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291A -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291A
KR20130037291A KR1020110101615A KR20110101615A KR20130037291A KR 20130037291 A KR20130037291 A KR 20130037291A KR 1020110101615 A KR1020110101615 A KR 1020110101615A KR 20110101615 A KR20110101615 A KR 20110101615A KR 20130037291 A KR20130037291 A KR 2013003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ic
interest
item
server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홍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진 filed Critical 홍성진
Priority to KR102011010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291A/ko
Publication of KR2013003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질문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대한 선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관심을 갖는 주제의 동향을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은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되는 결과를 기초로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항목제공서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는 카운팅서버; 상기 카운팅서버에 의해 각각 카운팅되는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항목별로 저장하는 제1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하는 태그추출서버; 상기 태그추출서버에 의해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제2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와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를 통해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서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여론 및 설문조사에서 참여자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어(태그)를 정확하게 추출하여 관심주제의 동향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선택항목에 대해서도 댓글을 달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의 관심주제를 더욱 명확하고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Preference trend analysis system using internet survey and pol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론조사 방법은 조사문항과 함께 몇 개의 보기를 제시하여, 단수 혹은 복수의 선택을 받아 이 누적된 입력(선택)정보에 의해 순위를 평가하는 방식이었다.
최근에 여론조사의 이용과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사참여자에 대한 포인트 등의 지급과 투표 시 배팅 등에 의한 오락적인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등과 함께, 조사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별된 패널 운영 등을 통해 조사의 공정성 및 신뢰오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여론조사의 이용과 활성화, 공정성 및 신뢰성 제고에 일정부분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으나, 여전히 단순한 순위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엔 미흡한 점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이 제공하고자 하는 조사 대상에 대한 질적 평가라 할 수 있는 선호강도의 분석 및 평가에 의한 다양한 또는 다량의 선호순위 및 선호강도를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23212호 발명은 선호강도 평가에 의한 여론조사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선호강도를 부여하여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는 여론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선호강도가 여론조사 참여자의 입력에 따라 부여되므로, 여전히 객관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여론조사 결과를 도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 상에서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질문항목 또는 선택항목에 대한 선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관심을 갖는 주제의 동향을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은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되는 결과를 기초로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항목제공서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는 카운팅서버; 상기 카운팅서버에 의해 각각 카운팅되는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항목별로 저장하는 제1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하는 태그추출서버; 상기 태그추출서버에 의해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제2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와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를 통해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태그추출서버는 상기 질의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한다.
또한, 태그추출서버는 상기 선택항목을 주제어로 추출한다.
또한, 상기 태그추출서버는 상기 선택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상기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는 댓글항목제공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운팅서버는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상기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태그추출서버에 의해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상기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카운팅서버는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상기 제2데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또는 댓글 개수 또는 조회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에 따른 상기 주제어의 순위를 각각 산정하고 산정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각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이면 상기 선택 횟수, 댓글 개수, 조회 횟수 순위에 따라 상기 평균 순위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서버는 상기 평균 순위에 따라 상기 주제어를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은,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되는 결과를 기초로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에 있어서, 항목제공서버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하거나, 상기 선택항목을 주제어로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상기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상기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상기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조회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에 따른 상기 주제어의 순위를 각각 산정하고 산정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이면 상기 선택 횟수, 댓글 개수, 조회 횟수 순위에 따라 상기 평균 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론 및 설문조사에서 참여자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어(태그)를 정확하게 추출하여 관심주제의 동향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선택항목에 대해서도 댓글을 달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의 관심주제를 더욱 명확하고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댓글항목제공서버가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추출서버가 추출한 주제어를 디스플레이서버가 분석결과에 따라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1)은 인터넷을 통해 웹페이지(10)에 접속한다. 또한, 참여자 단말기(30)는 인터넷을 통해 웹페이지(10)에 접속한다. 참여자 단말기(30)를 통해 입력되는 내용은 인터넷을 통하여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1)이 수신하고, 수신된 내용을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1)이 처리하여 웹페이지(10)에 처리 내용을 표시한다.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1)은 항목제공서버(2), 카운팅서버(3), 제1데이터베이스서버(4), 태그추출서버(5), 제2데이터베이스서버(6),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 디스플레이서버(8)와 댓글항목제공서버(9)를 포함한다.
항목제공서버(2)는 인터넷 웹페이지(10)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한다. 또한, 항목제공서버(2)는 참여자 단말기(30)에 의한 요구신호가 있을 경우에 인터넷 웹페이지(10)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카운팅서버(3)는 인터넷을 통해 웹페이지(10)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30)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한다.
제1데이터베이스서버(4)는 카운팅서버(3)에 의해 각각 카운팅되는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항목(질의항목과 선택항목)별로 저장한다.
태그추출서버(5)는 제1데이터베이스서버(4)에 저장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한다. 여기서 주제어(태그)는 여론 및 설문조사의 핵심을 나타내는 단어로서 태그, 토픽, 채널, 섹션, 카테고리, 그룹 등 용어를 불문하고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그추출서버(5)는 참여자 단말기(30)에 의해 입력되는 태그입력신호에 따라 제1데이터베이스서버(4)에 저장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태그추출서버(5)는 참여자 단말기(30)를 통해 입력되는 태그입력신호에 포함된 단어를 제1데이터베이스서버(4)에 저장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에 대한 태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태그추출서버(5)는 질의항목에 포함된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항목이 “휴양지로 가장 좋은 지역은?”인 경우에 태그추출서버(5)는 “휴양지”와 “지역”각각을 주제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태그추출서버(5)는 선택항목 각각을 주제어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선택항목이 있는 경우에 태그추출서버(5)는 1번 선택항목에서 “미국”을, 2번 선택항목에서 “영국”을, 3번 선택항목에서 “일본”을, 4번 선택항목에서 “중국”을, 5번 선택항목에서 “프랑스”를, 6번 선택항목에서 “독일”을 각각 주제어로 추출할 수 있다.
질문 : 가장 가고 싶은 나라는?
1. 미국
2. 영국
3. 일본
4. 중국
5. 프랑스
6. 독일
또한, 태그추출서버(5)는 선택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선택항목이 있는 경우에 태그추출서버(5)는 1번 선택항목에서 “적금”을, 2번 선택항목에서 “국민연금”을, 3번 선택항목에서 “펀드상품”을, 4번 선택항목에서 “주식투자”를, 5번 선택항목에서 “준비”를 각각 주제어로 추출할 수 있다.
질문 : 노후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요?
1. 적금을 들어놓는다.
2. 국민연금에 의존한다.
3. 펀드상품을 산다.
4. 직접 주식투자를 한다.
5. 아직 준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위에서 예로 든 내용과는 달리 태그추출서버(5)가 추출하는 주제어는 영어, 일본어 등 모든 언어가 될 수 있다.
제2데이터베이스서버(6)는 태그추출서버(5)에 의해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는 제2데이터베이스서버(6)에 저장된 주제어와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디스플레이서버(8)는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를 통해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인터넷 웹페이지(10) 상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1)은 댓글항목제공서버(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댓글항목제공서버(9)는 인터넷 웹페이지(10) 상에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한다. 댓글항목제공서버(9)는 각 선택항목에 대해 댓글이 작성될 수 있도록 각 선택항목에 댓글항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화면 예시도에서 보듯이, “LG”라는 선택항목(600)에 대해 댓글이 작성될 수 있도록 댓글항목(610)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댓글항목제공서버가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이렇게 댓글항목 자체에 대해 댓글이 작성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참여자들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생각 및 의견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참여자들의 관심주제 동향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카운팅서버(3)는 댓글항목제공서버(9)에 의해 제공된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에 대응하여 인터넷 웹페이지(10)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30)에 의해 작성된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제2데이터베이스서버(6)는 태그추출서버(5)에 의해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
또한, 카운팅서버(3)는 인터넷 웹페이지(10)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30)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제2데이터베이스서버(6)는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
또한,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는 제2데이터베이스서버(6)에 저장된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또는 댓글 개수 또는 조회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는 제2데이터베이스서버(6)에 저장된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에 따른 주제어의 순위를 각각 산정하고 산정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는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는 각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이면 선택 횟수, 댓글 개수, 조회 횟수 순위에 따라 평균 순위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서버(8)는 평균 순위에 따라 주제어를 인터넷 웹페이지(10) 상에 표시한다. 즉,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에 의해 결정된 각 주제어의 순위에 따라 웹페이지(10)에 순서대로 각 주제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Japan”, “Earthquake”, “Apple” 등의 주제어를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에서 태그추출서버(5)가 추출하고 추출된 각 주제어를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7)가 분석하여 평균 순위를 결정한 후에는 디스플레이서버(8)가 평균 순위가 높은 “Japan”, “Earthquake”순으로 "Hot Channels" 항목에 표시(700)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추출서버가 추출한 주제어를 디스플레이서버가 분석결과에 따라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에 대해 이하 도 2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한다(100).
그리고,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고 저장한다(110).
선택 횟수를 저장한 다음에는,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한다(120).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130).
저장된 주제어와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140).
이렇게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한다(15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에 대해 이하 도 3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고(200),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고 저장한다(210).
그리고,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한다(212).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고(214),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한다(216).
그런 다음,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한다(220).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 및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 및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230).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에 따른 주제어의 순위를 각각 산정하고 산정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240).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한다(25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에 대해 이하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고(300),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고 저장한다(310).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고(312),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한다(314).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하고(316),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한다(320).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 및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 및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330).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340).
그리고,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한다(350).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또 다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에 대해 이하 도 5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고(400),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고 저장한다(410).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고(412),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한다(414).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하고(416),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한다(420).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 및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 및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한다(430).
그리고,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440).
그런 다음, 각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442).
만약 각 주제어 중 둘 이상의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이면, 선택 횟수, 댓글 개수, 조회 횟수 순위에 따라 평균 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444).
만약 각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가 아니면,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한다(446).
마지막으로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한다(450).
1 :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2 : 항목제공서버
3 : 카운팅서버 4 : 제1데이터베이스서버
5 : 태그추출서버 6 : 제2데이터베이스서버
7 :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 8 : 디스플레이서버
9 : 댓글항복제공서버 10 : 웹페이지
30 : 참여자 단말기

Claims (21)

  1.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되는 결과를 기초로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항목제공서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는 카운팅서버;
    상기 카운팅서버에 의해 각각 카운팅되는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항목별로 저장하는 제1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하는 태그추출서버;
    상기 태그추출서버에 의해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제2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와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를 통해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추출서버는 상기 질의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추출서버는 상기 선택항목을 주제어로 추출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추출서버는 상기 선택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상기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는 댓글항목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서버는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상기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태그추출서버에 의해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상기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서버는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데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또는 댓글 개수 또는 조회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에 따른 상기 주제어의 순위를 각각 산정하고 산정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주제동향분석서버는 상기 각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이면 상기 선택 횟수, 댓글 개수, 조회 횟수 순위에 따라 상기 평균 순위를 결정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서버는 상기 평균 순위에 따라 상기 주제어를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15.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되는 결과를 기초로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에 있어서,
    항목제공서버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여론 및 설문조사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각 카운팅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항목의 선택 횟수를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관심주제 동향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질의항목과 선택항목이 포함하는 주제어(태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하거나, 상기 선택항목을 주제어로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항목에 포함되는 명사를 주제어로 추출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 상에 상기 선택항목에 대한 댓글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상기 선택항목별 댓글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제어가 포함되는 상기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선택항목의 댓글 개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기에 의해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주제어의 조회 횟수를 상기 각 주제어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조회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에 따른 상기 주제어의 순위를 각각 산정하고 산정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 댓글 개수와 조회 횟수별로 산정된 각각의 주제어 순위를 평균하여 평균한 순위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주제어와 상기 각 주제어별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각 주제어의 평균 순위가 동일 순위이면 상기 선택 횟수, 댓글 개수, 조회 횟수 순위에 따라 상기 평균 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여론 및 설문조사 참여자의 관심주제 동향을 분석하는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방법.
KR1020110101615A 2011-10-06 2011-10-06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7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15A KR20130037291A (ko) 2011-10-06 2011-10-06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15A KR20130037291A (ko) 2011-10-06 2011-10-06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91A true KR20130037291A (ko) 2013-04-16

Family

ID=4843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615A KR20130037291A (ko) 2011-10-06 2011-10-06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2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892A (ko) * 2017-05-10 2018-11-20 (주)퍼스트정보 트렌드분석서버,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트렌드분석방법 및 트렌드분석방법에 포함된 단계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포함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72940B1 (ko) 2019-05-31 2020-03-02 주식회사 부자앱컴퍼니 설문조사 기반 자동 기사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05379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티디아이 뉴스 콘텐츠를 이용한 간편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892A (ko) * 2017-05-10 2018-11-20 (주)퍼스트정보 트렌드분석서버,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트렌드분석방법 및 트렌드분석방법에 포함된 단계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포함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72940B1 (ko) 2019-05-31 2020-03-02 주식회사 부자앱컴퍼니 설문조사 기반 자동 기사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05379A (ko) 2022-01-04 2023-07-11 주식회사 티디아이 뉴스 콘텐츠를 이용한 간편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rren et al. Echo chambers on social media: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US9881042B2 (en) Internet based method and system for ranking individuals using a popularity profile
Herring et al. Conversations in the blogosphere: An analysis" from the bottom up"
Liu et al. When web search fails, searchers become askers: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US8370372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moting human-assisted search
US83807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101535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opics For Short Text Communications
Cobb Trending now: Using big data to examine public opinion of space policy
US11687980B2 (en) Method of operating a server and a user terminal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US10783192B1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based o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Tijdens et al. Is the web a promising tool for data coll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 analysis of the sample bias of 10 web and face-to-face surveys from Africa, Asia, and South America
CN104050243B (zh) 一种将搜索与社交相结合的网络搜索方法及其系统
CN114514546A (zh) 用于促进产品研发的系统、方法和用户界面
CN103970858A (zh) 推荐内容确定系统和方法
JP2014006757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
KR101269205B1 (ko) 하나의 웹사이트 상에서의 다국어 정보 제공시스템
CN108833595B (zh) 用于在线客服服务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94511B1 (ko) 웹 문서를 이용하여 설문조사용 질의문의 결과를 획득하는 시스템
JP4504878B2 (ja) 文書処理装置
CN102915358A (zh) 导航网站实现方法和装置
CN108205545B (zh) 一种为用户提供推荐信息的方法与设备
KR20130037291A (ko) 인터넷 여론 및 설문조사를 통한 관심주제 동향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072281A1 (en) Method and system to monetize domain queries in sponsored search
Aktan et al. A holistic approach to investigate consumer’s attitude toward foreign products: role of country personality, self-congruity, product image and ethnocentrism
CN102915357A (zh) 一种实现网站导航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