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569A - 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569A
KR20130036569A KR1020110100730A KR20110100730A KR20130036569A KR 20130036569 A KR20130036569 A KR 20130036569A KR 1020110100730 A KR1020110100730 A KR 1020110100730A KR 20110100730 A KR20110100730 A KR 20110100730A KR 20130036569 A KR20130036569 A KR 2013003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7130B1 (en
Inventor
박종태
나재욱
이승무
최준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30B1/en
Publication of KR2013003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5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PURPOSE: A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device, a U-health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patient to conveniently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a portable terminal without directly visiting a hospital. CONSTITUTION: A user performs rehabilitation training by using a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200). When the user complete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transmits a first U-health message including exercise information for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training to a U-health server(300). The U-health server receives the message and transmits an acknowledgement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The U-health server builds a database about rehabilitation training records of the user. [Reference numerals] (200)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300) U-health server; (S20) Executing a rehabilitation training; (S21) Generating a first U-health message; (S22) Transmitting a first U-health message; (S24) Establishing rehabilitation training history database;

Description

재활 훈련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헬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Rehabilitation Training Aid Device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재활 훈련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헬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자세와 속도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장치 및 상기 재활운동 관련 정보를 유헬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유헬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device, and a u-health system and service method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at a precise posture and speed regardless of a place, and a u-health system and a service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ehabilitation related information to a u-health server.

현재 다수의 현대인들이 고령화 또는 각종 사고로 인한 전정 기관 손상, 뇌 손상, 중추 신경계 손상 등으로 인하여 정상 자세 제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치료하고 조속한 사회 복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환자에게 적합하고 규칙적인 재활운동이 필수적이다. At present, many modern people have difficulty controlling normal posture due to vestibular organ damage, brain damage, central nervous system damage due to aging or various accidents. Appropriate and regular rehabilitation exercises are essential for each patient in order to cure them and achieve a rapid return to society.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재활전문병원이 턱없이 부족하여, 국민 1인이 제공받을 수 있는 재활 의료 서비스가 다른 의료분야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그것마저도 지역적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재활 의료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재활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거나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해 환자들의 장애증상이 더욱 악화되어 환자들의 고통이 오히려 심화될 수 있다. However, at present, there is a shortage of rehabilitation hospitals in Korea, and the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a single citizen are absolutel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medical fields, and even regional imbalances are achieved. As a result, patients in need of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s have to wait for a long time or travel long distances in order to receive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s, which causes patients' disability symptoms to worsen, which intensifies their pain. Can be.

더불어, 현재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여러 의료기구들의 대부분은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존재하고 있어서 일반 가정에서 재활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기구를 구입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most of the medical devices that can be rehabilitation exercise currently exists in a medical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only buy expensive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exercise in a general home.

한편, 유헬스(U-Health)란 개인용 생체 정보 측정 장치, 유무선 초고속 통신 인프라 등을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상태 파악, 예후, 건강 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유헬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개인용 건강 단말부, 건강 정보 중계부, 유헬스 서버, 유헬스 서비스, 의료 기관, 외부 기관 등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있어 일관성 및 상호 운용성, 그리고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표준을 통해 유헬스 서비스의 필수 요구사항과 프로토콜 등을 명시하고 있으며, 특히, 건강 정보 중계부 및 유헬스 서버 간의 프로토콜은 정보통신단체 표준(TTAK.KO-10.0463, TTAK.KO-10.0477)을 통해 메시지 및 통신 규격이 정의되고 있다.Meanwhile, U-Health refers to a technology that provides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s of prevention, status identification, prognosis, and health care anytime, anywhere using a personal biometric device and a wired / wireless high-spe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health services basically consist of six elements: personal health terminal, health information relay, u-health server, u-health service, medical institution, and external organization. U-health services are consistent and mutual in developing related hardware and software platform. In order to ensure operability and compatibility, the standard specifies the essential requirements and protocols of the u-health service.In particular, the protocol between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and the u-health server is based on the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TTAK.KO-10.0463). , TTAK.KO-10.0477), defines the message and communication standards.

그러나, 현재 TTAK.KO-10.0463, TTAK.KO-10.0477 표준을 이용하여 유헬스 서버로 재활 훈련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재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재활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재활 훈련 기능을 포함하는 건강 정보 중계부와 유헬스 서버 간의 통신 기술 및 규약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techniqu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rehabilitation training to and receiving feedback from the U-health server using the TTAK.KO-10.0463 and TTAK.KO-10.0477 standards. In order for patients to be rehabilitated with expert assistance regardless of loc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protocols between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and the U-health server includ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function are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정 기관 손상, 뇌 손상, 중추 신경계 손상 등으로 인해 자세 균형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이 일반 가정에서 간편하게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aid device that allows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controlling postural balance due to vestibular organ damage, brain damage, central nervous system damage, etc., to easily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at home. .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표준화된 유헬스 서버와 통신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관리 받고 재활운동 후 의료기관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의료기관으로부터 재활운동에 대한 의견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유헬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municate with a standardized U-Health server to easily manage the rehabilitation program at home and to receive feedback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afte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also comments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It is to provide a u-health system and service method that can be request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는 각 재활운동의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정보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재활운동 중 하나를 선택받는 입력부, 동작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 센서부 및 상기 선택받은 재활운동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와 상기 동작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한계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한다.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stores the data for one or mor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data fo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cluding motion information of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one or more rehabilitation exercises from a user, a mo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motion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which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t includes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when an error occurs.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은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가 포함된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는 건강정보 중계부 및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유헬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는 HEADER 항목, VALUE 항목 및 COMMENT AND NOTES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COMMENT AND NOTES 항목은 Seq, Comment, Comment Type 및 Entered Date/Time을 포함하며,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의 식별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Comment에는 상기 완료 된 재활운동의 운동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및 운동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generates a first U-Health message containing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first U-Health message to the U-Health server An information relay and a u-health server for receiving the first u-health message, wherein the first u-health message includes a HEADER item, a VALUE item, and a COMMENT AND NOTES item, and the COMMENT AND NOTES item is Seq, Comment. , Comment Type and Entered Date / Time, the Comment Type include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the Com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uration of exercise,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he exercise accuracy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do.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방법은 건강 정보 중계부가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가 포함된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헬스 서버가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는 HEADER 항목, VALUE 항목 및 COMMENT AND NOTES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COMMENT AND NOTES 항목은 Seq, Comment, Comment Type 및 Entered Date/Time을 포함하며,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의 식별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Comment에는 상기 완료 된 재활운동의 운동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및 운동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U-health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step of generating a first U-Health message contain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completed by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and transmitting to the U-Health server and And receiving, by the health server, the first u-health message, wherein the first u-health message includes a HEADER item, a VALUE item, and a COMMENT AND NOTES item, and the COMMENT AND NOTES item is Seq, Comment, Comment Type. And Entered Date / Time, wherein the comment type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he com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exercise duration, repetition frequency, and exercise accuracy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훈련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재활훈련을 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센서 및 알람을 통하여 자세 교정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도 올바른 방법으로 적합한 재활훈련을 규칙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in need of rehabilitation can be easily rehabilitation at home using a portable terminal without visiting the hospital directly, and enjoy the posture correction effect through the sensor and alarm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inue regular rehabilitation training in the right way even in the general household.

또한, 유헬스 서버로 재활운동 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수행 중인 재활훈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음에 따라 병원을 직접 찾지 않아도 의료진의 관리 하에 재활훈련을 할 수 있고, 유헬스 서버로 재활 운동 가이드 정보를 요청하여 의료진이 추천하는 운동 가이드 정보를 받음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재활 프로그램을 관리 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send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o the U-Health server and building a database, feedback is provided for the rehabilitation being performed, so rehabilitation can be carried out under the management of the medical staff without visiting the hospital. By requesting guide information and receiv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recommended by medical staff, you can manage your rehabilitation program wherever you are.

더불어, 본 발명의 유헬스 시스템 및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통해 TTAK.KO-0463, TTAK.KO-0477 표준에 규정 된 절차에 기반하여 가정에서 수행한 재활운동 내역을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고, 유헬스 서버에 재활운동 수행 가이드를 요청하거나, 재활운동 수행 내역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Health system and the U-Health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erformed at home based on the procedures defined in the TTAK.KO-0463 and TTAK.KO-0477 standards to the U-health ser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by request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to the health server, or request a rehabilitation exercise hist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의 동작 및 서비스 방법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헬스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헬스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응답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의 로그인 요청 동작에 따른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의 재활운동 가이드 정보 요청 동작에 따른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의 재활운동 이력 정보 조회 요청 동작에 따른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message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nd a service method of a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u-health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ss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u-health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health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message flow according to a login request operation of a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message flow according to a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information request operation of the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message flow according to a rehabilitation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request operation of the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100)는 모션 정보 저장부(110), 입력부(120), 동작 센서부(130) 및 알람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motion sensor unit 130, and an alarm unit 140. Include.

모션 정보 저장부(110)는 하나 이상의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는 각 재활운동의 모션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뇌 손상 또는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하반신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올바르게 걷기 위해서는 다리를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재활 훈련이 필요한데, 모션 정보 저장부(110)는 무릎을 굽히는 동작과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재활운동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어깨가 불편한 환자의 재활 훈련을 위하여, 어깨를 앞 뒤로 흔드는 동작을 반복하는 재활운동 또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stores data about one or more rehabilitation exercises, and the data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s includes motion information of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Specifically, rehabilitation training for helping the patient to move the leg in order to correctly walk the lower body due to brain damage or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is required,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s a rehabilitation exercise that repeats the knee bending and straightening motion It may include. In addition,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a patient with an uncomfortable shoulder, it may also include a rehabilitation exercise to repeat the motion to shake the shoulder back and forth.

이처럼 모션 정보 저장부(110)에는 복수개의 재활운동에 대하여 일대일 대응되는 각각의 모션 정보가 저장되며, 알람부(140)는 동작 센서부(130)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의 실제 동작 정보와 상기 모션 정보를 비교한다.As such,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stores one-to-one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exercises, and the alarm unit 140 stores the user's actual mo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otion sensor unit 130. Comp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100)의 모션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는 각 재활운동에 대하여, 그 운동 방법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일련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재활 훈련 보조 장치(100)는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재활운동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재활운동의 운동 방법을 보여주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에게 재생되어 보여진다.Data for one or more rehabilitation exercises stored in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a series of pictures that can effectively show the exercise method Or it may include a video, where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playing the picture or video. When the user selects a rehabilitation exercise to be performed through the input unit 120, a picture or video showing the exercise metho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s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모션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재활운동 중 하나를 선택 받는다.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모션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 재활운동의 목록이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20 receives one of the one or more rehabilitation exercises stored in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from the user. When a list of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stored in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s displayed throug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hown to the user,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m.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재활운동 환경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재활운동 환경 설정 정보는 운동 속도, 운동 지속 시간 및 민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input of rehabilitation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xercise speed, exercise duration, and sensitivity.

운동 속도는 사용자가 선택한 재활운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빠르기이며, 운동 지속 시간은 상기 재활운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시간이다. 운동 속도를 설정하면, 상기 재활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설정된 속도로 알람부(140)로부터 주기적인 신호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지속 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이 지났을 경우 알람부(140)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운동 종료를 알릴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신호음에 맞춰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운동을 할 수 있다.The exercise speed is the speed at which the user wants to perform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exercise duration is the time to continu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When the exercise speed is set, a periodic beep may be generated from the alarm unit 140 at a set speed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 addition, when the exercise duration is set, the alarm unit 140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o notify the user of the end of the exercise. As a result, the user can exercise at a constant spe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ccordance with the beep.

민감도는 재활운동 시 허용되는 자세 오차를 말하는 것으로, 재활 훈련 대상이 되는 신체부위 및 훈련 강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민감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알람부(140)는 동작 센서부(1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 정보와 모션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 재활운동의 모션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상기 민감도가 나타내는 자세 오차의 범위 안에 드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제대로 된 동작을 취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민감도를 크게 설정하면 사용자의 동작 경로가 모션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모션 정보가 나타내는 경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는 것이 허용되지만, 민감도를 작게 설정한 경우는 사용자의 동작 경로가 상기 모션 정보가 나타내는 경로를 조금만 벗어나도 알람부(140)로부터 진동 또는 경고음이 발생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올바른 동작을 유지하며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Sensitivity refers to a posture error allowed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it can be set as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body part and training intensity to be rehabilitation training target. When the sensitivity is set by the user, the alarm unit 140 compare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130 with the motion information of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stored in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taking the correct action only when the difference is within the range of the posture error indicated by the sensitivity. If the sensitivity is set to be large, the motion path of the user is allowed to deviate to some extent from the path indicated by the mo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However, if the sensitivity is set to be small, the path indicated by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set. Vibration or warning sounds are generated from the alarm unit 140 even a little out of the way. As a result, the user can exercise the rehabilitation while maintaining the correct movement.

동작 센서부(130)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100)를 지니고 재활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감지하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취하는 동작을 읽을 수 있는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속도센서, 중력센서, 관성센서 등이 이에 포함되며 상기 센서들은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사용자가 재활 훈련 보조 장치(100)를 지니고 어떠한 동작을 취하는 경우, 상기 재활 훈련 보조 장치(100)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가 취하는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인 지자기센서는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나침반과 같이 동서남북 정보를 알 수 있으며,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는 가속력 또는 회전 시의 코리올리 힘에 의해 압전재료에 전하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unit 130 includes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apparatus 100 and detects motion information of a user perform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and includes various sensor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to read a motion taken by the user. Specifically, the geomagnetic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the gyro sensor, the speed sensor, the gravity sensor, the inertial sensor, etc. are included in the sensor, and the sensors act collectively when the user takes any action with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100. The posture of the user may be sens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100. For example, the geomagnetic sensor, which senses the direction, detects the earth's magnetic field and knows north-south, north-south information such as a compass,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nd gyro sensor generate the electric charge on the piezoelectric material by the acceleration force or the Coriolis force during rotatio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det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100)의 동작 센서부(130)는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ion sensor unit 130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ravity sensor, and a three-axis gyro sensor.

알람부(140)는 신호음, 진동 또는 경고음을 통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알람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재활운동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와 동작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 된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한계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The alarm unit 140 assists the user in rehabilitation in a correct manner through a beep, vibration, or warning sound. The alarm unit 140 compares the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with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130 to generate a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when an error of more than a threshold occurs.

또한, 상기 알람부(140)는 상기 동작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 된 동작 정보에 따른 동작 속도가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재활운동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에 부여된 소정의 운동 속도와 다른 경우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larm unit 140 may vibrate when the motion speed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130 is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motion speed given to the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Can sound a beep.

상기 오차의 한계치 및 상기 소정의 운동 속도는 각 재활운동에 대응되어 기 설정되어 있는 값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값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운동 환경 설정 정보 중 민감도 또는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각각 상기 오차의 한계치 또는 상기 소정의 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된다.The threshold of error and the predetermined exercise speed may be a value that is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or may be a value input from a user. In the latter case, when the user sets the sensitivity or the exercise speed in the exercis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user sets the threshold of the error or the predetermined exercise speed, respectively.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재활운동 속도를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속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재활운동의 모션 정보에 부여된다. 이 때, 알람부(140)는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설정된 속도로 주기적인 신호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상기 신호음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운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센서부(130)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동작 정보를 알람부(140)로 전송하고, 알람부(140)에서는 상기 동작 정보 분석 후 그 빠르기가 상기 설정된 속도와 다른 경우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속도로 일정하게 운동이 가능하다.When the user sets the rehabilitation speed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speed input by the user is given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alarm unit 140 may generate a periodic beep sound at the set speed when the user starts the exercise to allow the user to exercise at a constant speed according to the beep sound. At this time, the motion sensor unit 130 detects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to the alarm unit 140, and in the alarm unit 140, the speed after analyzing the mo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set speed. It generates a vibration or warning sound. This allows the user to exercise constantly at their desired speed.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하여 재활운동 시 적용되는 민감도를 설정한 경우, 동작 센서부(130)가 3축 자이로 센서 및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동작 정보를 전송받은 알람부(140)는 상기 동작 정보를 기 저장된 재활운동의 모션 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다. 알람부(140)는 감지된 동작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와 모션 정보 저장부(110)의 모션 정보의 차이가 상기 설정된 민감도에 의해 설정된 자세 오차의 한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전문가의 감독 없이도 올바른 자세 유지가 가능하다.When the user sets the sensitivity applied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rough the input unit 120, when the motion sensor unit 130 obtains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using the 3-axis gyro sensor and the gravity sensor, the mo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larm unit 140 may compare the motion information with motion information of a pre-stored rehabilitation exercise in real time. The alarm unit 140 generates a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ur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cted mo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exceeds a threshold value of the posture error set by the set sensitivity. Let's do it. This allows the user to correct his posture and maintain correct posture without expert supervision.

더불어, 사용자는 재활운동을 지속하는 운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알람부(140)는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시작하면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진동 또는 경고음으로 사용자에게 운동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exercise time to continu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alarm unit 140 may count the time when the user start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exercise is finished by vibrating or warning sound when the set time is comple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는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운동 이력 저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 이력 저장부(150)에는 사용자가 완료한 재활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는 운동 날짜 및 시간, 재활운동 신체부위, 운동 방법, 운동 횟수, 동작 센서부(130)를 통해 취득한 사용자의 동작 정보 및 운동 정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각 운동 완료 후에 의견을 작성하여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ercise history storage unit 150 that stores exercis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In the exercise history storage unit 150, a database includ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completed by a user may be formed.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may include an exercise date and time, a rehabilitation exercise body part, an exercise method, an exercise number, an operation information and an exercise accuracy of a user acquired through the motion sensor unit 13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user may write a comment after each exercise is completed and stored together.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는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사용자가 수행한 재활운동의 패턴 및 운동 이력을 분석하여 차후에 수행할 운동을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알람부(140)와 연동하여 차후 단계의 운동을 수행할 날짜 및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스케쥴을 관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pattern and the exercise history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erformed by the user based on a database including the exercis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to recommend the exercise to be performed later It may further include a program that allows, by interlocking the database with the alarm unit 140, the alarm may sound on the date and time to perform the exercise of the next step may manage the user's sche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의 동작 순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수행을 원하는 재활운동을 선택할 수 있다(S10).First, the user may select a rehabilitation exercise to be performed (S10).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방법 또는 재활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상기 운동 방법 또는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사진 또는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S11). 사용자는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통하여 선택한 재활운동 방법을 숙지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exercise method or rehabilitation program, a picture or video of the exercise method or rehabilitation program may be played (S11). The user is familiar with the selected rehabilitation method through the picture or video.

사용자는 선택한 재활운동 방법에 대하여 재활운동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재활운동 환경은 운동 속도(S12), 민감도(S13) 또는 운동 지속 시간(S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may set a rehabilitation environment for the selected rehabilitation method, which may include one or more of exercise speed (S12), sensitivity (S13), or exercise duration (S14).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기 시작하면(S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훈련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S16). 상기 모니터링은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기 저장된 모션 정보와 비교하거나, 그로부터 도출된 운동 속도를 설정된 재활운동 속도와 비교하여 진동 또는 경고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 또는 경고음은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설정된 운동 속도와 다르거나, 센서를 통해 수집된 동작 정보가 저장된 운동 방법의 모션 정보와 비교하여 설정된 한계치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tarts to perform the exercise (S15),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and monitors it in real time (S16). The monitoring may include providing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by compar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previously stored motion information or by comparing the exercise speed derived therefrom with a set rehabilitation speed. The vibration or warning sound may occur when the user's exercise speed is different from the set exercise speed or when the mo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is different from the set motion value by comparing with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stored exercise method.

사용자가 설정한 운동 속도, 민감도 또는 운동 지속 시간에 따라 재활운동을 완료하면, 재활운동의 종료 여부가 판단된다(S17). 재활운동이 모두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재활운동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S18), 재활운동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행을 원하는 또 다른 재활운동을 선택할 수 있다(S10).Wh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exercise speed, sensitivity, or exercise duration set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s finished (S17).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 rehabilitation is finished, the rehabilit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S18),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habilitation is not finished, another rehabilitation exercise may be selected (S10).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은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가 포함 된 제1 유헬스 메시지(400)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400)를 유헬스 서버(300)에 송신하는 건강정보 중계부(200) 및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400)를 수신하는 유헬스 서버(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first u-health message 400 including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first u-health message 400.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to the health server 300 and the U-health server 300 for receiving the first U-health message 400.

유헬스 서버(300)는 유헬스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측정된 생체 정보,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고 사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의 건강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 장치를 의미한다. 유헬스 서버(300)는 TTAK.KO-10.0463 표준에 정의된 규격에 따르며, 상기 유헬스 서버(300)와 통신하는 건강정보 중계부(200) 또한 상기 표준에 따르며, 유헬스 서버(300)와 TTAK.KO-10.0463 표준에 따르는 유헬스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The u-health server 300 refers to a server device that processes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health user,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service requests, provides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for users, and stores and manages personal health care information. . U-health server 300 i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defined in the TTAK.KO-10.0463 standard,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in communication with the U-health server 300 also conforms to the standard, U-health server 300 and Send and receive u-health messages according to the TTAK.KO-10.0463 standard.

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강정보 중계부(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수행한다(S20).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완료하면, 건강정보 중계부(200)는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TTAK.KO-10.0463 표준 규격에 맞는 제1 유헬스 메시지(400)를 생성한다(S21). 상기 메시지는 유헬스 서버(300)와 건강정보 중계부(2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통해 유헬스 서버(300)로 송신된다(S22). 유헬스 서버(300)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건강정보 중계부(200)로 Ackowledge를 송신한다(S23).상기 Acknowledge는 TTAK.KO-10.0477 규격에 기재 된 Acknowledge 메시지에 따른다.The operation of the u-healt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First, a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S20). When the user complete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generates a first u-health message 400 conforming to the TTAK.KO-10.0463 standard specification including exercis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S21). .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health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u-health server 300 and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S22). The u-health server 300 transmits the Ackowledge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when receiving the message (S23). The Acknowledge follows the Acknowledge message described in the TTAK.KO-10.0477 standar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정보 중계부(200)가 사용자의 재활운동 완료 후 상기 재활운동에 대한 정보를 유헬스 서버(300)로 송신함으로써, 유헬스 시스템 상에 상기 사용자에 대한 재활운동 이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2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o the u-health server 300 after comple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user, the history o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user on the u-health system It is possible to build a database for (S24).

상기 운동 정보는 재활운동 항목, 운동 날짜 및 시간, 운동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및 운동 정확도 등을 포함한다. 유헬스 서버(300)에 구축 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유헬스 서버(300)를 제공하는 유헬스 공급자와 연결된 의료기관에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의 담당의가 상기 사용자의 재활 훈련 이력을 조회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사용자를 진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exercise information includes a rehabilitation exercise item, exercise date and time, exercise duration, repetition frequency, exercise accuracy, and the like. The database built on the U-health server 300 is provided to a medical institution connected to the U-health provider providing the U-health server 300, so that the user's doctor can inquir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history of the user It may help to care for the user.

건강정보 중계부(200)로부터 생성된 TTAK.KO-10.0463 표준 규격의 제1 유헬스 메시지(400)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u-health message 400 of the TTAK.KO-10.0463 standard standard generated from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is illustrated in FIG. 5.

제1 유헬스 메시지(400)의 HEADER(410) 항목에는 메시지를 보내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와 받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USER(420) 항목에는 개인용 건강 단말부를 통하여 측정을 수행한 대상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USER(420) 항목은 메시지 보안을 위하여 특정한 서비스를 원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 이외에는 옵션으로 사용한다. ORDER(430) 항목은 의료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되는 항목으로 옵션으로 사용한다. VALUE(440) 항목은 사용자가 개인용 건강단말부를 통하여 진행한 측정 항목과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COMMENT AND NOTES(450) 항목은 사용자가 추가로 전달을 요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사용되는 항목으로 옵션으로 사용한다. 유헬스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정의 및 규격은 TTAK.KO-10.0463 및 TTAK.KO-10.0477 표준을 참조한다.The HEADER 410 item of the first u-health message 400 includes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sending a message, application information received, and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message. The USER 420 item includes data on an object for which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personal health terminal unit. The USER 420 item is used as an option other than a service provider who wants a specific service for message security. The ORDER 430 item is used as an option when requested by a medical institution. The VALUE 440 item includes information including measurement items and the results of the user's progress through the personal health terminal. The COMMENT AND NOTES 450 item is used when the user needs additional information and is used as an option. See the TTAK.KO-10.0463 and TTAK.KO-10.0477 standards for definitions and specifications of each item constituting the u-health message.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정보 중계부(200)가 제1 유헬스 메시지(400)의 COMMENT AND NOTES(450) 항목에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로 재활운동 항목, 운동 날짜 및 시간, 운동 지속 시간 및 반복 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completes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exercise date and time, exercise duration and repetition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completed in the COMMENT AND NOTES 450 item of the first u-health message 400.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imes.

COMMENT AND NOTES(450) 항목은 Seq(451), Comment(452), Comment Type(453), Entered Date/Time(454)을 포함한다.The COMMENT AND NOTES 450 item includes Seq 451, Comment 452, Comment Type 453, and Entered Date / Time 454.

Seq(451)는 추가 입력 내용의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 타입의 필수 엘리먼트이고, Comment(452)는 문자열로 구성 된 추가적인 입력 내용으로 문자열 타입의 필수 엘리먼트이며, Comment Type(453)은 Comment의 Data Type을 의미하는 값으로 문자열 타입의 옵션 엘리먼트이며, Entered Date/Time(454)은 추가적인 입력 내용을 입력한 날짜와 시간 정보에 관한 것으로 날짜, 시간 타입의 필수 엘리먼트이다. COMMENT AND NOTES(450) 항목의 규격은 TTAK.KO-10.0477 표준을 참조한다.Seq (451) is a mandatory element of numeric type that indicates the number of additional input contents. Comment (452) is an additional element composed of strings and a mandatory element of string type. Comment Type (453) indicates the data type of comment. It is an optional element of string type. The Entered Date / Time 454 is related to the date and tim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input content and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date and time type. The standard of COMMENT AND NOTES (450) item refers to standard TTAK.KO-10.0477.

본 실시예에 따르면, Comment Type(453)에 완료 된 재활운동의 식별코드(EXER_CODE1, EXER_CODE2, …)가 포함될 수 있고, Comment(452)에는 운동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및 운동 정확도와 같은 완료된 재활운동에 관한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Entered Date/Time(454)에는 운동이 행해진 날짜와 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ent type (EXER_CODE1, EXER_CODE2, ...)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may be included in the Comment Type 453, and the comment 452 includes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such as the exercise duration,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he exercise accuracy. Other information about may be included. Entered Date / Time 454 may record the date and time the exercise was performed.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6 to 8, the u-healt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operations.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건강정보 중계부(200)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을 특정 재활운동을 선택하는데, 이 때, 건강정보 중계부(200)에서 유헬스 서버(300)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포함된 제2 유헬스 메시지(500)를 생성(S30)하여 유헬스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S31). 상기 제2 유헬스 메시지(500)를 전송 받은 유헬스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한 후(S32) 재활운동 관련 응답 정보를 포함하는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를 생성하여(S33) 건강정보 중계부(200)로 송신할 수 있다(S34). 상기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를 수신한 건강정보 중계부(20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Acknowledge를 유헬스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35).Referring to FIG. 6, the user selects a specific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At this time,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requests the user to the u-health server 300. The included second u-health message 500 may be generated (S30) and transmitted to the u-health server 300 (S31). After receiving the second u-health message 500, the u-health server 300 performs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S32),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including respon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t may be generated (S33) and transmitted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S34).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receiving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may transmit an Acknowledge to the u-health server 300 in response (S35).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헬스 서버(300)가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의 송신을 통하여 건강정보 중계부(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태 또는 재활운동 이력에 근거하여 적합한 재활운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 주는 데이터를 송신해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유헬스 서버(300)에 구축 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요청하는 경우 이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who uses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by the u-health server 300 through the transmission of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is appropriat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ased on his or her physical condition or the history of rehabilitation exercise. Data can be sent to guide the selection, and if the user requests an inquiry of the rehabilitation history database built on the U-health server 300 has the effect that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TTAK.KO-10.0477 표준에 따르면, 유헬스 서버(300)가 건강 정보 중계부(2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규정 되어 있지 않으므로, 건강 정보 중계부가 유헬스 서버(300)로부터 어떠한 데이터도 제공 받을 수 없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 정보 중계부가 유헬스 서버(300)로부터 재활운동 가이드 데이터 또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TAK.KO-10.0477 standard, since the procedure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by the u-health server 300 is not specified,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provides any data from the u-health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may receive the rehabilitation guide data o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u-health server 300.

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제2 유헬스 메시지(500)의 구성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유헬스 메시지(400)와 마찬가지로, 제2 유헬스 메시지(500)도 기본적으로 HAEDER(510), USER(520), ORDER(530), VALUE(540) 및 COMMENT AND NOTES(550) 항목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COMMENT AND NOTES(550) 항목에 완료된 운동에 관한 정보 대신 유헬스 서버(300)에 요청하는 동작(예를 들어 로그인 처리, 정보 제공 요청)의 코드를 포함시킨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u-health message 500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in FIG. 7. Like the first u-health message 400, the second u-health message 500 is essentially a HAEDER 510, USER 520, ORDER 530, VALUE 540, and COMMENT AND NOTES 550 items. Includ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ENT AND NOTES 550 includes a code of an operation (for example, a login process and a request for providing information) that the U-health server 300 requests instead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leted exercise.

제2 유헬스 메시지(500)의 COMMENT AND NOTES(550) 항목은 Seq(551), Comment(552), Comment Type(553), Entered Date/Time(554)을 포함하며, 상기 유헬스 서버(300)에 요청하는 작업에 관한 코드는 Comment Type(553)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헬스 서버(300)에 요청하는 작업에 대한 코드는 예를 들어, 로그인 요청 코드(LOGIN_REQ), 재활운동 가이드 요청 코드(EXER_GUIDE_REQ), 또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 요청 코드(EXER_HISTORY_REQ) 일 수 있다.The COMMENT AND NOTES 550 item of the second u-health message 500 includes Seq (551), Comment (552), Comment Type (553), Entered Date / Time (554), and the U-Health server (300). ) Can be included in the Comment Type 553 item. The code for the job requesting to the u-health server 300 may be, for example, a login request code LOGIN_REQ, a rehabilitation guide request code EXER_GUIDE_REQ, or a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quest code EXER_HISTORY_REQ.

도 8에는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는 HEADER(610), DATA(620) 항목을 포함한다. DATA(620) 항목에는 사용자가 유헬스 서버(300)에 요청한 작업에 대해 유헬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대응 정보가 포함 되고, HEADER(410)에는 DATA에 포함 되는 정보가 어떠한 정보인지 식별할 수 있는 코드가 포함 된다.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includes HEADER 610 and DATA 620 items. The DATA 620 item includ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Health Server 300 for the job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U-Health Server 300, and the HEADER 410 may identify wha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Contains code that can.

HEADER(410)에 포함되는 코드는 재활운동 가이드 응답 코드(EXER_GUIDE_RES), 및 재활운동 이력 정보 응답 코드(EXER_HISTORY_RES)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ode included in the HEADER 410 may be one of a rehabilitation guide code (EXER_GUIDE_RES) and a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sponse code (EXER_HISTORY_RES).

다음으로, 도 4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시스템 및 유헬스 서비스 방법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되는 각각의 메시지 규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9 to 11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the respective message standards according to the U-health system and the U-health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건강정보 중계부(200)가 TTAK.KO-10.0463 및 TTAK.KO-10.0477 규격에 기반하여 유헬스 서버(300)에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재활운동이 완료되면(S20), 건강정보 중계부(200)는 TTAK.KO-10.0477 규격에 규정 된 형식의 제1 유헬스 메시지(400)를 생성하여(S21) 유헬스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S22). 이때, 상기 유헬스 메시지의 Comment Type(453) 값에는 재활운동 코드, Comment(452) 값에는 운동 지속 시간 및 반복 횟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유헬스 서버(3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nowledge를 송신하고(S23), 수신된 상기 메시지들을 통해 상기 유헬스 서버(300)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S24)할 수 있다. 4 is a message flow diagram when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transmits exercise information on a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to the u-health server 300 based on the TTAK.KO-10.0463 and TTAK.KO-10.0477 standards.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s rehabilitation exercise is completed (S20),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generates the first u-health message 400 in the format specified in the TTAK.KO-10.0477 standard ( S21) It can transmit to the u-health server 300 (S22). In this case, the comment type 453 value of the u-health message may include a rehabilitation code, and the comment 452 valu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exercise duration and repetition frequency. The u-health server 300 receiving the message transmits Acknowledge in response to the message (S23), and establishes a database (S24) on the u-health server 300 through the received messages.

도 9는 건강정보 중계부(200)가 TTAK.KO-10.0463 및 TTAK.KO-10.0477 규격에 기반하여 유헬스 서버(300)에 특정 사용자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경우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건강정보 중계부(200)는 제2 유헬스 메시지(500)를 유헬스 서버(300)에 송신하여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S40). 이 때, 건강정보 중계부(200)가 유헬스 서버(300)에 송신하는 유헬스 메시지의 Comment Type(554) 값에는 로그인 요청 코드(LOGIN_REQ)가 포함 될 수 있고, 로그인 하는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어 아이디, 비밀번호 등은 USER(520) 값에 포함 될 수 있다. 유헬스 서버(300)는 건강정보 중계부(200)로부터 로그인을 요청 받아 로그인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S41), 그 결과를 Acknowledge를 통해 건강정보 중계부(200)에 송신할 수 있다(S42).9 is a message flow diagram when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requests a login of a specific user to the u-health server 300 based on the TTAK.KO-10.0463 and TTAK.KO-10.0477 standards. As shown in FIG. 9,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may request a login by transmitting the second u-health message 500 to the u-health server 300 (S40). At this time, the comment type 554 value of the u-health message transmitted by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to the u-health server 300 may include a login request code (LOGIN_REQ), information of a user logging in, for example. For example, ID, password, etc. may be included in the USER (520) value. The u-health server 300 may receive a login request from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perform a login process (S41),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through acknowledgment (S42). .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로그인을 완료한 후, 상기 사용자는 재활운동 가이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0에는 이 경우의 메시지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After completing the login for a specific user, the user may request rehabilitation guide information. 10 shows the message flow in this case.

건강정보 중계부(200)는 재활운동 가이드 요청 명령을 입력 받으면(S50) Comment Type(554) 값에 재활운동 가이드 요청 코드(EXER_GUIDE_REQ)를 포함하는 제2 유헬스 메시지(500)를 유헬스 서버(300)로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유헬스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또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를 조회하고(S52) 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재활운동 가이드를 생성한다(S53). 즉, 재활운동 가이드는 도 4에서 도시된 메시지 흐름에 의하여 구축된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사용자의 다른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When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receives a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request command (S50), the second U-health message 500 includ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request code (EXER_GUIDE_REQ) is included in the Comment Type 554 value of the U-health server ( 300). The u-health server 300 receiving the message inqui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o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S52) and generates a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suitable for the user (S53). That i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exercise information database on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constructed by the message flow shown in FIG. 4, or alternatively, may be generated based on other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유헬스 서버(300)는 분석 결과를 통해 재활운동 가이드 정보가 포함 된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를 생성하여 건강정보 중계부(200)에 송신한다(S54). 이 때, 유헬스 서버(300)가 송신하는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의 HEADER(610) 값에는 추천되는 재활운동 가이드 응답 코드(EXER_GUIDE_RES) 가 포함되고, 상기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의 BODY(620) 항목에는 선택 된 신체 부위 또는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가 포함 된다. 건강정보 중계부(200)는 유헬스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은 추천 재활운동 신체 부위 또는 운동 방법을 기 정의 된 포맷으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한다.The u-health server 300 generates a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includ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S54). At this time, the HEADER 610 value of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server 300 includes a recommended rehabilitation guide response code (EXER_GUIDE_RES), and the BODY of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The item 62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body part or exercise method.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processes and displays a recommended rehabilitation exercise body part or exercise method received from the U-health server 300 in a predefined format.

또한,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로그인을 완료한 후,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유헬스 서버(300)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재활운동 이력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1에는 이 경우의 메시지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after completing a login for a specific user, the user may request to retrieve the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built on the U-health server 300. 11 shows the message flow in this case.

건강정보 중계부(200)에 재활운동 이력 정보 조회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S60) Comment Type(554) 값에 운동 이력 정보 요청 코드(EXER_HISTORY_REQ)를 포함하는 제2 유헬스 메시지(500)를 유헬스 서버(300)로 송신한다(S61).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유헬스 서버(300)는 Comment Type 값에 포함 된 운동 이력 정보 요청 코드를 발견하고, 그에 대한 대응 동작으로써 상기 로그인한 사용자의 재활운동 이력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수집한다(S62). Wh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inquiry request command is input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S60), the second U-health message 500 including the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request code (EXER_HISTORY_REQ) in the Comment Type 554 value is u-health. It transmits to the server 300 (S61). Upon receiving the message, the U-health server 300 finds the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request code included in the Comment Type value, and in response thereto, retrieve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gged-in user and the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 (S62).

유헬스 서버(300)는 수집 한 운동 이력 정보가 포함된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를 생성하여 건강정보 중계부(200)에 송신한다(S63). 이 때, 유헬스 서버(300)가 송신하는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의 HEADER(610) 값에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 응답 코드(EXER_HISTORY_RES)가 포함되고, 상기 유헬스 응답 메시지(600)의 BODY(620) 항목에는 조회 및 수집 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가 포함 된다. 건강정보 중계부(200)는 유헬스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은 운동 이력 정보를 기 정의 된 포맷으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한다.The u-health server 300 generates a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including the collected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S63). At this time, the HEADER 610 value of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600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server 300 includes a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sponse code (EXER_HISTORY_RES), and the BODY ( The item includes the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who is inquired and collected.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200 processes and displays the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health server 300 in a predefined forma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재활 훈련 보조 장치 100
모션 정보 저장부 110
입력부 120
동작 센서부 130
알람부 140
운동 이력 저장부 150
건강전부 중계부 200
유헬스 서버 300
Rehabilitation Training Aids 100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nput section 120
Motion sensor unit 130
Alarm unit 140
Exercise history storage 150
Health Center All Relay 200
U-Health Server 300

Claims (17)

하나 이상의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는 각 재활운동의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정보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재활운동 중 하나를 선택 받는 입력부;
동작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 센서부; 및
상기 선택 받은 재활운동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와 상기 동작 센서부에 의해 감지 된 동작 정보를 비교 하여 한계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
A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regarding at least one rehabilitation exercise, wherein the data fo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cludes motion information of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one of the one or more rehabilitation exercises from a user;
A motion sensor unit for sensing motion information; And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device including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when an error occurs more than a limit by comparing the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운동에 대한 데이터는 각 재활운동에 대응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각 재활운동에 대응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further includes a picture or video corresponding to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playing back a picture or video corresponding to each rehabilitation exercise selected by the us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센서부는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tion sensor unit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hree-axis gyro sen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운동 속도, 운동 지속 시간 및 민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 환경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unit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ing device for receiving the exercise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xercise speed, exercise duration and sensitivity from the us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동작 센서부에 의해 감지 된 동작 정보에 따른 동작 속도가 소정의 운동 속도와 다른 경우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larm unit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 device for generating a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when the motion speed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is different from a predetermined movement speed.
제1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차의 한계치 및 상기 소정의 운동 속도는 기 설정된 값이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값인 재활 훈련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threshold of error and the predetermined exercise speed is a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 device which is a preset value or a value input from a user.
제1 항에 있어서,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운동 이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xercise history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는 운동 날짜 및 시간, 운동 신체 부위, 운동 방법, 운동 횟수, 상기 동작 정보 및 운동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xercise information for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rehabilitation training assistance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xercise date and time, the exercise body parts, exercise method, the number of exercise, the motion information and exercise accuracy.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가 포함 된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는 건강정보 중계부; 및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유헬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는 HEADER 항목, VALUE 항목 및 COMMENT AND NOTES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COMMENT AND NOTES 항목은 Seq, Comment, Comment Type 및 Entered Date/Time을 포함하며,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완료 된 재활운동의 식별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Comment에는 상기 완료 된 재활운동의 운동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및 운동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유헬스 시스템.
A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generating a first u-health message including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first u-health message to the u-health server; And
A u-health server for receiving the first u-health message,
The first u-health message includes a HEADER item, a VALUE item, and a COMMENT AND NOTES item,
The COMMENT AND NOTES item includes Seq, Comment, Comment Type and Entered Date / Time,
The comment type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he com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exercise duration,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he exercise accuracy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 중계부는 재활운동 관련 정보 요청 코드가 포함 된 제2 유헬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유헬스 서버는 상기 제2 유헬스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재활운동 관련 정보 요청 코드에 따른 재활운동 관련 응답 정보를 포함하는 유헬스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정보 중계부에 송신하되,
상기 제2 유헬스 메시지의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재활운동 관련 정보 요청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재활운동 관련 정보 요청 코드는 재활운동 가이드 요청 코드 및 재활운동 이력 정보 요청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유헬스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generates a second u-health message including a rehabilitation exercise-related information request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u-health server,
The u-health server, upon receiving the second u-health message, generates a u-health response message including rehabilitation-related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related information request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The comment type of the second u-health message include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related information request code,
The rehabilitation-related information request code is at least one of a rehabilitation guide guide code and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quest cod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헬스 응답 메시지는 HEADER 항목 및 DATA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HEADER 항목에는 재활운동 관련 정보 응답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DATA 항목에는 상기 재활운동 관련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재활운동 관련 정보 응답 코드는 재활운동 가이드 응답 코드 및 재활운동 이력 정보 응답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유헬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includes a HEADER item and a DATA item,
The HEADER item includes a rehabilitation exercise related information response code, and the DATA item include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related information,
The rehabilitation-related information response code is at least one of a rehabilitation guide response code and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sponse code.
건강 정보 중계부가 완료된 재활운동 정보가 포함 된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헬스 서버가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유헬스 메시지는 HEADER 항목, VALUE 항목 및 COMMENT AND NOTES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COMMENT AND NOTES 항목은 Seq, Comment, Comment Type 및 Entered Date/Time을 포함하며,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완료 된 재활운동의 식별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Comment에는 상기 완료 된 재활운동의 운동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및 운동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유헬스 서비스 방법.
Generating a first u-health message includ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completed by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to the u-health server; And
Receiving, by the u-health server, the first u-health message,
The first u-health message includes a HEADER item, a VALUE item, and a COMMENT AND NOTES item,
The COMMENT AND NOTES item includes Seq, Comment, Comment Type and Entered Date / Time,
The comment type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The com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exercise duration,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he exercise accuracy of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헬스 서비스 방법은
상기 건강 정보 중계부가 재활운동 가이드 정보를 요청하는, 재활운동 가이드 요청 코드가 포함 된 제2 유헬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헬스 서버가 상기 제2 유헬스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재활운동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활운동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유헬스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 정보 중계부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유헬스 메시지의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재활운동 가이드 요청 코드가 포함되는 유헬스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u-health service method
Generating, by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a second u-health message including a rehabilitation guide request code for requesting rehabilitation guid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u-health server; And
When the u-health server receives the second u-health message, the u-health server generates rehabilitation exercise guide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exercis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Generating a u-health response message including rehabilitation guid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The comment type of the second u-health message includes the rehabilitation guide request cod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헬스 응답 메시지는 HEADER 항목 및 DATA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HEADER 항목에는 재활운동 가이드 응답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DATA 항목에는 상기 재활운동 가이드 정보가 포함되는 유헬스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includes a HEADER item and a DATA item,
The HEADER item includes a rehabilitation guide code, and the DATA item includes the rehabilitation guide information.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헬스 서비스 방법은
상기 건강 정보 중계부가 재활운동 이력 정보 조회를 요청하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 요청 코드가 포함 된 제2 유헬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헬스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헬스 서버가 상기 제2 유헬스 메시지를 수신 시, 상기 완료된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를 포함하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를 조회하고, 재활운동 이력 정보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유헬스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 정보 중계부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유헬스 메시지의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재활운동 이력 정보 요청 코드가 포함되는 유헬스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u-health service method
Generating, by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a second u-health message including a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quest code for requesting retrieval of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to the u-health server; And
When the u-health server receives the second u-health message, the U-health server searches for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exercis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generates a u-health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history information response co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And a comment type of the second u-health message includes the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quest cod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헬스 응답 메시지는 HEADER 항목 및 DATA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HEADER 항목에는 재활운동 이력 정보 응답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DATA 항목에는 상기 조회된 재활운동 이력 정보가 포함되는 유헬스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u-health response message includes a HEADER item and a DATA item,
The HEADER item includes a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response code, and the DATA item includes the inquired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제12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 중계부가 로그인 요청 코드가 포함 된 유헬스 메시지를 상기 유헬스 서버에 더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유헬스 서버가 상기 로그인 요청 코드가 포함된 유헬스 메시지를 수신 시, 로그인 프로세스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포함하는 Acknowledge 메시지를 상기 건강 정보 중계부에 송신하는 단계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그인 요청 코드가 포함된 유헬스 메시지는 HEADER, USER, VALUE 및 COMMENT AND NOTES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USER 항목에는 로그인 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Comment Type에는 상기 로그인 요청 코드가 포함되는 유헬스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6,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further transmitting a u-health message including a login request code to the u-health server;
When the u-health server receives the u-health message including the login request code, processing the login process, and then transmitting an acknowledge message including the result to the health information relay unit; But
The u-health message including the login request code includes HEADER, USER, VALUE, and COMMENT AND NOTES items.
The USER item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user logging in, and the Comment Type includes the login request code.
KR1020110100730A 2011-10-04 2011-10-04 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87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730A KR101287130B1 (en) 2011-10-04 2011-10-04 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730A KR101287130B1 (en) 2011-10-04 2011-10-04 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569A true KR20130036569A (en) 2013-04-12
KR101287130B1 KR101287130B1 (en) 2013-07-17

Family

ID=4843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730A KR101287130B1 (en) 2011-10-04 2011-10-04 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3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48A1 (en)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apparatus and user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wearable device
KR20170082076A (en) 2016-01-05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habilitation exercise
KR102002289B1 (en) * 2018-02-23 2019-07-23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for provid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multiple rehabili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264A (en) * 2002-12-12 2004-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haptic interface device and the method
KR20040004230A (en) * 2003-11-26 2004-01-13 조연섭 Method and Apparatus for reform and recycle in a running machine
KR100661112B1 (en) * 2005-01-22 2006-12-22 (주)컨텍 System for measuring, accessment and training balance sense of a human who needs rehabilitation
KR100738160B1 (en) 2006-07-24 2007-07-10 학교법인 한세대학교 Based on the ubiqutous sensor networ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48A1 (en)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apparatus and user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wearable device
KR20170076379A (en)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and user terminal device connectable with wearable device
US11173341B2 (en) 2015-12-24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apparatus and user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wearable device
KR20170082076A (en) 2016-01-05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habilitation exercise
KR102002289B1 (en) * 2018-02-23 2019-07-23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for providing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multiple rehabili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130B1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0402B2 (en) Automated physical training system
US108819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fitness training and tracking service
KR101613853B1 (en) method for exercise training using wearable device, the system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US79885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rver and an article of fitness equipment
KR101931724B1 (en) Health navigation system
US8988241B2 (en) Portable apparatus
US201202596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US201202596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US20120259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US20150133748A1 (en) Interactive system for monitoring and assisting the physical activity of a user within a gym environment
US114398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CN103889520A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motion tracking to augment patient administered physical rehabilitation
US113514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fitness training and tracking devices
KR101287130B1 (en) Rehabilitation Support Apparatus, and U-Health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28713B1 (en) The exercize management system to use sensor information and health avatar
KR101277177B1 (en) apparatus and method assisting exercise,system for managing exercise ability of the members
KR101674144B1 (en) a wearable device and an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059802A (en) Smart fitness system
JP5215625B2 (en) Activity management system
KR20190072061A (en) Health care system available for customized training
JP2009153856A (en) Golf improvement support system
KR20110135015A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occupational therapy
KR20160044829A (en) Exerc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23080119A1 (en) Content management server,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management program
KR101335631B1 (en) Context-aware parallel walking bars and patient-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