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709A -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709A
KR20130120709A KR1020120043814A KR20120043814A KR20130120709A KR 20130120709 A KR20130120709 A KR 20130120709A KR 1020120043814 A KR1020120043814 A KR 1020120043814A KR 20120043814 A KR20120043814 A KR 20120043814A KR 20130120709 A KR20130120709 A KR 20130120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nection
connection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network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래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709A/ko
Priority to US13/870,446 priority patent/US20130290549A1/en
Publication of KR2013012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PDP CONTEXT)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초기화 부팅 과정 수행 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디폴트로 정의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이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FOR NETWORK CONNE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에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PDP CONTEXT)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서 휴대용 단말기(MS: Mobile Station)가 패킷 서비스(PS: Packet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콘텍스트(PDP CONTEXT) 활성화(activation)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와 패킷(packet)을 송수신할 수 있는 접속(connection)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 이후에 휴대용 단말기와 네트워크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PDP context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디폴트로 정의되어 있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자가 APN(Access Point Name)을 변경한 경우, 변경된 APN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게 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변경된 APN 정보를 변경한 후,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APN 정보는 삭제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초기화된 휴대용 단말기는 디폴트로 정의된 APN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시도하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서비스 제공자가 네트워크에 대한 APN을 변경한 상태임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디폴트로 정의된 APN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APN 정보를 제공받아 디폴트로 정의된 APN을 변경한 후, 네트워크에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변경된 PDP context를 부팅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초기화 이후에도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백업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초기화 부팅 과정 수행 시 백업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로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초기화 부팅 과정 수행 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디폴트로 정의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이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초기화 부팅 과정 수행 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디폴트로 정의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이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초기화 부팅 과정 수행 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는 시점에 백업하여, 초기화되더라도 백업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백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복원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백업하는 프로세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정보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백업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초기화 부팅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백업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로 복원시키도록 처리한다.
더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APN(Access Point Name), 인증 정보, USER NAME 등과 같은 PDP context가 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초기화 부팅 과정은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필수 데이터만을 남기고 나머지 데이터들이 삭제된 상태에서 처음 수행되는 부팅 과정을 의미하고, 일반 부팅 과정은 현재 유지되고 있는 데이터를 로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준비하기 위한 부팅으로 초기화 부팅 외의 모든 부팅 과정(예; 콜드 (재)부팅, 웜 (재)부팅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00), 메모리(110), 무선통신 시스템(120), 터치스크린 제어기(130) 및 터치스크린(13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메모리 인터페이스(104)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06)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10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0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또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6)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프로세서(102)가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백업 모듈(114-5)을 제어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메모리(110)의 비휘발성 영역(116)에 저장하는 백업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102)는 상기 전자 장치가 초기화되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삭제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비휘발성 영역(116)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는 복원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120)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12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20)은 전자 장치의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통신 시스템(120)을 통해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기(130)는 상기 터치 스크린(1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32)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30)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 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32)은 전자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132)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에 전달하며, 또한, 전자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를 말한다. 즉, 터치스크린(132)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즉, 터치스크린(180)은 입력부와 표시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2)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0)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100)의 메모리 인터페이스(10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말하면, 상기 메모리(110)는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114)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112) 및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영역(116)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110)의 프로그램 영역(114)은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114-1),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114-2),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114-3)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115)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듈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이 메모리(110)의 프로그램 영역(11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 모듈(114-1)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114-2)은, 데이터 송신 및 데이터 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무선통신이나 외부 포트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포트는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상기 그래픽 모듈(114-3)은 터치스크린(132)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114-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메모리(110)의 프로그램 영역(114)은 본 발명에 따라 부팅 모듈(114-4), 백업 모듈(114-5) 및 복원 모듈(114-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팅 모듈(114-4)은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부팅 과정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부팅 모듈(114-4)은 전자 장치가 초기화 부팅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프로세서 유닛(100)의 내부 메모리로 로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백업 모듈(114-5)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106)에 저장한다.
더하여, 상기 복원 모듈(114-5)은 상기 부팅 모듈(114-4)의 동작에 의해 부팅 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메모리(110)의 비휘발성 영역(116)에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복원 모듈(114-5)은 상기 비휘발성 영역(116)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프로세서 유닛(100)의 내부 메모리로 로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이는 초기화 전에 사용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초기화 과정에서 삭제됨으로 비휘발성 영역(116)에 저장된 정보를 복원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메모리(110)의 프로그램 영역(114)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메모리(110)의 프로그램 영역(114)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코덱(CODE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6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하고,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메모리(110)의 프로그램 영역(114)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모리(110)의 프로그램 영역(114)에 도시된 모듈들은 전자 장치 구동에 필수요소가 될 경우, 이들은 비휘발성 영역(116)에 저장되어 초기화 후에도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 장치(200)는 참조부호(a)와 같이 프로세서 내부(201)에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 영역(2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203)에 저장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224)가 로딩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참조부호(b)에 도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역에 저장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20)는 비휘발성 저장 영역(224)을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OTA(Over The Air) 메시지나 DM(Device Management) 세션(Session)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예; APN(Access Point Name))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내부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변경(216)하게 되며,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변경되기 전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로는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로세서 내부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초기화 과정 수행 시 삭제되고, 전자 장치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최초로 부팅되는 시점에 메모리에 저장된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다시 프로세서 내부로 로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프로세서 내부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후, 전자 장치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었으나, 초기화 부팅 과정이 수행되는 시점에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로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216)를 메모리(220)의 비휘발성 영역(224)에 저장(226)하는 백업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백업 과정을 수행한 전자 장치가 초기화 부팅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전자 장치(230)는 참조부호(c)와 같이 메모리(240)에 저장된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242)를 프로세서(232) 내부로 로딩(234)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230)는 상기 메모리(240)의 비휘발성 영역(224)에 백업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만일, 상기 비휘발성 영역(224)에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프로세서(232) 내부의 메모리로 로딩(236)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한편, 상기 비휘발성 영역에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내부에 로딩된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메모리 내부에 저장되어, 전자 장치가 일반 부팅 과정(예; 콜드 부팅, 웜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프로세서(232) 내부의 메모리로 로딩(236)하여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참조부호(a)와 같이 두 개의 프로세서(300), (310)를 구비하며, 각 프로세서 내부에는 전자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302), (312)을 포함하고, 각각의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로세서(30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가 될 수 있으며, 제 2 프로세서(310)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302)은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저장 영역(302)의 정보는 전자 장치 초기화 시 삭제된다. 더하여, 상기 제 1 프로세서(300)의 저장 영역(302)에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로세서(310)의 저장 영역(312)은 비 휘발성(NV: Non volatile)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상기 저장 영역(312)의 정보는 전자 장치 초기화 시 삭제되지 않는다. 더하여, 상기 제 2 프로세서(310)의 저장 영역(312)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제 1 프로세서(300)의 저장 영역(302)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저장하여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전자 장치가 초기화되더라도 전자 장치 내에서 삭제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참조부호(b)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 로딩(322)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되지 않은 네트워크 연결 정보임에 따라, 상기 제 2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는 별도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저장되지 않을 것이다(324).
만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게 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 1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변경(332)하고,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제 2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 저장(334)하는 백업 과정을 수행한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참조부호(c)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자 장치는 참조부호(b)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변경한 후, 초기화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다시 상기 제 1 프로세서 내부로 로딩(342)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제 2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344)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354)를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으로 로딩(352)하도록 처리한 후, 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제 2 프로세서의 저장 영역에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백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먼저 401단계에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폴트로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예; PDP context)를 저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라고 정의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정보 변경 요청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 변경 요청은 서비스 제공자가 OTA(Over The Air) 메시지나 DM(Device Management) 세션(Session)을 통하여 기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요청으로, 일 예로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APN(Access Point Name)을 변경하는 요청이 될 수 있다.
만일, 상기 403단계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 변경 요청이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401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한편, 상기 403단계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 변경이 요청이 수신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제 2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기존 사용하던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된 것을 말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제 2 네트워크 정보로 제 1 메모리의 정보를 갱신시킨 후, 409단계로 진행하여 제 2 네트워크 정보를 제 2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메모리는 네트워크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디폴트로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로딩하는 저장 영역이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도 갱신된다. 하지만, 전자 장치가 초기화되는 경우,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된다.
더하여, 상기 제 2 메모리는 제 1 메모리의 갱신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백업되는 비휘발성 영역으로, 전자 장치가 초기화되더라도,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되지 않는다.
이후, 전자 장치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만약,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사용하는 도중에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위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변경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제 2 메모리에 백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백업한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복원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는 부팅 과정을 수행한 후, 운영 체제로부터 제공되는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화 부팅 과정 또는 일반 부팅 과정이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 부팅 과정은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필수 데이터만을 남기고 나머지 데이터들이 삭제된 상태에서 처음 수행되는 부팅 과정을 의미한다. 즉, 초기화 부팅 과정의 예는 메모리의 시스템 영역을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공장 초기화를 수행한 후 전자 장치가 처음 부팅 과정을 수행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일반 부팅 과정은 현재 유지되고 있는 데이터를 로딩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준비하기 위한 부팅 과정으로 초기화 부팅 과정 외의 모든 부팅 과정(예; 콜드 (재)부팅, 웜 (재)부팅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초기화 부팅 과정이 수행된 전자 장치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삭제되어 존재하지 않을 것이고, 상기 일반 부팅 과정이 수행된 전자 장치에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저장될 것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먼저 501단계에서 부팅 과정을 수행한 후, 503단계로 진행하여 초기화 부팅 과정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503단계에서 일반 부팅 과정이 수행되는 것임을 확인할 경우, 전자 장치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제 1 네트워크 정보를 로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여기에서, 제 1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디폴트로 제공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로 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되지 않은 정보를 말한다.
한편, 상기 503단계에서 초기화 부팅 과정이 수행되는 것임을 확인할 경우, 전자 장치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제 1 메모리로 로딩함으로써 전자 장치 구동을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제 1 메모리 및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비교한다. 이는 전자 장치에서 초기화 이전에 사용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초기화 부팅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디폴트로 제공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제 1 메모리로 로딩하게 될 것이다. 더하여, 전자 장치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에 사용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제 2 메모리에 백업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메모리 및 제 2 메모리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507단계의 비교 과정에 대한 결과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509단계에서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509단계에서 두 메모리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동일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디폴트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이는 초기화 이전에 사용한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509단계에서 두 메모리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동일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제 1 메모리로 로딩한 후, 515단계로 진행하여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한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백업하는 프로세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00)는 다수의 CSP(Configuration Service Provider)(610), 드라이버(6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CSP(612)는 해당 기능에 대한 설정을 관리하는 것으로, EMAIL CSP, PROXY CSP, NAP(Network Access Point) CSP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NAP CSP는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관리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에 저장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프로세서(600)는 RIL(Radio Interface Layer)(622)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30)는 다수의 CSP(Configuration Service Provider)(640), 드라이버(6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630)는 APN CSP(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N CSP(640)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APN(Access Point Name)을 관리하는 것으로, 상기 APN CSP(640)는 변경된 APN을 비활성 영역에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만약, NAP로 APN을 변경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632)되면, 상기 APN CSP(642)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변경 요청을 확인하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APN의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APN CSP(642)는 변경된 APN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API(652)를 호출한 후, 이를 RIL(Radio Interface Layer)을 통해 비휘발성 영역에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변경된 APN 정보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영역은 메모리부의 비휘발성 영역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에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이 존재하여 변경된 APN 정보를 상기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내의 비휘발성 영역(662)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메모리 114-4: 부팅모듈 114-5: 백업 모듈 114-6: 복원모듈

Claims (13)

  1.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초기화 부팅 과정 수행 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디폴트로 정의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이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초기화되기 전에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초기화 후 부팅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내부로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로 대체시키는 과정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내부에 존재하는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내부에 로딩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은, 프로세서 내부의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6.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초기화 부팅 과정 수행 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디폴트로 정의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이며, 상기 제 2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가 초기화되기 전에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가 초기화 후 부팅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내부로 로딩하고,
    상기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로 대체시키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내부에 존재하는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내부에 로딩된 제 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 내부의 비휘발성 영역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장치.
  11.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APN(Access Point Name), 인증 정보, USER NAME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APN(Access Point Name), 인증 정보, USER NAME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20043814A 2012-04-26 2012-04-26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20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4A KR20130120709A (ko) 2012-04-26 2012-04-26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3/870,446 US20130290549A1 (en) 2012-04-26 2013-04-25 Method for managing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14A KR20130120709A (ko) 2012-04-26 2012-04-26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09A true KR20130120709A (ko) 2013-11-05

Family

ID=4947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14A KR20130120709A (ko) 2012-04-26 2012-04-26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90549A1 (ko)
KR (1) KR201301207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2209A (zh) * 2015-09-29 2016-03-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的数据交换方法、终端设备以及系统
CN107404543A (zh) * 2016-05-18 2017-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apn分配方法、装置及终端
CN108012308B (zh) * 2017-11-27 2020-03-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连接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5330B2 (en) * 2004-06-21 2010-11-16 Ipwireless, Inc. Accessing a data network through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1790150B (zh) * 2009-01-23 2012-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更新接入点名称签约配置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90549A1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327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isplay thereof
US10552263B2 (en) System running method and intelligent terminal
EP3073379B1 (en) Firmware recovery method, device and terminal
JP6362761B2 (ja) ローミング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および装置
US98704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ntitheft secure operating system module
EP339940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4004752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computing services
TWI601068B (zh) 用於接取網路之設備及方法、以及電腦可讀媒體
US10885229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de integrity chec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416615B (zh) 处理触摸事件的方法和适用于该方法的电子装置
AU2014265749A1 (en) Kiosk application mode for operating system
EP3409073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KR20130120709A (ko)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201435738A (zh) 支援作業系統共用的電子裝置、系統及方法
US10628078B2 (en) Data access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14193431A1 (en) Metered network synchronization
CN106462180B (zh) 屏幕取向调节
WO2022171058A1 (zh) 应用程序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40282063A1 (en) System for updating icon interface with icon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10102404B2 (en) Security of screen in electronic device
CN111381892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US10606608B2 (en) Method of providing remote desktop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remote desktop
CN114138547A (zh) 一种系统启动的方法及终端
KR102072137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