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533A -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 Google Patents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533A
KR20130036533A KR1020110100669A KR20110100669A KR20130036533A KR 20130036533 A KR20130036533 A KR 20130036533A KR 1020110100669 A KR1020110100669 A KR 1020110100669A KR 20110100669 A KR20110100669 A KR 20110100669A KR 20130036533 A KR20130036533 A KR 2013003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outer ring
ring
bubbles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덕환
박경숙
Original Assignee
배덕환
박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덕환, 박경숙 filed Critical 배덕환
Priority to KR102011010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533A/ko
Priority to JP2012169111A priority patent/JP2013078561A/ja
Priority to US13/813,152 priority patent/US20140057521A1/en
Priority to PCT/KR2012/007810 priority patent/WO2013051820A2/ko
Publication of KR2013003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8Soap-bubble toys; Smoke toys

Landscapes

  • Toy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에 관한 것으로, 큰 직경의 외부링 안에 하부로 편향되도록 작은 직경의 내부링을 하나 또는 다수를 배치하여 비눗방울 형성시 큰 비눗방울 안에 작은 비눗방울이 체공되게 하는 등 다양한 비눗방울의 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비눗방울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눗방울 기구에 있어서,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외부링과; 상기 외부링 일측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외부링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내부링과; 상기 내부링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링의 중심이 외부링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게 배치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외부링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BUBBLING APPARATUS MAKING SOAP BUBBLES INSIDE SOAP BUBBLE}
본 발명은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에 관한 것으로, 큰 직경의 외부링 안에 하부로 편향되도록 작은 직경의 내부링을 하나 또는 다수를 배치하여 비눗방울 형성시 큰 비눗방울 안에 작은 비눗방울이 체공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비눗방울의 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비눗방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눗방울 놀이는 비눗방울기구를 비눗방울용액에 담근 다음 꺼내어 기구에 비눗방울용액을 묻히도록 하고, 이를 불어내는 동작을 통해 원형 또는 기형의 폐구된 비눗방울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비눗방울기구는 대개 소형으로 제공됨으로 생성되는 비눗방울의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공중에 떠있는 체공시간이 짧은 관계로 다양한 놀이를 즐기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비눗방울을 기형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만드는 것을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순 작은 원형의 비눗방울만 만들어서 놀이를 즐기게 하였다.
이에 실용신안 등록 제20-0359315호에서는 비눗방울기구를 버블링체와 손잡이로 구성하고, 상기 버블링체의 지름을 확대시키면서 버블링체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돌출부는 그 사이에 비눗방울이 수용됨으로 놀이시 비눗방울이 길게 형성됨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실용신안 등록 제20-0440556호에서는 외부링의 내부에 동심상으로 복수의 내부링을 형성하여 이중의 비눗방울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종래건은 비눗방울 형성시 외부링에 의한 큰 비눗방울 내부에 내부링에 의한 작은 비눗방울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비눗방울은 큰 비눗방울의 생성속도가 작은 비눗방울의 생성속도보다 더 느리게 진행되는 등 크기차이에 의해 생성하는 속도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동심원의 이중링을 갖는 기구에서 생성된 비눗방울은 큰비눗방울의 내면 상측과 작은비눗방울의 상부면 간격이 좁아서 두 비눗방울이 붙어버리기 때문에 작은 비눗방울의 체공시간제공이 어려웠다.
즉, 비눗방울을 길게 형성할 때에는 큰 비눗방울의 끝부분이 형성될 시간에 이미 큰 비눗방울 시작부분에서는 작은 비눗방울과 접촉이 이루어져 터지거나 달라붙게 되어 이중 비눗방울 형성의 성공률이 매우 낮다.
이에 본 발명의 비눗방울 기구는,
이중링 구조에서 내부링을 외부링의 하부로 편심되도록 배치하여 큰 비눗방울 내부에서 작은 비눗방울의 체공시간을 증대시켜 큰 비눗방울 내부에 다수의 작은 비눗방울을 형성하는 성공률을 높이는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링과 내부링의 크기 비율을 한정하여 길게 형성되는 큰 비눗방울 안에 작은 비눗방울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링을 다수 결합하여 하나의 큰 비눗방울 안에 작은 비눗방울의 다수형성시키는 등 다양한 놀이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눗방울 기구는,
비눗방울 기구에 있어서,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외부링과; 상기 외부링 일측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외부링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내부링과; 상기 내부링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링의 중심이 외부링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게 배치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외부링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링은 하나로 형성하고, 내부링의 중심은 상기 외부링의 중심부분과 상기 손잡이가 결합된 부분의 중간부분에 위치시켜 연결바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링은 3개로 형성하여 서로 등각으로 배치하되, 상기 내부링의 중심은 외부링의 중심과 외부링을 연결하는 반지름선의 중심부분에 위치하고, 각각의 내부링으로부터 돌출된 연결바는 근접된 외부링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링은 2개로 형성하고, 외부링은 손잡이가 결합된 부분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링의 연결바를 결합시켜 작은 비눗방울이 큰 비눗방울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눗방울 기구는,
이중링 구조에서 내부링을 외부링의 하부로 편심되도록 배치하여 큰 비눗방울 내부에서 작은 비눗방울의 체공시간을 증대시켜 큰 비눗방울 내부에 다수의 작은 비눗방울을 형성하는 성공률을 높이도록 하였다.
또한 내부링을 다수 결합하여 하나의 큰 비눗방울 안에 작은 비눗방울의 다수 형성되도록 하거나, 내부링을 외부링의 외측부분에 형성시켜 큰 비눗방울 밖에 작은 비눗방울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비눗방울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의 평면도 및 도 2a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a의 비눗방울 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10)는 외부링(20)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링은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21)가 형성되어 돌기 사이에 비눗방울 용액이 내포되도록 하여 큰 비눗방울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링에는 도 2b를 참조한 바와같이 내주면 또는 외주면 등 원주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결합홈(22)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내부링(40)의 연결바(5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링(20)에는 손잡이(30)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는 외부링을 비눗방울 용액에 담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외부링면과 이격된 면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부(31)가 "ㄱ"자로 꺾여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일측에 후크(311)를 갖는 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20)에는 걸림턱(231)이 형성된 연결편(23)을 외부링면과 수직방향으로 돌출시켜 상기 손잡이 연결부의 홈에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링(40)은 상기 외부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외부링와 같이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41)가 형성되어 비눗방울용액이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링은 일측에 연결바(50)가 돌출된다. 상기 연결바는 돌출된 단부가 외부링의 결합홈(22)에 결합되어 내부링을 외부링의 원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바는 두께를 얇게하여 큰 비눗방울 형성에 간섭하지 않으면서 내부링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링(40)은 외부링(2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설치하여 외부링에 의한 큰 비눗방울과 함께 내부링에 의한 작은 비눗방울이 함께 생성되도록 한다.
도 2a는 외부링 내부에 하나의 내부링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링(40)의 중심은 외부링(20)의 중심에서 상기 손잡이(30)가 결합된 부분을 연결한 선상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연결바(5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연결바의 길이를 더 줄여서 내부링이 외부링의 내면과 근접하도록 하거나 더 멀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내부링과 외부링이 너무 근접되면 비눗방울 형성시 서로 간섭하여 터지거나 큰 비눗방울의 내면에 작은 비눗방울이 붙어 있게 됨으로 큰 비눗방울 속에 작은 비눗방울이 체공하고 있는 형태로는 즐기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링(40) 및 연결바(50)의 두께는 최대한 작게 형성하여 큰 비눗방울 형성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1~3mm 의 두께범위로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크기가 다른 내부링과 외부링은 링에 형성된 막에서 비눗방울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름으로 이를 일정비율로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속도에 의해 길게 형성되는 큰 비눗방울 내부에 작은 비눗방울이 다수 체공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링과 외부링의 바람직한 비율은 내부링의 내경을 외부링 내경의 0.15~0.35배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외부링(20)의 내경이 12~40cm 일 경우에는 내부링(40) 내경을 3.5~10cm의 범위로 형성하여 내부링이 외부링내경의 15~35%의 크기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링의 크기를 40cm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휴대가 불편하기 때문에 상기 크기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cm 이하일 경우에는 내부링과의 너무 근접하기 때문에 비눗방울형성시 서로 간섭하여 큰 비눗방울 내부에서 작은 비눗방울이 체공하게 하기 어렵고 내부링이 더욱 작아져 비눗방울이 형성되지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큰 비눗방울(70)의 내부에 작은 비눗방울(80)이 체공되도록 이중의 비눗방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눗방울 기구(10)의 이동속도가 중요하며, 바람직한 비눗방울 기구의 이동속도는 1.0~3.5m/sec이다. 상기 1.0m/sec 이하일 경우에는 비눗방울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큰 비눗방울이 생겨도 작은 비눗방울의 형성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3.5m/sec 이상일 경우에는 이동속도가 너무 빨라서 비눗방울이 터지거나 작은 비눗방울이 생겨도 큰 비눗방울은 형성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눗방울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외부링(20) 안에 3개의 내부링(40)이 등각으로 배치된다.
상기 3개의 내부링 각각의 중심은 외부링의 중심과 외부링의 원주를 연결하는 반지름 선의 중심부분에 위치한다. 즉, 외부링의 반지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원을 외부링과 동심으로 배치하여 상기 가상원에 내부링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링(40)은 일체로 형성된 연결바(50)에 의해 외부링에 고정됨으로써 비눗방울 생성 놀이시 내부링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바(50)와 외부링(20)의 결합방법으로는 상술한 바와같이 결합홈(22) 방식 이외에 외부링에 돌기를 돌출시키고 연결바 저면에는 홈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식, 상기 외부링에 전후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외부링의 전후방향으로부터 연결바를 슬라이딩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외부링(20) 내부에 3개의 내부링(40)을 형성하면 하나의 내부링이 형성된 것보다는 성공률이 낮지만 비눗방울 형성시 큰 비눗방울 내부에 작은 비눗방울의 형성 갯수를 증가시켜 새로운 비눗방울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내부링은 다수개 중 어느 하나를 형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내부링 중 하나를 반달형태로 형성하여 3개의 내부링이 사람의 두 눈과 입모양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달형태의 내부링 면적과 원형의 내부링면적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이로부터 생성되는 비눗방울의 크기도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링이 외부링의 외측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링(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내부링(40)의 연결바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링(20)의 외측에 결합되는 내부링(40)은 손잡이(30)가 결합된 부분과 대향되는 면에 결합되어 손잡이를 하부로 향하게 한 다음 비눗방울 형성시 외부링에 의해 생성된 큰 비눗방울의 상부에서 작은 비눗방울이 생성되도록 하여 빨리 하강하는 큰비눗방울과 상대적으로 천천히 떨어지는 작은 비눗방울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다른 내부링을 더 결합하여 큰 비눗방울 내부에도 작은 비눗방울이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비눗방울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눗방울 기구(10)는 용기에 비눗방울 용액을 담고 비눗방울 기구를 용액에 담지한 다음 꺼내어 1.0~3.5m/sec의 속도로 이동시키면 내부링과 외부링에서 비눗방울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링(20)은 비눗방울이 신속하게 만들어지지 않고 길게 늘어진 다음 생성되며, 상기 늘어진 비눗방울 내부에는 작은 비눗방울이 순차적으로 생성되어 체공하게 된다.(도 7a, 도 7b)
최종적으로 큰 비눗방울은 원형으로 변형되면서 내부의 작은 비눗방울도 서로 붙어서 뭉치게 된다.(도 7c)
아울러 도 4와 같이 외부링(20) 내부에 내부링(40)을 다수 형성하면 큰 비눗방울 내부에 작은 비눗방울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외부링의 외측으로 내부링을 결합시키면 큰 비눗방울과 작은 비눗방울을 별도로 서로 분리되어 형성시킬 수 있다.
10 : 비눗방울 기구
20 : 외부링
21,41 : 돌기 22 : 결합홈
23 : 연결편 231 : 걸림턱
30 : 손잡이
31 : 연결부 311 : 후크
312 : 홈
40 : 내부링
50 : 연결바
70 : 큰비눗방울
80 : 작은비눗방울

Claims (6)

  1. 비눗방울 기구에 있어서,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2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결합홈(22)이 형성된 외부링(20)과;
    상기 외부링 일측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30)와;
    상기 외부링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41)가 형성된 내부링(40)과;
    상기 내부링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링의 중심이 외부링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게 배치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외부링의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40)은 하나로 형성하고, 내부링의 중심은 상기 외부링의 중심부분과 상기 손잡이가 결합된 부분의 중간부분에 위치시켜 연결바(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40)은 3개로 형성하여 서로 등각으로 배치하되, 상기 내부링의 중심은 외부링의 중심과 외부링을 연결하는 반지름선의 중심부분에 위치하고, 각각의 내부링으로부터 돌출된 연결바는 근접된 외부링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40) 중 하나를 반달형태로 형성하여 3개의 내부링이 사람의 두 눈과 입모양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40)은 2개로 형성하고, 외부링은 손잡이가 결합된 부분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결합홈(22)을 형성하여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내부링의 연결바(50)가 결합되어 작은 비눗방울이 큰 비눗방울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기구.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40) 내경은 외부링(20) 내경의 0.15~0.35배 범위로 형성하고, 내부링 두께는 1~3mm로 형성하여 큰 비눗방울 형성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기구.
KR1020110100669A 2011-10-04 2011-10-04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KR20130036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669A KR20130036533A (ko) 2011-10-04 2011-10-04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JP2012169111A JP2013078561A (ja) 2011-10-04 2012-07-31 シャボン玉器具
US13/813,152 US20140057521A1 (en) 2011-10-04 2012-09-27 Device for making soap bubble with soap bubbles therein
PCT/KR2012/007810 WO2013051820A2 (ko) 2011-10-04 2012-09-27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669A KR20130036533A (ko) 2011-10-04 2011-10-04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533A true KR20130036533A (ko) 2013-04-12

Family

ID=4804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669A KR20130036533A (ko) 2011-10-04 2011-10-04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57521A1 (ko)
JP (1) JP2013078561A (ko)
KR (1) KR20130036533A (ko)
WO (1) WO20130518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205A (zh) * 2021-10-22 2022-02-25 李军 一种巨型泡泡成型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3654A (zh) * 2017-07-11 2017-09-29 冯喜明 一种可多样式吹泡泡的玩具
CN108295490A (zh) * 2018-01-17 2018-07-20 厦门卡拉风娱乐有限公司 一种可长期保存的可褪色有色泡泡液及其制备方法
USD867467S1 (en) * 2018-08-13 2019-11-19 Placo Bubbles Limited Bubble wand
RU199762U1 (ru) * 2020-06-19 2020-09-21 Алексей Владиславович Дарь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мыльных пузырей и мыльных плено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7935A (en) * 1946-05-14 1950-10-31 Lyons B Joel Bubble blowing device
JPH02139698U (ko) * 1989-04-26 1990-11-21
US5035665A (en) * 1990-04-09 1991-07-30 Sheng Lin M Apparatus for making bubbles in multiple layers
US5419728A (en) * 1994-04-06 1995-05-30 Dallara; Jane E. Device for forming spherical bubbles that cling together
GB2315028B (en) * 1996-07-09 1999-12-22 Lin Mon Sheng Bubble blowing toy
US6102764A (en) * 1998-12-08 2000-08-15 Placo Corporation Limited Bubble generating assembly
US6149486A (en) * 1998-12-08 2000-11-21 Placo Corporation Limited Bubble generating assembly
KR200359315Y1 (ko) * 2004-04-10 2004-08-21 박경숙 비눗방울 놀이기구
KR200440556Y1 (ko) * 2007-05-02 2008-06-19 양춘식 비누방울 놀이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205A (zh) * 2021-10-22 2022-02-25 李军 一种巨型泡泡成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78561A (ja) 2013-05-02
WO2013051820A3 (ko) 2013-07-04
US20140057521A1 (en) 2014-02-27
WO2013051820A2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6533A (ko) 비눗방울 속 비눗방울을 만드는 비눗방울 기구
CN105435695B (zh) 侧拉式振荡器
US7896205B1 (en) Drink carrier system
CN103071556B (zh) 用于医疗分析仪的试剂瓶架系统
JP3208260U (ja) 把手付きうがい用コップ
CN204598957U (zh) 一种宠物碗
US20150090622A1 (en) Pouchkin
CN206511308U (zh) 一种酒瓶
JP5773296B1 (ja) 液こぼれ防止機能を有するシャボン玉容器
CN215820496U (zh) 一种便携式温酒、饮酒组合器
KR101095187B1 (ko) 태엽 구동식 기능 우유병 케이스
JP3225426U (ja) 多重シャボン玉が簡単にできる器具
CN205107057U (zh) 可以作为儿童座椅与洗衣盆使用的板嵌型两用器具
KR200359315Y1 (ko) 비눗방울 놀이기구
CN202480617U (zh) 握笔姿势矫正器
CN201910163U (zh) 教学用旋转陀螺
CN211403649U (zh) 一种少儿培训专用培训装置
CN215084783U (zh) 一种骰盅
CN201911971U (zh) 一种儿童洗澡椅
CN210478205U (zh) 握笔辅助装置
CN104083112A (zh) 一种旅行用便携式多功能洗漱杯
TWD178296S (zh) 瓶之部分
CN207371115U (zh) 益智类高趣味性多功能玩具盒
CN202315320U (zh) 泡泡帘
CN104056449B (zh) 一种幼儿拼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