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239A - 캐노피 - Google Patents

캐노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239A
KR20130033239A KR1020110097203A KR20110097203A KR20130033239A KR 20130033239 A KR20130033239 A KR 20130033239A KR 1020110097203 A KR1020110097203 A KR 1020110097203A KR 20110097203 A KR20110097203 A KR 20110097203A KR 20130033239 A KR20130033239 A KR 2013003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connector
fixed
bush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범
이민정
이영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1009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239A/ko
Publication of KR2013003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이나 스크린 등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조명을 차단하거나 약하게 비추도록 조절할 수 있는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가 피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빛이 차단되거나 부분적으로 통과되는 차광부; 일측이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광부가 고정되어, 상기 차광부가 상기 지지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캐노피{CANOPY}
본 발명은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스크린 등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조명을 차단하거나 약하게 비추도록 조절할 수 있는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
책상에서 학습하거나 업무를 볼 때, 시선이 집중되는 공간에 대하여 주위 조명이 차단되어야 하거나 약하게 비추도록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간혹 발생한다. 주위 조명이 지나치게 밝다거나, 보는 대상물에 조명이 반사되어 눈부심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 이러한 필요가 생긴다.
하지만,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는 마땅한 차광 수단은 현재 개시되어 있지 않다. 제시될 수 있는 조명 조절 방법 내지 수단이라고 해봐야, 밝기가 낮은 조명을 선택하여 설치하거나 아니면, 기본 조명을 끈 채 별도로 구입한 낮은 밝기를 갖는 조명을 대신 사용하는 것이 고작이다. 아예 조명 밝기가 제어되는 조명시설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 내지 수단은, 별도의 조명 설비, 구입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필요한 공간에 대해서만 차광 내지 빛 조절이 필요함에도 실내 공간 전체에 대하여 조명 밝기가 한꺼번에 조절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조명 부근에 특정 방향으로의 조명을 차단하도록 차광판을 설치하거나, 밝기 조절을 위한 유색 불투명판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조명 조절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 그리고 조명 조절이 되어야 하는 필요 공간으로 조명 조절되도록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차광 내지 빛 조절을 위한 방법 내지 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책상의 일측 또는 스크린의 일측에 배치되어 빛 조절이 필요한 공간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그리고 적절하게 조명을 조절할 수 있는 캐노피(canopy)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가 피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빛이 차단되거나 부분적으로 통과되는 차광부; 일측이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광부가 고정되어, 상기 차광부가 상기 지지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광부가 고정되는 제1커넥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는 제1커넥터; 및 일측이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차광부가 고정되는 제2커넥터;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커넥터는, 좌우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제1커넥터 몸체; 및
상기 제1커넥터 몸체의 개방된 양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가 관통하는 제1커넥터 부싱;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커넥터는, 좌우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제1커넥터 몸체; 상기 제1커넥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제1커넥터 몸체의 개방된 양단에 끼워 고정되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커넥터 부싱;이 포함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끼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는 제2커넥터 상측 부싱; 상하 양단이 개구된 중공형이며, 개구된 상단에 상기 제2커넥터 상측 부싱이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는 제2커넥터 몸체; 상기 제2커넥터 몸체의 개구된 타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며, 상기 끼움부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커넥터 하측 부싱; 상기 제2커넥터 하측 부싱의 개구된 하단에 밀착되는 마찰판; 및 상기 마찰판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마찰판과 상기 끼움부 간 상대적인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고정나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1커넥터 몸체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멈춤나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광부는, 빛이 차단되거나 부분적으로 통과되는 캐노피 천; 상기 캐노피 천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커넥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커넥터 몸체가 상기 프레임을 둘레로 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살;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개구된 말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는 파이프 부싱; 및 일단 쪽이 상기 파이프 부싱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개구된 말단으로 삽입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지지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타단이 피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몸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부싱으로 관통된 상기 고정몸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되는 걸림볼트가 더 포함되어, 상기 지지파이프가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빠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책상에서 학습 또는 업무를 보는 사용자가 차광부를 파지하여 지지파이프를 회전시킴으로써, 책상 위의 필요한 공간으로 조명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명 조절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지지파이프와 제1커넥터의 연결구조, 그리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연결구조의 특징에 기인하여, 차광부 자체는 물론이고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하여서도 차광부가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차광부가 지지파이프의 길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편하게, 그리고 더욱 적절하게 필요한 공간에 대하여 조명 조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노피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가 지지파이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노피의 제1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캐노피의 제2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캐노피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1)는, 지지파이프(100), 고정부재(200), 차광부(300) 및 연결부가 포함된다.
지지파이프(100)는 아래쪽 말단부가 후술할 고정부재(200)에 의해 피고정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파이프(100)의 위쪽 단부 부근에는 후술할 연결부에 의해 차광부(300)가 매달려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1)는 예컨대 책상의 일측에서 설치되거나 또는 책상이 차지하는 공간이 주변 공간과 구획되도록 책상 둘레에 배치되는 칸막이 용도의 스크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명 차단이나 조명이 약하게 비추도록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 일 예로서 지지파이프(100)가 책상 둘레에 배치된 스크린에 고정된 예가 제시된다. 이때, 지지파이프(100)의 설치 공간이나 지지파이프(100)가 회전하는 동안 차지하는 공간이, 책상에서 학습 또는 업무를 보는 사람의 활동 공간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지지파이프(100)의 형상이 대체로 스탠드 조명의 지지대와 같이 굽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파이프(100)는 상향으로 세워지도록 책상의 일측에서 고정되는 수직부(101)와, 이 수직부(101)의 상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수평부(102)로 이루어지는 일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차광부(300)는 수평부(102)의 단부 부근에서 매달려 있도록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파이프(100)가 설치된 공간이나 회전하는 과정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사용자의 활동 공간을 침범하지 않게 된다. 다만, 지지파이프(100)가 언제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파이프(100)가 설치되는 공간, 지지파이프(100)의 회전 범위, 실내 인테리어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지파이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고정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는 고정부재(200)가 포함된다. 고정부재(200)의 구체적인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210)와 파이프 부싱(220)이 포함되는 고정부재(200)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파이프 부싱(220)은 지지파이프(100)의 개구된 말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된다. 파이프 부싱(220)은 일 예로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 돌기(221)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파이프(100)의 개구된 말단으로 억지 끼움될 수 있으며,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파이프(10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몸체(210)는 일단 쪽이 지지파이프(100)에 고정된 파이프 부싱(220)을 관통하면서 지지파이프(100)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때 고정몸체(210)는 파이프 부싱(2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된다. 한편, 고정몸체(210)는 외주면 일측에 단턱부(211)가 형성된다. 고정몸체(210)는 지지파이프(100) 내부로 삽입될 때 단턱부(211)의 일면이 지지파이프(100)의 말단부에 닿아 걸리면서 지지파이프(100)의 내부로의 더 이상의 삽입이 제한된다. 고정몸체(210)의 타단은 피고정체에 고정된다. 피고정체로는 도시된 예와 같이 책상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크린이 일 예가 될 수 있다. 고정몸체(210)의 타단은 이러한 피고정체에 억지 끼움되거나,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볼트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피고정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몸체(210)는 파이프 부싱(22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므로 결국 고정몸체(210)가 삽입된 지지파이프(100)는 파이프 부싱(220)과 일체를 이룬 상태에서 고정몸체(21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고정부재(200)에 지지파이프(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파이프(10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즉 지지파이프(100)가 고정몸체(2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탈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걸림볼트(230)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파이프(100)의 내부로 삽입된 고정몸체(210)의 일단부 외주면에 걸림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걸림홈(212) 위치에 대응하는 지지파이프(100)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홀(103)이 형성되어 걸림볼트(230)가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걸림볼트(230)의 나사결합에 따라 걸림볼트(230)의 선단부가 걸림홈(212)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결국 지지파이프(100)는 고정몸체(210)로부터 빠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볼트(230)가 반대 회전에 따라 지지파이프(100)로부터 분리되면, 지지파이프(100)가 고정몸체(210)로부터 다시 빠질 수 있다.
한편, 차광부(300)는 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만 통과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한 공간에 대하여 빛이 완전 차단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되도록 소정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차광부(300)는 연결부에 의해 지지파이프(100)의 일측에서 매달려 지지된다. 따라서, 차광부(300)의 설명에 앞서 우선 연결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는, 일측이 지지파이프(100)에 고정되고, 타측에 차광부(300)가 고정되어, 차광부(300)가 지지파이프(100)의 일측에서 매달려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연결부의 구체적인 일 예로서 제1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도 있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도 있다.
전자의 예로서, 제1커넥터는 일측이 지지파이프(100)에 고정되며, 타측에 차광부(300)가 고정되는데, 지지파이프(100)에 고정될 때 지지파이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지지파이프(100)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커넥터의 구체적인 예로서, 제1커넥터 몸체와 제1커넥터 부싱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제1커넥터 몸체와 제1커넥터 부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우선 도 4 내지 도 6은 연결부가 제1커넥터(400) 및 제2커넥터(500)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만, 연결부가 제1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예에서의 제1커넥터는, 지지파이프(100)와 연결되는 구조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제1커넥터(400)와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제1커넥터(400)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커넥터 몸체(41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이 개구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 부싱(420)은 제1커넥터 몸체(410)의 개구된 양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된다. 제1커넥터 부싱(420)은 파이프 부싱(220)과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환형 돌기가 형성되는 등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제1커넥터 몸체(41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되도록 억지 끼움된다. 그리고 지지파이프(100)는 제1커넥터 부싱(420)을 관통하여 결합되면서 제1커넥터 몸체(410)의 내부를 관통하게 된다. 이때 제1커넥터 부싱(420)은 지지파이프(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또한 지지파이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므로, 결국 제1커넥터 몸체(410)가 지지파이프(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해지고, 또한 지지파이프(100)의 길이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차광부(30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커넥터(400)의 적당한 위치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커넥터(400)는 제2커넥터(500)와 연결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끼움부(430)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에서 후자의 예, 즉 연결부가 제1커넥터(400) 및 제2커넥터(500)로 이루어지는 예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커넥터(4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후술할 제2커넥터(500)와 연결되기 위하여 제1커넥터 몸체(410)에서 끼움부(430)가 연장형성된다. 끼움부(43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의 기준에서 제1커넥터 몸체(410)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커넥터(500)는 제2커넥터 상측 부싱(520), 제2커넥터 몸체(510), 제2커넥터 하측 부싱(530), 마찰판(540) 및 고정나사(550)가 포함되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제2커넥터 몸체(510)는 상하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이면서, 개방된 양단에 제2커넥터 상측 부싱(520) 및 하측 부싱(530)이 억지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측 부싱(520)과 하측 부싱(530)이 제2커넥터 몸체(510)에 대하여 회전이 제한되도록 끼워 고정됨은 상술한 다른 부싱과 마찬가지다. 끼움부(430)는 상측 부싱(520)과, 하측 부싱(530)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이때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결합된 상태에서 끼움부(430)의 하단은 하측 부싱(530)의 개구된 하단을 통해 노출된다.
마찰판(540)은 끼움부(430)의 하단면과 마주하도록 하측 부싱(530)의 개구된 하단에 밀착된다. 이때 마찰판(540)이나 하측 부싱(530)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등 소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하측 부싱(530)이 제2커넥터 몸체(510)와 일체를 이루어 회전할 때 마찰판(540)과 하측 부싱(530)의 하단부 사이에 다소의 마찰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찰판(540)은 마찰판(540)을 관통하면서 끼움부(4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홈(431)으로 고정되는 고정나사(550)에 의해 끼움부(430)와 일체가 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 몸체(510), 상측 부싱(520) 및 하측 부싱(530)이 일체를 이루어 끼움부(4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고, 마찰판(540)은 끼움부(430)와 일체를 이룬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커넥터(400)와 제2커넥터(500)의 연결 구조가 끼움부(430)의 하단부에 마찰판(540)이 고정되는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커넥터 몸체(510)는 끼움부(43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제2커넥터 몸체(510)가 끼움부(4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판(540)과 제2커넥터 하측 부싱(530) 간 발생하는 다소의 마찰로 인해 제2커넥터 몸체(5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외력이 가해져야만 끼움부(4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2커넥터 몸체(510)가 끼움부(4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할 때 고정나사(550)가 풀리거나, 풀리면서 마찰판(540)이 제2커넥터 몸체(510)와 함께 회전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나사(550)는 회전축선에서 편심된 쪽으로 결합되는 하나의 고정나사(55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되어 결합되는 두 개의 고정나사(5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커넥터(4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지지파이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였거나, 또는,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지파이프(100)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더 이상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의 예로 멈추나사가 제시될 수 있다. 멈춤나사(44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 몸체(41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에 따라 선단부가 제1커넥터 몸체(410)의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파이프(10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제1커넥터 몸체(410)가 지지파이프(10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지 못하도록, 그리고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지지파이프(100)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를 변경하거나 회전 각도를 달리하고자 할 때에는 멈춤나사(440)를 반대 회전하여 상기한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자유로이 위치 변경,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차광부(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으로 조명을 차단하거나 약하게 비추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빛이 차단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되는 면적을 갖는 다양한 형상,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연결부가 제1커넥터(400)로만 이루어지는 예에서는 제1커넥터(400)의 적절한 위치에 직접 고정됨으로써 지지파이프(100)의 일측에서 배치된 상태로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부가 제1커넥터(400) 및 제2커넥터(500)로 이루어지는 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의 구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광부(300)는 프레임(310)과, 지지살(320)과, 캐노피 천(330)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캐노피 천(330)은 후술할 프레임(310)의 크기와 마찬가지로, 조명이 차단 또는 조절되어야 하는 공간을 고려한 적절한 면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소재에 있어서도, 조명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치밀한 조직의 소재로 제작되거나, 부분적으로 통과되도록 적절한 메쉬 단위를 갖는 소재로 제작되는 등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프레임(3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310)의 상, 하측을 덮는 양겹의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홑겹의 구조로 제작되어 프레임(310)에 의해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일 예로 양겹 구조의 캐노피 천(330)이 제시된다. 이 경우 프레임(310)은 캐노피 천(330)의 내부에 위치하여 가장자리를 지지하게 된다. 프레임(310)은 도 5에 도시된 예처럼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살(320)은 프레임(310)을 둘레로 하는 영역의 내측에 제2커넥터 몸체(510)가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지지살(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0)의 내측에 제2커넥터 몸체(510)가 배치된 상태로 지지살(320)의 일단이 프레임(3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커넥터 몸체(5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살(320)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일 예로서 네 개의 지지살(320)이 구비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지지살(320)이 이와 같은 연결구조이면서 복수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커넥터 몸체(510)는 프레임(31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캐노피 천(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끼움부(4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캐노피 천(330)의 상측에 관통홀(331)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캐노피 천(330)은 프레임(310)에 의해 가장자리가 지지되지만, 캐노피 천(330)의 상측 부위도 함께 지지되어 다소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끼움부(430) 외주면에 환형의 상측 가압부(432)가, 그리고 제2커넥터 몸체(510)의 상단 외주면에 상측 가압부(432)와 마주하는 하측 가압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노피 천(330)은 관통홀(331)로 끼움부(430)가 관통된 상태에서 관통홀(331) 주변이, 서로 마주하여 밀착되는 상측 가압부(432) 및 하측 가압부(511)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가압됨으로써 캐노피 천(330)의 상측 부위가 지지되며, 이 상태로 프레임(310)에 의해 가장자리가 지지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104로 표시된 것은 지지파이프(100)의 단부에 끼워지는 마감캡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지지파이프(100)가 회전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차광부(300)에 의한 조명 조절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지파이프(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0)에 의해 피고정체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도 8은 차광부(300) 자체가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차광부(3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차광부(300)는 장반경 길이방향에서의 폭과 단반경 길이방향에서의 폭이 다르므로, 차광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조명 조절이 되는 영역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명등의 위치, 사용자의 위치, 시선이 집중되는 위치 등의 조건에 따라 조명 조절되어야 하는 공간으로 보다 적절하게 조명 조절이 될 수 있도록 차광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캐노피(1)를 사용하기 위하여 지지파이프(100)를 회전할 때 차광부(300)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차광부(300)를 파지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지지파이프(100)를 회전할 수 있다. 차광부(300)의 회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부(430)에 대하여 제2커넥터 몸체(510)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마찰판(540)에 의하여 생기는 다소의 마찰에 의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차광부(300)가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도 9는 차광부(300)가 지지파이프(100)를 축으로 하여 희망하는 각도로 회전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차광부(300)의 이러한 회전은 제1커넥터 몸체(410)가 지지파이프(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조명등의 위치에 따른 조명 각도를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조명 조절이 되도록 이와 같이 차광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은 차광부(300)가 지지파이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차광부(300)의 이러한 위치 이동은, 제1커넥터 몸체(410)가 지지파이프(100)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차광부(300)를 적절한 위치로 변경함으로써 필요한 조명 조절 공간에 대하여 적절한 조명 조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부(300)가 희망하는 각도로 회전한 상태, 그리고 희망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멈춤나사(440)에 의하여 제1커넥터 몸체(410)가 지지파이프(100) 상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차광부(300)의 위치 또한 고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캐노피 100; 지지파이프
101; 수직부 102; 수평부
200; 고정부재 210; 고정몸체
211; 단턱부 212; 걸림홈
220; 파이프 부싱 230; 걸림볼트
300; 차광부 310; 프레임
320; 지지살 330; 캐노피 천
331; 관통홀 400; 제1커넥터
410; 제1커넥터 몸체 420; 제1커넥터 부싱
430; 끼움부 431; 나사홈
432; 상측 가압부 440; 멈춤나사
500; 제2커넥터 510; 제2커넥터 몸체
511; 하측 가압부 520; 제2커넥터 상측 부싱
530; 제2커넥터 하측 부싱 540; 마찰판
550; 고정나사

Claims (9)

  1.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가 피고정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빛이 차단되거나 부분적으로 통과되는 차광부;
    일측이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광부가 고정되어, 상기 차광부가 상기 지지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는 캐노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차광부가 고정되는 제1커넥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에 고정되는 제1커넥터; 및
    일측이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차광부가 고정되는 제2커넥터;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좌우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제1커넥터 몸체; 및
    상기 제1커넥터 몸체의 개방된 양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가 관통하는 제1커넥터 부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좌우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제1커넥터 몸체;
    상기 제1커넥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제1커넥터 몸체의 개방된 양단에 끼워 고정되며, 상기 지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커넥터 부싱;이 포함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끼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는 제2커넥터 상측 부싱;
    상하 양단이 개구된 중공형이며, 개구된 상단에 상기 제2커넥터 상측 부싱이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는 제2커넥터 몸체;
    상기 제2커넥터 몸체의 개구된 타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며, 상기 끼움부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커넥터 하측 부싱;
    상기 제2커넥터 하측 부싱의 개구된 하단에 밀착되는 마찰판; 및
    상기 마찰판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마찰판과 상기 끼움부 간 상대적인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고정나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1커넥터 몸체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멈춤나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빛이 차단되거나 부분적으로 통과되는 캐노피 천;
    상기 캐노피 천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커넥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커넥터 몸체가 상기 프레임을 둘레로 하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개구된 말단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는 파이프 부싱; 및
    일단 쪽이 상기 파이프 부싱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개구된 말단으로 삽입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지지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타단이 피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몸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싱으로 관통된 상기 고정몸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되는 걸림볼트가 더 포함되어,
    상기 지지파이프가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빠지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KR1020110097203A 2011-09-26 2011-09-26 캐노피 KR20130033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03A KR20130033239A (ko) 2011-09-26 2011-09-26 캐노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03A KR20130033239A (ko) 2011-09-26 2011-09-26 캐노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239A true KR20130033239A (ko) 2013-04-03

Family

ID=4843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203A KR20130033239A (ko) 2011-09-26 2011-09-26 캐노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32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6186A (ja) * 2017-10-20 2019-05-23 株式会社オカムラ 什器システム
KR20220080780A (ko) * 2020-12-07 2022-06-15 한국수자원공사 하천수 또는 호소수 유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동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6186A (ja) * 2017-10-20 2019-05-23 株式会社オカムラ 什器システム
KR20220080780A (ko) * 2020-12-07 2022-06-15 한국수자원공사 하천수 또는 호소수 유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동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118B1 (ko)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CA2894244C (en) Lighted rail for a false wall with a stretched canvas and false wall comprising such a rail
CN101371075B (zh) 嵌入式聚光灯
KR101729484B1 (ko)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CN103177659B (zh) 显示设备
CN104613370A (zh) 亮度可调的灯具
KR20130033239A (ko) 캐노피
CN106483752B (zh) 投影屏幕安装机构
KR200394755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CN101749638B (zh) 室内灯具
US7874706B2 (en) Shade for a recessed light fixture
KR20120036553A (ko)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천장 매입형 조명기구의 탈착 결합구
CN104613369A (zh) 亮度可调的灯具
US8469537B2 (en) Shade for a recessed light fixture
CN209655099U (zh) 用于书架上的灯具
US20160298819A1 (en) Lampshade and lamp
CN209458739U (zh) 一种led楼体亮化装置
CN106043048A (zh) 一种中间穿线束的转臂结构
JP4135433B2 (ja) 照明器具
KR20160004442U (ko)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모니터
CN209801241U (zh) 一种具有防蓝光和防重影功能的护眼灯
KR101694715B1 (ko) 천장 조명등
KR200498117Y1 (ko) 무드 독서등
KR20140127607A (ko) 조명기구
JP6861909B2 (ja) 照明ユニットを有する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