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496A - 상지 근력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상지 근력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496A
KR20130032496A KR1020110096113A KR20110096113A KR20130032496A KR 20130032496 A KR20130032496 A KR 20130032496A KR 1020110096113 A KR1020110096113 A KR 1020110096113A KR 20110096113 A KR20110096113 A KR 20110096113A KR 20130032496 A KR20130032496 A KR 20130032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ignal
elbow
upper limb
bio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364B1 (ko
Inventor
김기훈
김신정
이한진
유범재
오상록
조재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9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3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59Free spatial automatic movement of interface within a working area, e.g. Rob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 A61H2230/605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61H2230/625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자나 노약자의 상지 근력 강화 운동을 보조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 의도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작동가능한 상지 근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상지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전극;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전극에서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동작 의도 타이밍을 분석하는 생체 신호 처리부; 사용자의 상지가 접촉하는 상지 접촉부를 갖는 연결 링크부; 상기 연결 링크부에 부착되어 상지의 힘을 감지하는 힘 센서; 상기 생체 신호 처리부에서 분석한 정보와 상기 힘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통합하여, 상기 연결 링크부의 이동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동작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며, 상기 연결 링크부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지 근력 보조 장치 {APPARATUS FOR SUPPORTING A MUSCULAR STRENGTH OF ARM}
본 발명은 재활자나 노약자의 상지 근력 강화 운동을 보조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 의도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작동가능한 상지 근력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노령화에 따른 노약자의 상지 근력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뇌졸증 또는 사고 등으로 근력이 상실된 환자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재활 장비로 상지 근력 보조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중력 보상이나 단순한 반복 운동을 통한 재활의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대로 장치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근력 강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의 경우, 외골격 형태로 팔을 감싸서 근력 강화를 보조하는 형태가 대부분인데, 이는 기기 자체의 하중을 사용자가 감당함으로써 무게에 대한 부담이 발생하며, 팔을 기기에 집어 넣거나 감싸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착용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지 근력 보조 장치가 고정된 형태인 경우, 인체 관절의 회전 축과 기기의 회전 축을 정합하도록 보정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사용자에 따라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근전도 신호를 입력받거나, 힘 센서를 이용한 측정 신호를 필터링 한 후 단순 증폭하여 제어 신호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임피던스(힘을 주었을 때 움직이는 정도)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2009-00304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 03. 25. 요약, 청구항 1, 도면 1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10-2011-0027447 (학교법인 동의학원) 2011. 03. 16. 요약, 청구항 1, 도면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 의도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작동가능한 상지 근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상지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전극;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전극에서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동작 의도 타이밍을 분석하는 생체 신호 처리부; 사용자의 상지가 접촉하는 상지 접촉부를 갖는 연결 링크부; 상기 연결 링크부에 부착되어 상지의 힘을 감지하는 힘 센서; 상기 생체 신호 처리부에서 분석한 정보와 상기 힘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통합하여, 상기 연결 링크부의 이동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동작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며, 상기 연결 링크부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상기 연결 링크부에 부착되어 상지의 관절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동작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링크부는, 손잡이와, 사용자의 팔꿈치가 접촉하는 팔꿈치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꿈치 고정대는, 일면이 개방되어 사용자의 팔꿈치가 안착되는 오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상기 팔꿈치 고정대를 팔꿈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 및 상기 손잡이를 손목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상기 팔꿈치 고정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팔꿈치의 회전축과 정합시키는 팔꿈치 회전축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상기 제2 모터의 동력을 상기 손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손목회전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신호 처리부는, 상기 연결 링크부의 위치와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및 속도 제어기; 및 상기 위치 및 속도 제어기에서 생성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모터로 입력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 의도에 따라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작동가능하므로, 재활 치료 등의 상지 근력 강화 운동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장치 위에 팔을 거치시키는 형태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상지 근력 보조 장치의 하중을 부담하지 않고, 근력 강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근력 보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신호 처리부의 처리 과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지 근력 보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근력 보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신호 처리부의 처리 과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생체 신호 측정 전극(110), 신호 처리부(120), 모터(152, 154), 연결 링크부(160), 상지 접촉부(162) 및 힘 센서(170)를 포함하며, 신호 처리부(120)는 생체신호 처리부(130)와 동작 신호 처리부(140)로 이루어진다.
생체 신호 측정 전극(110)은 사용자의 상지 근육의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신호를 측정하며, 근전도 측정 신호는 생체신호 처리부(130)로 전달된다. 근전도 신호는 근섬유막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신호로서, 생체 신호 측정 전극(110)은 근육의 동작 시, 근육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측정한다.
이어서, 생체신호 처리부(130)는 생체 신호 측정 전극(110)에서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동작 의도 타이밍(timing)을 분석한다. 상기 분석을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생체신호 처리부(130)는 근전도 측정신호를 필터링, 절대값 산출, 적분, 및 P 스레쉬홀드 데드밴드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동작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동작 신호 처리부(140)는 생체 신호 처리부(130)에서 분석한 정보와 힘 센서(170)에서 감지한 힘 측정 신호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동작 의도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동작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신호는 연결 링크부(160)의 이동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제1 모터(152)와 제2 모터(154)는 동작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며, 상기 연결 링크부(160)와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 링크부(160)는 모터(152, 154)의 구동에 따라 회전 내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모터는 제1 모터(152)와 제2 모터(154)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모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상지 근력 강화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회전 방향에 따라 모터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연결 링크부(160)는 사용자의 상지가 접촉하는 상지 접촉부(162)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지 접촉부(162)는, 사용자의 팔을 감싸는 형태인 종래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와 달리, 일면이 개방되어 사용자의 팔꿈치를 안착시킬 수 있는 오목한 구조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지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재활 시, 상지 근력 보조 장치 자체의 하중을 감당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힘 센서(170)는 연결 링크부(160)에 부착되어 상지의 힘을 감지하여, 동작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위치 센서(미도시)를 힘 센서(170)와 같이 연결 링크부(160)에 부착하고, 위치 센서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상지의 관절 각도 신호와 힘 센서(170)에서 감지한 힘 측정신호를 동작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동작 신호 처리부(140)의 신호 처리 과정을 더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 전극(1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근전도 신호가 생체신호 처리부(130)에서 처리되어 동작 신호 처리부(140)로 전달된다. 한편, 힘 센서(170)에서 감지된 힘 측정 신호는 동작 신호 처리부(140)에 전달되어, 필터링 과정을 거치며, 생체신호 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신호와 통합되어, 사용자의 동작 의도 타이밍을 조절하도록 신호 처리된다. 신호 처리를 위해, 동작 신호 처리부(140)는 신호를 증폭하고, 가상의 임피던스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신호 처리부(140)는, 연결 링크부(160)의 위치와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및 속도 제어기(141)와, 상기 위치 및 속도 제어기(141)에서 생성된 신호를 증폭하여 모터(150)로 입력시키는 선형 전압-전류 증폭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신호는 모터(150)로 전달되며, 이후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지 근력 보조 장치는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100), 생체 신호 처리부(130) 및 동작 신호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100)은, 도 1에서 제1 모터(152), 제2 모터(154), 연결 링크부(160), 상지 접촉부(162) 및 힘 센서(170)를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100)에서 감지된 근전도 측정신호, 힘 측정신호, 관절 각도 측정신호는 A/D 컨버터(143)와 엔코더(144)로 입력되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 과정을 거친다. 이어서, 동작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신호는 D/A 컨버터(145)를 거쳐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100)의 모터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상지 근력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100)은, 제1 모터(152), 제2 모터(154), 손목회전 동력 전달메커니즘(156), 손잡이(164), 팔꿈치 고정대(166) 및 팔꿈치 회전축 조절부(18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지를 팔꿈치 고정대(166)에 거치시킨 후, 손으로 손잡이(164)를 잡은 상태에서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모터(152)는 팔꿈치 고정대(166)를 팔꿈치 회전축(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며, 제2 모터(154)는 손잡이(164)를 손목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모터(154)의 동력을 손목 회전축(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손목회전 동력 전달 메커니즘(15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모터(152)와 제2 모터(154)에 의해, 사용자는 팔꿈치 회전축(1)과 손목 회전축(2)을 중심으로 하는 2자유도 상지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모터를 부가하여, 더 높은 자유도를 갖는 상지 근력 보조 로봇을 구성할 수도 있다.
팔꿈치 회전축 조절부(180)는 팔꿈치 고정대(166)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팔꿈치 회전축(1)과 정합시킨다. 사용자에 따라 팔꿈치 회전축 조절부(180)를 통해 팔꿈치 고정대(166)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지 근력 운동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팔꿈치 회전축
2: 손목 회전축
100: 2자유도 상지 근력 보조 로봇
110: 생체신호 측정 전극
120: 신호 처리부
130: 생체 신호 처리부
140: 동작 신호 처리부
141: 위치 및 속도 제어기
142: 선형 전압-전류 증폭기
143: A/D 컨버터
144: 엔코더
145: D/A 컨버터
150: 모터
152: 제1 모터
154: 제2 모터
156: 손목회전 동력 전달 메커니즘
160: 연결 링크부
162: 상지 접촉부
164: 손잡이
166: 팔꿈치 고정대
170: 힘 센서
180: 팔꿈치 회전축 조절부
200: 사용자

Claims (8)

  1. 사용자의 상지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전극;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전극에서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동작 의도 타이밍을 분석하는 생체 신호 처리부;
    사용자의 상지가 접촉하는 상지 접촉부를 갖는 연결 링크부;
    상기 연결 링크부에 부착되어 상지의 힘을 감지하는 힘 센서;
    상기 생체 신호 처리부에서 분석한 정보와 상기 힘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통합하여, 상기 연결 링크부의 이동 및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동작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한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며, 상기 연결 링크부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부에 부착되어 상지의 관절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동작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부는,
    손잡이와, 사용자의 팔꿈치가 접촉하는 팔꿈치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 고정대는, 일면이 개방되어 사용자의 팔꿈치가 안착되는 오목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 고정대를 팔꿈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 및
    상기 손잡이를 손목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 고정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팔꿈치의 회전축과 정합시키는 팔꿈치 회전축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의 동력을 상기 손목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손목회전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 처리부는,
    상기 연결 링크부의 위치와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및 속도 제어기; 및
    상기 위치 및 속도 제어기에서 생성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모터로 입력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보조 장치.
KR1020110096113A 2011-09-23 2011-09-23 상지 근력 보조 장치 KR10128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13A KR101280364B1 (ko) 2011-09-23 2011-09-23 상지 근력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113A KR101280364B1 (ko) 2011-09-23 2011-09-23 상지 근력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96A true KR20130032496A (ko) 2013-04-02
KR101280364B1 KR101280364B1 (ko) 2013-07-01

Family

ID=4843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113A KR101280364B1 (ko) 2011-09-23 2011-09-23 상지 근력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3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84A1 (ko) * 2014-03-27 2015-10-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상지 재활을 위한 중력이 보상되는 어깨관절 추종 장치
KR20180035669A (ko) * 2016-09-29 2018-04-06 울산과학기술원 상지 다관절 임피던스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27359A (ko) * 2016-06-29 2019-03-14 푼다시온 테크날리아 리서치 앤드 이노베이션 상지를 재활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
KR20220096281A (ko) * 2020-12-30 2022-07-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팔 재활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27B1 (ko) 2013-10-28 2015-02-05 주식회사 포스코 근력지원 로봇용 손잡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지원 로봇
KR101653497B1 (ko) 2015-06-05 2016-09-0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인식 기반의 외골격계 근력보조 시스템
KR101872721B1 (ko) * 2016-10-26 2018-07-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팔꿈치 재활로봇
CN108743243B (zh) * 2018-07-16 2020-05-15 东北大学 一种手腕康复装置
CN110123580A (zh) * 2019-05-20 2019-08-16 东北大学 一种末端牵引式上肢康复平台
CN110074946B (zh) * 2019-06-17 2021-02-09 山东海天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手腕功能康复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8186B2 (ja) * 2003-08-21 2008-11-12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装着式動作補助装置、装着式動作補助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用プログラム
JP5209924B2 (ja) * 2006-10-03 2013-06-12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動作補助装置及び動作補助装置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100898745B1 (ko) * 2007-09-20 2009-05-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근력 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7246A (ko) * 2008-03-11 2009-09-16 (주)오에스앤 근전도 센서를 이용한 조작신호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84A1 (ko) * 2014-03-27 2015-10-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상지 재활을 위한 중력이 보상되는 어깨관절 추종 장치
KR20190027359A (ko) * 2016-06-29 2019-03-14 푼다시온 테크날리아 리서치 앤드 이노베이션 상지를 재활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
KR20180035669A (ko) * 2016-09-29 2018-04-06 울산과학기술원 상지 다관절 임피던스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96281A (ko) * 2020-12-30 2022-07-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팔 재활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364B1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364B1 (ko) 상지 근력 보조 장치
US8359123B2 (en) Robotic system and training method for rehabilitation using EMG signals to provide mechanical help
Rahman et al. Development of a whole arm wearable robotic exoskeleton for rehabilitation and to assist upper limb movements
JP5507224B2 (ja) 歩行介助ロボット
JP5961331B2 (ja) ユーザー結合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US11612537B2 (en) System and device for guiding and detecting motions of 3-DOF rotational target joint
Nef et al. ARMin-robot for rehabilita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JP5706016B2 (ja) 歩行介助ロボット
WO2013036925A2 (en) Isolated orthosis for thumb actuation
KR101694369B1 (ko) 상지 재활 로봇
KR100802533B1 (ko) 인체 하지의 보행모드 결정장치 및 이를 갖는 인체 하지용보조 근력 로봇 및 이를 사용한 인체 하지의 보행모드결정방법
Saccares et al. A novel human effort estimation method for knee assistive exoskeletons
KR20150049856A (ko) 착용형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ITPI20100102A1 (it) Dispositivo per l'allevio degli sforzi articolari derivanti dal peso proprio degli arti umani
Beekhuis et al. Design of a self-aligning 3-DOF actuated exoskeleton for diagnosis and training of wrist and forearm after stroke
KR20090030402A (ko) 상지 근력 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rcolini et al. A novel generation of ergonomic upper-limb wearable robots: Design challenges and solutions
Weiss et al. Towards a parameterizable exoskeleton for training of hand function after stroke
Liu et al. EMG-driven model-based knee torque estimation on a variable impedance actuator orthosis
Shen et al. Upper limb wearable exoskeleton systems for rehabilitation: State of the art review and a case study of the EXO-UL8—Dual-arm exoskeleton system
Chapuis et al. ReFlex, a haptic wrist interface for motor learning and rehabilitation
Lobo-Prat et al. Design and control of an experimental active elbow support for adult Duchenne Muscular Dystrophy patients
JP2018103322A (ja) アシスト装置
Karadeniz et al. Design of a 4-DOF grounded exoskeletal robot for shoulder and elbow rehabilitation
Haufe et al. The InSight Crutches: Analyzing the role of arm support during robot-assisted leg mov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