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610A -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610A
KR20130033610A KR1020110097364A KR20110097364A KR20130033610A KR 20130033610 A KR20130033610 A KR 20130033610A KR 1020110097364 A KR1020110097364 A KR 1020110097364A KR 20110097364 A KR20110097364 A KR 20110097364A KR 20130033610 A KR20130033610 A KR 2013003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vironmental
spatial
signal strength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379B1 (ko
Inventor
강상승
장민수
김재홍
손주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9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379B1/ko
Priority to US13/597,843 priority patent/US8989771B2/en
Publication of KR2013003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63Hybrid positioning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s derived from two or more separate position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가용한 신호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이동 단말의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집하며,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의 정보들을 융합하고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공간에 대한 인식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건물 내의 실내 환경에서 적용하여 건물 내에서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공간을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거나 사용자가 건물 내 공간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SPACE BASED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SPACE RECOGNIZING SYSTEM}
본 발명은 공간 인식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된 실내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의 인식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나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뜻의 유비쿼터스는 IT 기술의 차세대 패러다임으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객체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그 위치와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지만, 건물 내부에서는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 때문에 대안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로봇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도 이 문제의 해결은 중요하다.
종래 기술로서 실내 천정에 인공표식을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조밀한 단위로 인공표식을 붙여야 하고, 로봇의 개방된 상단부와 같이 천정과 지속적으로 인터랙션 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해야 하므로 움직이는 일반 사용자의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하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서와 같이 영상 장치를 기반으로 표식을 식별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영상 처리의 기술적 한계에 따른 문제점 외에도, 공공 건물과 같이 다수의 유사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공간에 대한 식별에 어려움이 있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전파 신호강도의 인덱스 값인 신호강도 정보(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의 경우에도 고정적으로 RSSI 값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방향이나 움직임에 의해 고정장치와의 통신에 영향을 받거나 RSSI 값이 크게 달라지는 등의 전파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있을 경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한 별다른 방안이 없었다.
특허문헌 1: 미국공개특허 제2011/0026833호 (2011.02.03. 공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된 실내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인식할 수 있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의 가용한 신호강도 정보(RSSI)와 공간 내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한 환경 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가용한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 강도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들을 융합하고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의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온도, 습도, 조도, 소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경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환경데이터에서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루틴을 통해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다른 루틴을 통해 상기 획득한 신호 강도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신호 강도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한 근접 고정장치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후보 고정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후보 고정장치의 환경 패턴 정보와 신호강도 패턴 정보를 융합하는 과정과, 융합된 패턴 정보를 인식 알고리즘 기반으로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 기능의 수행 결과 최고 결과값을 가지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자 추정 공간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관성센서를 통해 동작 센서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센서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자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정보로서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환경 정보 수집 및 신호 강도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기존에 인식된 공간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가용한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부와, 상기 신호 강도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들을 융합하고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의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 센서부는, 온도, 습도, 조도, 소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경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에서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데이터에서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루틴을 통해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다른 루틴을 통해 상기 획득한 신호 강도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신호 강도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한 근접 고정장치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후보 고정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후보 고정장치의 환경 패턴 정보와 신호강도 패턴 정보를 융합하고, 융합된 패턴 정보를 인식 알고리즘 기반으로 인식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인식 기능의 수행 결과 최고 결과값을 가지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자 추정 공간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관성센서를 통해 동작 센서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동작 센서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자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정보로서 생성하는 동작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환경 정보 수집 및 신호 강도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기존에 인식된 공간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송수신 정보를 중계하고 고정된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중계 고정장치와, 상기 중계 고정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고 서버와 연동하며 고정된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기지 고정장치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소지하여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중계 고정장치 및 기지 고정 장치들의 신호 강도를 확인하여 후보 고정 장치들을 결정하고, 상기 후보 고정 장치들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환경 정보 및 신호 강도를 융합하여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식별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 정보 및 신호 강도를 융합하여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 고정장치와 연동된 서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중계 고정 장치와 기지 고정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신호 강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정보를 융합하고,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최고 결과 값을 가지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추정 공간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중요 정보는 사전 결정된 정책에 따라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하고, 저장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에 의하면,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의 가용한 신호강도 정보와 공간내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한 환경 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구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공간에 대한 인식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환경 정보 공간 인식 장치는 건물 내의 실내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건물 내에서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공간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거나 사용자가 건물 내 공간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다가가는 로봇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하게 되어 관련 기술 시장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의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된 실내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의 공간 인식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의 가용한 신호강도 정보(RSSI)와 공간 내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한 환경 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착용 또는 소지하는 사용자 장치(100), 고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 고정장치(110), 고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무선 통신 및 서버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 고정장치(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고정장치(110) 혹은 기지 고정장치(120)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손목 착용형 시계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는 환경 센서부a(102), 무선 통신부a(104) 및 프로세서부a(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a(102)는 환경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서의 환경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온도, 습도, 조도, 소음 등과 같이 해당 공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a(104)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장치(100)와 중계 고정장치(110) 혹은 기지 고정장치(12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사용자 장치(100)와 근접한 중계 고정장치(110)나 기지 고정장치(120)들에 대한 신호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04)는 예를 들어, CDMA, WCDMA, LTE 등의 이동통신 기술, 블루투스, 와이브로,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부a(106)는 무선 통신부a(104)와 환경 센서부a(102)를 제어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를 융합하며 공간 정보에 대한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고정장치(110)는 환경 센서부b(112), 무선 통신부b(114) 및 프로세서부b(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b(112)는 사용자 장치(100)와 동일한 환경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고정된 공간에서의 환경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부b(114)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장치(100), 다른 중계 고정장치 또는 기지 고정장치(120)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프로세서부b(116)는 환경 센서부b(112) 및 무선 통신부b(114)를 제어하고 획득한 환경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 고정장치(120)도 환경 센서부c(122), 무선 통신부c(124) 및 프로세서부c(1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c(122)는 사용자 장치(100) 및 중계 고정장치(110)와 동일한 환경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고정된 공간에서의 환경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부c(124)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장치(100), 중계 고정장치(110) 또는 다른 기지 고정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중계하며 서버와 연동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프로세서부c(126)는 무선 통신부c(124)와 환경 센서부c(122)를 제어하고 획득한 환경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 내에서 별도로 구성되거나, 어느 한 기지 고정장치(120)가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버는 사용자 장치(100), 중계 고정장치(110) 및 기지 고정장치(120)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장치(100) 및 중계 고정장치(110)가 주기적으로 환경 패턴 정보 전송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100)의 요청 시 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와 후보 고정장치에 대한 환경 패턴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한 후, 이를 토대로 융합 및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공간 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의 배치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된 실내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0), 중계 고정장치(110a 내지 110e), 기지 고정장치(120)는 각각 하나, 혹은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중계 고정장치(110a 내지 110e)와 기지 고정장치(120)는 구분하고자 하는 공간에 하나씩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 고정장치(110a 내지 110e)는 각각의 공간에 하나씩 배치되고, 각 공간에 하나씩 배치된 중계 고정장치(110a 내지 110e)와 연동하는 하나의 기지 고정장치(12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해당 공간 내에서 이동하며, 환경데이터 및 신호강도 정보의 수집은 사용자 장치(100)를 가진 사용자의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근접한 중계 고정장치(110a 내지 110e)나 기지 고정장치(120)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에서 특정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 장치 내의 프로세서부(406)에서는 사용자 장치 1루틴(310) 및 사용자 장치 2루틴(320)이 동시에 진행되거나, 순차적으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 장치 1루틴(300)에서는 프로세서부(406)의 제어하에 환경 센서부(402)에서 환경 센서로부터 해당 공간에서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S302), 수집한 환경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S304)하며, 추출된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S306)하게 된다.
여기서 특징 정보는 환경 데이터의 특성 분석에 필요한 요소로 신호 처리 기법이나 패턴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하며, 패턴 정보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의 인식 알고리즘에 적합한 형태로 생성한다.
사용자 장치 2루틴(320)는 프로세서부(406)의 제어하에 근접 고정장치들에 대한 신호강도 값을 획득(S322)하고, 획득한 신호강도 값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S324)하며, 추출된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강도 패턴 정보를 생성(S326)하게 된다.
그리고 공간 인식 후보가 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대한 정보를 결정(S328)하게 된다. 여기서 특징 정보는 상기와 같이 신호 처리 기법이나 패턴 인식 기법을 이용하거나 단순히 신호강도 값을 정규화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 2루틴(320)에서 신호강도 추출을 위한 대상은 하나 이상의 근접 고정장치로 설정하고 후보가 되는 고정장치의 최대 수는 사전에 설정하게 되며, 최대 수 범위 내에서 후보 개수를 결정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 장치 2루틴(320)에서 신호강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근접 고정장치의 개수가 최대 수 미만이 되면 신호강도 값을 획득한 모든 근접 고정장치가 후보로 결정된다.
중계 고정장치와 기지 고정장치 즉, 사용자 장치와 접속이 가능한 고정 장치들(340)은 사용자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환경센서로부터 해당 공간에서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S342)하고, 수집한 환경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S344)하게 된다.
그리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S346)하여 생성된 환경 패턴 정보를 송신(S348)하게 된다. 이때 환경 패턴 정보를 송신하는 시기는 정책에 의해 사전 결정하여 사용하며, 주기적으로 별도의 서버에 전송하여 정보를 저장하거나 요청이 있을 때에만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사용자 장치 2루틴(320)을 통해 후보 고정장치 정보를 전달 받고, 후보 고정장치들에 대한 환경 정보를 각각의 후보 고정 장치들로 요청하여 이를 수신(S308)하게 된다. 이때 사전에 결정된 정책에 따라 별도의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후보 고정 장치들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의 환경 패턴 정보 및 후보 고정장치들에 대한 환경 패턴정보와 신호강도 패턴정보를 융합(S310)하고, 융합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인식 기능을 수행(S312)하며, 인식 기능 수행을 통해 최적의 결과 값을 가지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추정 공간 정보로 결정(S314)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사용자 장치 1루틴(3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기지 고정장치 중에서 하나를 서버로 사용하거나 별도의 서버를 두고 하나의 기지 고정장치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와 후보 고정장치에 대한 환경 패턴정보와, 신호 강도 획득 정보를 서버에서 모두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하여 사용자 장치에서의 처리 프로세스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400)는 환경 센서부(402), 무선 통신부(404), 프로세서부(406)를 포함하며, 추가로 동작 센서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센서부(408)는 동작 센서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데이터 획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센서는 가속도, 각속도, 지자기 등과 같은 관성센서를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하며, 추출한 동작센서 신호로부터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 자세 정보, 방향 정보 등을 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400) 내 동작 센서부(408)는 동작센서로부터 사용자 장치(400)의 가속도, 각속도, 지자기 등과 같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S500), 수집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움직임, 자세, 방향 등과 같은 동작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502).
이에 동작 센서부(408)는 생성된 동작 정보를 프로세서부(406)로 전달하게 되고, 프로세서부(406)는 전달 받은 동작 정보가 특정 범위 미만이면(S504), 사용자 장치(400)에서의 환경센서 및 신호강도 값의 추출 절차를 진행하고(S506), 추후 생성된 공간 정보를 현재 사용자 장치(400)의 공간 정보로서 갱신하게 된다(S508).
다만, 프로세서부(406)에서는 전달 받은 동작 정보가 특정 범위 이상이거나, 이를 초과하면(S504), 사용자 장치(400)에서의 환경센서 및 신호강도 값의 추출 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S510). 여기서, 특정 범위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에 관한 사전 정책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그리고 기존 공간 정보가 사용자 장치(400)의 현재 공간 정보로서 유지된다.
즉, 사용자 장치(400)의 동작 정보가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부(406)에서 환경 센서부(402)와 무선 통신부(404)를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환경센서 및 신호강도 값의 추출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로서, 사용자 장치(4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공간 정보는 기존에 인식한 공간 정보로 유지되며, 사용자 장치(400)의 동작 정보가 특정 범위 미만이 되는 경우에만, 공간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경로 정보를 담고 있는 토폴로지 맵(Topology Map) 정보를 이용하면 사용자 장치(4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사용자의 공간 간 이동 경로도 추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된 실내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의 공간 인식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의 가용한 신호강도 정보와 공간 내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한 환경 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여 인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사용자 장치 110: 중계 고정 장치
120: 기지 고정장치

Claims (20)

  1.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가용한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 강도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들을 융합하고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의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온도, 습도, 조도, 소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경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환경데이터에서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루틴을 통해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다른 루틴을 통해 상기 획득한 신호 강도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신호 강도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한 근접 고정장치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후보 고정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후보 고정장치의 환경 패턴 정보와 신호강도 패턴 정보를 융합하는 과정과,
    융합된 패턴 정보를 인식 알고리즘 기반으로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 기능의 수행 결과 최고 결과값을 가지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자 추정 공간으로 결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관성센서를 통해 동작 센서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센서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자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정보로서 생성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환경 정보 수집 및 신호 강도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기존에 인식된 공간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10.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가용한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센서부와,
    상기 신호 강도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들을 융합하고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의 공간 정보를 파악하는 프로세서부
    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센서부는,
    온도, 습도, 조도, 소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경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근접한 고정장치들에서 환경 센서로부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데이터에서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루틴을 통해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환경 정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다른 루틴을 통해 상기 획득한 신호 강도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토대로 신호 강도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한 근접 고정장치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후보 고정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후보 고정장치의 환경 패턴 정보와 신호강도 패턴 정보를 융합하고,
    융합된 패턴 정보를 인식 알고리즘 기반으로 인식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인식 기능의 수행 결과 최고 결과값을 가지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자가 위치한 추정 공간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관성센서를 통해 동작 센서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동작 센서 신호를 토대로 사용자 장치의 움직임, 자세,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정보로서 생성하는 동작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환경 정보 수집 및 신호 강도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생성된 동작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기존에 인식된 공간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장치.
  19. 사용자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송수신 정보를 중계하고 고정된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중계 고정장치와,
    상기 중계 고정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고 서버와 연동하며 고정된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기지 고정장치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소지하여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중계 고정장치 및 기지 고정 장치들의 신호 강도를 확인하여 후보 고정 장치들을 결정하고, 상기 후보 고정 장치들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환경 정보 및 신호 강도를 융합하여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식별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
    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 고정장치는,
    상기 중계 고정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의 요청에 따라 해당 중계 고정 장치의 환경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와 중계 고정 장치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신호 강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정보를 융합하고, 인식 기능을 수행하여 최고 결과 값을 가지는 고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추정 공간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시스템.
KR1020110097364A 2011-09-27 2011-09-27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 KR10183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64A KR101830379B1 (ko) 2011-09-27 2011-09-27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
US13/597,843 US8989771B2 (en) 2011-09-27 2012-08-29 Space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environmen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64A KR101830379B1 (ko) 2011-09-27 2011-09-27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10A true KR20130033610A (ko) 2013-04-04
KR101830379B1 KR101830379B1 (ko) 2018-02-21

Family

ID=4791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64A KR101830379B1 (ko) 2011-09-27 2011-09-27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89771B2 (ko)
KR (1) KR101830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423A (ko) * 2018-04-20 2019-10-30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의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8607B2 (en) * 2012-11-14 2017-01-31 Infineon Technologies Ag Relay attack prevention using RSSIPPLX
US10142846B2 (en) * 2012-11-14 2018-11-27 Infineon Technologies Ag Relay attack prevention
CN103905992B (zh) * 2014-03-04 2017-04-19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指纹数据的无线传感器网络的室内定位方法
CN105704732B (zh) * 2014-11-27 2019-01-2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面向双层结构无线传感器网络的中继节点鲁棒覆盖方法
KR102034082B1 (ko) 2015-05-13 2019-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측위 환경 분석 장치, 이를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결정 성능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N104968046A (zh) * 2015-06-23 2015-10-07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共面度的跳距修正的wsn三维空间目标定位方法
US10154398B2 (en) * 2016-11-02 2018-12-11 Wipro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node selection in multihop wireless sensor networks
WO2019026541A1 (ja) * 2017-08-01 2019-02-07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管理装置、位置推定システム、位置推定方法及び位置推定プログラム
CN107797094A (zh) * 2017-11-10 2018-03-13 南阳师范学院 一种基于rfid的移动机器人位姿估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4917B2 (ja) * 2007-04-05 2009-11-18 中国電力株式会社 位置標定に用いられる携帯端末及び位置標定システム
KR100926783B1 (ko) 2008-02-15 2009-1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체인식 및 인식된 물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바탕으로 한 로봇의 자기 위치 추정 방법
JP5290611B2 (ja) * 2008-04-10 2013-09-1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測位システム、測位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通信端末
JP2011033497A (ja) 2009-08-03 2011-02-17 Honda Motor Co Ltd 環境認識システム、環境認識方法およびロボット
US8639640B1 (en) * 2011-06-10 2014-01-28 Google Inc. Prediction of indoor location using decision tre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423A (ko) * 2018-04-20 2019-10-30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의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89771B2 (en) 2015-03-24
US20130079030A1 (en) 2013-03-28
KR101830379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379B1 (ko) 환경 정보 기반 공간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간 인식 시스템
CN105519143B (zh) 用于无线设备的规则遵守
EP334219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cating a mobile device
Torres-Sospedra et al. UJIIndoorLoc: A new multi-building and multi-floor database for WLAN fingerprint-based indoor localization problems
Au et al. Indoor tracking and navigation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compressive sensing on a mobile device
Fazio et al. A proximity-based indoor navigation system tackling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measures
EP2676501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private and efficient geolocation system
JP2007064978A (ja) 屋内位置追跡方法及び屋内位置追跡システム
EP3716677B1 (en) Optimization 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1779767B1 (ko) 신호 분석을 통한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8902A (ko) 학습 모델에 기초한 디바이스의 위치 측정
KR20120068531A (ko) 심리스 위치 측위 시스템 및 방법
CN103636260A (zh) 为无线链路提供辅助瞄准的系统和方法
KR102091655B1 (ko)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EP2928245A1 (en) A wireless access point, a transmitter-implemented method, a mobile user device and a user-implemented method for localization
JP6034843B2 (ja) プログラム、無線端末、情報収集装置及び情報収集システム
EP3539307A1 (en) Fog-based internet of things (i t) platform for real time locating system (rtls)
JP2008039603A (ja) 測位装置
KR101653493B1 (ko) Gsm을 이용한 실내 주차장 진입 여부 판단 및 층간 구분 방법
JP4876140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セルリスト作成方法
CN107911794B (zh) 自动规划无线信号采集位置的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102297436B1 (ko) 비컨을 이용한 위치 검출 서버 및 방법
WO2012028903A1 (en) Localization based on individual location patterns
CA3065025C (en) Method and system of mobile device sequencing for localization
CN104754737A (zh) 智能终端、基于其的定位方法和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