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479A -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479A
KR20130032479A KR1020110096087A KR20110096087A KR20130032479A KR 20130032479 A KR20130032479 A KR 20130032479A KR 1020110096087 A KR1020110096087 A KR 1020110096087A KR 20110096087 A KR20110096087 A KR 20110096087A KR 20130032479 A KR20130032479 A KR 2013003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tic
white
particles
specific gravity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494B1 (ko
Inventor
신영섭
김진욱
전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의 비중 감소를 통해 응답 속도 및 쌍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영동 입자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기영동 입자는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된 백색 안료 입자와;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된 전하 조절제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광을 산란시켜 백색을 표시하는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진 쉘 부분과; 상기 쉘 부분보다 비중이 낮은 코어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비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ELECTROPHORETIC PARTICLE AND ELECTROPHORETIC DISPAL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ELECTROPHORETIC DISPALY}
본 발명은 전기영동 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영동 입자의 비중 감소를 통해 응답 속도 및 쌍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영동 표시소자(EPD: ElectroPhoretic Display)는 절연성 분산 용매 내에 분산된 대전 입자가 전기장의 작용에 따라 표시면에서 전기영동을 유도하고, 분산 용매와 대전 입자의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표시를 실행한다.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마주하는 한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표시면으로 백색 입자가 모이면 백색을, 흑색 입자가 모이면 흑색을 표시한다.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액정 표시소자와 다르게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하지 않으며, 소비 전력이 낮은 특징과, 전력 공급없이도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메모리성을 가짐에 따라 전자 종이(Electric Paper)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용매없이 전기영동 입자들을 이용한 건식형 전기영동 표시소자와, 분산용매 내에 전기영동 입자들이 분산된 습식형 전기영동 표시소자로 대별될 수 있다.
종래의 건식형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응답 속도가 0.2ms 정도로 빠르지만 구동 전압이 100V 이상으로 높은 단점이 있어 차세대 전기영동 표시소자로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습식형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10V~20V 정도로 구동전압이 낮은 장점이 있지만, 분산 용매 내에서 전기영동 입자들이 영동하기 때문에 용매의 점성 저항 및 고비중 입자로 인하여 응답 속도가 350ms 정도로 느린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백색 입자로 티타니아(Titania; TiO2)를 주로 이용하고, 흑색 입자로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카본 블랙 입자는 2 정도의 낮은 비중을 갖는 반면에 티타니아 입자는 4 정도로 높은 비중을 갖고 있다. 카본 블랙 대비 티타니아의 비중이 높음으로 인하여 백색 입자가 저비중 용매내에서 침강되기 용이하여 쌍안정성 유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동도가 저하되어 응답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습식형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텍스트와 같은 단순한 화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영상 및 터치 기능과 같이 빠른 응답 속도를 구현하기에는 쌍안정성 및 응답 속도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영동 입자의 비중 감소를 통해 응답 속도 및 쌍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입자는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된 백색 안료 입자와;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된 전하 조절제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광을 산란시켜 백색을 표시하는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진 쉘 부분과; 상기 쉘 부분보다 비중이 낮은 코어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쉘 부분은 티타니아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 부분은 비어있거나, 상기 티타니아 보다 비중이 낮은 유기물, 금속 또는 무기물로 구성된다.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1~3 범위의 비중을 갖는다.
상기 코어 부분은 1~1.5 범위의 비중을 갖는다.
상기 전기영동 입자는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되거나 상기 백색 안료 입자를 둘러싸는 컬러 안료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상기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하고 제1 전하를 갖는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와, 제2 전하를 갖는 흑색 전기 영동 입자가, 절연성 용매에 분산된 전기영동 잉크가 주입된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전기장 인가를 위해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상기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하고 제1 전하를 갖는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와, 제2 전하를 갖는 흑색 전기 영동 입자가 주입된 복수의 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한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와, 절연 용매에 분산된 백색 또는 컬러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와; 흑색 전기영동 입자가 절연 용매에 분산된 흑색 컬러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1 전극이 형성된 하부 기판 상에 격벽을 제조하여 각 화소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화소 공간에 상기 백색 또는 컬러 잉크와 상기 흑색 컬러 잉크를 혼합한 혼합 잉크를 주입하여 각 화소를 형성하는 단계와; 각 화소가 형성된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제2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을 합착하여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에 포함된 상기 백색 안료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는, 유기물, 금속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코어 부분과, 광을 산란시켜 백색을 표시하는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진 쉘 부분으로 구성되는 백색 안료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 부분을 태우거나, 특정 용매로 완전히 용해시켜서 상기 코어 부분을 비어 있는 할로우 구조의 백색 안료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부분의 물질로 코발트 나노 입자 또는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이용하고, 상기 쉘 부분의 물질로 티타니아를 이용하며;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상기 코어 부분의 물질에 상기 티타니아 전구체를 추가하여 상기 티타니아 분자를 핵성장시키고 쉘 부분까지 성장시켜 제조한다.
상기 티타니아 쉘 부분의 두께를 상기 티타니아 전구체를 농도를 제어하여 조절한다.
상기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는 1~2 범위의 비중을 갖는다.
상기 혼합 잉크는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딥 코팅, 잉크젯, 롤투롤 코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주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저비중 코어와 고비중 쉘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저비중 백색/컬러 안료 입자나, 코어 없이 고비중 쉘로만 구성된 할로우 타입의 저비중 백색/컬러 안료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의 비중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의 비중 감소를 통해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의 이동도가 향상되어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비중 용매내에서의 침강을 방지하여 쌍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빠른 응답 속도를 통해 동영상 표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영동 표시소자 상에 터치 패널을 탑재하는 경우에도 빠른 응답 속도를 통해 터치 패널의 명령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백색 안료 입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안료 입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b에 나타낸 백색 안료 입자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전기영동 입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종래의 백색 안료 입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안료 입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백색 안료 입자(10)는 티타니아로만 구성되어 4 정도로 높은 비중을 갖고 있다.
도 1b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백색 안료 입자(20)는 코어-쉘(Core-Shell)구조에서 코어 부분이 비어있는 할로우(Hollow)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백색 안료 입자(20)는 광 산란율이 높은 티타니아로 구성된 쉘 부분(22)과, 비어있는 코어 부분(24)으로 구성된다. 코어 부분(24)가 비어있고 쉘 부분(22)만 티타니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20)의 비중을 1~3 범위까지, 바람직하게는 1.5~2.5 범위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백색 안료 입자(30)는 저비중 코어와 고비중 쉘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Hybride)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백색 안료 입자(30)는 광반사율이 높은 티타니아로 구성된 쉘 부분(22)과, 티타니아보다 비중이 낮은 저비중의 유기물, 금속 또는 무기물로 구성된 코어 부분(34)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저비중의 코어 부분(34)의 재료로는 멜라민 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등과 같이 1~1.5 범위의 저비중을 갖는 유기물이 이용된다. 저비중 코어 부분(34)으로 인하여 저비중 코어와 고비중 쉘 구조를 갖는 백색 안료 입자(30)의 비중을 2~3 범위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20)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물로 구성된 코어 부분(34)과 티타니아로 구성된 쉘 부분(22)을 갖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백색 안료 입자(30)를 먼저 형성한 다음, 코어 부분(34)의 유기물을 태우거나 용제를 침투시켜 유기물 코어 부분(34)만을 완전해 용해시킴으로써, 비어 있는 코어 부분(24)과 티타니아 쉘 부분(22)으로 구성된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어 부분(34)에는 금속이나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물로는 코발트 나노 입자나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 부분(34)의 재료에 티타니아 전구체를 첨가하여 티타니아 분자를 핵형성시키고, 질소(N2) 퍼징(Purging)을 통해 티나니아 쉘 부분(32)를 성장시킴으로써 코어-쉘 하이브리드 구조를 갖는 백색 안료 입자(34)를 형성한다. 이어서, 퍼징을 중단하고 코어 부분(34)의 주형 재료를 용제를 이용하여 완전 용해시킴으로써 비어 있는 코어 부분(24)과 티타니아 쉘 부분(22)으로 구성된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20)를 제조할 수 있다. 티타이나 쉘 부분(22)의 두께는 광 산란율(즉, 광 반사율)을 고려하여 티타니아 전구체의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색 안료 입자(20, 30)는 1~3 범위의 비중과, 250nm 이하의 크기, 2.5 이상의 굴절율을 갖는다. 백색 안료 입자의 비중이 1 보다 낮으면 티타니아 쉘 부분(22)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서 광 산란율이 낮고, 비중이 3 보다 높으면 저비중 효과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안료 입자는 빈 코어 부분(24)과, 티타니아 쉘 부분(22)으로 이루어진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20)나, 저비중 코어 부분(34)과 티타니아 쉘 부분(22)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백색 안료 입자(30)를 구비함으로써 비중을 1~3 범위까지 낮출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백색 전기영동 입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저비중 백색 전기영동 입자(40)는 이상적인 경우로 바인더(42) 내에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20, 30), 전하 조절제(44)가 바인더(42)와 유기 결합되어 포함되고, 바인더(42) 외부에 계면 활성제(46)가 유기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20, 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백색 빈 코어 부분(24)과, 티타니아 쉘 부분(22)으로 이루어진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20)나, 저비중 코어 부분(34)과 티타니아 쉘 부분(22)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백색 안료 입자(30)로써, 1~3 범위의 저비중을 갖는다. 저비중 백색 전기영동 입자(40)의 반사율은 40% 이상을 유지하고, 고온 안정성은 37% 이상을 유지한다. 저비중 백색 전기영동 입자(40)와 흑색 전기영동 입자와의 컨트라스트비는 10:1 이상이고, 고온 후 컨트라스트비는 8:1 이상으로 우수하다. 저비중 백색 전기영동 입자(40)의 쌍안정성은 2 이하로 안정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비중 컬러 전기영동 입자는 도 3에 도시된 저비중 백색 전기영동 입자(40)의 바인더(42) 내에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다홍색 또는 황색과 같은 컬러 안료를 추가로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컬러 안료는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20, 30)를 둘러싸는 형태로 추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를 이용하는 저비중 백색 및 컬러 전기 영동 입자의 비중을 기존의 1.75~2 범위보다 낮으면서 흑색 안료 입자의 비중(1.35)과 유사한 1.39~1.6 범위까지 낮출 수 있게 된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비중 백색/칼러 안료 입자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와 종래의 고비중 백색/컬러 안료 입자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응답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대비하여 나타낸 것이다.
입자
비중 응답속도(ms)
안료 입자 전기영동 입자
종래의 백색/컬러 4.0 1.75~2.0 350
하이브리드 백색/컬러 2.0 1.60 100
할로우 백색/컬러 1.5 1.39 50
흑색 2.0 1.35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비중(4)을 갖는 타티아나 안료 입자를 이용한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는 1.75~2 정도의 고비중을 갖는 관계로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응답 속도가 350ms로 느린 반면에, 본원 발명의 도 1b에 도시된 저비중의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 또는 도 1에 도시된 저비중의 하이브리드 백색 안료 입자를 이용한 저비중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는 1.39~1.6의 저비중을 갖음으로써,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응답 속도가 50~100nm로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저비중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백색(또는 컬러) 잉크 제조
폴리에스터(Polyester) 바인더에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Polyisobutylene succinmide)의 공중합체를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에 용해한 다음,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또는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와 다른 컬러 안료)를 첨가한 후, 비드 밀(Bead mill)을 이용하여 제1 분삭액을 제조한다.
제1 분산액에 전하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2 분산액과, 메틸에틸케톤을 첨가하여 용해 및 희석시켜서 제3 분산액을 제조한다.
제3 분산액에 n-헥산(n-Hexane)을 첨가하여 제1 반응액을 제조한다.
전기 절연유로써 0.75의 비중을 갖는 이소파라핀계 용매(Isopar G)와, 1.8의 비중을 갖는 할로카본(Halocarbon)을 혼합하여 비중을 1.35로 맞춘 혼합액을 상기 제1 반응액에 첨가하고 40도에서 감암 증류하여 백색 잉크를 제조한다.
흑색 잉크 제조
상기 백색 잉크 제조 방법에서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 대신에 카본 블랙을 첨가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블랙 잉크를 제조한다.
전기영동 표시소자 제조
제1 전극(투명 전극)이 형성된 하부 기판 상에 감광성 필름을 이용하여 매트릭스 구조의 격벽을 형성하여 독립된 각 화소 공간을 마련한다. 기제조된 백색(또는 컬러) 잉크와 흑색 잉크를 특정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잉크를, 각 화소 공간에 주입함으로써 각 화소를 형성한다. 잉크 주입 공정으로는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딥 코팅, 잉크젯, 롤투롤 코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다.
각 화소가 형성된 하부 기판 상에 제2 전극(투명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을 UV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착 및 실링함으로써 전기영동 표시소자를 제조한다.
전기영동 표시소자 평가
제조된 전기영동 표시소자를 전압에 따른 반사율 및 컨트라스트비를 휘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전기영동 표시소자는 제1 전극(52)이 형성된 하부 기판(50)과, 제2 전극(62)이 형성된 상부 기판(60)과, 상하부 기판(50, 60) 사이에 형성된 매트릭스 구조의 격벽(54)과, 상하부 기판(50, 60)과 격벽(54)에 의해 형성된 각 화소 공간에 백색, 적색, 녹색, 청색 잉크가 주입된 백색, 적색, 녹색, 청색 화소(W, R, G, B)를 구비한다. 한편, 도 4는 칼러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나, 모노 전기영동 표시소자에서는 도 4에서 백색 화소(W)만 구비한다.
하부 기판(50)으로는 주로 유리 기판이 이용되고, 상부 기판(60)으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 이용된다. 하부 기판(50) 상에 각 화소의 제1 전극(52)이 형성되고, 그 위에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구조의 격벽(54)이 형성됨으로써 백색, 적색, 녹색, 청색(W, R, G, B)의 공간이 마련된다. 각 화소 공간에 상기 제조된 혼합 잉크를 해당 화소 공간에 각각 주입한다. 백색 화소(W)에 백색 잉크 및 흑색 잉크가 혼합된 백색+흑색 혼합 잉크를 주입하고, 그 다음 적색 잉크 및 흑색 잉크가 혼합된 적색+흑색 혼합 잉크를 적색 화소(R)에 주입하고, 동일 방법으로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에 녹색+흑색 혼합 잉크 및 청색+흑색 혼합 잉크 각각을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백색, 적색, 녹색, 청색 화소(W, R, G, B)를 형성한다.
백색, 적색, 녹색, 청색 화소(W, R, G, B)가 형성된 하부 기판(20)과, 제2 전극(62)이 형성된 상부 기판(60)을 합착 및 실링하여 전기영동 표시소자를 제조한다.
백색, 적색, 청색, 녹색 전기영동 입자(82, 84, 85, 88)는 부극성 전하를 갖는다, 흑색 전기영동 입자(74)는 정극성 전하를 갖는다. 부극성으로 대전된 백색, 청록색, 다홍색, 황색 전기영동 입자(82, 84, 85, 88) 보다 정극성으로 대전된 흑색 전기영동 입자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크다.
백색 화소(W)는 전기영동 매질의 용매(70)에 혼합된 백색 전기영동 입자(82) 및 흑색 전기영동 입자(74)를 포함한다. 백색 화소(W)는 제1 및 제2 전극(52, 62)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백색 전기영동 입자(82)가 상부 기판(60) 쪽으로 이동하면 백색을, 흑색 전기영동 입자(74)가 상부 기판(60) 쪽으로 이동하면 흑색을 표시한다.
녹색 화소(G)는 전기영동 매질의 용매(70)에 혼합된 녹색 전기영동 입자(86) 및 흑색 전기영동 입자(74)를 포함한다. 녹색 화소(G)는 제1 및 제2 전극(52, 62)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녹색 전기영동 입자(86)가 상부 기판(60) 쪽으로 이동하면 녹색을, 흑색 전기영동 입자(74)가 상부 기판(60) 쪽으로 이동하면 흑색을 표시한다.
청색 화소(B)는 전기영동 매질의 용매(70)에 혼합된 청색 전기영동 입자(88) 및 흑색 전기영동 입자(74)를 포함한다. 청색 화소(B)는 제1 및 제2 전극(52, 62)에 인가된 전압에 응답하여, 청적색 전기영동 입자(88)가 상부 기판(60) 쪽으로 이동하면 청색을, 흑색 전기영동 입자(74)가 상부 기판(60) 쪽으로 이동하면 흑색을 표시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용매(70)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영동 표시소자만을 도시하였으나, 용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건식 전기영동 표시소자에서도 본원 발명의 저비중 전기영동 입자를 적용하여 응답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저비중 코어와 고비중 쉘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저비중 백색/컬러 안료 입자나, 코어 없이 고비중 쉘로만 구성된 할로우 타입의 저비중 백색/컬러 안료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의 비중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의 비중 감소를 통해 백색/컬러 전기영동 입자의 이동도가 향상되어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비중 용매내에서의 침강을 방지하여 쌍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빠른 응답 속도를 통해 동영상 표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영동 표시소자 상에 터치 패널을 탑재하는 경우에도 빠른 응답 속도를 통해 터치 패널의 명령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10: 티타니아 입자 20, 30: 저비중 백색 안료 입자
22: 쉘 부분 24, 34: 코어 부분
40: 백색 전기영동 입자 42: 바인더
44: 전하 조절제 46: 계면 활성제
50: 하부 기판 52: 제1 전극
60: 상부 기판 62: 제2 전극
70: 용매 74: 흑색 전기영동 입자
82: 백색 전기영동 입자 84, 86, 88: 컬러 전기영동 입자

Claims (13)

  1.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된 백색 안료 입자와;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된 전하 조절제를 포함하고;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광을 산란시켜 백색을 표시하는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진 쉘 부분과;
    상기 쉘 부분보다 비중이 낮은 코어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입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입자의 상기 쉘 부분은 티타니아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 부분은 비어있거나, 상기 티타니아 보다 비중이 낮은 유기물, 금속 또는 무기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입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1~3 범위의 비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입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은 1~1.5 범위의 비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입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내에 포함되거나 상기 백색 안료 입자를 둘러싸는 컬러 안료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입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하고 제1 전하를 갖는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와, 제2 전하를 갖는 흑색 전기 영동 입자가, 절연성 용매에 분산된 전기영동 잉크가 주입된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전기장 인가를 위해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하고 제1 전하를 갖는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와, 제2 전하를 갖는 흑색 전기 영동 입자가 주입된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영동 입자를 이용한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와, 절연 용매에 분산된 백색 또는 컬러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와;
    흑색 전기영동 입자가 절연 용매에 분산된 흑색 컬러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1 전극이 형성된 하부 기판 상에 격벽을 제조하여 각 화소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화소 공간에 상기 백색 또는 컬러 잉크와 상기 흑색 컬러 잉크를 혼합한 혼합 잉크를 주입하여 각 화소를 형성하는 단계와;
    각 화소가 형성된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제2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을 합착하여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백색 또는 컬러 전기영동 입자에 포함된 상기 백색 안료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는,
    유기물, 금속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코어 부분과, 광을 산란시켜 백색을 표시하는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진 쉘 부분으로 구성되는 백색 안료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 부분을 태우거나, 특정 용매로 완전히 용해시켜서 상기 코어 부분을 비어 있는 할로우 구조의 백색 안료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분의 물질로 코발트 나노 입자 또는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이용하고, 상기 쉘 부분의 물질로 티타니아를 이용하며;
    상기 백색 안료 입자는, 상기 코어 부분의 물질에 상기 티타니아 전구체를 추가하여 상기 티타니아 분자를 핵성장시키고 쉘 부분까지 성장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티타니아 쉘 부분의 두께를 상기 티타니아 전구체를 농도를 제어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 백색 안료 입자는 1~2 범위의 비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혼합 잉크는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딥 코팅, 잉크젯, 롤투롤 코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10096087A 2011-09-23 2011-09-23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8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87A KR101908494B1 (ko) 2011-09-23 2011-09-23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87A KR101908494B1 (ko) 2011-09-23 2011-09-23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79A true KR20130032479A (ko) 2013-04-02
KR101908494B1 KR101908494B1 (ko) 2018-10-17

Family

ID=4843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087A KR101908494B1 (ko) 2011-09-23 2011-09-23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9917A1 (zh) * 2021-12-17 2023-06-22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电泳粒子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374A (ja) 2004-10-15 2006-04-27 Canon Inc 電気泳動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01982A (ja) * 2008-10-22 2010-05-0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表示素子及び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10276883A (ja) 2009-05-28 2010-12-09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9917A1 (zh) * 2021-12-17 2023-06-22 深圳秋田微电子股份有限公司 电泳粒子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494B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0068B1 (en) Electrophoresis device and display
KR101856834B1 (ko) 착색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US8390918B2 (en) Electrophoretic displays with controlled amounts of pigment
TWI251710B (en) Electrophoretic dispersion,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8542430B2 (en) Electrophoretic device, display unit, and electronic unit
US10662334B2 (en) Method of making functionalized quinacridone pigments
US10921678B2 (en) Electrophoretic device
JP5464264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206039109U (zh) 显示层结构及显示模块
Wang et al. 59.1: Invited paper: electrophoretic display platform comprising B, W, R particles
KR101960369B1 (ko)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2194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24752A (ko) 칼라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KR101258462B1 (ko) 전기 영동 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방법
TW202219616A (zh) 提供快速、高對比的光學狀態切換的四粒子電泳介質
CN103858050A (zh) 显示单元及其驱动方法以及电子设备
KR101908494B1 (ko)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4917913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327893B1 (ko) 전기영동 입자 및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202223520A (zh) 用於先進彩色電泳顯示器之改良式驅動電壓及具有改良式驅動電壓的顯示器
KR20130047026A (ko) 전기영동 매질과, 그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203477B1 (ko) 반사형 컬러디스플레이
JP2007121785A (ja) 電気泳動表示装置
KR20060123959A (ko) 멀티컬러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3972A (ko) 컬러 전기영동 입자와, 이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