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192A - 자외선 커튼 - Google Patents

자외선 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192A
KR20130034192A KR1020110098089A KR20110098089A KR20130034192A KR 20130034192 A KR20130034192 A KR 20130034192A KR 1020110098089 A KR1020110098089 A KR 1020110098089A KR 20110098089 A KR20110098089 A KR 20110098089A KR 20130034192 A KR20130034192 A KR 2013003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curtain
ultraviolet ray
sensing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308B1 (ko
Inventor
민효기
Original Assignee
민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효기 filed Critical 민효기
Priority to KR102011009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소에는 집광되어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는 자외선 스크린(Screen)에 의해 출입통로 등이 차단되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부터 감염을 방지하며, 사람이 지나갈 때에는 자동문과 같이 인체감지 후 자외선을 차단하여 인체에 직접적인 조사를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살균시스템인 자외선 커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문의 상부에 부착되며, 하부가 개구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부 및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집광시켜 하부로 조사시키는 반사수단; 사물의 접근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수단; 및 상기 자외선램프 및 상기 감지수단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외선 커튼{ULTARVIOLET RAYS CURTAIN}
본 발명은 자외선 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입구 등에 살균자외선을 커튼, 스크린 등의 형태로 집광시켜 조사(照射)시킴으로써 바이러스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과 같은 곳에서는 소독을 위해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여 살균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백내장 등과 같은 안질환의 부작용을 갖고 있는 자외선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 때문에 대부분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제품들은 높은 살균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직접 조사 하는 것이 아니라 메트리스, 의류, 용품에 간접적으로 살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아닌 이상 이러한 방법은 지속력이 없으므로 살균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며, 인플루엔자 및 바이러스는 공기 전염으로 인해 확산 되는데 이에 대해 인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병원내 세균 감염사건과 최근 신종 플루 관련하여 병원이 바이러스 및 세균의 온상지역이 되어 큰 문제가 되고 있지만, 별다른 병원 내 살균장치 및 전염방지에 대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살균자외선 스크린으로 출입구 등과 같은 통로지역을 지속적으로 살균하여 병원 및 공공장소에서의 공기전염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살균시스템인 자외선 커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유지비가 저렴하고,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커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자외선 커튼은, 출입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 반사수단, 감지수단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제1고정프레임 및 제2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수단은 알루미늄 재질의 반사갓 또는 콜드미러(Cold mirror)를 사용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커튼으로 출입로 등을 차단함으로써 공간살균으로 인한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가 감소되고,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침입을 차단하여 제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오염 방지로 인한 살균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비가 저렴하고, 저렴한 유지비용 및 물리적 살균으로 내성이 생기지 않으므로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대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설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설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외선램프, 반사수단, 감지수단 및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세균 및 바이러스 침투 상태를 비교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광자외선의 조사상태를 일반자외선의 조사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집광자외선 살균력을 일반자외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집광자외선을 구제역바이러스에 적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일반자외선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개략적인 설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의 개략적인 설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자외선 커튼은 출입통로(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문의 상부에 부착되며, 하부가 개구된 고정프레임(100); 고정프레임(100)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자외선램프(200); 자외선램프(200)의 상부 및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자외선램프(200)에서 발생된 빛을 집광시켜 하부로 조사시키는 반사수단(300); 사물의 접근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수단(400); 및 자외선램프(200) 및 감지수단(400)을 컨트롤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로 벽체(20)의 하부에 위치된 출입통로(30)는 자동문 또는 수동문이 설치되어 있거나 개방된 상태의 출입통로(30)도 있고, 자외선 커튼은 출입통로(30)의 입구쪽 또는 출구쪽 벽체(20)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프레임(100)은 벽체(20)에 고정되는 제1고정프레임(110) 및 제1고정프레임(110)에 지지결합되며, 자외선램프(200), 반사수단(300), 감지수단(400) 및 제어부(500)가 결합되는 제2고정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1고정프레임(110)은 고정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체(2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2고정프레임(120)을 제1고정프레임(110)에 지지 및 고정결합시키며, 제2고정프레임(120)은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제1고정프레임(110) 및 제2고정프레임(12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자외선램프(200) 및 반사수단(300)은 일반적인 형광등의 설치원리와 동일하다.
다만, 반사수단(300)은 자외선램프(200)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이 반사되어 나갈경우 집광되어 조사되도록 반사각도를 조절하고, 그 형상을 결정하여 제작한다.
자외선램프(200)는 일반적인 자외선 살균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사수단(300)은 재질이 알루미늄인 반사갓을 사용하거나 콜드미러(Cold mirror)를 사용할 수 있다.
콜드미러는 자외선 유효파장 영역은 반사시켜 집광시키고, 자외선 노이즈 영역과 가시광선, 적외선 등의 불필요한 영역대의 에너지는 투과시켜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열은 외부로 방출시키고 유효파장반사를 최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400)은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동작하며, 제어부(500)와 연결된 자외선램프(200)는 감지수단(400)의 감지정보에 의해 온오프된다.
즉, 평상시 자외선램프(200)가 작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스크린이 작동하면서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차단하게 되고, 사람이 접근시 감지수단(400)이 작동하여 자외선램프(200)의 작동을 오프시켜 자외선스크린을 차단하게 된다.
감지수단(400)은 동작감지센)를 사용하며, 제2고정프레임(120)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램프(200)로의 전원인가 여부는 감지수단(400)의 감지정보에 대응하여 제어부(500)에 의해 컨트롤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커튼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세균 및 바이러스 침투 상태를 비교한 도면으로 (a)는 사용 전이고, (b)는 사용 후를 나타낸 비교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인 자외선 커튼을 사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자외선 커튼의 살균효과는 피 조사되는 적산 자외선량(방사강도 × 조사시간)에 정비례하는 관계가 있다.
자외선 스크린은 높은 방사강도, 지속적인 조사로 매우 높은 적산 자외선량(살균력)으로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키며, 바이러스의 침투 최소화 및 물리적 살균이므로 항생제 내성세균이나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의 발생효율도 낮출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광자외선의 조사상태를 일반자외선의 조사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일반사외선의 조사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집광자외선의 조사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집광은 에너지당 단위면적을 감소시켜 적산 자외선량(살균력)을 극대화하여 무균실 수준으로 살균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일반자외선 및 집광자외선의 살균효과를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도 7에서는 포도상구균, 대장균, 폴리오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및 간염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도 8에서는 구제역바이러스인 0189, A132, A-Sakol 및 AS1을 대상으로 각각에 필요한 살균선량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자외선의 살균력이 훨씬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자외선 커튼 사용시 평상시에도 외부 또는 내부로 유입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차단할 수 있어 부유 세균 및 바이러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재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오염 방지 등으로 인한 살균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10 : 전원케이블 20 : 벽체
30 : 출입통로
100 : 고정프레임 110 : 제1고정프레임
120 : 제2고정프레임
200 : 자외선램프 300 : 반사수단
400 : 감지수단 500 : 제어부

Claims (3)

  1. 출입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문의 상부에 부착되며, 하부가 개구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부 및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집광시켜 하부로 조사시키는 반사수단;
    사물의 접근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수단; 및
    상기 자외선램프 및 상기 감지수단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외선 커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벽체에 고정되는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고정프레임에 지지결합되며, 상기 자외선랜프, 상기 반사수단, 상기 감지수단 및 상기 제어부가 결합되는 제2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자외선 커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알루미늄 재질의 반사갓 또는 콜드미러(Cold mirro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커튼.
KR1020110098089A 2011-09-28 2011-09-28 자외선 커튼 KR10126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089A KR101261308B1 (ko) 2011-09-28 2011-09-28 자외선 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089A KR101261308B1 (ko) 2011-09-28 2011-09-28 자외선 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192A true KR20130034192A (ko) 2013-04-05
KR101261308B1 KR101261308B1 (ko) 2013-05-06

Family

ID=4843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089A KR101261308B1 (ko) 2011-09-28 2011-09-28 자외선 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3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182A (zh) * 2020-12-16 2021-04-20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温度控制人员进出的道闸及其使用方法
WO2021257148A1 (en) 2020-06-16 2021-12-23 Innovative Technologies Disinfection system
WO2022209281A1 (ja) * 2021-03-31 2022-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73Y1 (ko) 2000-12-19 2001-09-25 (주)아트램프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KR100567670B1 (ko) 2004-08-25 2006-04-07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0944801B1 (ko) 2009-12-03 2010-02-26 이창현 출입 게이트용 인체살균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148A1 (en) 2020-06-16 2021-12-23 Innovative Technologies Disinfection system
EP4164739A4 (en) * 2020-06-16 2023-09-27 Innovative Technologies DISINFECTION SYSTEM
US11938238B2 (en) 2020-06-16 2024-03-26 Innovative Technologies Disinfection system
CN112681182A (zh) * 2020-12-16 2021-04-20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温度控制人员进出的道闸及其使用方法
CN112681182B (zh) * 2020-12-16 2022-10-18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温度控制人员进出的道闸及其使用方法
WO2022209281A1 (ja) * 2021-03-31 2022-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JP2022157606A (ja) * 2021-03-31 2022-10-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CN116710154A (zh) * 2021-03-31 2023-09-05 大金工业株式会社 紫外线照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308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810B1 (ko) 실내 살균 장치
US10994040B2 (en) Surface treatment with ultraviolet light
KR101030583B1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US20090191100A1 (en) Area sterilizer and method of disinfection
JP2020078479A (ja) 紫外線照射装置
JP2016503342A (ja) 紫外光を放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2259040B1 (ko) 가변형 상층부 자외선 살균 조사장치
KR101261308B1 (ko) 자외선 커튼
KR102514375B1 (ko) 지능형 안티 바이러스 엘리베이터
RU199955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бактерици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CN108354392B (zh) 无害化消毒梳妆镜
KR100668938B1 (ko)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
US20220096683A1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130004276U (ko) 축사의 세균 유입 방지 구조
KR102228610B1 (ko) 안티바이러스 게이트
KR101706277B1 (ko) 살균장치
KR20230073170A (ko) 실내 자외선 살균장치 및 실내 자외선 살균 시스템
KR20060110025A (ko) 자외선 방사 살균을 위한 조명기구 및 컨트롤러시스템
KR20110077421A (ko) 감지센서와 연계된 살균 정화장치
KR102577495B1 (ko)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RU38610U1 (ru) Бактерици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Akshat et al. AT89S52-Microcontroller Based Elevator with UV-C disinfection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OVID-19
TWI821760B (zh) 具有物理消毒之出入控制裝置及方法與照射構件之用途
JP7193019B2 (ja) 不活化装置および不活化方法
US20220040359A1 (en) UV-C Room Air Sanitizer Light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