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995A -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995A
KR20130036995A KR1020110101296A KR20110101296A KR20130036995A KR 20130036995 A KR20130036995 A KR 20130036995A KR 1020110101296 A KR1020110101296 A KR 1020110101296A KR 20110101296 A KR20110101296 A KR 20110101296A KR 20130036995 A KR20130036995 A KR 2013003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smart pad
user
received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석
차도성
Original Assignee
정원석
차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석, 차도성 filed Critical 정원석
Priority to KR102011010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995A/ko
Publication of KR2013003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동된 핸드셋과 스마트패드를 공개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핸드셋은 내부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설치함으로써, 핸드셋을 이용하여 스마트패드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핸드셋을 이용하여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고 문자메시지를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서, 본 발명의 핸드셋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패드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동된 핸드셋을 통해서, 전화를 걸거나 받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등, 핸드셋을 이용하여 스마트패드의 기능을 모두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드셋 및 이와 연동된 스마트패드를 이용하면, 종래의 스마트패드 및 스마트폰을 동시에 구매하고 이용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구매 비용 및 통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대신에 소형의 핸드셋을 휴대함으로써, 기존의 스마트패드와 스마트폰을 함께 휴대할 때 보다 훨씬 편리하고 휴대성 높게 스마트패드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Handset for smart pad and smart pa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셋을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유무선 초고속 통신망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언제 어디서든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들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대표적인 예가 스마트폰으로서, 스마트폰은 기존의 이동전화와 같은 크기로, 이동전화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스마트폰은 기존의 이동전화 크기와 동일한 사이즈의 한계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열람하거나, 영화 등의 동영상을 다운받아 보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출시된 스마트 기기가 바로 스마트 패드이다. 스마트 패드는 스마트폰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크기가 7인치 내지 10인치 정도로 디스플레이 크기가 대폭 확장되었다. 초기의 스마트패드는 전화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스마트폰의 기능들을, 스마트폰보다 우수한 하드웨어 사양으로 구현하였고, 통신 방식은 Wi-Fi 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점차 이동전화 기능을 제공하고, 3G 전화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고, 사용자들의 구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듯, 스마트패드가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여전히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를 함께 휴대하고 있는 실정인데, 그 주요한 원인은 스마트패드를 이용한 전화통화 기능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0인치나 되는 스마트패드를 귀에 대고 전화통화를 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특히, 스마트패드는 손에 들고 다니기에는 크기가 커서, 사용자들 대부분은 가방에 넣고 이동하는데, 이동중에 전화가 오거나 전화를 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일일이 가방에서 스마트패드를 꺼내서 전화를 걸거나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은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이용하여 일부 해소가 가능하다. 즉, 전화가 오면 블루투스 이어폰의 버튼을 이용해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그러나, 블루투스 이어폰의 경우에는 걸려오는 전화를 받는 것은 가능하지만, 직전에 통화한 전화 번호 이외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없으며,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수신된 문자 메시지 조차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스마트패드와 스마트폰을 함께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두 가지 스마트 기기를 함께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휴대의 불편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두 가지 스마트 기기를 구매하는 구매비용 또한 중복으로 발생하며, 이동통신사에 지급하는 통신요금 또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용 통신 요금을 각각 지불해야 하므로, 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 패드 본체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스마트패드를 이용한 전화의 수신 및 착신을 가능하게 하고, 문자 메시지 등의 수신 및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를 제공하는 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은, 전화통화 수행이 가능한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되는 핸드셋으로서, 상기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핸드셋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사용자의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 및 사용자에게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사용자에게 수신된 문자메시지 및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발신하는 문자메시지 및 명령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여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핸드셋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드셋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셋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벨소리를 출력하여,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셋은,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셋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벨소리를 출력하거나, 상기 램프를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호발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핸드셋 제어부는 스마트패드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여,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면서 호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패드에 호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 제어부는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되는 벨소리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통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패드로 상기 통화명령을 전송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패드는, 상술한 본 발명의 핸드셋을 구비하는 스마트패드로서, 전화번호 목록 및 벨소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호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서 상기 핸드셋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핸드셋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문자메시지 및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상기 핸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발신 문자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패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패드는, Wi-Fi 망을 통해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Wi-Fi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패드 제어부는 Wi-Fi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 및 수신 문자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여 상기 핸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발신 문자메시지를 상기 Wi-Fi 통신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패드와 연동된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a) 상기 스마트패드가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핸드셋으로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호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호신호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로부터 통화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패드와 상기 핸드셋간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셋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패드는 호신호 및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발신인의 전화번호를 내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에 조회하여 발신자 정보를 함께 핸드셋으로 전송하여,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패드와 연동된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d) 상기 핸드셋이 사용자로부터 전화통화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전화통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로 호발신을 요청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d) 단계에서, 문자메시지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메시지를 발신할 전화번호를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패드가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핸드셋은, 그 내부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드셋을 이용하여 스마트패드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핸드셋을 이용하여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고 문자메시지를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서, 본 발명의 핸드셋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패드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동된 핸드셋을 통해서, 전화를 걸거나 받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등, 핸드셋을 이용하여 스마트패드의 기능을 모두 제어할 수 있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드셋 및 이와 연동된 스마트패드를 이용하면, 종래의 스마트패드 및 스마트폰을 동시에 구매하고 이용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구매 비용 및 통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대신에 소형의 핸드셋을 휴대함으로써, 기존의 스마트패드와 스마트폰을 함께 휴대할 때 보다 훨씬 편리하고 휴대성 높게 스마트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및 핸드셋을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패드 및 핸드셋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대방으로부터 스마트패드로 수신된 호신호 및 문자메시지를 핸드셋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가 핸드셋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 및 핸드셋을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200)과 스마트패드(100)는 Bluetooth 또는 Zigbee 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서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핸드셋(200)은 스마트패드(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스마트패드(100)로부터 전화번호 목록 등을 수신하여 핸드셋(200) 내부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에 대한 호발신을 스마트패드(100)로 요청한다.
또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스마트패드(100)로 호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패드(100)는 호신호 수신 사실을 핸드셋(200)으로 통지하고, 핸드셋(200)은 스마트패드(100)로부터 호신호 수신 사실을 통지받으면 사용자에게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핸드셋(200)이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예컨대, 핸드셋(2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스마트패드(100)로부터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벨소리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고, 진동 모듈을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호신호 수신램프를 주기적으로 점등 및 점멸시키거나, 터치 스크린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을 주기적으로 점등 및 점멸 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핸드셋(200)은 스마트패드(100)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효과음과 함께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문자를 입력받아,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스마트패드(100)를 통해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패드(100) 및 핸드셋(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패드(100) 및 핸드셋(200)의 기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스마트패드(100)의 핸드셋(200)과 연동되는 기능 이외의 기능은 기존의 스마트패드(10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 고유의 기능과 관련된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패드(100)는 스마트패드 제어부(110), 무선 통신부(120), Wi-Fi 통신부(140), 제 1 근거리 통신부(130), 및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스마트패드(100) 본연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함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기능 설명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으므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200)은 핸드셋 제어부(210), 스피커(220), 마이크(230), 터치스크린(240), 기능 버튼부(250), 진동부(270), 제 2 근거리 통신부(260), 및 호신호 수신 램프(280)를 포함한다.
먼저, 스마트패드(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무선 통신부(120)는 3G 또는 4G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기지국과 스마트패드(100)간에 호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망 기지국으로부터 호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여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Wi-Fi 통신부(140)는 Wi-Fi 망내에 스마트패드(100)가 위치하는 경우에, 무선 인터넷망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스마트패드(100)에 Wi-Fi 망을 통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에, 사용자는 무선 통신부(120) 대신에 Wi-Fi 통신부(140)를 통해서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Wi-Fi 통신부(140)는 인터넷망을 통해서 인스턴트 메시지(2011년 현재 카카오톡 및 마이피플이라는 명칭으로 서비스되는 메시지를 포함함)를 송수신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문자메시지는 이러한 인스턴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1 근거리 통신부(130)는 Bluetooth, Zigbee 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서 핸드셋(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 1 근거리 통신부(130)는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변환하여 핸드셋(200)으로 전송하고,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핸드셋(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부(150)는 스마트패드(100)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정보(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동영상, MP3 등)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화번호 목록, 문자 데이터, 및 벨소리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부(120) 또는 Wi-Fi 통신부(140)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면, 호신호 수신 사실을 제 1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서 핸드셋(200)으로 통지한다. 이 때,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는 수신된 전화번호를 데이터 저장부(150)에 조회하여, 발신자 정보를 핸드셋(200)으로 함께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핸드셋(200)에서 벨소리를 알림 수단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벨소리 데이터를 함께 핸드셋(200)으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는 전화통화가 수행되는 동안에, 무선 통신부(120) 또는 Wi-Fi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전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 1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서 핸드셋(200)으로 전송하고, 핸드셋(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제 1 근거리 통신부(130) 또는 Wi-Fi 통신부(140)를 통해서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한편, 핸드셋(2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핸드셋(200)에는 통화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230) 및 스피커(220)가 설치되어 있다. 스피커(220)는 스마트패드(100)로부터 수신된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 및 벨소리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마이크(2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핸드셋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터치스크린(240)은 스마트패드(100)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 문자 메시지 및 전화 발신자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각종 명령어를 입력 받거나, 문자 메시지를 입력받아 핸드셋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기능 버튼부(250)는 핸드셋(200)의 전원을 ON/OFF하거나, 터치스크린(240)을 ON/OFF 하는 등의 터치스크린(240)으로 입력할 수 없는 핸드셋(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진동부(270)는 내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스마트패드(100)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통지받거나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진동부(270)의 구성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스마트폰의 진동부(270)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2 근거리 통신부(260)는 제 1 근거리 통신부(130)와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을 수행한다.
호신호 수신 램프(280)는 일정한 주기로 점멸 및 점등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호신호 수신 및 문자 메시지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핸드셋 제어부(21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핸드셋 제어부(210)는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통지 받으면, 사용자가 설정한 호신호 수신 알림 방식에 따라서, 호신호 수신 램프(280)를 점등 및 점멸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벨소리를 스피커(220)를 통해서 출력한다. 사용자가 전화 통화 명령을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입력하면, 통화 명령을 스마트패드(100)로 전송하여 호를 설립하고, 제 2 근거리 통신부(260)로부터 입력되는 전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스피커(2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한편, 마이크(230)를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제 2 근거리 통신부(260)로 출력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한다.
또한, 핸드셋 제어부(210)는 제 2 근거리 통신부(260)를 통해서 스마트패드(100)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터치스크린(240)으로 출력하고, 터치스크린(240)으로부터 입력된 문자 메시지를 제 2 근거리 통신부(260)를 통해서 스마트패드(100)로 전송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핸드셋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스마트패드(100)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고, 스마트패드(100)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한 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선택한 전화번호에 대해서 호발신 요청 신호를 스마트패드(100)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스마트패드(100) 및 핸드셋(200)의 기능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패드(100) 및 핸드셋(200)의 기능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대방으로부터 스마트패드(100)로 수신된 호신호 및 문자메시지를 핸드셋(200)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사용자가 핸드셋(200)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드셋(200)을 스마트패드(100)와 연동시켜 이용하기 위해서 먼저, 스마트패드(100)와 핸드셋(200)간의 페어링을 수행한다(S300). 페어링은 2개의 무선 기기간에 서로를 인식하는 과정으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패드(100)와 핸드셋(200)을 매칭시키기 위해서 최초에 한번만 수행되면 되고,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식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이어폰 등간에 수행되는 페어링 방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페어링이 수행된 후, 핸드셋(200)은 스마트패드(100)로부터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대기상태로 진입한다(S304).
한편, 스마트패드(100)는 페어링이 수행된 후, 이동통신망 또는 Wi-Fi 망으로부터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인터넷망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지(2011년 현재 카카오톡 및 마이피플이라는 명칭으로 서비스되는 메시지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개념임)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호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제 S312단계로 진행하고,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제 SS352 단계로 진행하며, 호신호 및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감시를 반복한다(S310).
제 S310 단계 및 후술하는 제 S312 단계 내지 제 S354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에, 스마트패드(100)의 기본적인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호신호 수신 여부 및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를 조사하는 과정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에서 호신호 및 문자메시지 수신 여부를 조사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호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패드(100)는 발신번호를 내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발신자를 식별하고(S312), 발신자 정보와 함께 호신호 수신 통지를 핸드셋(200)으로 전송한다(S314). 호신호 알림 방법으로 벨소리가 사전에 설정된 경우에, 스마트패드 제어부(110)는 벨소리 데이터를 발신자 정보와 함께 핸드셋(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번호가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번호가 발신자 정보로서 전송된다.
호신호 수신 통지를 받은 핸드셋(200)은, 발신자 정보를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에 따라서 벨소리를 스피커(220)를 통해서 출력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호신호 수신 램프(280)를 점등 및 점멸시켜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320).
호신호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린 후, 핸드셋(200)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즉, 사용자가 기능 버튼부(250)에 설치된 통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240)에 표시된 통화버튼을 누르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통화명령이 입력되면 통화 명령을 스마트패드(100)로 전송한다(S322).
스마트패드(100)는 통화명령을 수신하면, 이동통신망 또는 Wi-Fi 망을 통해서 호를 설립하여 통화를 개시하고, 핸드셋(200)과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전화통화를 수행한다(S330).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스마트패드(100)는 제 S310 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호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핸드셋(200)은 제 S304 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진입한다.
한편, 상술한 제 S310 단계에서,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스마트패드(100)는 발신 번호를 조회하고(S352), 발신자 정보와 문자메시지를 함께 핸드셋(200)으로 전송한다(S354). 이 때, 발신 번호과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번호가 발신자 정보로서 전송된다.
핸드셋(200)은 스마트패드(100)로부터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발신자 정보와 함께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360).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식은 기존의 스마트폰 또는 휴대 전화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문자 메시지를 바로 터치스크린(240)에 표시할 수도 있고, 문자메시지 수신 사실만을 터치스크린(240)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문자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핸드셋(200)을 이용하여 전화통화 및 문자메시지 발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어링이 수행된다(S400). 상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은 스마트패드(100)와 핸드셋(200)을 매칭시키기 위해서 최초에 한번만 수행되면 되므로, 이미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에는, 제 S40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페어링이 수행된 후, 핸드셋(200)은 대기모드에 진입하고(S404), 사용자로부터 전화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S410).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한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핸드셋(200)은 전화번호 목록을 스마트패드(100)로 요청한다(S412). 이 때, 전화번호 목록은 사전에 저장된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최근에 수신 및 발신된 모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받은 스마트패드(100)는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전화번호 목록을 핸드셋(200)으로 전송하고(S414), 핸드셋(200)은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420).
전화번호 목록이 표시되면, 핸드셋(200)은 사용자로부터 발신할 전화번호를 선택받고, 스마트패드(100)로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로 호발신을 수행해줄 것을 요청한다(S422).
한편, 상술한 제 S412 단계 내지 제 S422 단계에서는, 핸드셋이 스마트패드(100)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여, 발신할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직접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발신을 요청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마트패드(100)는 무선 통신부(120) 또는 Wi-Fi 통신부(140)를 통해서, 핸드셋(200)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로 호발신을 수행하고, 호가 설립되면 핸드셋(200)과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전화통화를 수행한다(S430).
한편, 상술한 제 S410 단계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전송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핸드셋(200)은 전화번호 목록을 스마트패드(100)로 요청한다(S440). 이 때, 핸드셋(200)은 사전에 저장된 전화번호만을 요청할 수도 있고, 사전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뿐만 아니라 최근에 수신 및 발신된 모든 전화번호까지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받은 스마트패드(100)는 전화번호 목록을 조회하여 전화번호 목록을 핸드셋(200)으로 전송하고(S442), 핸드셋(200)은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S452).
그 후, 핸드셋(20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240)을 통해서 문자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고(S454), 사용자가 선택한 수신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S456).
문자 메시지 내용 및 수신번호를 수신한 스마트패드(100)는, 이동통신망 또는 Wi-Fi 망을 통해서 수신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460).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번호를 먼저 선택하고(S440 내지 S452), 그 후에 사용자로부터 문자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것(S456)으로 설명하였으나, 문자 메시지 내용을 먼저 입력받은 후에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번호를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200)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패드(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화통화 발신 및 수신과, 문자메시지 발신 및 수신 기능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이는 핸드셋(200)의 소형화를 위해서, 핸드셋(200)으로 필수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기능 이외에도, 핸드셋(200)을 이용하여 스마트패드(10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핸드셋(200)을 이용하여 스마트패드(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스마트패드(100)가 인터넷을 접속하도록 제어한 후, 핸드셋(200)을 이용하여 이동중에 웹메일을 작성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패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도출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핸드셋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문자 및 전화 번호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터치스크린을 LCD 패널과 키패드로 분리하여 문자메시지 등과 같은 정보는 LCD 패널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는 키패드를 통해서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패드
110 스마트패드 제어부
120 무선 통신부
130 제 1 근거리 통신부
140 Wi-Fi 통신부
150 데이터 저장부
200 핸드셋
210 핸드셋 제어부
220 스피커
230 마이크
240 터치스크린
250 기능 버튼부
260 제 2 근거리 통신부
270 진동부
280 램프

Claims (10)

  1. 전화통화 수행이 가능한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동되는 핸드셋으로서,
    상기 스마트패드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핸드셋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사용자의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 및 사용자에게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사용자에게 수신된 문자메시지 및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발신하는 문자메시지 및 명령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여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핸드셋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셋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벨소리를 출력하여,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3. 제 2 항에 있어서,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셋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진동부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벨소리를 출력하거나, 상기 램프를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점등 및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호발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핸드셋 제어부는 스마트패드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여,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면서 호발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패드에 호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 제어부는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수신되는 벨소리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통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스마트패드로 상기 통화명령을 전송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핸드셋을 구비하는 스마트패드로서,
    전화번호 목록 및 벨소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호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서 상기 핸드셋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핸드셋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입력된 수신 문자메시지 및 전화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상기 핸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발신 문자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스마트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Wi-Fi 망을 통해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Wi-Fi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패드 제어부는 Wi-Fi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 및 수신 문자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출력하여 상기 핸드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발신 문자메시지를 상기 Wi-Fi 통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스마트패드.
  8.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패드와 연동된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스마트패드가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핸드셋으로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호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호신호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로부터 통화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패드와 상기 핸드셋간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문자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상기 스마트패드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셋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패드와 연동된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패드는 호신호 및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발신인의 전화번호를 내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에 조회하여 발신자 정보를 함께 핸드셋으로 전송하여, 호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패드와 연동된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d) 상기 핸드셋이 사용자로부터 전화통화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전화통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로 호발신을 요청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d) 단계에서, 문자메시지 전송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핸드셋이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화번호 목록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메시지를 발신할 전화번호를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스마트패드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패드가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패드와 연동된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110101296A 2011-10-05 2011-10-05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 KR20130036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96A KR20130036995A (ko) 2011-10-05 2011-10-05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96A KR20130036995A (ko) 2011-10-05 2011-10-05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95A true KR20130036995A (ko) 2013-04-15

Family

ID=4843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96A KR20130036995A (ko) 2011-10-05 2011-10-05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69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1691C2 (ru) Аудиогарнитура
CN109644216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KR101123118B1 (ko) 동시대기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방법
JP2017147767A (ja) Bluetoothネットワークでデータ通信を中継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9548184B (zh) 连接移动终端与蓝牙设备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3780751B (zh) 将手机来电通话进行共享的系统和方法
JP2014057235A (ja) 近接通信システムおよび近接通信装置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20783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bluetooth pairing of multiple devices
KR101190658B1 (ko)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고객서비스 시스템
WO2011116572A1 (zh) 语音业务的控制方法和语音业务系统
JP2008167373A (ja) 情報呈示装置
JP5657771B1 (ja) 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連携方法
US9769298B2 (en) Cordless phone apparatus, cordless phon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WO2012155565A1 (zh) 一种多模通信方法、终端和系统
CN114844736A (zh) 一种设备及通话控制方法
CN113810887B (zh) 蓝牙协议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相关设备
TW201427382A (zh) 通訊轉接系統及方法
KR20130036995A (ko) 스마트 패드용 핸드셋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패드
KR102127864B1 (ko)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17542B2 (ja) 電子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5877485B1 (ja) 電話装置および着信鳴動制御方法
KR101436443B1 (ko) 이어마이크셋 기반의 오디오신호 증폭 출력 자동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4932676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装置、携帯電話機、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