, a first crimp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absorber 30 and the surface sheet 10 a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form the crimping portion 80. In a sixth step, a back sheet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absorber, the surface sheet and the like on which the crimping portion is formed are bonded to the back sheet.

제7 단계로서, 제2 압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또한 사이드 시트(41), 중간 시트(35), 및 이면 시트(2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오목부(70)를 형성한다. 상기 단계후,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한 공정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As a seventh step, a second crimp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side sheet 41, the intermediate sheet 35, and the back sheet 20 are further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form the recesses 70. After the step, a process of applying the adhesive is provided. By the above process,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된 상태에서, 잘록부보다도 전방의 윙부는,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고, 잘록부(45)보다도 후방의 플랩부(60)는,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잘록부에는 윙부를 되접었을 때의 접음선의 단부가 위치하여 뒤틀림이 생긴다. In the state where the absorbent article is attached to the undergarment, the wing portion forward of the undercut portion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and the flap portion 60 behind the undercut portion 45 is disposed facing the wearer's body. do. Therefore, the edge part of the fold line at the time of returning a wing part is located in a cut | disconnected part, and distortion occurs.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윙부를 되접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접음선도 잘록부가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음선의 단부가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윙부의 에지의 뒤틀림 부분이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음선에 의한 피부에의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Since the fold line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wing portion is folded back on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is also arranged at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end of the fold line is disposed on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rped portion of the edge of the wing portion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skin and to reduce the irritation to the skin due to the fold line.

또한, 플랩부는 오목부를 통해 되접어지기 때문에, 플랩부에서의 오목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을, 착용자에게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부를 착용자에게 대향하여 배치하면서, 윙부의 에지 부분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lap portion is folded back through the concave portion, a region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concave portion in the flap portion can be disposed facing the wearer. Therefore, it can suppress the magnetic pole by the edge part of a wing part contacting, arrange | positioning a flap part facing a wear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서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의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tent of this invention was disclosed thr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description and drawing which form a part of this indic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it limits this invention. From this disclosure, various alternative embodiments, embodiments and operational technique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간 시트의 폭 방향에서의 내측 단부는, 흡수체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중간 시트와 흡수체와는 두께 방향에서 겹쳐져 있다. 그러나, 예컨대, 중간 시트의 폭 방향에서의 내측 단부는, 흡수체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중간 시트와 흡수체와는 두께 방향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end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an intermediate shee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rather than the outer end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an absorber, and the intermediate sheet and an absorber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However, for example, the inner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sheet is dispos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r, and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absorber do not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중간 시트와 흡수체가 두께 방향에서 겹쳐져 있지 않은 경우, 흡수체와 중간 시트 사이의 영역은, 중간 시트나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강성이 낮고, 그 주위의 영역에 비교해서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윙부를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었을 때에, 중간 시트와 흡수체 사이의 영역이 변형하여, 뒤틀림에 의해서 생기는 주름이나 접음선이 플랩부 자체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absorber are not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area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intermediate sheet is low in rigidity and is easy to deform compared to the area around the absorber because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absorbent body are not disposed. Therefore, when the wing portion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the area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absorbent body is deformed,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wrinkles and fold lines caused by warping on the flap portion itself.

또한, 예컨대, 오목부의 후측 단부는, 반드시 플랩부의 후측 단부에 위치하여 있지 않아도 좋고, 플랩부의 후측 단부와 틀어져 있더라도 좋다. 또한, 플랩부의 착용자에 대한 접촉면은, 반드시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중간 시트는 반드시 에어스루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게다가, 중간 시트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For example, the rear end part of the recessed part may not necessarily be located in the rear end part of a flap part, and may be twisted with the rear end part of a flap part. In addition, the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wearer of a flap par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mprised by the air-through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heet may not necessarily be constituted by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and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heet may not necessarily be provided.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오목부는, 선형이지만, 예컨대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트형 집합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오목부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측에서 이면 시트측으로 압축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이면 시트측에서 사이드 시트측으로 압축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Although the recessed par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linear, it may be comprised, for example by the some dot-shaped assembly arrange | positioned intermittently.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ar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compressed and formed in the back sheet side from the side sheet side which comprises a surface sheet, you may be compressed and formed in the side sheet side from the back sheet side, for example.

또,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1-217600호(2011년9월30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인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217600 (filed September 30, 2011)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윙부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접음선에 의한 자극을 저감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The absorbent article which can reduce the irritation by the fold line formed in the state which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of a wing part can be provided.

L : 길이 방향
S : 속옷
T : 두께 방향
W : 폭 방향
1 : 흡수성 물품
10 : 표면 시트
20 : 이면 시트
30 : 흡수체
35 : 중간 시트
41 : 사이드 시트
43 : 윙부
43F : 전측 단부
43R, 45R : 후측 단부
43WM : 윙 최대 폭 위치
45 : 잘록부
45WN : 협소 폭 위치
51 : 중앙 접착부
52 : 윙 접착부
53 : 플랩 접착부
60 : 플랩부
60WM : 플랩 최대 폭 위치
61 : 제1 플랩 잘록부
62 : 제2 플랩 잘록부
63 : 제1 플랩부
63WM : 제1 최대 폭 위치
64 : 제2 플랩부
64WM : 제2 최대 폭 위치
65 : 제3 플랩부
65WM : 제3 최대 폭 위치
70 : 오목부
70F : 전측 단부
70R : 후측 단부
71 : 제1 오목부
72 : 제1 플랩 오목부
73 : 제2 플랩 오목부
74 : 제3 플랩 오목부
80 : 압착부
L: longitudinal direction
S: Underwear
T: thickness direction
W: width direction
1: absorbent article
10: surface sheet
20: back sheet
30: absorber
35: middle sheet
41: side sheet
43: wing section
43F: front end
43R, 45R: rear end
43WM: Maximum wing width position
45: strict part
45WN: narrow width position
51: center adhesive
52: wing adhesive
53: flap adhesive portion
60: flap part
60WM: flap maximum width position
61: first flap abutment
62: second flap narrowing portion
63: first flap portion
63WM: first maximum width position
64: second flap portion
64WM: 2nd largest width position
65: third flap portion
65WM: 3rd largest width position
70: recess
70F: front end
70R: rear end
71: first recessed portion
72: first flap recess
73: second flap recess
74: third flap recess
80: crimping portion

Claims (6)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는, 착용자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지는 윙부와, 상기 윙부보다도 후방에 배치된 플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윙부와 상기 플랩부 사이에는, 상기 윙부에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최대 폭 위치 및 상기 플랩부에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최대 폭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으로 잘록해지는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랩부 및 상기 잘록부에는, 상기 플랩부의 두께 방향에서 오목해지고, 상기 잘록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잘록부는, 상기 윙부가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 상태로 상기 윙부에 형성되는 접음선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윙부가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에서 상기 플랩부가 상기 오목부를 기점으로 되접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랩부의 피부 접촉면측이 상기 착용자에게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In the absorbent article which has a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With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With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An absorbent body dispose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of the said absorber, the wing part which returns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a wearer's underwear, and the flap part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said wing part are formed,
Between the said wing part and the said flap part, the width | variety which cuts inward in width direction rather than the largest width position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most at the said wing part, and the largest width posi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width direction from the said flap part is formed,
In the said flap part and the said narrow part, the recessed part which becomes conca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id flap part, and extends back from the said narrow part is formed,
The said recessed part and the said narrow part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rather than the fold line formed in the said wing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said wing part was folded back to the said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The flap part is folded back to the starting point from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underwear while the wing portion is folded back to the skin non-contact surface side, so that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flap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wearer. Absorbent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잘록부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concave portion extend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it goes rearward from the constriction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의 전측 단부는, 상기 윙부의 후측 단부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ing portion is locat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w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가, 상기 표면 시트측에서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by compressing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from the front sheet side to the back shee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중간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시트는, 적어도 상기 잘록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intermediate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sheet dispose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The said intermediate sheet is arrange | positioned at least in the said narrow part, The absorbent art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시트는, 상기 플랩부 중 적어도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및 상기 중간 시트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The said intermediate shee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said recessed part was formed at least among the said flap parts,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by compressing the said front sheet, the said back sheet, and the said intermediate sheet to the said thickness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127025715A 2011-09-30 2012-04-20 Absorbent article KR1012918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7600A JP5082006B1 (en) 2011-09-30 2011-09-30 Absorbent articles
JPJP-P-2011-217600 2011-09-30
PCT/JP2012/060793 WO2013024606A1 (en) 2011-09-30 2012-04-20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209A true KR20130038209A (en) 2013-04-17
KR101291848B1 KR101291848B1 (en) 2013-07-31

Family

ID=4655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715A KR101291848B1 (en) 2011-09-30 2012-04-20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082006B1 (en)
KR (1) KR101291848B1 (en)
CN (2) CN102614050B (en)
MY (1) MY148446A (en)
SG (1) SG188727A1 (en)
TW (1) TWI397404B (en)
WO (1) WO201302460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9573B2 (en) * 2013-01-31 2017-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220588B2 (en) * 2013-07-26 2017-10-25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738449B2 (en) * 2013-07-26 2015-06-24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301177B2 (en) * 2014-04-15 2018-03-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6051285B1 (en) * 2015-09-30 2016-1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537658B1 (en) * 2018-03-28 2019-07-03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WO2021132724A1 (en) * 2019-12-27 2021-07-01
WO2023277013A1 (en) * 2021-06-30 2023-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697A (en) * 1988-03-31 1990-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having flaps and stress relief means
DE69508390T2 (en) * 1994-04-15 1999-08-26 Procter & Gamble WINGS FOR ABSORBENT PRODUCTS
JP3816294B2 (en) * 2000-03-30 2006-08-30 大王製紙株式会社 Sanitary napkin with high anti-leakage effect
JP4492913B2 (en) * 2001-10-04 2010-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359020B2 (en) * 2002-03-28 2009-11-04 大王製紙株式会社 Sanitary napkin
CN100482191C (en) * 2003-05-29 2009-04-2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Sanitary napkin
JP4476611B2 (en)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Sanitary napkin
JP4312113B2 (en) * 2004-07-09 2009-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Sanitary napkin
JP4518856B2 (en) * 2004-07-26 2010-08-04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732497B2 (en) * 2008-09-30 2011-07-27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432753B2 (en) * 2010-02-03 2014-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7404B (en) 2013-06-01
CN102614050A (en) 2012-08-01
KR101291848B1 (en) 2013-07-31
CN202714979U (en) 2013-02-06
WO2013024606A1 (en) 2013-02-21
JP2013075081A (en) 2013-04-25
SG188727A1 (en) 2013-05-31
TW201304753A (en) 2013-02-01
JP5082006B1 (en) 2012-11-28
CN102614050B (en) 2013-08-14
MY148446A (en)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48B1 (en) Absorbent article
KR101968380B1 (en) Absorbent article
KR101291963B1 (en) Absorbent article
TWI603722B (en) Absorbent article
TWI528948B (en) Absorbent items
JP6159121B2 (en) Absorbent articles
JP6030875B2 (en) Absorbent articles
JP6043643B2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773591B2 (en) Absorbent articles
JP6030876B2 (en) Absorbent articles
JP5276524B2 (en)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5944218B2 (en) Absorbent articles
JP6220805B2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5993235B2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2013078560A (en) Absorptiv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