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287A -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287A
KR20130037287A KR1020110101606A KR20110101606A KR20130037287A KR 20130037287 A KR20130037287 A KR 20130037287A KR 1020110101606 A KR1020110101606 A KR 1020110101606A KR 20110101606 A KR20110101606 A KR 20110101606A KR 20130037287 A KR20130037287 A KR 20130037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target
vibration
peripher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삼
이상우
Original Assignee
하이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네트(주) filed Critical 하이네트(주)
Priority to KR102011010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287A/ko
Publication of KR2013003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41J5/056Switch actuation by hit-generated mechanical vibration of the target body, e.g. using shock or vibration trans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004Archery targ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009Dart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41J5/052Targets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ic contacts, each corresponding to a discrete target section and being actuated by the move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살이나 총알 등을 사격하여 사격 점수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과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을 중심을 일치시키며 방사상의 내외측에 상호 분리하여 설치한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target apparatus checking the scor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화살이나 총알, 다트, 석궁 등을 사격하여 사격 점수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과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을 중심을 일치시키며 방사상의 내외측에 상호 분리하여 설치한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총탄이 화살 등이 맞은 부위에 따라 점수를 할당하는 과녁 장치로는 대한민국에 특허 출원된 '과녁의 채점 확인장치(출원번호:10-2006-0113402)'가 있다.
종래기술은 "소리와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채점지가 탈착 가능한 과녁과, 상기 과녁의 후측 중앙부와 좌우상하 대칭부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에서 센싱된 진동 주파수 및 레벨을 증폭 후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격자가 위치한 곳으로 전송할 수 있는 분배증폭송신기와, 상기 분배증폭송신기에서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진동 주파수 및 레벨을 측정하여 특정 밴드에서 주파수 및 레벨을 각 진동센서에 도달시간을 분석하는 수신미분분석기와, 상기 수신미분분석기에서 분석된 주파수 및 레벨을 토대로 하여 과녁상에 채점 상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녁의 채점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과녁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과녁의 특정 부위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과녁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과녁의 특정 부위에 타격이 이루어진 경우 과녁 전체에 진동이 발생하므로, 타격이 이루어진 지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센싱된 진동 주파수 및 레벨을 증폭하여 송신하기 위한 분배증폭송신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을 중심을 일치시키며 방사상의 내외측에 상호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마모 등으로 특정한 서브 과녁판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과녁판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해당하는 특정한 서브 과녁판만을 교체할 수 있는 과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을 중심을 일치시키며 방사상의 내외측에 상호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과녁판의 특정 부위에 타격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부위에 해당하는 특정 서브 과녁판만에 진동이 발생하는 과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외측 둘레부가 원형인 중앙 서브 과녁판(110)과, 환상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이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을 감싸며 방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을 포함하는 과녁판(100);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진동 센서(210)와,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의 후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진동 센서(220)를 포함하는 센서부(200); 상기 과녁판(100)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과녁판(100)에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과녁판(100)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진동 센서(210)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앙 센서 배치부(310)가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진동 센서(220)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센서 배치부(320)가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진동 흡수판(300); 상기 과녁판(100)과 상기 진동 흡수판(300)을 상호 이격 가능하도록 접촉시키면서 상기 과녁판(100)과 진동 흡수판(300)을 지지대(400)에 체결하는 연결 부재(510, 520);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진동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가 2 이상인 경우,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 중 제일 큰 세기의 진동 발생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을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가 2 이상인 경우,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 중 제일 먼저 도착한 진동 발생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을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 후방에는 복수개의 중앙 진동 센서(210)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의 후방에는 복수개의 주변 진동 센서(220)가 상호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상호 인접하며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10, 120) 및 외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20)은 상기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의 외측 둘레부와 상기 외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20)의 내측 둘레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센서 배치부(3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센서 배치부(320)는 각각 상기 진동 흡수판(30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510, 520)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어느 하나의 서브 과녁판(110, 120), 진동 흡수판(300) 및 지지대(400)를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보울트(B)와 상기 보울트(B)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용 너트(N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각각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과 상기 진동 흡수판(300) 사이 중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가 표시된 시트지(610, 6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각각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흡수판(300) 중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311, 321)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을 중심을 일치시키며 방사상의 내외측에 상호 분리하여 설치하므로, 마모 등으로 특정한 서브 과녁판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과녁판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해당하는 특정한 서브 과녁판만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진동 흡수판 중 특정 서브 과녁판의 내외측에 인접한 영역은 특정 서브 과녁판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과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있으므로, 특정 서브 과녁판에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특정 서브 과녁판의 전후 방향 진동이 특정 서브 과녁판에 대응하는 특정 진동 센서로 원활하게 전달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진동 흡수판 중 특정 서브 과녁판의 내외측에 인접한 영역은 특정 서브 과녁판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과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있으므로, 특정 서브 과녁판에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특정 서브 과녁판에 발생한 전후 방향 진동이 특정 서브 과녁판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에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과녁판의 확대도.
도3은 도2의 센서부의 확대도.
도4는 도1의 진동 흡수판의 확대도.
도5는 도1의 지지대의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시트지의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진동 흡수판의 정면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센서부와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2는 도1의 과녁판의 확대도를, 도3은 도2의 센서부의 확대도를, 도4는 도1의 진동 흡수판의 확대도를, 도5는 도1의 지지대의 확대도를,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시트지의 정면도를,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진동 흡수판의 정면도를,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센서부와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과녁판(100), 센서부(200), 진동 흡수판(300) 및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과녁판(100)은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으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하나의 중앙 서브 과녁판(110) 및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을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중앙 서브 과녁판(110)은 외측 둘레부가 원형인 원판으로 형성된다. 한편,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중앙 서브 과녁판(110)은 내측 둘레부와 외측 둘레부가 원형인 환상 고리 형태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주변 서브 과녁판(120)은 환상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이 중앙 서브 과녁판(1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 … , 제8 주변 서브 과녁판(120-8) 및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을 포함한다. 즉,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 … , 제8 주변 서브 과녁판(120-8) 및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은 중앙 서브 과녁판(110)을 감싸며 방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상호 인접하며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10, 120) 및 외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20)은 상기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의 외측 둘레부와 상기 외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20)의 내측 둘레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중앙 서브 과녁판(110)과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은 중앙 서브 과녁판(110)의 외측 둘레부가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의 내측 둘레부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과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은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의 외측 둘레부가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의 내측 둘레부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 , 제8 주변 서브 과녁판(120-8)과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은 제8 주변 서브 과녁판(120-8)의 외측 둘레부가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의 내측 둘레부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3을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중앙 진동 센서(210)와 주변 진동 센서(220)를 포함한다.
도3을 참조하면 중앙 진동 센서(210)는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중앙 서브 과녁판(110) 후방에 적어도 하나 배치된다. 중앙 진동 센서(210)는 중앙 서브 과녁판(1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중앙 진동 센서(210)는 중앙 서브 과녁판(110)의 중앙 후방에 하나 배치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주변 진동 센서(220)는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의 후방에 적어도 하나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는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 후방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는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 후방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 ,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는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 후방에 적어도 하나 배치된다. 주변 진동 센서(220)는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주변 진동 센서(220)는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의 후방 중 정사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센서(110, 120)는 마이크로폰 또는 압전 센서(피에조 센서 등)일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진동 흡수판(300)은 과녁판(100)과 접촉됨으로써 과녁판(100)에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과녁판(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도4를 참조하면 진동 흡수판(300)에는 중앙 센서 배치부(310)와 주변 센서 배치부(320)가 형성된다. 중앙 센서 배치부(310)와 주변 센서 배치부(320)는 각각 진동 흡수판(300)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구멍)이다. 한편,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중앙 센서 배치부(310)와 주변 센서 배치부(320)는 각각 진동 흡수판(30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중앙 센서 배치부(310)는 중앙 진동 센서(210)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흡수판(300) 중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 센서 배치부(310)는 중앙 진동 센서(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중앙 센서 배치부(310)는 중앙 진동 센서(210)가 진동 흡수판(300)과 접촉하지 않도록 중앙 진동 센서(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주변 센서 배치부(320)는 주변 진동 센서(220)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흡수판(300) 중 주변 서브 과녁판(12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주변 센서 배치부(320)는 각각의 주변 진동 센서(220)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주변 센서 배치부(320-1)는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흡수판(300) 중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제2 주변 센서 배치부(320-2)는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흡수판(300) 중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 , 제9 주변 센서 배치부(320-9)는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흡수판(300) 중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주변 센서 배치부(320-1)는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제2 주변 센서 배치부(320-2)는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 , 제9 주변 센서 배치부(320-9)는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주변 센서 배치부(320)는 주변 진동 센서(220)가 진동 흡수판(300)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변 진동 센서(22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지지대(400)는 진동 흡수판(300)의 후방에 설치된다. 지지대(400)는 과녁판(100) 및 진동 흡수판(3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지지대(400)에는 중앙 센서용 지지대 홀(410)과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이 형성된다. 중앙 센서용 지지대 홀(410)과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은 각각 지지대(400)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이다.
도5를 참조하면 중앙 센서용 지지대 홀(410)은 중앙 센서 배치부(310)와 함께 중앙 진동 센서(210)를 배치하거나, 중앙 진동 센서(210)에 연결된 신호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400) 중 중앙 센서 배치부(31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 센서용 지지대 홀(410)은 중앙 진동 센서(210)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중앙 센서용 지지대 홀(410)은 중앙 센서용 지지대 홀(410)이 중앙 센서 배치부(310)와 함께 중앙 진동 센서(21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중앙 진동 센서(210)와 접촉하지 않도록 중앙 진동 센서(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은 주변 센서 배치부(320)와 함께 주변 진동 센서(220)를 배치하거나, 주변 진동 센서(220)에 연결된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400) 중 주변 센서 배치부(32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은 각각의 주변 진동 센서(220)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1)은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400) 중 제1 주변 센서 배치부(320-1)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제2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2)는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400) 중 제2 주변 센서 배치부(320-2)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 , 제9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9)는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를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400) 중 제9 주변 센서 배치부(320-9)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1)은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제2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2)은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 , 제9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9)는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은 주변 센서용 지지대 홀(420)이 주변 센서 배치부(320)와 함께 주변 진동 센서(22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주변 진동 센서(210)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변 진동 센서(22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센서부와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부(700)는 센서부(200)로부터 진동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3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진동 센서(210), 적어도 하나의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 적어도 하나의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 … , 적어도 하나의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는 각각 제어부(700)에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중앙 진동 센서(210)가 하나이고,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 … ,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가 각각 4개인 경우, 37개의 진동 센서(210, 220)는 각각 상호 연결됨 없이 독립적으로 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기설정된 문턱값 이상의 진동 신호에 대해서만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신호처리를 하기 위해, 문턱값과 수신된 진동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문턱값과의 비교는 낮은 세기의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의 역할을 한다. 비교기에서의 신호처리를 위해, 제어부(700)는 로우 패스 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문턱값 이상의 진동 신호가 2 이상인 경우, 제어부(700)는 수신된 진동 신호들 중 제일 큰 세기의 진동 신호를 선택하거나, 먼저 도착한 진동 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진동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을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으로 판단한다.
도3 및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진동 센서(210)는 상호 직렬로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는 상호 직렬로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는 상호 직렬로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 , 적어도 하나의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는 상호 직렬로 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중앙 진동 센서(210)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중앙 진동 센서(210)는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가 4개인 경우 4개의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는 상호 직렬로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가 4개인 경우 4개의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는 제어부(700)에 상호 직렬로 연결되고, … ,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가 4개인 경우 4개의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는 제어부(700)에 상호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진동 센서(210), 제1 주변 진동 센서(220-1), 제2 주변 진동 센서(220-2), … , 제9 주변 진동 센서(220-9)는 상호 간에 연결됨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부(700)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진동 센서들은 진동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진동 센서는 전압 발생기와 저항의 등가 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각 저항에 걸린 전압들을 합한 전압은 제어부(700)로 입력된다. 따라서 진동 센서들 간의 직렬 연결은 신호의 증폭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각 진동 센서들이 도10에 도시된 것처럼 직접 제어부(700)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00)는 진동 센서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포트들이 필요하나,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진동 센서들이 직렬 연결되면 포트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지지대(400)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451, 453)가 설치된다. 제1 디스플레이부(451, 453)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이다.
도5를 참조하면 지지대(400)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460)가 설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460)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대(400)에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점수를 음향 효과로 출력하는 스피커(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과녁판(100)과 진동 흡수판(300)은 연결 부재(510, 520)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가능하도록 접촉되면서 지지대(400)에 체결된다. 연결 부재(510, 520)는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각각의 서브 과녁판(110, 120), 진동 흡수판(300) 및 지지대(400)를 각각 관통하는 보울트(B), 보울트(B)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용 너트(N1) 및 보울트(B)에 각각 체결되는 풀림 방지용 너트인 락(lock) 너트(N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2, 도4 및 도5를 함께 참조하면 각각의 서브 과녁판(110, 120), 진동 흡수판(300) 중 상기 각각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영역 및 지지대(400) 중 상기 각각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보울트(B)를 통과시키기 위한 보울트 관통공(도면부호 미부여)이 상호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도7의 (a)는 접착제를 통하여 진동 흡수판(300)에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이 각각 부착된 경우에 있어서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진동이 발생한 경우의 단면도를, 도7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진동이 발생한 경우의 단면도를나타낸다.
도7의 (a)를 참조하면 진동 흡수판(300) 중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영역은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110, 12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전후 방향 진동이 작게 되어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대응하는 특정 진동 센서(220)로 전달되는 진동이 작게 된다. 따라서, 특정 진동 센서(220)에 의한 진동 감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 흡수판(300) 중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영역은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110, 12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발생한 전후 방향 진동이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110, 120)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7의 (b)를 참조하면 진동 흡수판(300) 중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영역은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110, 120)과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있으므로,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전후 방향 진동이 도7의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대응하는 특정 진동 센서(220)로 전달되는 진동이 도7의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특정 진동 센서(220)에 의한 진동 감지가 도7의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 흡수판(300) 중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영역은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110, 120)과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있으므로,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경우 특정 서브 과녁판(120)에 발생한 전후 방향 진동이 특정 서브 과녁판(120)의 내외측에 인접한 서브 과녁판(110, 120)에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8을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과 진동 흡수판(300) 사이 중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는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가 표시된 시트지(610, 6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각각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시트지(610, 620)는 중앙 시트지(610) 및 주변 시트지(620)를 포함한다. 중앙 시트지(610)는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주변 시트지(620)는 각각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시트지(610, 620)는 각각의 중심이 동일점에 위치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설치되는데, 내외측으로 상호 이격되며 설치된다. 한편, 각각의 시트지(610, 620)를 연결 부재(510, 520)를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 과녁판(110, 120)과 진동 흡수판(300) 사이에 설치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트지(610, 620)에는 보울트(B)를 통과시키기 위한 보울트 관통공(도면부호 미부여)이 각각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중앙 시트지(610)에는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인 중앙 색채가 표시되고, 제1 주변 시트지(620-1)에는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인 제1 주변 색채가 표시되고, 제2 주변 시트지(620-2)에는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인 제2 주변 색채가 표시되고, … , 제9 주변 시트지(620-9)에는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인 제9 주변 색채가 표시된다. 상기 중앙 색채, 제1 주변 색채, 제2 주변 색채, … , 제9 주변 색채는 각각 서로 다른 색채이거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2개씩 쌍을 이루며 동일한 색채일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진동 흡수판(300) 중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는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311, 321)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발광체(311, 321)는 중앙 발광체(311) 및 주변 발광체(321)를 포함한다. 중앙 발광체(311)는 진동 흡수판(300) 중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제1 주변 발광체(321-1)는 진동 흡수판(300) 중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에 대응하는 영역에 원호형으로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제2 주변 발광체(321-2)는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에 대응하는 영역에 원호형으로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 , 제9 주변 발광체(321-9)는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에 대응하는 영역에 원호형으로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중앙 발광체(311)는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의 빛인 중앙 색채 빛을 발광하고, 제1 주변 발광체(321-1)는 제1 주변 서브 과녁판(120-1)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의 빛인 제1 주변 색채 빛을 발광하고, 제2 주변 발광체(321-2)는 제2 주변 서브 과녁판(120-2)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의 빛인 제2 주변 색채 빛을 발광하고, … , 제9 주변 발광체(321-9)는 제9 주변 서브 과녁판(120-9)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의 빛인 제9 주변 색채 빛을 발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 색채 빛, 제1 주변 색채 빛, 제2 주변 색채 빛, … , 제9 주변 색채 빛은 각각 서로 다른 색채이거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2개씩 쌍을 이루며 동일한 색채의 빛일 수 있다.
100:과녁판 110:중앙 서브 과녁판
120:주변 서브 과녁판
200:센서부 210;중앙 진동 센서
220:주변 진동 센서
300:진동 흡수판 310:중앙 센서 배치부
320:주변 센서 배치부 311:중앙 발광체
321:주변 발광체
400:지지대
510, 520:연결 부재 610:중앙 시트지
620:주변 시트지
B:보울트 N1:너트

Claims (9)

  1.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외측 둘레부가 원형인 중앙 서브 과녁판(110)과, 환상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이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을 감싸며 방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을 포함하는 과녁판(100);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진동 센서(210)와,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의 후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진동 센서(220)를 포함하는 센서부(200)
    상기 과녁판(100)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과녁판(100)에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과녁판(100)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진동 센서(210)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앙 센서 배치부(310)가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진동 센서(220)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센서 배치부(320)가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진동 흡수판(300);
    상기 과녁판(100)과 상기 진동 흡수판(300)을 상호 이격 가능하도록 접촉시키면서 상기 과녁판(100)과 진동 흡수판(300)을 지지대(400)에 체결하는 연결 부재(510, 520);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진동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가 2 이상인 경우,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 중 제일 큰 세기의 진동 발생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을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가 2 이상인 경우, 수신된 상기 진동 발생 신호 중 제일 먼저 도착한 진동 발생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을 진동이 발생한 서브 과녁판(110, 120)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브 과녁판(110) 후방에는 복수개의 중앙 진동 센서(210)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주변 서브 과녁판(120) 각각의 후방에는 복수개의 주변 진동 센서(220)가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상호 인접하며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10, 120) 및 외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20)은 상기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10, 120)의 외측 둘레부와 상기 외측에 배치되는 서브 과녁판(120)의 내측 둘레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 센서 배치부(3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센서 배치부(320)는 각각 상기 진동 흡수판(30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510, 520)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중 어느 하나의 서브 과녁판(110, 120), 진동 흡수판(300) 및 지지대(400)를 순차적으로 각각 관통하는 보울트(B)와, 상기 보울트(B)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용 너트(N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각각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과 상기 진동 흡수판(300) 사이 중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가 표시된 시트지(610, 62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은 각각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흡수판(300) 중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과녁판(110, 120) 각각에 대응하여 할당된 특정한 색채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311, 321)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KR1020110101606A 2011-10-06 2011-10-06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KR20130037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06A KR20130037287A (ko) 2011-10-06 2011-10-06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06A KR20130037287A (ko) 2011-10-06 2011-10-06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87A true KR20130037287A (ko) 2013-04-16

Family

ID=4843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606A KR20130037287A (ko) 2011-10-06 2011-10-06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2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3527A1 (en) * 2018-11-12 2022-01-06 Commissariat à I'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Setup for locating impacts with interactive plate and transducers
KR102641605B1 (ko) * 2023-08-29 2024-02-28 (주)키네틱스 이동식 무인 표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3527A1 (en) * 2018-11-12 2022-01-06 Commissariat à I'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Setup for locating impacts with interactive plate and transducers
US11725913B2 (en) * 2018-11-12 2023-08-15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Setup for locating impacts with interactive plate and transducers
KR102641605B1 (ko) * 2023-08-29 2024-02-28 (주)키네틱스 이동식 무인 표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0499B2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the shooting position on a shooting target
US6367800B1 (en) Projectile impact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WO2020016871A3 (en) Robotic systems with separate photoacoustic receivers
RU2722118C2 (ru) Рукоятка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светильника с датчиками и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ветильник
KR20130037287A (ko) 자동으로 점수 확인이 가능한 과녁 장치
US20170343318A1 (en) Laser activated moving target
JP2011124749A (ja) 音源探査装置
US10741156B2 (en) Sound pickup device and output method thereof
US10777179B2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EP4130680A1 (en) Split-type piezoelectric sensor
CN202066478U (zh) 一种基于led的光学尺寸测量系统
CN110307893A (zh) 远程检查噪声监测系统中的传声器状况
CN110619862A (zh) 电子打击乐器及使用其的检测方法
JP7466114B2 (ja) 警報器
WO2004079648A3 (fr) Dispositif de detection optique pour compteur
GB2309614A (en) Loudspeaker with phase corrector
ATE451262T1 (de) Zylinderbaugruppe mit einem achsanschluss
JP5046569B2 (ja) 標的装置
KR102133269B1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시험기 고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US11818537B2 (en) Acoustic reproduction device
ATE452391T1 (de) Hochfrequenzüberwachungssystem
US20110084941A1 (en) Sensing device of surface acoustic wave touch panel
EP2163875B1 (en) Balancing machine for balancing vehicle wheels
EP3403045B1 (en) Hit-scoring apparatus for shooting practice
ATE300746T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optischen identifizieren von objek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