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73A -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 Google Patents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73A
KR20130032673A KR1020110096416A KR20110096416A KR20130032673A KR 20130032673 A KR20130032673 A KR 20130032673A KR 1020110096416 A KR1020110096416 A KR 1020110096416A KR 20110096416 A KR20110096416 A KR 20110096416A KR 20130032673 A KR20130032673 A KR 20130032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unit
sensing
movemen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4526B1 (en
Inventor
고인순
Original Assignee
고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순 filed Critical 고인순
Priority to KR102011009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526B1/en
Publication of KR2013003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5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8Driving gear incorporating flui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6Control devices non-automatic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41Electr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Abstract

PURPOSE: A shift control device of a platform for a ladder truck is provided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the twisting of a wire by restricting the shifted distance of the platform. CONSTITUTION: A shift control device of a platform for a ladder truck comprises a winch unit(150), a platform shift detecting part, a control part, and a hydraulic pressure unit. The winch unit is connected to a platform(110) by a wire to ascend and descend the platform on a multi-stepped boom(100). The platform shift detecting part is installed in the winch unit. In order to set the stroke of the platform, the platform shift detecting part detects the RPM of the winch unit and transfers the detected RPM to the control part. The control part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shift detecting part to receive signals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nch unit. The hydraulic pressure uni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winch unit.

Description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SHIFT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본 발명은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감지돌기의 통과 횟수를 감지하여 운반대의 상승 및 하강거리의 설정은 물론 운반대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한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a ladder carriage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ct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sensing protrus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to set up and down distance of the carriage, as well a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carriage. It relates to a movement control device.

일반적인 사다리차는 일반 트럭에 사다리를 탑재한 것으로, 사다리차의 차체 상부에는 그 길이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붐이 탑재되고, 그 붐에는 붐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운반대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general ladder truck is a ladder mounted on a general truck, and a boom that can adjust its length and angle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ladder truck, and the boom has a structure in which a carriage is raised or lowered along the boom.

여기서, 상기 운반대는 짐 운반용 사다리차의 경우에는 짐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소방용 사다리차의 경우에는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를 위해 사람이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사다리차의 차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사다리차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사다리차의 차체에는 다수 개의 지지 다리가 구비된다.Here, the carriage has a structure that can carry the load efficiently in the case of a load carrying ladder truck, and has a structure that a person can safely ride for fire suppression and lifesaving in the case of a fire ladder ladd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re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of the ladder car so as to stably support the vehicle body of the ladder car to prevent overturning of the ladder car.

짐 운반용 사다리차의 경우, 트럭의 엔진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유압펌프를 구동하여 유압펌프의 구동에 의해 윈치유니트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붐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load carrying ladder truck, power is supplied to an engine of a truck to drive a hydraulic pump to rotate a winch unit by driving a hydraulic pump to wind or unwind a wire to operate a boom.

이와 같은 사다리차는 윈치유니트의 구동으로 다단의 붐을 길이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하여 신장시킨 후 건물의 고소에 안착시키고, 그 후 운반대를 이용하여 이삿짐이나 화물 등의 중량물을 상/하차하고 있다. 이때 붐과 운반대의 이송은 숙련된 작업자의 육안과 경험에 의존하여 필요에 따라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작업 과정으로 진행된다.Such a ladder car draws and extends a multi-stage boom stepwi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driving a winch unit, and seats it on the height of a building, and then loads / unloads heavy materials such as moving or cargo using a carrier. At this time, the transfer of the boom and the carriage is a process of repeating the start and stop as needed depending on the visual and experience of the skilled worker.

그러나 육안에 의한 이송제어는 수십 미터 이격된 고소에서 작업할 때 목적지 부근에서 여러 차례 기동과 정지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특히 운반대에 짐을 실은 상태로 목적지에 안착시킬 때 작업자의 부주의로 적재된 기물을 파손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연한 이동과 정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당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However, the visual control of movement causes inconvenience to repeat starting and stopping several times near the destination when working at a height of several tens of meters, especially when the worker is placed on the destination with the load on the pallet. In many cases, it is necessary to take great care in order to perform flexible movement and stop function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421652호(발명의 명칭: 고가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 시스템, 등록일: 2004.2.24)가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은 붐의 최상단 멤버와 최하단 멤버에 운반대의 이동행정을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윈치 유니트에 카운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운반대가 유연하게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No. 0421652 (name of the invention: automatic transfer control system of an elevated ladder vehicle, registration date: 2004.2.24) has been filed and registered. The above technique is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carriage to be driven flexibly by installing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on the top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of the boom, and by installing a count switch on the winch unit.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붐에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됨에 따라 제어기와 리미트스위치와의 연결을 위한 전선이 붐에 설치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운반대의 승강 이동이나 붐의 신축동작시 전선과의 간섭으로 인해 작동불능 가능성이 있으며, 전선의 절단시에는 리미트스위치의 동작불능으로 인해 자칫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 technology requires that the wires for connecting the controller and the limit switch should be installed in the boom as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in the boom. There is a possibility of inoperable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inability of the limit switch when cutting the wir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대의 상승 및 하강거리를 윈치유니트에 설치된 운반대 이동감지부를 통해 설정하고 그 설정된 값에 따라 운반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리미트스위치와 연결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설치된 전선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전선으로 인한 얽힘 현상이나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동작불능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붐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the lifting and lowering distance of the carriage through the carriage movement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winch unit and to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set value. By controlling,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wires installed indiscriminately to connect with the limit switch, thereby preventing the entanglement caused by the existing wires or the inoperation which may be caused by it,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the boom. It is to provide a movement control device of the ladder carriage carri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는 운반대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단계적으로 인출되어 신장된 다단의 붐 상에서 운반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윈치유니트; 상기 윈치유니트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대의 행정거리를 설정하도록 운반대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에 따른 윈치유니트의 회전수를 센싱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운반대 이동감지부;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윈치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윈치유니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ovement control device of the ladder carriage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inch unit for lifting or lowering the carriage on the multi-stage boom is extended by the wire connected to the carriage step by step; A carriage movement sens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inch unit and sen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ch unit according to the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so as to set the stroke distance of the carriage;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to receive a signal and control driving of the winch unit; And a hydraulic unit whic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winch unit.

상기 윈치유니트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회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는 상기 드럼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드럼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감지돌기가 돌출된 회전수감지판과,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감지돌기의 통과 횟수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그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한쌍의 감지센서를 포함한다.The winch unit includes a drum that is rotated so that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rum, wherein the carrier movement detect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rum to rotate together and rotate radially. Rotational speed sensing plate protruding a plurality of sensing projections, and a pair of sensing sensors installed on the suppor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asses of the sensing projections when the drum rotates to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이때, 상기 회전수감지판이 상기 드럼의 일측면에 설치된 경우, 상기 감지돌기는 회전수감지판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몸체와, 상기 돌기몸체의 최외측 단부에 좌,우 어느 일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된 제1감지돌기와, 상기 드럼의 회전시 상기 제1감지돌기의 회전직경보다 더 작은 회전직경을 갖도록 상기 돌기몸체의 최외측 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제1감지돌기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감지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제1감지돌기 및 제2감지돌기와 각각 마주보게 설치된다.In this case, when the rotational speed sensing plat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um, the sensing protrusion is further extended in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outermost end of the projection body and the outermost end of the projection body.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and protruding in a portion other than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sion body so as to have a protruding first sensing protrusion and a rotation diameter smaller than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when the drum rotates. A second sensing protrusion is configured, and the sensing sensor is installed to face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sensing protrusion,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 및 유압유니트와 연결되고, 비상시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스위치가 설치되며, 운반대의 수동 또는 자동조작을 위한 조작레버가 설치된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와 유,무선 연결되고, 상기 운반대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이동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부와, 운반대의 이동과 그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운반대조작부를 갖는 사용자조작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the main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carrier movement detection unit and the hydraulic unit, the emergency switch for stopping the operation in an emergency, the operation lever for the manual or automatic operation of the carriage; And a user operator having a wired and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and a distance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carrier, and a carriage operating unit for adjusting the movement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arrier. have.

상기 사용자조작기에는 운반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제어하도록 제어방향레버가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조작기는 상기 제어방향레버와 조작레버의 상태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operator is provided with a control direction lever so as to control movement of the carriage automatically or manually, and the user operator is preferably operated when the state of the control direction lever and the operation lever matc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거리설정부는 상기 운반대조작부의 조작으로 운반대를 붐의 최상단에 도달시킨 후 그 운반대의 위치를 설정하는 상승설정스위치와, 상기 운반대조작부의 조작으로 운반대를 붐의 최하단에 도달시킨 후 그 운반대의 위치를 설정하는 하강설정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설정스위치와 하강설정스위치는 각각 또는 하나의 스위치로 동작되게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setting unit is the lift setting switch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after the carriage reaches the top of the boom by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operation unit, and the carriage reaches the bottom end of the boom by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operation unit And a lower setting switch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and the rising setting switch and the lower setting switch may be installed to be operated by one or each switch.

그리고, 상기 운반대조작부는 다이얼방식의 속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계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운반대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은 물론 운반대의 속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carriage operation unit includes a dial-type speedome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ed of the carriage as well as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carriage through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speedome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에 따르면, 사다리차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구간의 운반대 상승 및 하강거리를 윈치유니트에 설치된 운반대 이동감지부를 통해 설정하고 그 설정된 값에 따라 운반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붐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와 연결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설치된 전선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선으로 인한 얽힘 현상이나 동작불능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붐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the ladder carriage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ladder carriage, the carriage rise and fall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set through the carriage movement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winch unit and carried according to the set value. By controlling the travel distance of the stan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wires installed indiscriminately in order to connect with the limit switch installed in the existing boom, thereby preventing the entanglement or malfunction of the wires and also the appearance of the boom. I can be beautifu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가 설치된 사다리차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윈치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대 이동감지부를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수감지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럭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ladder car equipped with a movement control device of the ladder carriag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rotational speed sens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the ladder carriage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는 운반대(110)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단계적으로 인출되어 신장되는 다단의 붐(100) 상에서 운반대(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윈치유니트(150)와, 상기 윈치유니트(15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운반대(110)의 행정거리를 설정하는 운반대 이동감지부(200)와,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200)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윈치유니트(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윈치유니트(1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유니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o FIG. 5, the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the ladder carriag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arriage 110 by a wire, and the carriage 110 on the multi-stage boom 100 is extended and drawn out step by step. Winch unit 15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arriage, the carriage movement detection uni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inch unit 150 to set the stroke distance of the carriage 110, and the carriage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detecting unit 200 to receive a signal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inch unit 150,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0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winch unit 150. It comprises a hydraulic unit 400 to provide.

상기 붐(100)은 사다리차에 설치된 구동장치(105)에 의해 인출되어 신장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구동장치는 통상 사용되는 윈치를 사용하면 된다.The boom 100 is drawn out and extended by the drive device 105 installed in the ladder car, the drive device may be a winch that is usually used.

여기서, 상기 윈치유니트(150)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회전되는 드럼(155)과, 상기 드럼(155)을 지지하는 지지대(16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60)가 붐(10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트럭의 상면에 설치되어져 상기 드럼(155)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드럼은 유압유니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와이어를 통해 운반대(110)를 상승 또는 하강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드럼(155)은 지지대에 지지된 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면 충분함에 따라 어떠한 형상이나 결합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통상 드럼의 일측에는 유압유니트의 유압모터가 결합되어 그 구동력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Here, the winch unit 150 includes a drum 155 rotated so that the wire is wound or unwinded, and a support 160 supporting the drum 155, wherein the support 160 is a boom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ruck to support the drum 155, the drum is moved up or down to move the carriage 110 through a wire while oper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hydraulic unit. The drum 155 may be formed to have any shape or coupling structure as long as the structure is rotatably install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and a hydraulic motor of a hydraulic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um to drive the drum by its driving force. To rotate.

이때, 상기 와이어는 일측이 운반대(110)에 연결되어져 상기 드럼(155)의 구동에 따라 드럼(155)에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되고, 이와 함께 운반대(110)가 붐 상에서 상승하거나 하강되어 진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carriage 110 to be wound or unwinded on the drum 155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um 155, and the carriage 110 is raised or lowered on the boom. .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200)는 운반대(110)의 행정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운반대의 행정거리 설정은 물론 설정된 정보로 제어부에서 운반대의 이동이 제어할 수 있도록 윈치유니트의 드럼 회전수를 센싱하게 된다.The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set the stroke distance of the carriage 110,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winch uni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with the set information as well as the stroke distance setting of the carriage The number is sensed.

상기 윈치유니트의 드럼 회전수는 상기 운반대(110)의 상승동작이나 하강동작에 따른 회전수로서, 운반대 이동감지부에서는 사다리차를 이용한 작업시 최초 운반대를 해당구간으로 이동(상승, 하강)하는 과정을 통해 운반대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The drum rotational speed of the winch unit is a rotational speed according to the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110, and the movement movement of the carriage moves the first carriage to the corresponding section during the work using the ladder car (up and down). Through the process of sett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riage.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200)는 상기 드럼(155)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드럼(155)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감지돌기(220)가 돌출된 회전수감지판(210)과, 상기 지지대(160)에 연결편(255)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155)의 회전시 감지돌기(220)의 통과 횟수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그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한쌍의 감지센서(250)를 포함한다.The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rum 155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155 and the rotation sensing plate 210 protruding a plurality of sensing projections 220 radially. ) And a pair of pairs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sensing protrusion 220 when the drum 155 rotates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160 by the connecting piece 255,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And a detection sensor 250.

상기 감지센서(250)는 각각의 감지돌기를 센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수감지판(210)이 드럼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감지센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회전수감지판(210)이 드럼의 양측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드럼의 양측에 감지센서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ection sensor 25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ense the respective sensing projections, when the rotational speed sensing plate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um is to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rotation speed detecting plate 2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um, it is preferable that one sensor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drum.

위에서 보듯이, 상기 감지센서는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운반대의 상승 또는 하강이동에 따라 드럼이 회전되는 경우 그 드럼의 회전에 따른 감지돌기의 통과횟수를 감지하여 운반대의 이동거리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통해 최초 운반대의 상승거리와 하강거리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제어부에서는 그 설정값을 통해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above, the detection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detection projection, when the drum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up or down to detect the number of passes of the detection protrus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to detec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riage. Will be. Therefor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stances of the first carriage can be set through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and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rise and fall of the carriage through the set value.

운반대의 이동거리 설정과정은, 먼저 사다리차의 붐을 신장시켜 해당 고소에 위치시킨 후 유압유니트를 구동시켜 운반대를 상승시킨다. 이때 드럼의 회전으로 인해 감지센서는 감지돌기의 통과횟수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되며, 운반대를 붐의 최상단까지 상승시킨 경우에는 그 위치를 제어부에서 상승한계점으로 설정하고, 운반대를 하강시켜 붐의 최하단까지 하강시킨 경우에는 그 위치를 제어부에서 하강 한계점으로 설정하면 된다.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age, the boom of the ladder truck is first extended and positioned at the height, and then the hydraulic unit is driven to raise the carriage. At this time,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um,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number of passes of the detection protrusion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carriage is raised to the top of the boom, the position is set as the rising limit point in the control unit and transported. In the case where the stand is lowered and lowered to the bottom of the boom, the position may be set by the control unit as the lower limit point.

상기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을 위한 이동 한계점을 설정한 이후에는 제어부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운반대를 상승 및 하강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After setting the moving limit poin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rriage, the controller raises and lowers the carriage by simple operation.

이때, 상기 운반대가 상승 및 하강동작하여 한계점(최상단, 최하단)의 근방에 도달한 경우 드럼의 속도가 자동적으로 줄어들도록 한 후 한계점에서 정지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으로 속도를 줄이도록 설정하는 것은 최초 주제어부의 제작시 설정할 수 있으며, 운반대의 이동에 무리를 주지 않을 정도로 서서히 줄어들도록 하고, 예로서 한계점에 1~3미터 전에서 속도가 줄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riage is programmed to stop at the limit point after the drum speed is automatically reduced when the carriage moves up and down to reach the vicinity of the limit point (top and bottom). The setting to automatically reduce the speed can be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initial main control section, so that it can be reduced slowly so as not to impede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and for example, the speed can be set to decrease 1 to 3 meters before the limit point.

한편, 상기 회전수감지판(210)이 상기 드럼(155)의 일측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동작하는 경우 이를 함께 감지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감지돌기(220)는 회전반경이 다른 두개의 돌기가 설치되어야만 하며, 그 각각의 돌기에 대응되어 감지센서가 설치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sensing plate 2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um 155,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riage should be detected together, the sensing protrusion 220 has two projections of different rotation radius Must be installed, and a sensing sensor must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projection.

즉, 상기 감지돌기(220)는 회전수감지판(210)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몸체(222)와, 상기 돌기몸체(222)의 최외측 단부에 좌,우 어느 일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된 제1감지돌기(224)와, 상기 드럼(155)의 회전시 상기 제1감지돌기(224)의 회전직경보다 더 작은 회전직경을 갖도록 상기 돌기몸체(222)의 최외측 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제1감지돌기(224)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감지돌기(226)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nsing protrusion 220 protrudes further in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ding body 222 and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ding body 222. In other portions except for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sion body 222 to have a first sensing protrusion 224 and a rotation diameter smaller than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224 when the drum 155 rotates. The second sensing protrusion 226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224 to protrude.

이때, 상기 감지센서(250)는 상기 제1감지돌기(224) 및 제2감지돌기(226)와 각각 마주보게 설치되어 진다.In this case, the detection sensor 250 is installed to face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224 and the second sensing protrusion 226,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200) 및 유압유니트(400)와 연결되는 주제어부(310)와, 상기 주제어부(310)와 유,무선 연결되는 사용자조작기(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310 connected to the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200 and the hydraulic unit 400, and a user control unit 35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310 wired and wirelessly. It is done by

상기 주제어부(310)는 트럭의 차체에 마련되고,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320)와 비상시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스위치(3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반대의 작동을 위한 조작시 수동 또는 자동조작을 위한 조작레버(3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310)에는 붐의 신장과 운반대의 상승 및 하강동작을 위한 밸브(운반대 상승밸브, 운반대 하강밸브)가 설치된 수동제어기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다.The main control unit 310 is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of the truck, the power supply unit 320 for supplying power and the emergency switch 330 for stopping the emergency operation is installed, the manual or during ope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An operation lever 340 for automatic operation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310 is connected to a manual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valve (carrier lift valve, carrier lower valve) for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oom extension and carriage.

상기 조작레버(340)를 자동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감지돌기의 감지로 운반대의 이동거리 설정 후 그 설정값을 토대로 하여 운반대를 이동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조작레버(340)를 수동으로 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제어기를 통해 직접 육안으로 운반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운반대를 상승 또는 하강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자동조작이 불가능한 경우나 위급상황 등 수동조작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lever 340 is automatically performed, a method of moving the carriage based on the setting value after set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age by detecting the detection protrusion by the detection sensor, and manually operating the manipulation lever 340. In this case, the operator checks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manual controller and moves the carriage up or down. If the automatic operation is impossible or an emergency situation is required, it is used.

상기 사용자조작기(350)에는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 한계점을 설정하기 위해 운반대(11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이동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부(360)와, 운반대(110)의 이동과 그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운반대조작부(370)가 설치되어 있고, 주제어부(310)에 설치된 바와 동일하게 비상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작레버(340)의 조작모드(자동 또는 수동)에 따라 사용자조작기에서 운반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그 제어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방향레버(38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조작기(350)는 상기 제어방향레버(380)와 조작레버(340)의 상태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만 작동되어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operator 350 has a distance setting unit 360 for setting the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the carriage 110 to set the rising and falling threshold of the carriage, and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110 and its Carrier operation unit 370 for adjusting the moving speed is installed, the emergency switch can b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 unit 310, and, the operation mode (automatic or manual) of the operation lever 340 The control direction lever 380 is provided to adjust the contro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carriage automatically or manually according to the user, the user operator 350 is the control direction lever 380 and the operating lever It is desirable to operate only when the states of 340 coincid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거리설정부(360)는 상기 운반대조작부(370)의 조작으로 운반대(110)를 붐(100)의 최상단에 도달시킨 후 그 운반대(110)의 위치를 설정하는 상승설정스위치(362)와, 상기 운반대조작부(370)의 조작으로 운반대(110)를 붐(100)의 최하단에 도달시킨 후 그 운반대(110)의 위치를 설정하는 하강설정스위치(364)를 포함한다.Herein, the distance setting unit 360 sets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110 after the carriage 110 reaches the top of the boom 100 by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operation unit 370. 362 and a lower setting switch 364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110 after reaching the lower end of the boom 100 by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operation portion 370. do.

상기 상승설정스위치와 하강설정스위치를 통해 상기 운반대의 이동거리를 설정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붐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각각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동작시 그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불필요한 전선의 연결 없이 외관이 미려한 사다리차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By set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age through the ascending setting switch and the lower setting switc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distance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without installing limit switche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oom,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adder car with a beautiful appearance without connecting unnecessary wires.

한편, 이러한 상승설정스위치와 하강설정스위치는 운반대의 이동을 위한 붐의 최상단과 최하단까지의 설정 외에도 붐의 어느 위치에라도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거리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짐 운반용 사다리차 외에도 일반 소방용 및 작업용 사다리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붐의 신장 후 원하는 위치만큼만 운반대를 이동시키도록 하여 작업할 수 있음으로써 현장조건이나 작업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scending setting switch and the lower setting switch can be effectively used because it can set the lifting and lowering distance of the carriage at any position of the boom, in addition to the setting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boom for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as well as the ladder for carrying load In addition, when applied to general firefighting and work ladder truck can be moved to work as much as desired position after the extension of the boom can be eff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or working conditions.

이때, 상기 상승설정스위치(362)와 하강설정스위치(364)는 각각 별도로 마련되게 설치하거나 또는 하나의 스위치로 상승과 하강설정이 가능하게 동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ising setting switch 362 and the falling setting switch 364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provided so that the rising and falling setting can be operated by one switch.

그리고, 상기 운반대조작부(370)는 여러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고, 첨부의 도면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다이얼방식의 속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운반대(110)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은 물론 속도계의 회전량을 통해 운반대(11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riage manipulation unit 37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arriage 110 includes a dial type speedometer as an embodiment, and the speedometer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scending or descending operation of the speed of the carriage 11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peedometer.

여기서, 상기 사용자조작기(350)에는 상기 운반대조작부(370)의 조작으로 운반대가 동작하는 경우,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각각 확인램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램프는 운반대의 미동작시 운반대의 현재 위치(상승위치 또는 하강위치)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키도록 해당 확인램프가 점멸동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Here, in the user operator 350, when the carriag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operation unit 370, confirmation lamps may be formed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carrier is raised or lowered, and the confirmation lamp is transported. When the stand is not in operation, the corresponding confirmation lamp may be installed to blink so that the operator is aware of the current position (rising position or descending position) of the carriage.

예를 들어, 운반대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승 확인램프가 점멸동작되고, 운반대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하강 확인램프가 점멸동작되어 작업자가 운반대의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carriage is raised, the ascending confirmation lamp blinks, and when the carriage is descended, the descending confirmation lamp blinks to allow the operator to recogniz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rriage.

그리고, 본 발명의 유압유니트(400)는 사다리차에 적용되어 운반대의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드럼의 회전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유압탱크와 유압펌프 및 드럼에 설치된 유압모터로 이루어져 있고, 유압탱크와 유압펌프 및 유압모터를 연결하여 유압을 조절하거나 방향을 바꾸어주기 위해 별도의 유압블럭이 마련되어 있으며, 유압블럭에는 유량의 조절로 운반대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비례제어밸브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ydraulic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rotation of the drum to be applied to the ladder truck to raise and lower the carriage, consisting of a hydraulic tank and a hydraulic pump and a hydraulic motor installed in the drum, A separate hydraulic block is provided to connect the tank, the hydraulic pump, and the hydraulic motor to adjust or change the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block is provided with a proportional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carriage by adjusting the flow rate.

이때, 상기 유압블럭은 별도로 설치하여 사다리차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제어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제어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기존의 유압블럭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ydraulic block may be separately installed and used in connection with a manual controller installed in a ladder car, or an existing hydraulic block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nual controller may be us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는 운반대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운반대조작부를 이용하여 운반대를 상승동작시키고, 운반대가 붐의 최상단에 위치한 경우 상승설정스위치를 누르거나 일측으로 젖혀 운반대의 상승 한계점을 설정하고, 이 후 운반대를 하강동작시켜 붐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한 다음 하강설정스위치를 누르거나 일측으로 젖혀 운반대의 하강 한계점을 설정한다.The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the ladder carriage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riage,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is raised by using the carriage operation unit, when the carriag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boom, press the lift setting switch or Set the lower limit of the carriage by turning to one side, and then move the carriage down to position it at the bottom of the boom, then press the lower set switch or flip to one side to set the lower limit of the carriage.

운반대의 이동거리 설정 후 운반대를 이동시키는 경우, 드럼의 회전에 따른 감지돌기의 통과횟수를 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운반대의 이동거리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운반대의 상승과 하강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moving the carriage after sett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riag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arriage by detecting the number of passes of the detection protrus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can be controlled. Will be.

본 발명은 붐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운반대의 상승이동과 하강이동되게 동작시킬 수 있으며, 기존 리미트스위치와의 연결을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전선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갖는 사다리차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of the carrier without installing a limit switch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oom, it is beautiful appearance by not having to install the wires must be installed for the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limit switc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dder car having a.

100: 붐 105: 구동장치
110: 운반대 150: 윈치유니트
155: 드럼 160: 지지대
200: 운반대 이동감지부 210: 회전수감지판
220: 감지돌기 222: 돌기몸체
224: 제1감지돌기 226: 제2감지돌기
250: 감지센서 255: 연결편
300: 제어부 310: 주제어부
320: 전원공급부 330: 비상스위치
340: 조작레버 350: 사용자조작기
360: 거리설정부 362: 상승설정스위치
364: 하강설정스위치 370: 운반대조작부
380: 제어방향레버 400: 유압유니트
100: boom 105: drive unit
110: carrier 150: winch unit
155: drum 160: support
200: carrier movement detection unit 210: rotation speed detection plate
220: detection protrusion 222: protrusion body
224: first sensing protrusion 226: second sensing protrusion
250: sensor 255: connection
300: control unit 310: main control unit
320: power supply 330: emergency switch
340: operation lever 350: user control
360: distance setting unit 362: rising setting switch
364: lowering setting switch 370: carrier control unit
380: control direction lever 400: hydraulic unit

Claims (7)

운반대(110)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단계적으로 인출되어 신장된 다단의 붐(100) 상에서 운반대(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윈치유니트(150);
상기 윈치유니트(15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대(110)의 행정거리를 설정하도록 운반대(110)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에 따른 윈치유니트(150)의 회전수를 센싱하여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운반대 이동감지부(200);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200)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윈치유니트(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윈치유니트(1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유니트(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A winch unit 150 connected to the carriage 110 by wires to raise or lower the carriage 110 on the multi-stage boom 100 drawn out step by step;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inch unit 150, by sen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ch unit 150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110 to set the stroke distance of the carriage 110 Carrier movement detection unit 200 for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300;
A control unit 300 connected to the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200 to receive a signal and control driving of the winch unit 150;
Hydraulic unit 400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0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winch unit 150;
Ladder carriage movemen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유니트(150)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회전되는 드럼(155)과, 상기 드럼(155)을 지지하는 지지대(160)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200)는, 상기 드럼(155)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드럼(155)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감지돌기(220)가 돌출된 회전수감지판(210)과, 상기 지지대(160)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155)의 회전시 감지돌기(220)의 통과 횟수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그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한쌍의 감지센서(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ch unit 150 includes a drum 155 rotated so that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and a support 160 supporting the drum 155.
The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rum 155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155 and the rotation sensing plate protruding a plurality of sensing projections 220 radially ( 210 and a pair of sensing sensors 250 mounted on the support 160 to sense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sensing protrusion 220 when the drum 155 rotates, and transmit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Ladder carriage movemen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감지판(210)이 상기 드럼(155)의 일측면에 설치된 경우,
상기 감지돌기(220)는 회전수감지판(210)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기몸체(222)와, 상기 돌기몸체(222)의 최외측 단부에 좌,우 어느 일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된 제1감지돌기(224)와, 상기 드럼(155)의 회전시 상기 제1감지돌기(224)의 회전직경보다 더 작은 회전직경을 갖도록 상기 돌기몸체(222)의 최외측 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제1감지돌기(224)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2감지돌기(226)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250)는 상기 제1감지돌기(224) 및 제2감지돌기(226)와 각각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을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rotation speed detecting plate 2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um 155,
The sensing protrusion 220 is a protrusion body 222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rotation speed sensing plate 210, and a first protrusion extending further in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sion body 222.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rotrusions 224 and other portions except the outermost end of the protrusion body 222 to have a rotation diameter smaller than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224 when the drum 155 rotates. Comprising a second sensing protrusion 226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nsing protrusion 224,
The detection sensor 250 is installed to face each of the first sensing projections (224) and the second sensing projections (226) movement control device of the ladder carri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운반대 이동감지부(200) 및 유압유니트(400)와 연결되고, 비상시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스위치(330)가 설치되며, 운반대의 수동 또는 자동조작을 위한 조작레버(340)가 설치된 주제어부(310);
상기 주제어부(310)와 유,무선 연결되고, 상기 운반대(11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이동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부(360)와, 운반대(110)의 이동과 그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운반대조작부(370)를 갖는 사용자조작기(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carriage movement detecting unit 200 and the hydraulic unit 400, the emergency switch 330 for stopping the emergency operation is installed, the operation for manual or automatic operation of the carriage A main control part 310 provided with a lever 340;
The distance setting unit 36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310 and wired and wireless, and sets the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the pallet 110, and the movement of the pallet 110 and its moving speed. Ladder carriage movemen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a user operator 350 having a carriage operation unit 370 to adjus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작기(350)에는 운반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제어하도록 제어방향레버(380)가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조작기(350)는 상기 제어방향레버(380)와 조작레버(340)의 상태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ser operator 350 is provided with a control direction lever 38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 user operator 350 is operated when the control direction lever 380 and the operation lever 340 state is matched with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설정부(360)는, 상기 운반대조작부(370)의 조작으로 운반대(110)를 붐(100)의 최상단에 도달시킨 후 그 운반대(110)의 위치를 설정하는 상승설정스위치(362)와, 상기 운반대조작부(370)의 조작으로 운반대(110)를 붐(100)의 최하단에 도달시킨 후 그 운반대(110)의 위치를 설정하는 하강설정스위치(364)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설정스위치(362)와 하강설정스위치(364)는 각각 또는 하나의 스위치로 동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tance setting unit 360 is a lift setting switch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110 after reaching the upper end of the boom 100 by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operation unit 370 ( 362 and a lower setting switch 364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age 110 after reaching the lower end of the boom 100 by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operation portion 370. ,
The rising setting switch (362) and the lower setting switch (364) is a movement control device of the ladder carriage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be operated by one or one switc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조작부(370)는 다이얼방식의 속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계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운반대(110)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은 물론 속도계의 회전량에 따라 운반대(110)의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rriage operation unit 370 includes a dial speedometer,
Movement control device of the ladder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of the carriage 1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peedometer as well as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carriage 110 through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speedometer.
KR1020110096416A 2011-09-23 2011-09-23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KR1013045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16A KR101304526B1 (en) 2011-09-23 2011-09-23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16A KR101304526B1 (en) 2011-09-23 2011-09-23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73A true KR20130032673A (en) 2013-04-02
KR101304526B1 KR101304526B1 (en) 2013-09-05

Family

ID=4843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16A KR101304526B1 (en) 2011-09-23 2011-09-23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5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18A (en) *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호룡 Automatically safty moving device of cart for ladder car
KR101638960B1 (en) * 2015-03-04 2016-07-12 (주)드림티엔에스 Managerial system for aerial ladde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652B1 (en) * 2001-04-23 2004-03-10 김대봉 Automatic feed control system for lifter-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KR101053397B1 (en) * 2003-10-0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Length adjustment device of crane replacement wire to facilitate hook level adjust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18A (en) *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호룡 Automatically safty moving device of cart for ladder car
KR101638960B1 (en) * 2015-03-04 2016-07-12 (주)드림티엔에스 Managerial system for aerial ladde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526B1 (en)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8045B1 (en) Materials handling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KR200294121Y1 (en) Safety device for going up and down of tower-crane
JP6080314B2 (en) Method and control assembly for operating at least two lifting devices, in particular cranes in parallel
KR20110112950A (en) Ladder auto move control system
JP4459636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CN106185524B (en) Elevator prevents car accidental movement and the safety guard of hypervelocity
JP2012153507A (en) Elevator, and emergency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47788B1 (en) Elevator governor tension maintenance system
KR101304526B1 (en) Shifting control system for carrier of ladder truck
CN108455397A (en) The method of elevator safety system and monitoring elevator device
KR20100118762A (en) Crane
CN103145012A (en) Elevator device
CN205312835U (en) Install electric lift platform truck in stair railing department
CA2290117C (en) Equalizer
KR100792206B1 (en) Intellectual lift
EP3455154B1 (en) Cran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loads, equipped with a drive system.
KR101715330B1 (en) Manual operation remote control for pit of elevator
JP5969861B2 (en) Elevator landing detection control device and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KR100421652B1 (en) Automatic feed control system for lifter-equipped extensible ladder vehicle
CN112850424A (en) Lifting equipment for overhauling
KR20100135114A (en) A overspeed governor for elevator
CN112079210A (en) Hose winding and unwinding devices and foundation construction equipment
CA2353242C (en) Emergency moving device of an elevator
CN215101352U (en) Lifting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 management
CN114671353B (en) Workpiece assembling method, assembling piece installing system and engineering machinery assembly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