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701A -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701A
KR20130032701A KR1020110096451A KR20110096451A KR20130032701A KR 20130032701 A KR20130032701 A KR 20130032701A KR 1020110096451 A KR1020110096451 A KR 1020110096451A KR 20110096451 A KR20110096451 A KR 20110096451A KR 20130032701 A KR20130032701 A KR 2013003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field
data packet
external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019B1 (ko
Inventor
이동찬
이정석
박희준
윤호성
강찬규
장한종
윤성웅
이학용
이경재
김상록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
Priority to KR102011009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019B1/ko
Priority to US13/624,281 priority patent/US20130077570A1/en
Publication of KR2013003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펨토 Node B와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공유기가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한 후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ACCESS TO A LOCAL NETWORK IN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LOCAL NETWORK INTERNET PROTOCOL ACCESS SCHEME}
본 발명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LIPA: Local network IP(Internet Protocol) Access, 이하 ‘LIP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는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이 있으며, 상기 WCDMA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하기로 한다)들에게 다양한 고속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특히, WCDMA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영 영역을 서비스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렇게, 음영 영역을 서비스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기지국(Node B, 이하 ‘Node B’라 칭하기로 한다)의 서비스 영역 확장과 Node B의 용량 증대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WCDMA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음영 영역을 서비스하기 위한 방식들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이 매크로(macro) Node B 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하는 중계기(relay) 혹은 반복기(repeater)를 사용하는 방식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펨토(Femto) Node B 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펨토 Node B 는 현재까지 제안되어 있는 Node B 들 중 가장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Node B 로서, 일반적인 Node B, 즉 매크로 Node B 와 독립된 사무실, 주거지, 빌딩 등의 소규모 통신 영역인 펨토 셀(cell) 영역에 존재하는, 소수의 UE 들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펨토 Node B 는 음영 영역을 서비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크로 Node B 의 로드(load)를 감소시킴으로써, 매크로 Node B 의 용량을 공유하는 중계기와 달리 서비스 사업자(service provider)의 서비스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펨토 Node B 는 기본적으로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운영된다. 하지만,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는 UE가 상기 펨토 Node B에 지리적으로 인접한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상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불필요한 데이터 트래픽 로드(traffic load)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는 UE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호스트(local host)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호스트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인 LIPA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는 UE가 그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로컬 네트워크가 아닌 매크로 셀(macrocell)에 연결되면, 상기 LIPA 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UE가 LIPA 방식을 사용할 수 없게 될 경우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LIPA 방식을 사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호스트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UE가 매크로 셀에 연결된 상태에서 다시 로컬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펨토 Node B에서 셋업(setup)한 기존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해제(release)하고 새로운 무선 베어러를 셋업해야 한다. 이렇게, 새로운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서는 상기 UE의 사용자가 추가적인 조작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초래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무선 베어러 셋업은 단순히 UE의 사용자의 불편만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 베어러 셋업을 위한 시그널링 로드(signaling load)를 초래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전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자원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IPA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LIPA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위치에 상관없이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LIPA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위치에 상응하게 네트워크 경로 선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펨토 Node B와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의 공중망 IP 주소로 (public IP address)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공유기가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한 후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기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UE가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하여 상기 펨토 Node B로 전달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펨토 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에 상응하게 상기 UE의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테이블에 매핑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로컬 호스트(local host)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1내부(inner) 데이터 패킷을 제1외부(outer)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공유기를 통해 펨토 기지국(Node B)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펨토 Node B가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로 변경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의 생성지 주소을 변경을 통해 제2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상기 로컬 호스트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공유기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외부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의 발생지 주소를 단말기의 로컬 네트워크 주소가 되도록 변환한 후 로컬 호스트(local host)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상기 로컬 호스트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로컬 호스트(local host) 으로부터 수신한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 주소 변환 과정을 거쳐서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호스트(local host)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펨토 기지국이 공유기를 거쳐 로컬 호스트(local host)로부터 전송된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엔캡슐레이션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제2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2 외부 데이터 패킷을 공유기로 송신하는 송 유닛을 포함하며 공유기는 수신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을 UE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펨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호스트(local host)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펨토 Node B와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공유기가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한 후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기가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UE가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하여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UE가 펨토 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에 상응하게 상기 UE의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테이블에 매핑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로컬 호스트(local host)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1내부(inner) 데이터 패킷을 제1외부(outer)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공유기를 통해 펨토 기지국(Node B)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펨토 Node B가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2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상기 로컬 호스트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공유기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외부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로컬 호스트(local host)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UE가 상기 로컬 호스트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펨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한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호스트(local host)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UE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UE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IPA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위치에 상관없이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LIPA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위치에 상응하게 네트워크 경로 선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가 로컬 호스트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내부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외부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 에 연결된 UE가 로컬 호스트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호스트가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호스트가 펨토 Node B에 연결된 UE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LIPA: Local network IP(Internet Protocol) Access, 이하 ‘LIP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LIPA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하기로 한다)의 위치에 상관없이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LIPA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위치에 상응하게 네트워크 경로 선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하기와 같은 가정들을 전제로 한다.
(1) 펨토(femto) 기지국(Node B, 이하 ‘Node B’라 칭하기로 한다)과 UE는 공유기의 공인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어드레스(address)를 이미 알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변경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경우에는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서버를 별도로 구현하고, 상기 UE와 펨토 Node B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고정 IP 어드레스를 가진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2) 펨토 Node B는 UE가 상기 펨토 Node B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3) UE는 펨토 Node B와의 사전 조인(join)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하여 펨토 Node B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일 예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이라고 가정하기로 하며, 상기 WCDMA 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과, Mobile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WCDMA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UE들, 일 예로 N개의 UE들, 즉 UE#1(111-1)과, UE#2(111-2)와, UE#3(111-3)과, … , UE#N(111-N)과, 펨토 Node B(113)와, 공유기(115)와, 다수의 로컬 호스트(local host)들, 일 예로 M개의 로컬 호스트들, 즉 로컬 호스트 #1(117-1)과, 로컬 호스트 #2(117-2)와, 로컬 호스트 #3(117-3)과, … , 로컬 호스트 #M(117-M)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119)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121)와, 매크로(macro) Node B(123)를 포함한다.
도 1에는 공중 네트워크(119)에 1개의 공유기, 즉 공유기(115)만 연결되어 있고, 1개의 공유기에 1개의 펨토 Node B, 즉 펨토 Node B(113)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1개의 공중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공유기의 개수 및 1개의 공유기에 연결되는 펨토 Node B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는 코어 네트워크(121)에 1개의 매크로 Node B, 즉 매크로 Node B(123)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1개의 매크로 Node B에 연결되는 펨토 Node B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의 WCDMA 통신 시스템은 LIPA 방식을 지원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상기 UE들과 펨토 Node B(113)가 로컬 호스트들과 구분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WCDMA 통신 시스템이 LIPA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공유기(115) 측면에서는 상기 UE들과 펨토 Node B(113) 역시 로컬 호스트로 판단된다.
그런데, 현재까지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된 바 있는 LIPA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펨토 Node B(113)에 연결되어 있는 UE들 중 임의의 UE, 일 예로 UE#1(111-1)가 상기 펨토 Node B(113)가 관리하는 셀(cell), 즉 펨토 셀이 아닌 상기 매크로 Node B(123)가 관리하는 셀, 즉 매크로 셀로 이동하여 상기 매크로 Node B(123)에 연결되면, 상기 LIPA 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UE#1(111-1)가 LIPA 방식을 사용할 수 없게 될 경우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LIPA 방식을 사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호스트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는 UE가 매크로 Node B로 연결될 경우에도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UE#1(111-1)가 상기 펨토 Node B(113)에 연결되어 있다가 상기 매크로 Node B(123)에 연결될 경우에도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UE의 위치에 상응하게 네트워크 경로 선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UE#1(111-1)가 상기 펨토 Node B(113)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및 매크로 Node B(123)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모두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경로 선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셋업(setup)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매크로 Node B(223)에 연결된 UE(211)는 펨토 Node B(213) 및 공유기(215)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즉, 상기 UE(211)는 이미 펨토 Node B(213)와 사전에 조인(join)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펨토 Node B(213) 및 공유기(215)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UE(211)는 상기 펨토 Node B(213)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상기 매크로 Node B(223)와, 코어 네트워크(221) 및 공중 네트워크(219)를 통해 상기 공유기(215)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IP 어드레스 필드(filed)와, 소스(source)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215)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211)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하기로 한다)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global control plane port)로 셋업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UE에서 공유기로 송신되는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UE-공유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공유기(215)는 상기 UE-공유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면,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UE-공유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으로 변경한 후,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213)로 송신한다. 여기서,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공유기에서 펨토 Node B로 송신되는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나타내며,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개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공유기(215)는 상기 UE-공유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213)의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제어 플랜 포트(local control plane port)로 셋업한다. 여기서,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공유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상기 UE(2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된다.
상기 펨토 Node B(213)는 상기 공유기(215)로부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로컬 제어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소스 IP 어드레스인, 상기 UE(211)의 GGSN IP 어드레스에 로컬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LIPA 테이블(table)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Node B(213)가 이미 관리하고 있는 LIPA 테이블이 있을 경우 상기 펨토 Node B(213)는 LIPA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고 이미 생성되어 있는 LIPA 테이블을 업데이트시키는 형태로 상기 UE(211)의 GGSN IP 어드레스에 로컬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관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펨토 Node B(213)에 상기 UE(211)의 로컬 IP 어드레스와 GGSN IP 어드레스가 매핑된 LIPA 테이블이 생성됨으로써 상기 매크로 Node B(223)에 연결되어 있는 UE(211)와 펨토 Node B(213)간의 무선 베어러가 셋업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펨토 Node B(313)에 연결된 UE(311)는 펨토 Node B(313) 및 공유기(315)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즉, 상기 UE(311)는 이미 펨토 Node B(313)와 사전에 조인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펨토 Node B(313) 및 공유기(315)의 공인 IP 어드레스를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UE(311)는 상기 펨토 Node B(313)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UE-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313)를 통해 공유기(315)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UE-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UE에서 펨토 Node B로 송신되는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나타낸다. 상기 UE-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공유기(315)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UE(3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로 셋업된다.
상기 공유기(315)는 상기 UE-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면, 포트 포워드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UE-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펨토 Node B(313)로 송신한다.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313)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UE(3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제어 플랜 포트로 셋업된다. 여기서,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공유기에서 펨토 Node B로 송신되는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나타낸다.
상기 펨토 Node B(313)는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로컬 제어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공유기-펨토 Node B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소스 IP 어드레스인, 상기 UE(311)의 GGSN IP 어드레스에 로컬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LIPA 테이블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Node B(313)가 이미 관리하고 있는 LIPA 테이블이 있을 경우 상기 펨토 Node B(313)는 LIPA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고 이미 생성되어 있는 LIPA 테이블을 업데이트시키는 형태로 상기 UE(311)의 GGSN IP 어드레스에 로컬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관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펨토 Node B(313)에 상기 UE(311)의 로컬 IP 어드레스와 GGSN IP 어드레스가 매핑된 LIPA 테이블이 생성됨으로써 상기 펨토 Node B(313)에 연결되어 있는 UE(311)와 펨토 Node B(313)간의 무선 베어러가 셋업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에 연결된 UE가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가 로컬 호스트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가 로컬 호스트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매크로 Node B(723)에 연결된 UE(411)는 로컬 호스트#1(417-1)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inner) 데이터 패킷을 외부(outer)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고 매크로 Node B(423)와, 코어 네트워크(421)와, 공중 네트워크(419)를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공유기(415)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 및 외부 데이터 패킷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내부 데이터 패킷의 포맷(format)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내부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데이터 패킷은 내부 IP 헤더(header) 필드(510)와, 내부 페이로드(payload) 필드(52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인캡슐레이션 프로스세를 통해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IP 헤더 필드(510)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511)와,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5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511)의 필드값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entity)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며, 상기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513)의 필드값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된다.
두 번째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외부 데이터 패킷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의 외부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IP 헤더 필드(610)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620)와, 외부 페이로드 필드(63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통해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IP 헤더 필드(610)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611)와,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6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611)의 필드값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며, 상기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613)의 필드값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된다.
상기 TCP 헤더 필드(620)는 포트 필드(621)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 필드(621)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된다. 상기 외부 페이로드 필드(630)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에서 UE(411)는 로컬 호스트#1(417-1)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 패킷, 즉 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UE(411)는 내부 IP 헤더 필드가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UE(4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로컬 호스트#1(417-1)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내부 페이로드 필드의 필드값을 실제 상기 로컬 호스트#1(417-1)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셋업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UE(411)는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는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즉, 상기 UE(411)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공유기(415)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UE(4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하고, 외부 페이로드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게 셋업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이렇게,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생성된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공유기(415)로 송신되고, 상기 공유기(415)는 포트 포워드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펨토 Node B(413)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을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변경하여 상기 펨토 Node B(413)로 송신한다.
상기 펨토 Node B(413)는 상기 공유기(415)로부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는 외부 데이터 패킷을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즉, 상기 펨토 Node B(413)는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페이로드 필드가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413)에서 관리하고 있는 LIPA 테이블에서 상기 UE(411)의 GGSN IP 어드레스에 매핑되어 있는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상기 펨토 Node B(413)에서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 내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 #1(417-1)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 에 연결된 UE가 로컬 호스트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 에 연결된 UE가 로컬 호스트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펨토 Node B (713)에 연결된 UE(711)는 로컬 호스트#1(717-1)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고 펨토 Node B (713)를 통해 공유기(715)로 송신한다.
즉, 상기 UE(711)는 로컬 호스트#1(717-1)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 패킷, 즉 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UE(711)는 내부 IP 헤더 필드가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UE(7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로컬 호스트#1(717-1)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내부 페이로드 필드의 필드값을 실제 상기 로컬 호스트#1(717-1)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셋업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UE(711)는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한다. 즉, 상기 UE(711)는 외부 데스티네이션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공유기(715)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UE(7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하고,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하고, 외부 페이로드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게 셋업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이렇게,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생성된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공유기(715)로 송신되고, 상기 공유기(715)는 포트 포워드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펨토 Node B(713)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을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변경하여 상기 펨토 Node B(713)로 송신한다.
상기 펨토 Node B(713)는 상기 공유기(715)로부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한다. 즉, 상기 펨토 Node B(713)는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페이로드 필드가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713)에서 관리하고 있는 LIPA 테이블에서 상기 UE(711)의 GGSN IP 어드레스에 매핑되어 있는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상기 펨토 Node B(713)에서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 내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 #1(717-1)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호스트가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호스트가 매크로 Node B에 연결된 UE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로컬 호스트#1(817-1)는 매크로 Node B(823)에 연결된 UE(811)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공유기(815)를 통해 펨토 Node B (813)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로컬 호스트#1(817-1)가 상기 공유기(815)로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은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서,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1(817-1)의 로컬 IP 어드레스, 일 예로 192.168.10.100으로 셋업되고,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811)의 로컬 IP 어드레스, 일 예로 192.168.10.200으로 셋업된다.
상기 펨토 Node B (813)는 상기 로컬 호스트#1(817-1)로부터 수신한 내부 데이터 패킷의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LIPA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UE(811)의 GGSN IP 어드레스, 일 예로 10.10.10.10을 검출한다. 상기 펨토 Node B (813)는 상기 검출한 UE(811)의 GGSN IP 어드레스로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의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를 대체한다. 또한, 상기 펨토 Node B (813)는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고 공유기(815)로 송신한다. 즉, 상기 펨토 Node B (813)는 상기 공유기(815)로부터 수신한 내부 데이터 패킷에 대해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과정에서 상기 펨토 Node B (813)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 (813)의 로컬 IP 어드레스, 일 예로 192.168.10.220으로 셋업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UE(811)의 GGSN IP 어드레스, 일 예로 10.10.10.10으로 셋업하고,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하고, 외부 페이로드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게 셋업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이렇게,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생성된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공유기(815)로 송신되고, 상기 공유기(815)는 포트 포워드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공유기(815)의 공인 IP 어드레스, 일 예로 175.1.2.165로 변경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변경하여 공중 네트워크(819)와, 코어 네트워크(821)와, 매크로 Node B(823)를 통해 상기 UE(811)로 송신한다.
상기 UE(811)는 상기 매크로 Node B(823)로부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이 상기 공유기(815)의 공인 IP 어드레스이고,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UE(811)는 상기 로컬 호스트#1(817-1)가 송신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호스트가 펨토 Node B에 연결된 UE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호스트가 펨토 Node B에 연결된 UE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로컬 호스트#1(917-1)는 펨토 Node B (813)에 연결된 UE(911)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공유기(915)를 통해 펨토 Node B (913)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로컬 호스트#1(917-1)가 상기 공유기(915)로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은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서,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1(917-1)의 로컬 IP 어드레스, 일 예로 192.168.10.100으로 셋업되고,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911)의 로컬 IP 어드레스, 일 예로 192.168.10.200로 셋업된다.
상기 펨토 Node B (913)는 상기 공유기(915)로부터 수신한 내부 데이터 패킷의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가 상기 펨토 Node B (913)가 관리하는 LIPA 테이블에 매핑되어 있는 UE의 로컬 IP 어드레스인 경우,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의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를 LIPA 테이블에 매핑되어 있는 GGSN IP 어드레스, 일 예로 10.10.10.10로 대체한다. 상기 팸토 Node B(913)는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가 변경된 내부 데이터 패킷에 대해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고 상기 UE(911)로 송신한다. 즉, 상기 펨토 Node B (913)는 상기 공유기(915)로부터 수신한 내부 데이터 패킷에 대해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펨토 Node B (913)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공유기(915)의 공인 IP 어드레스, 일 예로 175.1.2.165로 셋업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UE(911)의 GGSN IP 어드레스, 일 예로 10.10.10.101로 셋업하고,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하고, 외부 페이로드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게 셋업하여 외부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이렇게,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생성된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UE(911)로 송신되고, 상기 UE(811)는 상기 펨토 Node B (913)로부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이 상기 공유기(815)의 공인 IP 어드레스이고, 포트 필드의 필드값이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이므로 상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에 대해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UE(911)는 상기 로컬 호스트#1(917-1)가 송신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펨토 Node B는 이더넷(Ethernet) 수신 유닛(1011)과, 제어 유닛(1013)과, 저장 유닛(1015)과, 이더넷 송신 유닛(1017)과, 무선 송신 유닛(1019)과, 무선 수신 유닛(1021)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10813)은 상기 펨토 Node 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UE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프로세스와,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 및 외부 데이터 패킷을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UE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프로세스와,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 및 외부 데이터 패킷을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011)은 상기 제어 유닛(1013)의 제어에 따라 공유기 등과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각종 메시지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펨토 Node B와 공유기가 일 예로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을 하기 때문에 상기 펨토 Node B가 이더넷 수신 유닛(1011)을 포함하는 것이며, 만약 상기 펨토 Node B가 이더넷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하여 공유기와 연결될 경우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011)은 다른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수신 유닛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더넷 송신 유닛(1017)은 상기 제어 유닛(1013)의 제어에 따라 공유기 등과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각종 메시지 등을 송신한다. 여기서, 펨토 Node B와 공유기가 일 예로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을 하기 때문에 상기 펨토 Node B가 이더넷 송신 유닛(1017)을 포함하는 것이며, 만약 상기 펨토 Node B가 이더넷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공유기와 연결될 경우 상기 이더넷 송신 유닛(1017)은 다른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송신 유닛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무선 송신 유닛(1019)은 상기 제어 유닛(1013)의 제어에 따라 UE등으로 각종 메시지와,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과,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을 송신한다. 상기 무선 수신 유닛(1021)은 UE등으로부터 각종 메시지와,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과,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 유닛(1015)은 수신한 각종 메시지와,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과,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도 10에는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011)과, 제어 유닛(1013)과, 저장 유닛(1015)과, 이더넷 송신 유닛(1017)과, 무선 송신 유닛(1019)과, 무선 수신 유닛(1021)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011)과, 제어 유닛(1013)과, 저장 유닛(1015)과, 이더넷 송신 유닛(1017)과, 무선 송신 유닛(1019)과, 무선 수신 유닛(1021)은 1개의 유닛으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Node B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UE는 수신 유닛(1111)과, 제어 유닛(1113)과, 저장 유닛(1115)과, 송신 유닛(111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1113)은 상기 UE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펨토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프로세스와,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 및 외부 데이터 패킷을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Node B와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는 프로세스와, 내부 데이터 패킷을 외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인캡슐레이션 프로세스 및 외부 데이터 패킷을 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디캡슐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 유닛(1111)은 상기 제어 유닛(1113)의 제어에 따라 펨토 Node B등으로부터 각종 메시지와,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과,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 유닛(1115)은 수신한 각종 메시지와,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과,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을 저장한다. 상기 송신 유닛(1117)은 상기 제어 유닛(1113)의 제어에 따라 펨토 Node B등으로 각종 메시지와,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과,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을 송신한다.
한편, 도 11에는 상기 수신 유닛(1111)과, 제어 유닛(1113)과, 저장 유닛(1115)과, 송신 유닛(1117)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수신 유닛(1111)과, 제어 유닛(1113)과, 저장 유닛(1115)과, 송신 유닛(1117)은 1개의 유닛으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2를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기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공유기는 이더넷 수신 유닛(1211)과, 제어 유닛(1213)과, 저장 유닛(1215)과, 이더넷 송신 유닛(121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1213)은 상기 공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포트 포워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포트 포워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211)은 상기 제어 유닛(1213)의 제어에 따라 펨토 Node B등과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각종 메시지와,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공유기와 펨토 Node B가 일 예로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을 하기 때문에 상기 공유기가 이더넷 수신 유닛(1211)을 포함하는 것이며, 만약 상기 공유기가 이더넷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펨토 Node B기와 연결될 경우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211)은 다른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수신 유닛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 유닛(1215)은 수신한 각종 메시지와,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을 저장한다.
상기 이더넷 송신 유닛(1217)은 상기 제어 유닛(1213)의 제어에 따라 펨토 Node B등과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각종 메시지와, 내부 데이터 패킷과, 외부 데이터 패킷 등을 송신한다. 여기서, 공유기와 펨토 Node B가 일 예로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을 하기 때문에 상기 공유기가 이더넷 송신 유닛(1217)을 포함하는 것이며, 만약 상기 공유기가 이더넷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펨토 Node B와 연결될 경우 상기 이더넷 송신 유닛(1217)은 다른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송신 유닛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에는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211)과, 제어 유닛(1213)과, 저장 유닛(1215)과, 이더넷 송신 유닛(1217)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이더넷 수신 유닛(1211)과, 제어 유닛(1213)과, 저장 유닛(1215)과, 이더넷 송신 유닛(1217)은 1개의 유닛으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8)

  1.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펨토 Node B와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공유기가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한 후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 필드(filed)와, 소스(source)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e port)로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포워드 기능은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의 IP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제어 플랜 포트(local control plane port)로 변경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4.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기가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UE가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하여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유기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 필드(filed)와, 소스(source)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e port)로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하여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의 IP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제어 플랜 포트(local control plane port)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유기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7.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UE가 펨토 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에 상응하게 상기 UE의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테이블에 매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 필드(filed)와, 소스(source)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e port)로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포워드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이 상기 펨토 Node B의 IP 어드레스로 변경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제어 플랜 포트(local control plane port)로 변경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에 상응하게 상기 UE의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테이블에 매핑시키는 과정은;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인,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에 로컬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상기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테이블에 매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11.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펨토 Node B와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공유기가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한 후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UE.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 필드(filed)와, 소스(source)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e port)로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UE.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포워드 기능은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의 IP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제어 플랜 포트(local control plane port)로 변경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14.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유기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상기 UE가 펨토 기지국(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하여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공유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 필드(filed)와, 소스(source)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e port)로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을 상기 펨토 Node B의 IP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제어 플랜 포트(local control plane port)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
  17.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펨토 Node B과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해 송신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에 상응하게 상기 UE의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테이블에 매핑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펨토 Node B.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 필드(filed)와, 소스(source) IP 어드레스 필드와,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제어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e port)로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포워드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은 상기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이 상기 펨토 Node B의 IP 어드레스로 변경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을 로컬 제어 플랜 포트(local control plane port)로 변경된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 패킷이 포함하는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인,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에 로컬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상기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테이블에 매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21.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로컬 호스트(local host)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1내부(inner) 데이터 패킷을 제1외부(outer)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공유기를 통해 펨토 기지국(Node B)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펨토 Node B가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2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상기 로컬 호스트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공유기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외부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에 매핑되어 있는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25.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로컬 호스트(local host)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UE가 상기 로컬 호스트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에 매핑되어 있는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29.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펨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한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호스트(local host)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33.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UE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37.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펨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호스트(local host)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 방법.
  41.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UE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가 UE의 로컬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45.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로컬 호스트(local host)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되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1내부(inner) 데이터 패킷을 제1외부(outer)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공유기를 통해 펨토 기지국(Node B)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펨토 Node B가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2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여 상기 로컬 호스트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공유기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외부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E.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에 매핑되어 있는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UE.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E.
  49.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을 로컬 호스트(local host)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상기 로컬 호스트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에 매핑되어 있는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53.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펨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한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호스트(local host)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E.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UE.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E.
  57.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을 포트 포워드(port forward)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생성한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을 UE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 및 제2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2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공유기의 공인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1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셋업되고, 상기 포트의 필드값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61.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상기 공유기가 펨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한 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호스트(local host)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UE.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E.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UE.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E.
  65.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Node B)에 있어서,
    공유기로부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을 제1내부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 생성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상기 로컬 호스트가 상기 UE를 타겟으로 하는 데이터 패킷의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을 상기 펨토 Node B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은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이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임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 및 제2내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source) 엔터티(entity)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로 셋업(setup)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내부 IP 헤더(header)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 각각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소스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스티네이션 엔터티의 IP 어드레스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하는 외부 IP 헤더 필드와, 글로벌 데이터 플랜 포트(global data plan port)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셋업되는 필드값을 가지는 포트(port) 필드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 필드와,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외부 페이로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로컬 호스트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게이트웨이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외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외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펨토 Node B의 로컬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외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UE의 GGSN IP 어드레스로 셋업되고, 상기 포트 필드의 필드값은 로컬 데이터 플랜 포트로 셋업되고,
    상기 제1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은 상기 제2내부 데이터 패킷이 포함하는 내부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 및 내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필드의 필드값과 동일하게 셋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매크로(macro) Node B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펨토 Node B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Node B.
KR1020110096451A 2011-09-23 2011-09-23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KR10134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51A KR101340019B1 (ko) 2011-09-23 2011-09-23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US13/624,281 US20130077570A1 (en) 2011-09-23 2012-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local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local network internet protocol access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51A KR101340019B1 (ko) 2011-09-23 2011-09-23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701A true KR20130032701A (ko) 2013-04-02
KR101340019B1 KR101340019B1 (ko) 2013-12-10

Family

ID=4791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51A KR101340019B1 (ko) 2011-09-23 2011-09-23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77570A1 (ko)
KR (1) KR101340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000A (ko) * 2013-05-15 2014-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킹 기반 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134998A (ko) * 2013-05-15 2014-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113934B (zh) * 2014-07-25 2017-09-0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通信设备接入路由器的方法及接入系统
US9155020B1 (en) * 2015-02-19 2015-10-06 Oceus Networks, Inc. Best backhaul available link qualit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7408B2 (ja) * 2003-07-18 2008-05-21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方法及び装置
KR100785785B1 (ko) * 2005-12-08 200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단말 이동성을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이더넷 데이터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DE602007013701D1 (de) 2007-04-17 2011-05-19 Alcatel Lucent Verfahren zur Verkoppelung eines Femto-Zellengeräts mit einem mobilen Kernnetzwerk
US8103278B2 (en) * 2008-04-01 2012-01-24 Mediatek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dle mode of a mobile node with multiple interfaces
US8856387B2 (en) * 2008-04-24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Local IP access scheme
CN102172078A (zh) * 2008-10-01 2011-08-31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使家庭基站能够在上行链路数据分组的本地与远程传输之间选择的方法
US9345065B2 (en) * 2008-11-17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access to loca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019B1 (ko) 2013-12-10
US20130077570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0552B2 (en) Method of connecting security gateway to mesh network
US9674746B2 (en)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with access to context data of remote access node
US2024015493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834540B2 (en)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10084713A1 (en) Method for providing a breakout pdu session for local ip access
CN112997576B (zh) Iab系统中的ipv6地址管理
WO2020164175A1 (zh) 标识管理的方法和装置
EP2959704A2 (en) Targeted group-based device discover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6664551B (zh) 一种ip地址分配的方法和装置
CN113133079A (zh) 路由配置方法及装置
US10367924B2 (en) Position-based communication routing
US10939485B2 (en) Mechanism for realizing LWA/LWIP aggregator function
US925818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a data network
KR101340019B1 (ko)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US10681751B2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in communication network
US20140293871A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054246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therein for relaying an ongoing data session
KR20190035397A (ko) 코어망을 선택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경로 관리 장치
KR10126804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4086996A1 (zh) 地址分配方法和设备
WO2023184542A1 (zh) 配置信息的方法、装置和通信系统
WO2022205251A1 (zh) 信息收发方法,数据发送方法以及装置
KR10130962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94390A (ko) 로컬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