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66A - 엘이디 조명회로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66A
KR20130032666A KR1020110096406A KR20110096406A KR20130032666A KR 20130032666 A KR20130032666 A KR 20130032666A KR 1020110096406 A KR1020110096406 A KR 1020110096406A KR 20110096406 A KR20110096406 A KR 20110096406A KR 20130032666 A KR20130032666 A KR 2013003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current
resistor
circuit unit
voltag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284B1 (ko
Inventor
동 훈 김
Original Assignee
피앤에스반도체 주식회사
동 훈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에스반도체 주식회사, 동 훈 김 filed Critical 피앤에스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2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고 입력전압의 증가로 인한 출력전력의 증가를 방지하며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증감의 검출과 복수의 LED어레이를 구동할 수 있는 정전류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LED 조명을 제어하는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LED 조명회로에 있어서, 인가된 교류전압(AC)을 브리지다이오드(10)를 거쳐 정류한 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LED어레이(11-1~11-n)로 이루어진 LED모듈(11)에 인가시키되, LED모듈(11)로 인가되는 입력전압의 변화를 저항(R0)을 통하여 각 LED어레이에 일정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정전류원(12-1~12-n)으로 이루어진 정전류회로부(12); 상기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설정치보다 상승할 때에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 상기 정전류회로부(12)에서 입력되는 정전압과 브리지다이오드(10)에서 정류된 전원전압을 비교하여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증가와 감소를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 및 상기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에서 입력된 신호로 정전류회로부(12)에서 LED모듈(11)의 LED어레이(11-1~11-n)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LED모듈에 하나 이상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설정할 수 있고, 변동하는 교류전원의 변화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LED어레이들은 넓은 입력전압 범위에서 정전류원들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역률 및 저고조파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LED모듈의 안정적인 제어 및 운영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회로{Lighting Circuit for LED}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모듈에 인가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고 입력전압의 증가로 인한 출력전력의 증가를 방지하며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증감의 검출과 복수의 LED어레이를 구동할 수 있는 정전류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LED 조명을 제어하는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갈륨비소(GaAs)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소자이다. LED는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 등에 포함되거나 이로부터 표시용이나 조명용 또는 TV리모컨 등에서 신호전달용 등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백열등이나 형광등 등을 대신하여 전력소모가 적고 긴 수명의 친환경적인 반도체조명인 LED의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LED를 이용하는 조명제품으로 LCD의 배경조명, 자동차용 조명, 일반조명, 경관조명, 건축조명, 환경의료조명 등 응용범위가 넓다.
LED조명은 통상 직류전원(DC)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인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LED조명의 점등에 요구되는 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회로나 정류회로 또는 제어회로 등을 적용하여야 한다.
LED조명회로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942234호의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는 입력 전압에 따라 LED회로 연결을 변화시키는 구조의 채용으로 LED에 공급되는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 따른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평균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공급 전력에 대하여 출력 전력을 최대화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키며, 별도의 PFC와 같은 IC를 사용하지 않고 LED어레이를 입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 효율적으로 스위칭시킴으로써, 획기적인 역률 개선 및 THD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2234호
본 발명은 LED 조명회로로서 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저항으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변화에도 안정적인 정전류원을 공급하고, 변동하는 교류전원이 인가될 때에 교류전원의 제어시작점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며,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증감을 검출하여 복수의 LED어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전류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LED 조명회로에 있어서, 인가된 교류전압(AC)을 브리지다이오드를 거쳐 정류한 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LED어레이로 이루어진 LED모듈에 인가시키되, LED모듈로 인가되는 입력전압의 변화를 저항을 통하여 각 LED어레이에 일정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정전류원으로 이루어진 정전류회로부; 상기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설정치보다 상승할 때에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출력전력제어회로부; 상기 정전류회로부에서 입력되는 정전압과 브리지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원전압을 비교하여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증가와 감소를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회로부, 및 상기 입력전압검출회로부에서 입력된 신호로 정전류회로부에서 LED모듈의 LED어레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전류원선택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전류회로부에는 온도 변화에 무관한 정전압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전류회로부의 정전류원은 브리지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제1LED어레이 일단에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소스단에 저항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와, +입력단에 저항을 통해 정전압원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소스단과 저항 사이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에 연결된 연산증폭기가 포함되고, 상기 출력전력제어회로부는 브리지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통해 게이트단이 연결되고 상기 저항을 통해 정전압원의 전압이 드레인단으로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게이트단과 제3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과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게이트단이 정전압원에 연결된 저항을 통해 게이트단에 연결되는 제5트랜지스터와, 상기 정전압원에 연결된 저항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게이트단과 제5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과 연결되는 제6트랜지스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전압검출회로부는 브리지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과 저항 사이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정전압원과 연결된 저항과 저항 사이에 +입력단이 연결된 비교기가 포함되고, 상기 정전류원선택회로부는 상기 입력전압검출회로부의 비교기 출력단에 연결되어 복수의 LED어레이에 정전류회로부의 선택된 정전류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전류회로부의 정전류원은 LED어레이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전류원선택회로부의 선택으로 스위칭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모듈에 하나 이상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설정할 수 있고, 변동하는 교류전원의 변화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LED어레이들은 넓은 입력전압 범위에서 정전류원들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역률 및 저고조파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LED모듈의 안정적인 제어 및 운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LED 조명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정류된 전압과 LED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LED 조명회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정한다.
도 1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원(AC)은 브리지다이오드(10)를 거치면서 직류전원(DC)으로 정류되어 입력된다. 브리지다이오드(10)에는 하나 이상의 LED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LED어레이(11-1~11-n)가 포함된 LED모듈(11)이 병렬로 연결된다.
정전류회로부(12)는 인가된 교류전압(AC)을 브리지다이오드(10)를 거쳐 정류한 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LED어레이(11-1~11-n)로 이루어진 LED모듈(11)에 인가시키되, LED모듈(11)로 인가되는 입력전압의 변화를 저항(R0)을 통하여 각 LED어레이에 일정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정전류원(12-1~12-n)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정전류회로부(12)는 LED모듈(11)로 인가되는 정전류값이 정전류원의 내부저항에 의하여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전류회로부(12)에는 온도 변화에 무관한 정전압원(13)이 연결되어 있다. 정전압원(13)은 기준전압(Vref)을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정전압원(13)은 예를 들어, 밴드갭 레퍼런스(Bandgap Reference)로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의 베이스(Base)와 에미터(Emitter) 사이의 다이오드구조에서 음의 온도계수와 Vt(Thermal Voltage)의 양의 온도계수 저항값을 가지고 서로의 온도계수를 이용하여서 상쇄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온도에 무관한 정전압원을 말한다.
정전류회로부(12)의 정전류원(12-1~12-n)은 LED어레이(11-1~11-n)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의 선택으로 스위칭되도록 연결된다.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는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설정치보다 상승할 때에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는 인가되는 교류전압의 변동치가 설정치를 벗어날 때에 정전류회로부(12)의 설정된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설정된 범위 내에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는 정전류회로부(12)에서 입력되는 정전압과 브리지다이오드(10)에서 정류된 전원전압을 비교하여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증가와 감소를 검출하는 것이다.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는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에서 입력된 신호로 정전류회로부(12)에서 LED모듈(11)의 LED어레이(11-1~11-n)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2개의 LED어레이(11-1 및 11-2)가 브리지다이오드(10)에 연결되고, 각 LED어레이(11-1 및 11-2)의 캐소드단에 제1정전류원(12-1) 및 제2정전류원(12-2)의 출력단이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정전류회로부(12)의 입력단에 출력전력제어회로부(16)가 연결되어 있고, 브리지다이오드(10)와 정전류회로부(12)의 정전압원(13)에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가 연결되며,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에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전류회로부(12)의 제1정전류원(12-1)은 제1트랜지스터(Q1) 및 저항(R1)과 연산증폭기(OP1)가 구비되어 있다. 정전류회로부(12)의 제1정전류원(12-1)은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제1LED어레이(11-1) 일단, 즉 캐소드단에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소스단에 저항(R1)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Q1)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연산증폭기(OP1)의 +입력단(또는 비반전단)에 저항(R0)을 통해 정전압원(13)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입력단(또는 반전단)은 제1트랜지스터(Q1)의 소스단과 저항(R1) 사이에 연결되며, 제1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은 제1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단에 연결된다. 상기 정전압원(13)의 기준전압(Vref)은 저항(R0)을 거쳐 연산증폭기(OP1)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연산증폭기(OP1)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은 다음의 수식과 같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제1트랜지스터(Q1)에 흐르는 출력전류(I0)는 다음의 수식과 같다.
Figure pat00002
수식에서, I는 저항(R0)에 흐르는 전류이다.
또한, 상기 정전압원(13)의 기준전압(Vref)은 저항(R0)을 거쳐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연산증폭기(OP1)의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Vin)과 출력전류(I0)는 상기의 수식과 같다.
또한, 정전류회로부(12)의 제2정전류원(12-2)은 제2LED어레이(11-2) 일단, 즉 캐소드단에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소스단에 저항(R2)이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Q2)가 연결된다. 상기 제2LED어레이(11-2)는 제1정전류원(12-1)의 제1트랜지스터(Q1) 드레인단과 제2정류원(12-2)의 제2트랜지스터(Q2)의 드레인단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또는 비반전단)에 저항(R0)을 통해 정전압원(13)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입력단(또는 반전단)은 제2트랜지스터(Q2)의 소스단과 저항(R2) 사이에 연결되며, 제2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은 제2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단에 연결된다.
한편, 정전류회로부(12)에는 LED모듈에 포함된 LED어레이의 개수에 따라 정전류원의 개수가 동일하게 구비될 것이다.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는 제3트랜지스터(Q3) 및 제4트랜지스터(Q4)와 저항(R3), 제5트랜지스터(Q5) 및 제6트랜지스터(Q6)와 저항(R4)이 정전류회로부(12)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는 인가되는 교류전압의 변동치가 설정치를 벗어날 때에 정전류회로부(12)의 설정된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설정된 범위 내에서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출력전력제어회로부(16)의 제3트랜지스터(Q3)는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3)을 통해 게이트단이 연결되고 상기 저항(R0)을 통해 정전압원의 전압이 드레인단으로 인가되도록 연결된다. 제4트랜지스터(Q4)는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3)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게이트단과 제3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단과 연결된다. 제3트랜지스터(Q3)와 제4트랜지스터(Q4)의 각 게이트단은 저항(R3)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5트랜지스터(Q5)는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3)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게이트단이 정전압원(13)에 연결된 저항(R4)을 통해 게이트단에 연결된다. 제6트랜지스터(Q6)는 정전압원(13)에 연결된 저항(R4)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게이트단과 제5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단과 연결되는 제6트랜지스터(Q6)가 연결된다. 제5트랜지스터(Q5)와 제6트랜지스터(Q6)의 각 게이트단은 저항(R4)을 통해 연결된다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의 비교기(COMP)의 -입력단(반전단자)에는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7)과 저항(R8) 사이에 연결되고, 비교기(COMP)의 +입력단(비반전단자)에는 정전압원(13)과 연결된 저항(R9)과 저항(R10) 사이에 연결된다. 더욱이 +입력단에 연결된 저항(R9)과 저항(R10)에 의하여 정전압원(13)으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분압전압으로 하는 기준전압이 되고, -입력단에 연결된 저항(R7)과 저항(R8)에 의하여 다이오드브리지(10)에서 정류되어 입력된 전압을 분압전압이 된다. 따라서 비교기(COMP)는 저항(R9 및 R10)에 의한 기준전압과 저항(R7 및 R8)에 의한 분압전압을 비교하여 출력단으로 비교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는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의 비교기(COMP) 출력단에 연결되어 복수의 LED어레이(11-1, 11-2)에 정전류회로부(12)의 선택된 정전류원을 온 또는 오프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2에서, 복수의 LED어레이(11-1, 11-2)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연산증폭기(OP1, OP2)의 입력전압으로 출력한다.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에는 반전기(OP3)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1트랜지스터(Q1) 내지 제6트랜지스터(Q6)는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가 적용되었지만, 제1트랜지스터(Q1) 내지 제6트랜지스터(Q6)로 접합형 트랜지스터(BJT)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LED 조명회로에서, 정전류회로부(12)는 LED모듈(11)로서 복수의 LED어레이(11-1, 1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온도변화와 무관하게 제1정전류원(12-1)의 저항(R1) 또는 제2정전류원(12-2)의 저항(R2)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의 출력전류 제어에 의하여 입력전압의 변화를 저항(R3)과 제3트랜지스터(Q3) 및 제4트랜지스터(Q4)를 통해 전류로 변환하고 저항(R0)에 제어전압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정전압원(13)과 저항(R4) 및 제5트랜지스터(Q5)와 제6트랜지스터(Q6)로 구성된 교류입력전압의 제어변동점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변동하는 교류전원의 변화가 설정치를 벗어나면 정전류회로부(12)에서 설정된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설정된 범위 내에서 출력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변동하는 교류전원의 제어시작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정류된 전압(V)에 따라 LED어레이에 흐르는 전류(I0)를 나타낸 출력파형이다.
또한, 교류전원의 증감을 검출할 수 있도록 정전압원(13)으로부터 저항(R9) 및 저항(R10)을 직렬 연결한 분압전압을 기준전압으로 하여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의 비교기(COMP)의 +입력단에 인가되도록 하고, 브리지다이오드(10)에서 정류된 전원전압을 저항(R7) 및 (R8)을 직렬 연결한 분압전압을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의 비교기(COMP)의 -입력단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비교기(COMP)의 출력을 조합하여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에서 각 LED어레이(11-1 또는 11-2)를 구동시키는 정전류원(12-1 또는 12-2)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LED어레이들을 넓은 입력전압 범위에서 정전류원들을 구동시킴에 따라 고역률 및 저고조파 특성을 가지는 고효율의 LED 조명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브리지다이오드 11: LED모듈 12: 정전류회로부 13: 정전압원 14: 출력전력제어회로부 15: 입력전압검출회로부 16: 정전류원선택회로부 Q1-Q6: 트랜지스터 OP1, OP2: 연산증폭기 OP3: 반전기 COMP: 비교기 R0-R10: 저항

Claims (5)

  1. LED 조명회로에 있어서,
    인가된 교류전압(AC)을 브리지다이오드(10)를 거쳐 정류한 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LED어레이(11-1~11-n)로 이루어진 LED모듈(11)에 인가시키되, LED모듈(11)로 인가되는 입력전압의 변화를 저항(R0)을 통하여 각 LED어레이에 일정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정전류원(12-1~12-n)으로 이루어진 정전류회로부(12);
    상기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설정치보다 상승할 때에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
    상기 정전류회로부(12)에서 입력되는 정전압과 브리지다이오드(10)에서 정류된 전원전압을 비교하여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증가와 감소를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 및
    상기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에서 입력된 신호로 정전류회로부(12)에서 LED모듈(11)의 LED어레이(11-1~11-n)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LED 조명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회로부(12)에는 온도 변화에 무관한 정전압원(13)이 더 포함된 LED 조명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회로부(12)의 정전류원(12-1)은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제1LED어레이(11-1) 일단에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소스단에 저항(R1)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Q1)와, +입력단에 저항(R0)을 통해 정전압원(13)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소스단과 저항(R1) 사이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제1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단에 연결된 연산증폭기(OP1)가 포함되고, 상기 출력전력제어회로부(14)는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3)을 통해 게이트단이 연결되고 상기 저항(R0)을 통해 정전압원의 전압이 드레인단으로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Q3)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3)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게이트단과 제3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단과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Q4)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3)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게이트단이 정전압원(13)에 연결된 저항(R4)을 통해 게이트단에 연결되는 제5트랜지스터(Q5)와, 상기 정전압원(13)에 연결된 저항(R4)을 통해 드레인단이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게이트단과 제5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단과 연결되는 제6트랜지스터(Q6)가 포함된 LED 조명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는 브리지다이오드(10)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7)과 저항(R8) 사이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정전압원(13)과 연결된 저항(R9)과 저항(R10) 사이에 +입력단이 연결된 비교기(COMP)가 포함되고, 상기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는 상기 입력전압검출회로부(15)의 비교기(COMP) 출력단에 연결되어 복수의 LED어레이에 정전류회로부(12)의 선택된 정전류원을 온 또는 오프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가 포함된 LED 조명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회로부(12)의 정전류원(12-1~12-n)은 LED어레이(11-1~11-n)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전류원선택회로부(16)의 선택으로 스위칭되도록 연결된 LED 조명회로.
KR1020110096406A 2011-09-23 2011-09-23 엘이디 조명회로 KR10126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06A KR101266284B1 (ko) 2011-09-23 2011-09-23 엘이디 조명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06A KR101266284B1 (ko) 2011-09-23 2011-09-23 엘이디 조명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66A true KR20130032666A (ko) 2013-04-02
KR101266284B1 KR101266284B1 (ko) 2013-05-22

Family

ID=4843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06A KR101266284B1 (ko) 2011-09-23 2011-09-23 엘이디 조명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95B1 (ko) * 2015-09-24 2016-10-05 스마트론파워(주) 다채널 led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US9468058B2 (en) 2014-01-08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81B1 (ko) 2013-10-02 2015-08-31 메를로랩 주식회사 광 편차의 조정 기능을 갖는 교류 led 구동회로
CN105307340A (zh) * 2015-11-06 2016-02-03 慈溪市中发灯饰有限公司 一种led驱动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9565A (ja) * 2004-03-12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駆動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8058B2 (en) 2014-01-08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KR101661895B1 (ko) * 2015-09-24 2016-10-05 스마트론파워(주) 다채널 led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284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0392B2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TWI510131B (zh) 發光元件驅動電路及其控制方法
CN105307324B (zh) 具备多级驱动阶段的发光二极管照明装置
US10595368B2 (en) LED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balancing efficiency and power factor
WO2011096680A2 (ko) 발광다이오드 조명 구동 장치
TW201112876A (en) Dimmer for a light emitting device
US8368324B2 (en)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rive voltage
JP2011003467A (ja) 照明装置
KR101266284B1 (ko) 엘이디 조명회로
Liang et al. A novel line frequency multistage conduction LED driver with high power factor
KR101582500B1 (ko) 전류 설정값 및 스위치 전압을 조정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CN104717792A (zh) 发光二极管驱动设备和发光二极管照明设备
KR100949392B1 (ko)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
TWI519204B (zh) 具備多級驅動階段之發光二極體照明裝置
US20110006605A1 (en) Current-sharing supply circuit for driving multiple sets of dc loads
TWI547201B (zh) 具備多級驅動階段之發光二極體照明裝置
TW201446074A (zh) 發光二極體的驅動裝置
US10201045B1 (en)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KR101266283B1 (ko) 엘이디 조명회로
KR101014644B1 (ko) 엘이디 구동 회로
CN219395090U (zh) Led驱动电路及led发光装置
TWI499349B (zh) Multi-stage LED driver circuit
KR20150113756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KR20110023870A (ko) 발광 시스템
Park et al. AC-DC converter using V^ sub GS^-multiplier circuit for LED light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