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422A -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422A
KR20130033422A KR1020137002381A KR20137002381A KR20130033422A KR 20130033422 A KR20130033422 A KR 20130033422A KR 1020137002381 A KR1020137002381 A KR 1020137002381A KR 20137002381 A KR20137002381 A KR 20137002381A KR 20130033422 A KR20130033422 A KR 2013003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obile platform
new
user interfac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비안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3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모바일 플랫폼들로 하여금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들은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갖는 컴퓨팅 플랫폼들에 결합할 수 있다.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검출시, 모바일 플랫폼은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데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SCALABL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BILE DEVICES}
모바일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은 소비자 전자 시장을 점점 더 빠른 속도로 계속 확장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들의 작은 스크린 크기들을 극복하도록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들은 그들이 그들의 더 큰 컴퓨팅 플랫폼들(예로서, 데스크탑 또는 랩탑)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그들이 익숙한 것과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텔/노키아 Meego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노키아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진 사용자는 그의 작은 스크린에 맞춰진 MeeG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노키아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작은 스크린 크기에 맞춰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운영 체제들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은 훨씬 더 적은 메모리에 더하여, 제한된 스크린 크기는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의 제한된 입력 능력들도 고려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지시하는 첨부 도면들에서 한정이 아니라 예시적으로 도시되며,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기존의 모바일 컴퓨팅 디스플레이 스킴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플랫폼들이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라는 표현은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세서 도처에 나오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등과 같은 표현들의 출현들은 모두가 반드시 동일 실시예를 참조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용어 "디바이스", "머신" 또는 "장치"에 대한 참조는 데스크탑 컴퓨팅 디바이스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랩탑은 물론, 핸드헬드), 셋톱 박스들 및 게임 콘솔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수의 프로세서 기반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은 스마트폰, 개인용 휴대 단말기(PDA),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ID), 랩탑, 디지털 카메라, 미디어 플레이어,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MPC)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로밍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점점 더 풍부해지고 있다. 디바이스들이 진화하고, 더 정교해지고, 사용자들의 나날의 요구들을 더 많이 처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그들의 주요 컴퓨팅 디바이스들로서 사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극도로 제한된 스크린의 문제를 계속 겪는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이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그들의 주요 컴퓨팅 디바이스들로서 사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그들은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또는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원격 제어와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을 원할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들이 더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그러한 시나리오의 일례는 마이크로소프트 Zune HD 플랫폼에서 뚜렷하다. 오늘날 사용자들은 그들의 Zune HD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고화질 미디어 인터페이스("HDMI")를 통해 텔레비전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되면, 사용자들은 Zune HD 디바이스 상에 이전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Zune HD 디바이스 상에서 보고 있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떠한 변경도 없이 텔레비전 스크린 상에 간단히 투영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Zune HD 디바이스와 함께 판매되는 Zune HD 디바이스 원격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Zune HD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그러한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디바이스 100)를 가진 사용자는 (개념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5)"로서 도시된)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텔레비전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5) 상에 표시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지만, 모바일 디바이스 스크린 상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대신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완전히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동적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가변적인, 동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스킴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특정 플랫폼에 맞춰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플랫폼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플랫폼 상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플랫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모바일 플랫폼을 대형 스크린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스크린에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 플랫폼에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디스플레이가 대형 스크린 모니터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및/또는 맥 OS 환경들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과 같은 데스크탑 모니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아래의 시나리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집 밖에서 그의 파티오에 앉아서 그의 노키아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인터넷으로부터 기사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집 안으로 들어오면, 사용자는 노키아 모바일 디바이스를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도킹" 또는 결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의 목적들을 위해, 노키아 모바일 디바이스는 현재 노트북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또는 넷북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대해 이용 가능한 도킹 스테이션들과 유사한 도킹 스테이션 내에 도킹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HDMI 접속을 통한 직접 접속 및/또는 인텔의 무선 디스플레이(WiDi)와 같은 기술을 통한 무선 접속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접속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을 사용하는 예에서, 도킹 스테이션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입력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도킹되면, 노키아 모바일 디바이스는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존재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면,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사의 콘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동적으로 스위칭 및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MeeGo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노트북/넷북 사용자들이 더 통상적으로 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유사할 수 있는 반면, 대안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애플 맥 OS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시나리오와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디바이스 200)는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그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단순히 로밍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205)를 볼 수 있지만, 더 큰 모니터(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1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동적 스케일링 가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 제어기("UI 제어기 250"로서 도시됨)가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205)를 그 새로운 플랫폼(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210) 상의 고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 유사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UI 제어기(25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 UI 제어기(250)는 단지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205)는 인텔/노키아 MeeGo 운영 체제 인터페이스,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애플의 아이폰 운영 체제 및 다른 기존의 또는 미래에 개발될 모바일 플랫폼 운영 체제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에서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임의의 현재 공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로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 맥 OS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리눅스 시스템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은 물론, 미래에 개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단히 사용자에게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맞춤화된 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될 때 시작되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데스크탑 디스플레이의 검출시에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스크탑 환경용의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해 더 많은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데스크탑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예로서,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타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짐)을 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게 단일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모바일 버전들은 물론, 데스크탑 버전들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할 때,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UI 제어기에 의해 재시작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이 어떻게 번들로 되는지에 관계없이, 그럼에도 사용자는 그가 위치하는 특정 플랫폼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계속 즐긴다.
아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더 확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모바일 운영 체제 21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적 스위칭을 가능하게 하도록 변경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운영 체제(21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적 스위칭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 컴포넌트에 결합될 수 있다. 단순화의 목적을 위해, 나머지 설명은 변경된 운영 체제를 가정한다.
모바일 운영 체제(215)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타입에 의존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텔/노키아 모바일 플랫폼에서, 모바일 운영 체제(215)는 MeeGo 운영 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운영 체제(215)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 220 (1) (2)"로서 집합적으로 도시된) 다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다수 타입의 디스플레이들(예로서, 로컬 모바일 디스플레이, 외부 HDMI 디스플레이, 인텔 WiDi 디스플레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플랫폼 상에서, 단일 최상위 레벨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이하,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 225"로서 참조됨)가 현재 활성인 디스플레이 드라이버("활성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220"), 즉 기존의 조건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플랫폼에 의해 사용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되도록 플랫폼 상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 중 하나(또는 그 이상)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의 개념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운영 체제 판매자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220)을 상이하게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미니포트 드라이버들"로서 알려져 있다.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사용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시나리오들의 예들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상에 반사 이미지들을 나타내거나 확장된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즉, 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스크린 부동산이 단일의 더 큰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2개의 개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디바이스(예로서, 로컬 LCD 스크린은 물론, 외부 디스플레이에도 결합되는 노트북)를 포함한다. 간소화의 목적을 위해, 본 설명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만이 활성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활성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25)(즉, 현재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도킹 액션의 존재, 대형 디스플레이의 가용성을 검출할 때 또는 심지어 사용자로부터의 수동 명령에 의해, 활성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25)는 이벤트 또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2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230)는 이러한 이벤트를 이용하여, 플랫폼에 대한 적절한 새로운 활성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25)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도킹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230)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HDMI를 통해 인텔 무선 디스플레이(WiDi) 기술을 통해 텔레비전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230)는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적절한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220) 중 다른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로 디스플레이를 리라우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드라이버 220(2)는 플랫폼에 대한 현재 활성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25)가 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UI 제어기(250)는 활성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25)로부터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230)로 전송되는 이벤트를 인터셉트(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및 디스플레이가 리라우팅된 새로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대한 정보의 수신시, UI 제어기(250)는 모바일 플랫폼 상의 윈도 관리자(윈도 관리자 235, 즉 통상적으로 플랫폼 상의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컴포넌트)를 호출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그 특정 플랫폼 상에 표시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모바일 플랫폼 스크린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2), 즉 대형 스크린 모니터인 것을 UI 제어기(250)가 아는 경우, UI 제어기(250)는 운영 체제에 의해 사용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240(1-n) 중 하나로부터 플랫폼에 적합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로서,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하도록 윈도 관리자(235)에 요청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에는 다수의 상이한 윈도 관리자(2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특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이벤트/메시지의 수신시, UI 제어기(250)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새로운 윈도 관리자(235)를 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예에서,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모바일 플랫폼 스크린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2), 즉 대형 스크린 모니터인 것을 UI 제어기(250)가 아는 경우, UI 제어기(250)는 (모바일 디바이스 스크린에 대응하는) 하나의 윈도 관리자(235)를 셧다운시키고, (새로운 플랫폼에 대응하는) 새로운 윈도 관리자(235)를 호출하며, 따라서 운영 체제에 의해 사용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그 플랫폼에 적합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의 동작들은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다수는 사실상 병렬로 그리고/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동작들의 순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재배열될 수 있다. 이 흐름도는 디스플레이들이 데스크탑 디스플레이 또는 TV/미디어 센터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의 또는 미래에 개발될 수 있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30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시동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I/O 디바이스들(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포함함)을 결정하기 위해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체크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대안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체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302에서, UI 제어기는 새로 발견된 I/O 디바이스들을 검사하여, 디바이스들이 데스크탑 외부 디스플레이 스킴에 맞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303에서, UI 제어기는 데스크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합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에 대한 윈도 관리자로의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304에서,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 터치 스크린 또는 기타 키보드 입력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3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스킴에 대한 요청을 윈도 관리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302에서 I/O 디바이스들이 데스크탑 외부 디스플레이 스킴에 맞지 않는 경우, 306에서 UI 제어기는 그가 TV/미디어 센터 디스플레이 스킴에 맞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307에서 UI 제어기는 TV/미디어 센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합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에 대한 디스플레이 관리자로의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308에서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 터치 스크린 또는 기타 키보드 입력을 외부 TV/미디어 센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디바이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3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스킴에 대한 요청을 윈도 관리자로 전송한다. I/O 디바이스들이 데스크탑 또는 TV/미디어 센터 스킴에 맞지 않는 경우, 309에서 옵션으로서 UI 제어기는 모드가 309에서 디폴트 모드(예로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다른 그러한 모드)로 유지되는 것으로 최종 결정할 때까지 다른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들을 계속 체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을 더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의 동작들은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다수는 사실상 병렬로 그리고/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동작들의 순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재배열될 수 있다. 401에서, 도 2에서 설명된 최초 시동 후에, UI 제어기는 새로운 "이벤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402에서, UI 제어기는 403에서 새로운 스킴이 오래된 스킴과 다른지를 결정함으로써 새로운 디스플레이 스킴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경우, 프로세스는 위의 도 3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로, 즉 단계 301로부터 계속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스킴이 오래된 스킴과 동일한 경우, UI 제어기는 임의의 변경들이 행해질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킴은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특수화된 축소 명령어 세트 컴퓨터(RISC) 엔진들 또는 범용 처리 엔진들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같은 다양한 다른 공지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 및 머신 액세스 가능 미디어는 브리지/메모리 제어기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머신 액세스 가능 미디어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브리지/메모리 제어기는 그래픽 제어기에 결합될 수 있고, 그래픽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브리지/메모리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버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단일 패키지 상에 또는 다수의 패키지 또는 다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유니버설 직렬 버스("USB") 호스트 제어기와 같은 호스트 버스 제어기가 버스(들)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디바이스가 USB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이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버스 제어기는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 PCI, PCI Express, FireWire, Bluetooth, WiFi, 적외선 및 다른 그러한 기존 및 미래 표준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상호접속 표준들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위의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그의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더 넓은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개량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한정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scheme)을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출력을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동적 스위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유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새로운 인터페이스 스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입력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입력 디바이스를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입력 스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고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은 대형 스크린 컴퓨팅 모니터, 텔레비전 및 미디어 센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제2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2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계속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동적 스위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플랫폼으로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 -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는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함 -; 및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UI 제어기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도록 윈도 관리자에 지시하고, 상기 UI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출력을 상기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동적 스위칭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에 더 지시하는 모바일 플랫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어기는 또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유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새로운 인터페이스 스킴을 표시하는 모바일 플랫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어기는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입력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는 모바일 플랫폼.
  11. 제10항에 있어서, 입력 디바이스를 스위칭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입력 스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고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인 모바일 플랫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은 대형 스크린 컴퓨팅 모니터, 텔레비전 및 미디어 센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플랫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더 식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을 더 결정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제어기가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제2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결정하고, 상기 UI 제어기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2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도록 상기 윈도 관리자에 지시하고, 상기 UI 제어기는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계속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동적 스위칭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포트 선택 드라이버에 더 지시하는 모바일 플랫폼.
  15.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고;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동적 스위칭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한 머신 액세스 가능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또한 상기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유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새로운 인터페이스 스킴을 표시하게 하는 머신 액세스 가능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또한 상기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입력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게 하는 머신 액세스 가능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또한 상기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입력 스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계속 유지하는 동안 입력 디바이스로 스위칭하게 하는 머신 액세스 가능 디바이스.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고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인 머신 액세스 가능 디바이스.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또한 상기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제2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을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타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2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킴으로 동적 스위칭하고;
    상기 모바일 플랫폼에 결합된 상기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계속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동적 스위칭하게 하는 머신 액세스 가능 디바이스.
KR1020137002381A 2010-07-30 2011-07-28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33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47,596 US20120030584A1 (en) 2010-07-30 2010-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scalabl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bile devices
US12/847,596 2010-07-30
PCT/US2011/045802 WO2012016090A2 (en) 2010-07-30 2011-07-28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scalabl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bile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422A true KR20130033422A (ko) 2013-04-03

Family

ID=4552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381A KR20130033422A (ko) 2010-07-30 2011-07-28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30584A1 (ko)
JP (1) JP2013541062A (ko)
KR (1) KR20130033422A (ko)
CN (1) CN103038743A (ko)
WO (1) WO20120160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8434B1 (en) * 2010-09-13 2016-02-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sing a mobile device as an external monitor
US20120089923A1 (en) * 2010-10-08 2012-04-1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companion device user interface
US8963799B2 (en) * 2011-01-11 2015-02-24 Apple Inc. Mirroring graphics content to an external display
US8863232B1 (en) 2011-02-04 2014-10-14 hopTo Inc. System for and methods of controlling user access to applications and/or programs of a computer
US10089093B1 (en) 2011-05-24 2018-10-02 BlueStack Systems,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switching operating systems
US20130019179A1 (en) * 2011-07-14 2013-01-17 Digilink Software, Inc. Mobile application enhancements
US9935930B2 (en) 2011-09-09 2018-04-03 Kingston Digital, Inc. Private and secure communication architecture without utilizing a public cloud based routing server
US11683292B2 (en) 2011-09-09 2023-06-20 Kingston Digital, Inc. Private cloud routing server connection mechanism for use in a private communication architecture
US10601810B2 (en) 2011-09-09 2020-03-24 Kingston Digital, Inc. Private cloud routing server connection mechanism for use in a private communication architecture
US11863529B2 (en) 2011-09-09 2024-01-02 Kingston Digital, Inc. Private cloud routing server connection mechanism for use in a private communication architecture
KR101207537B1 (ko) * 2012-03-30 2012-12-05 주식회사 빅솔론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포스시스템
US20130290851A1 (en) * 2012-04-30 2013-10-31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web services
US9419848B1 (en) 2012-05-25 2016-08-16 hopTo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a document sharing service in combination with remote access to document applications
US8713658B1 (en) 2012-05-25 2014-04-29 Graphon Corporatio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single sign-on (SSO) capability in an application publishing environment
US20130339871A1 (en) * 2012-06-15 2013-12-19 Wal-Mart Stores, Inc. Software Application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JP5983094B2 (ja) * 2012-06-27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イバ管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9743017B2 (en) * 2012-07-13 2017-08-22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mobile desktop
US20140075377A1 (en) * 2012-09-10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US9792014B2 (en) 2013-03-15 2017-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lace contextual menu for handling actions for a listing of items
JP6146072B2 (ja) * 2013-03-19 2017-06-14 Jnc株式会社 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
WO2014163631A1 (en) 2013-04-03 2014-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Device pairing for content sharing
US20140358990A1 (en) * 2013-06-03 2014-12-04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to facilitate access and interaction with a mobile device employing a personal computer
US10021180B2 (en) * 2013-06-04 2018-07-10 Kingston Digital, Inc. Universal environment extender
EP2816761A1 (en) * 2013-06-17 2014-12-24 Thomson Licensing Wifi display compatible network gateway
US9772755B2 (en) 2013-11-15 2017-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application data on dissimilar screens
US20160132992A1 (en) 2014-11-06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scaling for devices based on display size
US10949075B2 (en) 2014-11-06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command control for small screen display
EP3623932B1 (en) 2017-06-09 2024-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device
US11803352B2 (en) * 2018-02-23 2023-10-3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089356B2 (en) * 2019-03-26 2021-08-1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content hand-off based on type of buffered dat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7125B1 (en) * 2000-04-03 2003-07-01 Appswing Ltd Remote control system
US20030063120A1 (en) * 2001-09-28 2003-04-03 Wong Hoi Lee Candy Scal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architecture
US7234111B2 (en) * 2001-09-28 2007-06-19 Ntt Docomo, Inc. Dynamic adaptation of GUI presentations to heterogeneous device platforms
US7480484B2 (en) * 2004-03-30 2009-01-20 Omnivision Technologies, Inc Multi-video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7812786B2 (en) * 2005-01-18 2010-10-12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different displays
US7835505B2 (en) * 2005-05-13 2010-11-16 Microsoft Corporation Phone-to-monitor connection device
JP4923269B2 (ja) * 2005-12-21 2012-04-25 株式会社Dapリアライズ Webサーバ
CN102027450B (zh) * 2008-05-20 2015-05-13 思杰系统有限公司 由移动计算装置使用外部显示装置的方法和系统
CN201251478Y (zh) * 2008-08-20 2009-06-03 周天新 智能便携式人体体重计
US8208906B2 (en) * 2008-12-03 2012-06-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nhanced interface for mobile phone
KR20100075009A (ko)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0584A1 (en) 2012-02-02
CN103038743A (zh) 2013-04-10
JP2013541062A (ja) 2013-11-07
WO2012016090A2 (en) 2012-02-02
WO2012016090A3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422A (ko)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케일링 가능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56453B1 (ko) 편재형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522399B1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AU2014251190B2 (en) Multiple displays for displaying workspaces
US20120173986A1 (en) Background synchronization within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KR20120044347A (ko) 멀티-환경 운영 체제
KR20120030563A (ko) 멀티-환경 운영 체제를 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88356A1 (en) Thin client computing device having touch screen interactive capability support
US20170285813A1 (en) Touch-Input Support for an External Touch-Capable Display Device
US20140298245A1 (en) Display Instance Management
US10885229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de integrity chec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15584B2 (en) Multiuser application platform
KR20160035396A (ko) 컴퓨터 시스템
US9563747B2 (en) Method for providing DRM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20313838A1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40122075A (ko)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3564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8984540B2 (en) Multi-user computer system
JP2016528865A (ja) アーク発生防止回路
US10416759B2 (en) Eye tracking laser pointer
US20150286814A1 (en) Lock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309804A1 (en) Decoalescing resource utilization at boot
KR20130120709A (ko)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70188B2 (en) Content visibility management
US20230315374A1 (en) Distraction filtering mode for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